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439B1 - 차양 모자 - Google Patents

차양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439B1
KR101216439B1 KR1020120011449A KR20120011449A KR101216439B1 KR 101216439 B1 KR101216439 B1 KR 101216439B1 KR 1020120011449 A KR1020120011449 A KR 1020120011449A KR 20120011449 A KR20120011449 A KR 20120011449A KR 101216439 B1 KR101216439 B1 KR 10121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rown
fastening means
fitting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열
Original Assignee
김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열 filed Critical 김학열
Priority to KR102012001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8Hats; Caps; Hoods made from a flat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크라운의 양 측면이 개방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차양 모자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춰 자유롭게 크라운 사이즈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이 개선된 차양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는, 머리를 감싸는 크라운과, 크라운의 일단에 연결되고 양측이 크라운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전면 연장부를 구비한 전면 차양부와, 크라운의 타단에 연결되고 양측이 크라운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후면 연장부를 구비한 후면 차양부와, 한 쌍의 전면 연장부와 대응되는 한 쌍의 후면 연장부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양 모자{A VISORED CAP}
본 발명은 차양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크라운의 양 측면이 개방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차양 모자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춰 자유롭게 크라운 사이즈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이 개선된 차양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머리에 쓰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추위나 더위, 먼지 따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거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장식을 목적으로 착용한다. 최근에는 경기관람, 야유회, 체육대회 및 행사 등의 야외에서 활동할 때, 얼굴이 강렬한 햇볕에 노출되어 각종 피부질환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차양 모자가 많이 사용된다.
도 9는 종래 조립식 모자의 사시도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94716호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의하면 양 측부가 호 형상이 되도록 내측으로 굽혀지는 차양부(1)와, 굽혀진 차양부(1)의 내부에 삽입되고 차양부(1)의 양측 내면에 결착하기 위한 접착부재(2)가 형성되며 모자 착용자의 머리가 삽입되는 머리 결착부(3)로 구성된다.
그러나, 차양부와 머리 결착부를 각각 제작한 후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양부와 머리 결착부는 접착부재를 이용해야만 서로 고정됨으로 모자를 만드는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워 편의성이 떨어지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머리를 감싸고 있는 차양부는 측면이 막혀 있는 구조로써, 통풍이 잘 되지 않으므로 여름철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열기를 신속하게 방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라운과 차양부가 일체로 제작되고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모자를 조립하기 때문에 분해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차양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자가 벗겨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춰 자유롭게 크라운 사이즈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향상시킨 차양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를 감싸고 있는 크라운의 양 측면이 개방된 구조로써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열기를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통풍이 잘 되는 차양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양부의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햇빛차단을 극대화하고, 멋스럽고 미려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한 차양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머리를 감싸는 크라운과, 크라운의 일단에 연결되고 양측이 크라운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전면 연장부를 구비한 전면 차양부와, 크라운의 타단에 연결되고 양측이 크라운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후면 연장부를 구비한 후면 차양부와, 한 쌍의 전면 연장부와 대응되는 한 쌍의 후면 연장부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양 모자를 구성하는 크라운과 차양부가 일체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조립됨으로 모자를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다. 또한, 모자가 벗겨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춰 자유롭게 크라운 사이즈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머리를 감싸고 있는 크라운의 양 측면이 개방된 구조로써 통풍이 잘 되기 때문에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열기를 신속하게 방출하여 여름철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라운과 차양부의 크기, 모양 및 형상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여 멋스럽고 미려한 차양 모자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의 일 실시예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양 모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의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의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의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의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조립식 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양 모자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양 모자(100)는 크라운(110), 전면 차양부(120) 및 후면 차양부(130)를 포함한다. 크라운(110)은 머리를 감싸도록 자유롭게 변형되는 구조이다. 즉, 사용자의 이마부터 뒤통수까지 감싸기 위해 원호, 사각, 다각 형상 등으로 변형된다. 크라운(110)이 머리를 감싸고 있을 때 크라운(110)의 양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전면 차양부(120)는 얼굴의 전면으로 비치는 햇볕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크라운(11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1 연결부(111)는 전면 차양부(120)와 크라운(110)이 연결된 경계부분을 가리킨다. 제1 전면 연장부(121)와 제2 전면 연장부(122)는 전면 차양부(120)의 양측에 연장되는 것으로, 크라운(110)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면 연장부(121)는 전면 차양부(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크라운(110)의 상부 왼쪽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끼움부(123)는 제1 전면 연장부(121)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2 전면 연장부(122)는 전면 차양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크라운(110)의 하부 왼쪽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2 끼움부(124)는 제2 전면 연장부(122)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끼움부(12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끼움부(123)와 제2 끼움부(124)는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절개된 구조이다.
