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176B1 - 당구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당구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176B1
KR101215176B1 KR1020110087717A KR20110087717A KR101215176B1 KR 101215176 B1 KR101215176 B1 KR 101215176B1 KR 1020110087717 A KR1020110087717 A KR 1020110087717A KR 20110087717 A KR20110087717 A KR 20110087717A KR 101215176 B1 KR101215176 B1 KR 10121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billiard table
ball
virtual
billi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근
Original Assignee
손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근 filed Critical 손종근
Priority to KR102011008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06Training or aiming arrangements on billiard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 학습장치를 이용하여 당구공이 진행하는 경로를 사전에 파악하여 이해와 습득이 용이하도록 제공되는 당구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을 띄는 패널 위에 축소된 크기의 당구대 도안을 그려넣고 공이 진행하는 경로를 고정핀과 컬러 실을 이용하여 미리 예측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실전감각을 익힐 수 있는 당구 학습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자성 패널(60)의 상면에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로 이루어진 당구대 도안(10)이 그려져 있으며, 상기 당구대 도안(10)에는 세분화된 정밀 포인트(41)와 정밀 포인트(41) 마다 구비된 핀 결합구(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당구 학습장치{Apparatus For Practicing Billiards}
본 발명은 당구 학습장치를 이용하여 당구공이 진행하는 경로를 사전에 파악하여 이해와 습득이 용이하도록 제공되는 당구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을 띄는 패널 위에 축소된 크기의 당구대 도안을 그려넣고 공이 진행하는 경로를 고정핀과 컬러 실을 이용하여 미리 예측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실전감각을 익힐 수 있는 당구 학습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당구는 부드러운 천을 깐 테이블 위에 공을 올려놓고 막대기(큐)로 쳐서 승부를 가리는 구기 경기 종목의 하나로써, 대중적인 스포츠임과 동시에 레크리에이션으로도 인기가 높다. 당구의 역사는 B.C 400년경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며, 현대식 당구는 영국에서 14세기경에 성행하던 크리켓 경기를 실내에서 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과 프랑스에서 16세기경 왕실 예술가 A.비니가 고안한 것을 시초로 보고 있다. 초기에 당구는 당구대도 커다란 평판이었고 큐도 굽은 막대 또는 금속 막대였는데 유럽에서는 공끼리 맞게 하여 점수를 헤아렸으나, 영국의 경우는 당구대 위에 아치 모양의 문을 만들어 두거나 양끝에 구멍을 만들어 그 속에 공을 맞혀 넣는 포켓 게임이 행해졌다. 그 후로 큐도 곧은 나무막대기로 바뀌는가하면, 1818년에는 공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회분(초크)을 큐 끝에 바르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1837년에는 당구대 가장자리에 고무 쿠션을 달아 탄력을 주는 등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1998년 아시아 경기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당구는 실내외에서 손쉽게 진행을 할 수 있는 레저 스포츠로 각광받아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즐기는 사람들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아직도 초보자가 당구를 익숙하게 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오랜 시간을 학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숙련자라도 보다 나은 실력향상을 위해서는 고득점자의 지도와 많은 시행착오를 장기간 거쳐야하는 형편이다.
아시안게임의 종목으로 선정된 당구가 건전한 대중스포츠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피상적인 감각에 의한 반복연습과 숙련자의 지도에 의존하는 종래의 학습방법을 탈피하여 보다 체계적인 이론과 실기를 바탕으로 습득하고, 더욱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교육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보자도 쉽게 당구를 이해하고 실전감각을 익힐 수 있는 학습장치를 구현하되,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가 용이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실전감각을 익힐 수 있는 구조로 완성하는 것이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당구 학습장치에 있어서,
자성 패널(60)의 상면에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로 이루어진 당구대 도안(10)이 그려져 있으며, 상기 당구대 도안(10)에는 세분화된 정밀 포인트(41)와 정밀 포인트(41) 마다 구비된 핀 결합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당구대 도안(10)은 현실 당구대(20) 우측 단쿠션의 상측 모서리 부분을 기준으로 가상 당구대(21)의 장쿠션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겹쳐져 ‘ㄱ’형상을 하며,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의 중심에는 각각 센터 라인(30)이 그어져 있고, 쿠션부분을 각각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핀 결합구(50)에는 고정핀(5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에 의하면, 당구 공의 진행경로를 예측하여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실전감각으로 익힐 수가 있으며 기존 당구 학습용 동영상과 교본을 합친 학습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당구대의 형상과 크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 각각의 구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을 이용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의 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초보자도 쉽게 당구를 이해하고 실전감각을 익힐 수 있는 학습장치의 일부로서,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가 용이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실전감각을 익힐 수 있는 구조로 완성되는 당구 학습장치의 구조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당구대의 형상과 크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 도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 각각의 구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을 이용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당구 학습장치(100)는 당구대 도안(10);과 자성을 띄는 자성 패널(60);로 구분 구성되어 지는데, 상기 자성 패널(60) 위에 당구대 도안(10)을 그려 넣어 당구 학습장치(100)로 활용하게 된다.
