KR101216594B1 -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 Google Patents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594B1
KR101216594B1 KR1020120120490A KR20120120490A KR101216594B1 KR 101216594 B1 KR101216594 B1 KR 101216594B1 KR 1020120120490 A KR1020120120490 A KR 1020120120490A KR 20120120490 A KR20120120490 A KR 20120120490A KR 101216594 B1 KR101216594 B1 KR 10121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ener
fastener
hole
shotcrete
ma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구
서경원
김용직
김경민
김유석
박형철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2012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체 또는 액상 급결제를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급결제 탱크와; 상기 급결제 탱크의 배출구와 대응되도록 상면에서 수직으로 급결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결제 투입구의 일측에 급결제 공급홀이 형성되며, 상기 급결제 투입구의 타측에 상기 급결제 공급홀과 동일 선상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결제 공급홀과 수직으로 에어홀이 형성되는 메인 블록과; 상기 메인 블록의 가이드홀에 설치되고, 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급결제 투입구에 공급된 급결제를 상기 급결제 공급홀로 투입하는 실린더와; 상기 급결제 공급홀을 개방 및 폐쇄하여 급결제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급결제 공급홀에서 이동하는 피더; 및 상기 메인 블록의 가이드홀의 내부로 에어를 투입하여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에어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피스톤과 피더 사이에 급결제를 충진하고, 충진된 급결제를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압축공기가 지나가는 에어홀로 공급함으로써 일정량의 급결제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PARTICULATES AND LIQUID SHIFTING PUMP FOR CONSTRUCTING SHOTCRETE}
본 발명은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피스톤과 피더 사이에 급결제를 충진하고, 충진된 급결제를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압축공기가 지나가는 에어홀로 공급함으로써 일정량의 급결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의 필요성 및 국토 이용의 효율성을 위하여 지상환경을 보존하고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지하철, 도로, 국철 및 고속철도 공사 등에서 터널 및 지하공간의 건설공사가 증가하고 단면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대형화 되는 지하공사의 일환으로 터널시공, 댐공사 또는 지하구조물 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공법을 나틈공법(NATM ; 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이라 하는데, 이는 단순한 굴착, 지보공의 수단, 지보공의 설치 순서 등이 아닌 현실에 맞게 판단하는 지반거동의 제 원칙에 따라 시공하는 것으로, 터널을 구성하는 주체가 주변지반이고 지보공은 지반 본래의 강도를 유지하고 보강하는 수단으로 생각하는 개념이며, 강재지보, 락볼트와 숏크리트를 지보재로 사용하고 암반 굴착 직후 원지반의 지지능력을 최대로 활용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터널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굴착면을 안정화 하는 굴착면 안정화 공법이다.
상기와 같은 굴착면 안정화 공법의 지보재로 사용되는 숏크리트(Shotcrete)는 암반 또는 지반을 보강하여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으로써,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 없이 숏크리트 장비를 사용하여 굴착된 원지반에 공기압 및 펌프의 압력으로 분사 고착시키는 콘크리트로써, 지반의 이완을 방지하여 원지반의 강도를 유지하고 콘크리트 아치로서 하중을 분담시켜 굴착면을 평활하게 하여 응력집중을 방지하므로 조기에 강도 확보, 굴착암반과의 부착성 향상, 리바운드와 분진 발생을 최소화 하는 기능이 함께 요구된다.
이러한, 숏크리트 시공방식에는 건식공법과 습식공법의 두가지 종류가 있으며, 습식 공법은 다시 에어압송식과 펌프 압송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건식공법은 충분히 건조된 상태의 골재를 충분히 건배합한 후 급결제를 혼합하여 분사장치로 공급시켜 압축공기로 압송하여 노즐에서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때 배합수는 노즐 내에서 골재와 혼합되어 시공면에 고속으로 분사 고착된다.
그러나, 건식공법은 재료관리, 배합비, 물공급 및 급결제 공급이 습식공법에 비하여 어려워 재료의 품질관리가 일정하지 않고 분진 및 리바운드 발생이 많아져 재료의 손실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재료의 보관 역시 습식에 비하여 어렵다.