제1 걸림부(125)는 제1 전면 연장부(121) 중 크라운(110)과 맞닿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제2 걸림부(126)는 제2 전면 연장부(122) 중 크라운(110)과 맞닿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걸림부(125)와 제2 걸림부(126)는 차양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 모자(100)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제1 접지선(127)과 제2 접지선(128)은 전면 차양부(120)의 모양을 멋스럽게 만들기 위한 것으로, 전면 차양부(120)와 제1 전면 연장부(121) 그리고 전면 차양부(120)와 제2 전면 연장부(122)의 경계부분에 구비한다. 제1 접지선(127)과 제2 접지선(128)의 위치나 방향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생략할 수도 있다.
후면 차양부(130)는 차양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뒤통수를 지지하고, 뒷통수나 뒷목으로 비치는 햇볕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크라운(1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112)는 후면 차양부(130)와 크라운(110)이 연결된 경계부분을 가리킨다. 제1 후면 연장부(131)와 제2 후면 연장부(132)는 후면 차양부(130)의 양측에 연장되는 것으로, 크라운(110)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후면 연장부(131)는 후면 차양부(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크라운(110)의 상부 오른쪽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슬롯(133)은 제1 후면 연장부(131)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제1 끼움부(123)가 끼워지도록 관통된다. 제2 후면 연장부(132)는 후면 차양부(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크라운(110)의 하부 오른쪽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2 슬롯(134)은 제2 후면 연장부(132)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제1 슬롯(133)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2 끼움부(124)가 끼워지도록 관통된다.
제3 걸림부(135)는 제1 후면 연장부(131) 중 크라운(110)과 맞닿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제4 걸림부(136)는 제2 후면 연장부(132) 중 크라운(110)과 맞닿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걸림부(135)와 제4 걸림부(136)는 차양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 모자(100)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제3 접지선(137)과 제4 접지선(138)은 제1 후면 연장부(131)와 제2 후면 연장부(132)의 경계부분에 구비한다. 제3 접지선(137)과 제4 접지선(138)의 위치나 방향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생략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머리에 착용하기 위해 차양 모자(100)를 조립할 때 먼저, 제1 전면 연장부(121)와 제1 후면 연장부(131)의 체결수단을 조립하고, 제2 전면 연장부(122)와 제2 후면 연장부(132)의 체결수단을 조립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체결수단은 제1 전면 연장부(121)와 제2 전면 연장부(122)의 일단에 각각 제1 끼움부(123)와 제2 끼움부(124)를 구비하고, 각각의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제1 후면 연장부(131)와 제2 후면 연장부(132)의 일단에 제1 슬롯(133)과 제2 슬롯(1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롯(133)과 제2 슬롯(134)은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춰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1 전면 연장부(121)와 제1 후면 연장부(131)가 조립되고 제2 전면 연장부(122)와 제2 후면 연장부(132)가 조립되면, 전면 차양부(120)와 후면 차양부(13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때, 전면 차양부(120)와 후면 차양부(130)에 각각 연결된 크라운(110)은 양 측면이 개방되고 원호 형상을 갖도록 상부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전면 차양부(120)의 제1 접지선(127)과 후면 차양부(130)의 제3 접지선(137) 및 전면 차양부(120)의 제2 접지선(128)과 후면 차양부(130)의 제4 접지선(138)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접은 후 착용한다.
또한, 차양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 모자(100)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전면 연장부(121, 122)와 제1 및 제2 후면 연장부(131, 132)의 내주면에 머리와 밀착되도록 각각 제1 내지 제4 걸림부(125, 126, 135, 136)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4 걸림부(125, 126, 135, 13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전면 연장부(121, 122)와 제1 및 제2 후면 연장부(131, 132)의 폭이 넓을 경우 얼굴의 옆면, 귀, 목 등으로 비치는 햇볕을 차단하는 보조 차양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체결수단은, 제1 및 제2 끼움부(134a)가 제1 및 제2 후면 연장부(131, 132)에 구비하고, 복수의 제1 슬롯 및 제2 슬롯(124a)이 제1 및 제2 전면 연장부(121, 122)에 구비한 것이 다르다. 차양 모자(100)를 만들기 위해 조립하는 방법은 일 실시예의 체결수단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끼움부(123, 124) 및 다른 실시예의 제1 및 제2 끼움부(134a)는, 끼움부가 슬롯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끼움부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돌기(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체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 전면 연장부의 일단에는 제1 절개부가 형성되고 제2 전면 연장부(122)의 일단에는 제2 절개부(124b)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후면 연장부의 일단에는 복수의 제1 조절 절개부가 형성되고, 제2 후면 연장부(132)의 일단에는 복수의 제2 조절 절개부(134b)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절개부(124b)의 개방된 하부 부분이 제2 조절 절개부(134b)의 개방된 상부 부분으로 끼워져 제2 전면 연장부(122)와 제2 후면 연장부(132)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1 전면 연장부와 제1 후면 연장부의 체결수단도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체결수단은, 제1 및 제2 절개부(134c)가 제1 및 제2 후면 연장부(132)에 구비하고, 복수의 제1 및 제2 조절 절개부(124c)가 제1 및 제2 전면 연장부(122)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절개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조절 절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절개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조절 절개부는 하부가 개방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체결수단은, 제1 및 제2 전면 연장부는 대응되는 제1 및 제2 후면 연장부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차양 모자는 사용자가 모자를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차양 모자(100)를 종이로 제조할 경우 체결수단은 접착제, 테이프, 접착천(벨크로 상품명) 등의 접착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양 모자(100)를 합성수지로 제조할 경우 체결수단은 접착제, 테이프, 접착천(벨크로 상품명) 등의 접착부재(140) 또는 열융착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라운과 전면 차양부 및 후면 차양부가 일체로 제조되고, 양 측면에 각각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머리 사이즈에 맞춰 전면 및 후면 연장부를 분해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차양 모자는 일체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장부 내주면에 걸림부를 구비하여,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 모자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차양 모자 110 : 크라운
120 : 전면 차양부 130 : 후면 차양부