당구대는 국제식 대대, 국제식 중대, 한국식 중대, 포켓대 이렇게 4가지로 구분이 되며 각각의 당구대마다 크기가 다르다. 도 1은 당구대의 크기와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고하여,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한국식 중대의 경우 A부분 장쿠션 쪽의 길이는 272.5cm이고, B부분 단쿠션 쪽은 150.5cm이며, 포켓대의 A부분 장쿠션 쪽 길이는 287cm이고, B부분 단쿠션 쪽 길이는 160cm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상기 당구 학습장치(100)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당구대 도안(10)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바, 이를 참조하여 보면 실제크기의 당구대를 그대로 축소한 도면으로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가 겹쳐져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현실 당구대(20) 우측 단쿠션의 상측 모서리 부분을 기준으로 가상 당구대(21)의 장쿠션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겹쳐져 ‘ㄱ’형상을 하고 있으며,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의 중심에는 각각 센터 라인(30)이 그어져 있어 항상 당구대 상의 센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는 육안으로 쉽게 구분이 되도록 쿠션부분을 각각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그리고, 당구대(1)의 쿠션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포인트(40)가 찍혀있는데 이것은 각도에 따라서 공을 타격했을 때 경로를 미리 예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에도 실물과 똑같은 간격으로 축소된 포인트(40)가 적용되어 있다. 통상 장쿠션부에 9개, 그리고 단쿠션부에 5개의 포인트(40)가 찍혀져 있으나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100)는 초보자도 쉽게 당구공의 진행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포인트(40)와 포인트(40) 사이에 정밀 포인트(41)를 추가로 표기하여 둔다. 상기 정밀 포인트(41)는 포인트(40)와 포인트(40)의 사이에서 다시 총 7줄의 포인트가 추가로 표기되어 있어 총 8등분으로 나뉘어 더욱 정밀한 포인트 측정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며, 정밀 포인트(41)의 한가운데 선은 길게 표기하여 정밀 포인트(41)의 센터부분을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포인트(40)와 포인트(40) 사이에서 나누어진 정밀 포인트(41)는 각각 7줄의 정밀 포인트마다 고정핀(51)과 결합되는 핀 결합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밖에 고정핀(51)과 핀 결합구(50)의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10) 각각의 구역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현실 당구대(20)에 해당하는 A구역과 가상 당구대(21)에 해당하는 B구역으로 새로운 가상의 당구대에 해당하는 C구역을 유추해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10)으로 하여금 여러 방향의 가상 당구대를 생각하여 배치할 수 있어 어느 방향에서 당구공을 타격하더라도 공의 진행경로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더욱 증대된 교육과 습득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당구대 도안을 이용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상기에서 기술한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 그리고 당구공의 진행 경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포인트(40)와 정밀 포인트(41), 상기 정밀 포인트(41)마다 형성되며, 고정핀(50)과 결합되는 핀 결합구(51)를 사용하여 학습을 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먼저 현실 당구대(20)의 공모양 자석(70)의 위치에서 큐(80)를 이용하여 타격한다고 가정하여 본다. 상기 공모양 자석(70)은 자성을 띄고 있는데 당구대 도안(10)이 그려지는 패널 역시 자성을 띄고 있어 공모양 자석(70)이 다양한 위치에 붙기 쉽고, 진동에도 본래의 자리에서 이탈되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속하여 큐(80)로 당구공을 하단 장쿠션부로 쳤을 때를 가정하여 공의 진행경로를 표시하였는데 먼저 하단 장쿠션부 ①에 맞은 당구공은 공이 진행했던 방향과 90°의 각도로 틀어져 상단 장쿠션부 ②로 진행하고 다시 상단 장쿠션부 ②에 맞았던 당구공은 장쿠션부로 진행하였던 공의 진행각도와 90°로 틀어져 우측 단쿠션부 ③에 맞게 되며, 다시 우측 단쿠션부 ③으로 진행했던 공의 방향과 90°로 틀어져 하단 장쿠션부 ④에 연이어 맞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공의 진행경로는 컬러 줄(73)을 사용하여 표시하여 주는데 상기 컬러 줄(73)은 여러가지 색상으로 구비되어 공의 타격 횟수나 경로, 위치 등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표현할 수 있어 육안으로 쉽게 식별됨은 물론, 빠른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러 줄(73)을 이어주거나 굴절시켜주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밀 포인트(41)마다 구비된 핀 결합구(50)와 핀 결합구(50)에 결합되는 고정핀(51)이 있다. 