일반적으로 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가 건비빔 되어야 함으로 모래나 자갈이 여러 가지 이유로 표면수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시멘트와 혼합이 완료되고 빠른 시간 내에 작업위치로 운송되어 사용하지 않으면 응고가 시작되어 숏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기도 한다. 따라서 재료보관에 각별히 주의를 요하는데 강수 및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반입재료는 사전검사를 통해 입도분포 외에 골재의 표면수량을 검사토록 한다. 함유기준은 믹서의 성능에 따라 혼합시간, 혼합 후 운반 및 대기시간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간단한 현장실험을 통해 작업이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를 정하도록 한다.
이에 비해, 습식 공법은 물을 첨가하여 모든 재료를 잘 혼합한 후 분사장치에 공급하고 노즐에서 압축공기를 가하여 분사속도를 증가시켜 시공면에 분사 고착하는 방식으로 재료의 혼합시 콘크리트 배치플랜트를 사용하고 운송시 콘크리트 믹서트럭을 이용하기 때문에 재료의 관리나 품질유지가 상대적으로 건식공법에 비하여 매우 유리하고 리바운드 및 분진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시공기계가 크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습식 숏크리트는 사용되는 재료나 배합, 각종 시공조건 및 타설방법 등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급결시켜 지반에 부착하기 위한 혼화제인 급결제(Accelerator)의 품질과 콘트리트의 제반 여건에 따라 리바운드의 양과 시공능률에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며 타설 장비의 특성에 따라 숏크리트의 시공품질에 많은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품질 관리상의 어려움이 많고 이로 인해 지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의 혼화제로 사용되는 급결제는 물유리계 액상 급결제와 알루민산소다계 액상 급결제를 들수 있으며, 최근에는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칼리프리계 액상 급결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액상 급결제는 콘크리트를 펌프로 압송하는 장비에서 액상용 정량펌프로 액상급결제를 이송하여 분사노즐에 부착된 액상 급결제 투입용 노즐을 통하여 콘크리트에 혼합하고 여기에 압축공기를 투입하여 분사압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물유리계 액상 급결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공면에 부착되지 못하고 떨어지는 콘크리트즉 리바운드가 많을 뿐 아니라 장기강도가 감소하고 지하수에 의해 숏크리트가 분해되어 사용이 규제되어 왔다.
현재에는 물유리계 액상 급결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알루민산소다계 액상급결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강알칼리로서 자극성이 강하여 인체에 화상이나 부식을 주는 등 독성이 심하며 응결촉진효과가 약하여 리바운드 량이 많고 장기강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액상급결제는 약 50%가 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량을 늘릴수록 콘크리트의 물의 비율이 높아져서 슬럼프가 높을 경우 시공이 어려워지므로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최대한 낮게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지하수가 새어나오는 용수부위에 시공할 경우 급결제 양을 늘리면 오히려 콘크리트의 흐름성이 커져서 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시공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하는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인체에 무해하고 장기강도가 높아 내구성 증진의 효과가 있으나 액상이라는 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럼프에 민감하고 응결촉진효과가 약하여 리바운드 양이 많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량을 늘릴경우 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시멘트 구성 광물의 일종인 칼슘알루미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를 개발, 적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는 시멘트광물이 주성분이므로 자극성이 적어서 인체에 해가 적고 응결촉진효과가 우수하여 리바운드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장기강도가 높아서 터널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분말이므로 사용량을 늘리면 콘크리트의 물의 비율이 오히려 낮아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부착력이 우수하여 용수부위에도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슬럼프에 둔감하기 때문에 현장의 품질관리가 용이해지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물과 접촉하면 자체 경화 되는 단점 때문에 건식공법에는 기존 시스템에 무리 없이 적용되고 있으나 습식 공법에 있어서는 특수한 장비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장비들은 재료상태에 따른 시공성능의 민감성과 합류관 막힘, 분진의 발생 등 시공상의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분말상인 급결제를 투입하기 위해 특수한 장비가 사용되게 되는데, 급결제가 분말이며 물과 접촉하면 자체가 경화되는 특성 때문에 숏크리트 분사를 위하여 이송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급결제를 압축공기와 혼합하여 분사시켜 혼합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말형 급결제를 사용한 습식 숏크리트 타설은 압송방식에 따라 두가지의 시공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데, 콘크리트 이송에 있어서 압축공기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공기압송식과,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펌프카와 유사하여 두 개의 피스톤으로 콘크리트를 밀어 이송하는 펌프압송식으로 구분한다.
