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365B1 -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 Google Patents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365B1
KR101215365B1 KR1020120103811A KR20120103811A KR101215365B1 KR 101215365 B1 KR101215365 B1 KR 101215365B1 KR 1020120103811 A KR1020120103811 A KR 1020120103811A KR 20120103811 A KR20120103811 A KR 20120103811A KR 101215365 B1 KR101215365 B1 KR 10121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ir
waste wire
cooled
resi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재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유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민재 filed Critical 유민재
Priority to KR102012010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1,2,3차의 분쇄 과정과 공랭 과정을 거쳐 양질의 재활용 분말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를 통해 분말 형태로 파쇄하는 1차 분쇄기와; 상기 1차 분쇄기로 부터 분말 형태로 파쇄된 폐전선 수지 피복물을 일측에 구비된 투입구측으로 부터 공급받아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 채망을 통해 회동과정 중 자연 공랭시킴과 동시에 채거름 방식으로 분말을 얻어내어 하부에 위치한 하부 배출구로 배출하고, 채거름이 안된 분말은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측으로 배출하는 공랭식 채거름기와; 채거름이 안되어 상기 공랭식 채거름기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로 배출된 분말을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2차 분쇄기와; 상기 2차 분쇄기에 의해 공랭식 채거름기를 거쳐 채거름기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 배출된 분말을 또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3차 분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Crushed and air-cooling device for waste wire resin sheath recycling}
본 발명은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1,2,3차의 분쇄 과정과 공랭 과정을 거쳐 양질의 재활용 분말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전선의 수요는 전기, 통신, 전자산업과 같은 다양한 방면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또한 다양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선은 많이 사용됨에 따라 폐전선의 발생량도 동시에 늘어나게 되고, 폐전선의 처리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폐전선의 수거에 따른 체계적인 제도도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주로 개인이나 고물상 또는 사업장별로 경제적 이득을 얻기위해 수거하는 것이 고작이며, 수거된 폐전선은 경제적 가치가 있는 동(구리)만을 PVC의 피복물로부터 분리해 내어 재 사용하거나 아니면 일부분은 그냥 폐기되는 현실이고 특히 그냥 폐기되는 경우에는 동이나 PVC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자나도 잘 썩지 않아 환경에 크나큰 악영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종래 실시되고 있는 폐전선의 재생수단이나 분리수단으로는 폐전선을 그대로 소각시킨 후 동선만을 추출하거나, 아니면 폐선선 압입 로울러로 압착시켜 합성수지 피복물을 벗겨내어 동선을 분리하는 수단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각 방식에 의한 동 추출 방법은 PVC의 소각에 따른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대기로 배출되어 환경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현재에는 거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압입 로울러를 이용한 동선 분리장치의 경우에는 연선인 경우 그 분리가 거의 불가능하고, 동선의 추출 순간 동선과 수지와의 분리가 어렵고 분리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분리방법 이외에도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84-7854호에는 합성수지(PVC)를 용융상태로 압출구를 통해 이차적으로 가열 가압하여 분리되도록 한 것페전선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99-24571호에는 젤 리가 내재된 폐전선으로부터 순수한 동만을 얻기 위한 폐전선 분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2000-1418호에는 가마로내에 매설한 가열통체에 폐전선을 내입한 통체를 내장하여 순환되는 폐기물 소각로의 열로 간접 가열하고 점차적으로 열분해 건류시켜 탄화(숯)시킨 후 호이스트로 꺼내어 타발되도록 하여 종래 직접열을 이용한 폐전선의 소각에 따른 환경 오염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동선 취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특허공개 제2001-2443호에는 열분해로에서 폐전선의 피복을 열분해 및 용융을 이용하여 피복을 연소 제거하여 폐전선으로 부터 동을 회수하고 연소로에서 열분해로로 유입된 잔유물을 연소시키는 동 회수장치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각 선행 고안들은 전부가 폐전선으로부터 단순히 동(銅)만을 추출 또는 분리해내는데 치중을 두고 제안된 것들이어서 재활용 가능한 PVC(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나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등의 소재를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분리해 내는 것은 전혀 