Claims (10)

  1. 머리를 감싸는 크라운과,
    상기 크라운의 일단에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크라운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전면 연장부를 구비한 전면 차양부와,
    상기 크라운의 타단에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크라운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후면 연장부를 구비한 후면 차양부와,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와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는, 상기 크라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머리와 밀착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의 일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끼움부는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슬롯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의 일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끼움부는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슬롯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어느 한 면에 각각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어느 한 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절개부는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조절 절개부 중 어느 한 조절 절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어느 한 면에 각각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어느 한 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절개부는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조절 절개부 중 어느 한 조절 절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전면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후면 연장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KR1020120011449A 2012-02-03 2012-02-03 차양 모자 KR10121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49A KR101216439B1 (ko) 2012-02-03 2012-02-03 차양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49A KR101216439B1 (ko) 2012-02-03 2012-02-03 차양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439B1 true KR101216439B1 (ko) 2012-12-28

Family

ID=4790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449A KR101216439B1 (ko) 2012-02-03 2012-02-03 차양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4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818U (ko) * 1977-04-28 1978-11-2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818U (ko) * 1977-04-28 197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338A (en) Multi use head cover
US5862523A (en) Modular headwear system
US8740379B2 (en) Eyeglasses retention system
EP2615935B1 (en) Hat systems
US20150342280A1 (en) Headwear that protects hairstyle
US20170215513A1 (en) Hat ventilated through brim
US5621915A (en) Removable cap visor extension
KR100555729B1 (ko) 보조차양을 갖는 차양모
KR20130077747A (ko) 기능성 모자
JP3110940U (ja) 帽子
KR101216439B1 (ko) 차양 모자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200366134Y1 (ko) 위생모자
KR200441404Y1 (ko) 썬캡의 이마 받침부 구조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US20020162155A1 (en) Cold weather hat with hair pull throughs
US8819868B2 (en) Protective ear shades
KR200478135Y1 (ko) 패션용 차양모자
WO2003026451A2 (en) Headgear
KR200349961Y1 (ko) 착탈이 용이한 차광천이 구비된 모자
KR20120004659U (ko) 수납용 착탈식 보조챙이 구비된 모자
KR200451705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100419077B1 (ko) 방석 겸용 차양 모자
KR200405596Y1 (ko) 보조차양을 갖는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