상기 공기압송식 콘크리트 타설장치는 공기압송펌프에서 나온 압송압력으로 콘크리트 분사연결관의 분사노즐에 도달하기 전의 일정구간에 급결제합류관을 결합하고 분말공급장치의 급결제연결관을 연결하여 급결제를 함유한 압축펌프에서 형성된 압축공기를 투입한 후 분사노즐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분사연결관 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써, 낮은 압력으로 특수 암반에 시공되는 것으로 시공 속도가 낮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효율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펌프압송식 콘크리트 타설장치는 압송펌프에서 압송된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수송관 및 콘크리트 수송호스를 통하여 압축공기합류관에 도달하고, 압축공기합류관의 일측에 연결하여 공기압축펌프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콘크리트를 분산하며,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수송호스를 거쳐 급결제합류에 도달하면 분말공급장치에서 송출되는 급결제를 함유한 압축공기와 합류되고, 콘크리트 수송호스 내에서 혼합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된다.
여기서, 압축공기합류관에서 압축공기를 혼합하는 것은 콘크리트가 압송되는 상태에서는 콘크리트의 점성과 수송관의 저항으로 인해 급결제합류관에서 급결제를 함유한 압축공기를 투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혼합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공기로 분산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를 사용하는 습식 숏크리트 타설장치는 이송되는 콘크리트가 급결제합류관에서 분사노즐에 도달하기까지 단계에서 콘크리트가 관내의 저항으로 인해 누적되면서 급결제합류관 내에 높은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수분이 급결제수송호스 측으로 역류하여 급결제가 수분과 반응하여 응결되어 급결제 수송호스 및 급결제합류관 내에 빈번하게 코팅이 생성되거나 막힘이 발생하므로 급결제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특허등록공보 10-1076217호(분말공급장치를 갖춘 습식쇼크리트 시공장비 시스템)가 개발되어 출원되었다.
상기 분말공급장치를 갖춘 습식쇼크리트 시공장비 시스템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결제 탱크부(21)는 급결제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급결제 탱크(211)와, 상기 급결제 탱크(211)의 하부에 설치되어 건조압축공기의 압력과 회전에 의해 상기 급결제를 배출시키는 급결제 피더(212)와 상기 급결제 피더(212)를 회전시키는 급결제 피더모터(213)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급결제 탱크부는 회전되는 급결제 피더를 통해 급결제를 공급하기 때문에 그 배출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10-10762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의 피스톤과 피더 사이에 급결제를 충진하고, 충진된 급결제를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압축공기가 지나가는 에어홀로 공급함으로써 일정량의 급결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분체 또는 액상 급결제를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급결제 탱크와; 상기 급결제 탱크의 배출구와 대응되도록 상면에서 수직으로 급결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결제 투입구의 일측에 급결제 공급홀이 형성되며, 상기 급결제 투입구의 타측에 상기 급결제 공급홀과 동일 선상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결제 공급홀과 수직으로 에어홀이 형성되는 메인 블록과; 상기 메인 블록의 가이드홀에 설치되고, 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급결제 투입구에 공급된 급결제를 상기 급결제 공급홀로 투입하는 실린더와; 상기 급결제 공급홀을 개방 및 폐쇄하여 급결제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급결제 공급홀에서 이동하는 피더; 및 상기 메인 블록의 가이드홀의 내부로 에어를 투입하여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에어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투입구는 급결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단에 제 1경사면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공급홀은 상기 에어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투입된 급결제가 상기 에어홀로 투입된 압축 공기에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공급홀은 내측에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및 피더를 안내하도록 원통형의 가이드링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가이드링은 전단과 후단에 급결제의 투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제 2경사면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공급홀과 가이드홀은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다단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급결제 탱크는 측면에 급결제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표시창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에 따르면, 실린더의 피스톤과 피더 사이에 급결제를 충진하고, 충진된 급결제를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압축공기가 지나가는 에어홀로 공급함으로써 일정량의 급결제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말공급장치를 갖춘 습식쇼크리트 시공장비 시스템중 급결제 탱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100)는 급결제 탱크(110)와, 메인 블록(120)과, 실린더(130)와, 피더(140) 및 에어 노즐(150)로 구성된다.