기대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폐전선으로부터 단순히 동만을 분리 추출하였기 때문에 동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들도 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으로 인해 재활용 가치가 높은 PP와 PE 및 PVC의 분리는 자연 등한시되고, 대부분 소각 또는 용융 폐기되었고, PP와 PE 및 PVC가 분리되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고무가 함께 섞여있어 융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합성수지의 재활용을 등한시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로서는 PP와 PE 및 PVC를 재활용하려면 이에 포함된 고무나 각종 불순물도 완전히 제거해야 되는데 이를 별도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전혀 강구되어 않았으며, 또한 이들 분리에 따른 설비나 공정이 매우 까다로운데 반하여 이로부터 얻어지는 경제적 이득은 동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경제적 이익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는 요인도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폐전선의 피복으로부터 동과 PP와 PE 및 PVC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분리 선별하여 종래 동에서만 얻어지는 경제적 가치를 PP와 PE 및 PVC에서도 얻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일 예를 설명하면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5626호에는 호퍼와 투입된 파쇄 상태의 폐전선을 운반하기 위한 제1콘베어장치와; 상기 제1콘베어장치에 의해 운반되어진 파쇄편을 무게가 무거운 동과 합성고무 및 PVC를 무게가 가벼운 PP 및 PE와 일차로 분리하기 위하여 일정한 수위가 유지되도록 물이 공급되는 제1분리수조와; 상기 제1분리수조로부터 펌핑된 1차 분리물의 동과 합성고무 및 PVC를 수력으로 각각 2차 선별하기 위하여 격자형의 칸막에 의한 구획홈이 구비된 선별기와; 상기 선별기를 통해 2차 분리된 PVC만이 배출 저장되는 제2분리수조와; 상기 제1분리수조에 저장된 PVC를 강제로 펌핑하여 세척수에 의해 불순물을 재차 제거 운반하기 위한 제2콘베어장치 및 상기 분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PVC를 저장통으로부터 취출시켜 포장용 포대에 운반 저장하기 위한 스크류 콘베어로 구성되어, 기존에 합성고무의 불리 곤란으로 인해 그냥 폐기시키던 폐전선의 수지피복물에 포함된 PP 또는 PE 및 PVC를 재생원료 소재로 제품화할 수 있게 비중에 의한 분리방식으로 선별할 수 있게 한 폐전선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선별장치는 최종적으로 분리 선별된 PP 또는 PE 및 PVC 소재 역시 1~3mm의 입자 상태로 최종 제품화되기 때문에 재활용단계에서의 용융 과정에서 양호하지 못한 용융이 이루어지게 되어 양질의 재활용 제품으로의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분리과정을 거쳐 선별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최종 단계에서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제품화할 수 있는 폐전선 선별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폐전선 선별장치는 최종단계에서 분리 선별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분말형태로 분쇄하는 과정에 있어, 수처리 냉각과 건조과정을 추가로 이루어야 하므로 설비라인을 대형으로 구축하여야 함에 따른 불편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분말형태로 최종 제품화 되는 PP 또는 PE 및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을 재건조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생산 지연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및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분리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 공급되는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을 1,2,3차의 분쇄 과정과 공랭 과정을 거쳐 양질의 재활용 분말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를 통해 분말 형태로 파쇄하는 1차 분쇄기와;
상기 1차 분쇄기로 부터 분말 형태로 파쇄된 폐전선 수지 피복물을 일측에 구비된 투입구측으로 부터 공급받아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 채망을 통해 회동과정 중 자연 공랭시킴과 동시에 채거름 방식으로 분말을 얻어내어 하부에 위치한 하부 배출구로 배출하고, 채거름이 안된 분말은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측으로 배출하는 공랭식 채거름기와;
채거름이 안되어 상기 공랭식 채거름기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로 배출된 분말을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2차 분쇄기와;
상기 2차 분쇄기에 의해 공랭식 채거름기를 거쳐 채거름기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 배출된 분말을 또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3차 분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2차,3차 분쇄기의 하부에는 분말 형태로 파쇄된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을 수집하는 분쇄기 수집조가 형성되고, 상기 분쇄기 수집조의 하부에는 공랭식 채거름기의 투입구로 수집된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의 분말을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랭식 채거름기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에는 채거름이 안된 분말을 수집하는 불량 분말 수집조가 설치되고, 상기 불량 분말 수집조의 하부에는 2차,3차 분쇄기의 투입구로 수집된 불량 분말을 투하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랭식 채거름기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배출구에는 정상 분말 수집조가 설치되고, 상기 정상 분말 수집조의 하부에는 출하를 위한 포장 가마에 투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스크류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채망은 정중앙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에는 회동 과정에서 자유 수직 낙하에 의한 회전축의 충격을 가해 분말가루가 채망 내에 끼는 현상을 방지하는 충격분리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되, 배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1,2,3차의 분쇄 과정과 공랭 과정을 거쳐 양질의 재활용 분말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분말 분쇄 과정에서 수처리 냉각과 건조 과정을 실행하지 않고도 제품화가 가능함에 따라 설비라인을 구축함에 있어 매우 편리하고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분말 형태로 최종 제품화 되는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을 재건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을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의 전체 구성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의 요부인 공랭식 채거름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의 요부인 공랭식 채거름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의 요부인 원통형 채망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의 요부인 공랭식 채거름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의 요부인 1차,2차,3차 분쇄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 전선 피복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는 크게,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106a)를 통해 분말 형태로 파쇄하는 1차 분쇄기(100a)와; 상기 1차 분쇄기(100a)로 부터 분말 형태로 파쇄된 폐전선 수지 피복물을 일측에 구비된 유입구측(202)으로 부터 공급받아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 채망(204)을 통해 회동 과정 중 자연 공랭시킴과 동시에 채거름 방식으로 분말을 얻어내어 하부에 위치한 하부 배출구(206)로 배출하고, 채거름이 안된 분말은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측(208)으로 배출하는 공랭식 채거름기(200)와; 채거름이 안되어 상기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측(208)으로 배출된 분말을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106b)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유입구측(202)으로 공급하는 2차 분쇄기(100b)와; 상기 2차 분쇄기(100b)에 의해 공랭식 채거름기(200)를 거쳐 공랭식 채 거름기(200)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측(208)으로 배출된 분말을 또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106c)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유입구측(202)으로 공급하는 3차 분쇄기(100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1차,2차,3차 분쇄기(100a),(100b),(100c)의 하부에는 분말 형태로 파쇄되는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을 수집하는 분쇄기 수집조(102)가 형성되고, 상기 분쇄기 수집조(102)의 하부에는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일측에 위치한 유입구측(202)으로 수집된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300a)가 구비된다.
또한,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측(208)에는 채거름이 안된 분말을 수집하는 불량 분말 수집조(210)가 설치되고, 상기 불량 분말 수집조(210)의 하부에는 2차,3차 분쇄기(100b),(100c)의 투입구(104b),(104c)로 수집된 불량 분말을 투하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300b),(300c)가 구비된다.
또한,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배출구(206)에는 정상 분말 수집조(212)가 설치되고, 상기 정상 분말 수집조(212)의 하부에는 출하를 위한 포장백(b)에 채거름이 이루어진 정상 분말을 투하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300c)가 연결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채망(204)은 정중앙에 회전축(2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4)에는 회동 과정에서 자유 수직 낙하에 의한 충격을 가해 분말가루가 채망 내에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낙하링(218)이 축설된 충격분리기(216)가 형성되어 있되, 배출구측(208)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0"은 구동 모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가 1차 분쇄기(100a)의 투입구(104a)로 투하 공급되면 내부 저면에 위치한 고속 회전 커터(106a)에 위해 분말 형태로 분쇄된 후 하부에 위치된 분쇄기 수집조(102) 내에 수집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쇄기 수집조(102) 내에 분말 형태로 분쇄되어 수집된 폐 전선 수지피복물 분말은 분쇄기 수집조(102)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장치(300a)에 의해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유입구측(202)을 통과하여 내부에 위치한 원통형 채망(204) 내부로 공급된다.