먼저, 급결제 탱크(110)는 분체 또는 액상 급결제를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한다.
여기에서, 상기 급결제 탱크(110)는 측면에 급결제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표시창(113)이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블록(120)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급결제가 저장된 급결제 탱크(110)의 배출구(111)와 대응되도록 상면에서 수직으로 급결제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급결제 투입구(121)의 일측에 급결제 공급홀(123)이 형성되며, 급결제 투입구(121)의 타측에 급결제 공급홀(123)과 동일 선상으로 가이드홀(125)이 형성되고, 급결제 공급홀(123)과 수직으로 에어홀(127)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메인 블록(120)의 급결제 투입구(121)는 급결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단에 제 1경사면(121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 블록(120)의 급결제 공급홀(123)은 에어홀(127)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실린더(130)의 피스톤(131)에 의해 투입된 급결제가 에어홀(127)로 투입된 압축 공기에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내측에 실린더(130)의 피스톤(131) 및 피더(140)를 안내하도록 원통형의 가이드링(160)이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링(160)은 전단과 후단에 급결제의 투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제 2경사면(16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린더(130)는 메인 블록(120)의 가이드홀(125)에 설치되고, 피스톤(131)을 이용하여 급결제 투입구(121)에 공급된 급결제를 급결제 공급홀(123)로 투입한다.
또한, 피더(140)는 급결제 공급홀(123)을 개방 및 폐쇄하여 급결제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실린더(130)의 피스톤(131)에서 연장 형성되어 급결제 공급홀(123)에서 이동한다.
또, 에어 노즐(150)은 메인 블록(120)의 가이드홀(125)의 내부로 에어를 투입하여 실린더(130)를 동작시킨다.
한편, 메인 블록(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결제 공급홀(123)과 가이드홀(125)이 두 개 이상 다단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실린더(130)를 통해 급결제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급결제가 저장된 급결제 탱크(110)의 배출구(111)를 통해 급결제 투입구(121)로 투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 노즐(150)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실린더(130)가 동작, 즉 신장되면 피스톤(131)이 급결제를 밀어 급결제 공급홀(123)로 투입시킨다. 이때, 피더(140)가 급결제 공급홀(123)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압축 공기에 의해 급결제가 급결제 공급홀(123)로 투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면, 급결제는 급결제 공급홀(123)에서 에어홀(127)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혼합되어 에어홀(127)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다시 실린더(130)가 수축되어 피스톤(131)이 초기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서 급결제를 투입한다.
따라서, 피스톤(131)을 통해 급결제 공급홀(123)로 일정한 량의 급결제가 투입된다.