이렇게 원통형 채망(204) 내에 공급된 폐 전선 수지피복물 분말은 회전하는 원통형 채망(204)을 통해 자연 공랭되며, 하부로 채거름 되고, 채거름 되지 않는 분말은 유입구측(202)으로 부터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 배출구측(208)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하부로 채거름 된 분말은 정상 분말 수집조(212)로 수집되게 되고, 이렇게 수집된 분말은 이송스크류장치(300d)에 의해 출하를 위한 포장백에 공급되며, 채거름이 되지 않는 분말은 배출구측(208)으로 배출되어 불량 분말 수집조(210)에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된 분말은 이송스크류장치(300b)에 의해 2차 분쇄기(100b)의 투입구(104b)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렇게 이송스크류장치(300b)에 의해 2차 분쇄기(100b)의 투입구(104b)로 투하 공급되는 분말은 내부 저면에 위치한 고속 회전 커터(106b)에 위해 다시 분말 형태로 분쇄된 후 하부에 위치된 분쇄기 수집조(102) 내에 수집되게 되고, 이렇게 수집된 분말은 이송스크류장치(300a)에 의해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유입구측(202)을 통과하여 내부에 위치한 원통형 채망(204) 내부로 재공급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자연 공랭과 채거름 과정을 다시 거쳐 정상 분말 및 불량 분말을 선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채거름 과정에 의해서도 채거름 되지 않고 배출구측(208)으로 배출되어 불량 분말 수집조(210)에 수집되는 분말은 이송스크류장치(300c)에 의해 3차 분쇄기(100c)의 투입구(104b)로 투하 공급되게 되어 내부 저면에 위치한 고속 회전 커터(106c)에 위해 또다시 분말 형태로 분쇄된 후 하부에 위치된 분쇄기 수집조(102) 내에 수집되게 되고, 이렇게 수집된 분말은 이송스크류장치(300a)에 의해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유입구측(202)을 통과하여 내부에 위치한 원통형 채망(204) 내부로 또다시 재공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자연 공랭과 채거름 과정을 거쳐 정상 및 불량 분말을 최종적으로 선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통형 채망(204)의 회전축(214)에는 회동 과정에서 자유 수직 낙하에 의한 충격을 가해 분말가루가 채망 내에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낙하링(218)이 축설된 충격분리기(216)가 형성되어 있어, 채거름 과정에서 고온 상태의 분말이 회전축(214)과 채거름을 가능하게 한 원통형 채망(204)에 붙고 끼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a,100b,100c : : 1차 분쇄기,2차 분쇄기,3차 분쇄기
102 : 분쇄기 수집조
106a,106b,106c : 고속 회전 커터
200 : 공랭식 채거름기 202 : 유입구측
204 : 원통형 채망 206 : 하부 배출구
208 : 배출구측 210 : 불량 분말 수집조
212 : 정상 분말 수집조 214 : 회전축
216 : 충격분리기 218 : 낙하링
220 : 구동 모터
300a,300b,300c,300d : 이송스쿠류장치

Claims (5)

  1. 분리 선별되어 고온의 필름 형태로 성형된 PP 또는 PE 및 PVC 폐 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106a)를 통해 분말 형태로 파쇄하는 1차 분쇄기(100a)와;
    상기 1차 분쇄기(100a)로 부터 분말 형태로 파쇄된 폐전선 수지 피복물을 일측에 구비된 유입구측(202)으로 부터 공급받아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 채망(204)을 통해 회동 과정 중 자연 공랭시킴과 동시에 채거름 방식으로 분말을 얻어내어 하부에 위치한 하부 배출구(206)로 배출하고, 채거름이 안된 분말은 타측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측(208)으로 배출하는 공랭식 채거름기(200)와;
    채거름이 안되어 상기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측(208)으로 배출된 분말을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106b)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유입구(202)로 공급하는 2차 분쇄기(100b)와;
    상기 2차 분쇄기(100b)에 의해 공랭식 채거름기(200)를 거쳐 공랭식 채 거름기(200)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측(208)으로 배출된 분말을 또 다시 공급받아 고속 회전 커터(106c)로 파쇄시킨 후 다시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유입구측(202)으로 공급하는 3차 분쇄기(100c)가 포함됨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2차,3차 분쇄기(100a),(100b),(100c)의 하부에는 분말 형태로 파쇄되는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을 수집하는 분쇄기 수집조(102)가 형성되고, 상기 분쇄기 수집조(102)의 하부에는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일측에 위치한 유입구측(202)으로 수집된 PP 및 PE와 PVC 폐전선 수지피복물 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300a)가 구비됨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측(208)에는 채거름이 안된 분말을 수집하는 불량 분말 수집조(210)가 설치되고, 상기 불량 분말 수집조(210)의 하부에는 2차,3차 분쇄기(100b),(100c)의 투입구(104b),(104c)로 수집된 불량 분말을 투하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300b),(300c)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랭식 채거름기(2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배출구(206)에는 정상 분말 수집조(212)가 설치되고, 상기 정상 분말 수집조(212)의 하부에는 출하를 위한 포장백에 채거름이 이루어진 정상 분말을 투하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300d)가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원통형 채망(204)은 정중앙에 회전축(2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4)에는 회동 과정에서 자유 수직 낙하에 의한 충격을 가해 분말가루가 채망 내에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낙하링(218)이 축설된 충격분리기(216)가 형성되어 있되, 배출구측(208)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KR1020120103811A 2012-09-19 2012-09-19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KR10121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11A KR101215365B1 (ko) 2012-09-19 2012-09-19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11A KR101215365B1 (ko) 2012-09-19 2012-09-19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365B1 true KR101215365B1 (ko) 2013-01-09

Family

ID=4784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811A KR101215365B1 (ko) 2012-09-19 2012-09-19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2321A (zh) * 2020-11-26 2021-02-05 湖南金广达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电力建设用电缆切割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11A (ko) * 1999-10-12 2000-01-15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JP2001129429A (ja) 1999-11-08 2001-05-15 Japan Electric Cable Technology Center Inc プラスチック被覆電線廃材に含まれる塩化ビニル樹脂廃材の処理システム
KR20090019517A (ko) * 2007-08-21 2009-02-25 최영철 폐전선의 피복층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11A (ko) * 1999-10-12 2000-01-15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JP2001129429A (ja) 1999-11-08 2001-05-15 Japan Electric Cable Technology Center Inc プラスチック被覆電線廃材に含まれる塩化ビニル樹脂廃材の処理システム
KR20090019517A (ko) * 2007-08-21 2009-02-25 최영철 폐전선의 피복층 탈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2321A (zh) * 2020-11-26 2021-02-05 湖南金广达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电力建设用电缆切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40159U (zh) 一种高效的塑料粉碎分级装置
KR101433692B1 (ko)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CN103934923B (zh) 废旧混合塑料回收分离装置及方法
KR101213717B1 (ko) 폐그물 재생장치
CN104690063B (zh) 生活垃圾破碎分选方法
HU218834B (hu) Eljárás és elrendezés többféle műanyagot tartalmazó anyagkeverékek feldolgozására
AU2410799A (en) Process for processing mixed waste and processing plant for performing the process
KR100916727B1 (ko) 폐 스크랩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583305B1 (ko) 폐합성수지 재생방법
US200402513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rubber
KR20140048626A (ko) 불소 수지 스크랩의 파쇄장치
CN101195974B (zh) 一种使废纸造纸中的废料渣再生的生产处理方法及其装置
KR101215365B1 (ko) 폐 전선 수지피복물 재활용을 위한 분쇄 및 공랭장치
KR20070019318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87432B1 (ko)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제조시스템
JP2019084494A (ja) 廃石膏ボード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リサイクル方法、ペレットの原材料、ペレットの製造方法及びペレット
JP3583374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設備
CN206405168U (zh) 一种固废处理装置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CN215430767U (zh) 一种废旧干性电池极片处理回收系统
CN216420618U (zh) 一种负极材料提取修复自动化产线
KR101276059B1 (ko) 알피에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3145614A (zh) 一种废旧干性电池极片处理回收系统及方法
KR20200092061A (ko) 폐 스크랩 장치 그리고 효율적인 재생법
KR100423204B1 (ko) 복합물 분리기술을 이용한 폐자원으로 부터의 자원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