또한, 복수의 피스톤(131)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거나 몇 개의 군을 동시에 동작시키면 더 많은 량의 급결제가 일정하게 투입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급결제 탱크 120 : 메인 블록
130 : 실린더 140 : 피더
150 : 에어 노즐

Claims (7)

  1. 분체 또는 액상 급결제를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급결제 탱크와;
    상기 급결제 탱크의 배출구와 대응되도록 상면에서 수직으로 급결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결제 투입구의 일측에 급결제 공급홀이 형성되며, 상기 급결제 투입구의 타측에 상기 급결제 공급홀과 동일 선상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결제 공급홀과 수직으로 에어홀이 형성되는 메인 블록과;
    상기 메인 블록의 가이드홀에 설치되고, 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급결제 투입구에 공급된 급결제를 상기 급결제 공급홀로 투입하는 실린더와;
    상기 급결제 공급홀을 개방 및 폐쇄하여 급결제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급결제 공급홀에서 이동하는 피더; 및
    상기 메인 블록의 가이드홀의 내부로 에어를 투입하여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에어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투입구는,
    급결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단에 제 1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공급홀은,
    상기 에어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투입된 급결제가 상기 에어홀로 투입된 압축 공기에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공급홀은,
    내측에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및 피더를 안내하도록 원통형의 가이드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은,
    전단과 후단에 급결제의 투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제 2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급결제 공급홀과 가이드홀은,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결제 탱크는,
    측면에 급결제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표시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KR1020120120490A 2012-10-29 2012-10-29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KR10121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90A KR101216594B1 (ko) 2012-10-29 2012-10-29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90A KR101216594B1 (ko) 2012-10-29 2012-10-29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594B1 true KR101216594B1 (ko) 2012-12-31

Family

ID=4790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490A KR101216594B1 (ko) 2012-10-29 2012-10-29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5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032A (zh) * 2015-07-29 2015-11-18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适用于陡倾层状岩体的大断面隧道支护体系施工方法
CN113530572A (zh) * 2021-07-30 2021-10-22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速凝剂添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828A (ja) 2000-11-07 2002-05-14 Denki Kagaku Kogyo Kk 急結材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KR100395689B1 (ko) 2001-04-24 2003-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소음 차단재 조립구조
JP2004203535A (ja) 2002-12-25 2004-07-22 Denki Kagaku Kogyo Kk 急結剤の補給方法、急結剤貯留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828A (ja) 2000-11-07 2002-05-14 Denki Kagaku Kogyo Kk 急結材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KR100395689B1 (ko) 2001-04-24 2003-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소음 차단재 조립구조
JP2004203535A (ja) 2002-12-25 2004-07-22 Denki Kagaku Kogyo Kk 急結剤の補給方法、急結剤貯留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032A (zh) * 2015-07-29 2015-11-18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适用于陡倾层状岩体的大断面隧道支护体系施工方法
CN105065032B (zh) * 2015-07-29 2017-10-17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适用于陡倾层状岩体的大断面隧道支护体系施工方法
CN113530572A (zh) * 2021-07-30 2021-10-22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速凝剂添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5851B (fi) Menetelmä tyhjien tilojen täyttämiseksi kiviaineksella
KR101076217B1 (ko) 분말공급장치를 갖춘 습식 숏크리트 시공장비 시스템
CN106903800B (zh) 一种可控量加料的水泥搅拌设备
US6415824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grouting water-flooded conduits
KR100647531B1 (ko)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를 사용하는 습식 숏크리트 타설장비 시스템
KR100766626B1 (ko) 그라우트재
US4984933A (en) Grou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241372B1 (ko) 숏크리트 시공장비에서의 콘크리트 압송부 구조
KR101216594B1 (ko)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분체 및 액상 겸용 이송펌프
CN203321540U (zh) 矿用远距离自动配料多用途湿喷机
KR101156663B1 (ko) 숏크리트 시공장비에서의 복합y관과 전단인젝터를 갖춘 콘크리트 압송부 구조
KR101222407B1 (ko) 쇼크리트용 급결제의 공급 방법 및 장치, 이 장치가 설치된 쇼크리트 타설기
KR101982814B1 (ko) 디지털 섬유 투입량 표시기 및 숏크리트 시공량 표시기와 섬유분산 유도기가 장착된 숏크리트 시공 장치
KR101630516B1 (ko) 분진을 저감시키기 위한 숏크리트 압송부,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CN109485320A (zh) 用于小断面矿山巷道的湿式喷射混凝土工艺的操作方法
KR100552363B1 (ko) 가소형 그라우트 주입 공법
KR101216593B1 (ko)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혼합 분기관
CN105952417A (zh) 一种强含水层超高水材料孔外加入干骨料的混浆注浆堵水装置
CN215565970U (zh) 一种用于混凝土和砂浆喷射机组的供料装置
CN210814762U (zh) 一种喷射混凝土速凝剂混合器
KR100289016B1 (ko) 습식 숏크리트 타설을 위한 액상 급결제 투입 방법 및 그 장치
KR101741961B1 (ko) 급결제 투입량 표시기가 장착된 혼합식 급결제 공급시스템
KR101348533B1 (ko) 지반보강을 위한 주입관 장치 및 지반보강 시스템
CN210598916U (zh) 一种用于封堵岩石含水层裂隙的物料添加装置
CN103496901A (zh) 劣质围岩湿喷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