컬러 줄(73)은 신축성이 좋은 연성의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어떠한 길이로도 쉽게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데, 컬러 줄(73)의 끝단을 핀 결합구(50)에 넣고 고정핀(51)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예컨대 파란색의 컬러 줄(73) 끝단과 빨간색의 컬러 줄(73) 끝단을 함께 핀 결합구(50)에 넣고 고정핀(51)을 결합하면 서로 색상이 다른 두가지 컬러 줄(73)이 연결된 형상이 되며 단색의 컬러 줄(73)을 사용할 경우에는 핀 결합구(50)에 결합된 고정핀(51)의 몸체부(52)에 컬러 줄(73)을 둘러주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공의 진행 방향마다 화살표 자석(71)을 붙여주고, 공이 쿠션과 맞는 부분마다 숫자표 자석(72)을 부착하여줌으로써 역시 빠른 식별로 인한 쉽고 증대된 학습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현실 당구대(20)와 결합된 가상 당구대(21)의 역할은 당구공의 진행경로에 대한 연장선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으로 도 4에서 장쿠션부 ④에 맞은 공은 꺾이지않고 그대로 가상 당구대(21)상의 단구션부와 장쿠션부의 하단 왼측 모서리 ⑤부분으로 진행됨을 가상의 연장선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이것은 공의 이동경로를 가상 당구대(21)로 이어지는 가상의 연장선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해볼 수 있어 공이 굴절하여 진행하는 방향을 다각도에서 파악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가 구분 명시되어 있으나 가상 당구대(21)를 현실 당구대(20)로 보고 가상 당구대(21) 상에서 공을 타격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와 상반되는 현실 당구대(20)는 가상 당구대(21)로 서로 병용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당구 학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당구 학습장치(100) 장점은 작은 크기로 만들어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실전감각을 익힐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자성력을 가지는 자성 패널(60)에 자석으로 만들어진 공모양 자석(70)과 화살표 자석(71), 숫자표 자석(72)을 사용하여 휴대시 흔들림이나 진동에도 본래의 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도와주고, 자성 패널(60)의 상면에 그려진 당구대 도안(10)은 실물크기의 당구대를 그대로 축소하여 그려둔 것으로 실제의 당구대에서 치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당구 학습장치(10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첨부된 도면 6은 당구 학습장치(100)가 벽걸이로 제작되어 강의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크게 제작된 당구 학습장치(100)로 액자 프레임(65) 위에 자성 패널(60)을 부착하고 상기 액자 프레임(65)의 하단에는 선반(63)을 구비하여 공모양 자석(70), 화살표 자석(71), 숫자표 자석(72), 수성 마커팬 등을 올려두고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당구대 도안(10)을 따라서 레일(61)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61)에 결합되어 레일(61)을 따라서 이동하는 레일 이동부재(62)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 이동부재(62)는 컬러 줄(73)과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반대편 일측은 공보양 자석(70)과 연결되어 레일(61)을 따라 이동하며 어느 방향에서든 시작점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당구대 10 : 당구대 도안
20 : 현실 당구대 21 : 가상 당구대
30 : 센터 라인 40 : 포인트
41 : 정밀 포인트 50 : 핀 결합구
51 : 고정핀 52 : 몸체부
60 : 자성 패널 61 : 레일
62 : 레일 이동부재 63 : 선반
64 : 벽걸이대 65 : 액자프레임
70 : 공모양 자석 71 : 화살표 자석
72 : 숫자표 자석 73 : 컬러 줄
80 : 큐 100 : 당구 학습장치

Claims (3)

  1. 당구 교육장치에 있어서,
    자성 패널(60)의 상면에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로 이루어진 당구대 도안(10)이 그려져 있으며, 상기 당구대 도안(10)에는 세분화된 정밀 포인트(41)와 정밀 포인트(41) 마다 구비된 핀 결합구(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학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 도안(10)은 현실 당구대(20) 우측 단쿠션의 상측 모서리 부분을 기준으로 가상 당구대(21)의 장쿠션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겹쳐져 ‘ㄱ’형상을 하며, 현실 당구대(20)와 가상 당구대(21)의 중심에는 각각 센터 라인(30)이 그어져 있고, 쿠션부분을 각각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학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구(50)에는 고정핀(5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학습장치.
KR1020110087717A 2011-08-31 2011-08-31 당구 학습장치 KR10121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717A KR101215176B1 (ko) 2011-08-31 2011-08-31 당구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717A KR101215176B1 (ko) 2011-08-31 2011-08-31 당구 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176B1 true KR101215176B1 (ko) 2012-12-24

Family

ID=4790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717A KR101215176B1 (ko) 2011-08-31 2011-08-31 당구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27A (ko) 2020-01-07 2021-07-15 최항구 큐 스마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702A (ja) 2000-12-22 2002-07-02 Sefamedeia Create:Kk 撞球練習装置および撞球練習システム
KR100624976B1 (ko) 2005-06-29 2006-09-15 성열학 학습 기능을 가지는 당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702A (ja) 2000-12-22 2002-07-02 Sefamedeia Create:Kk 撞球練習装置および撞球練習システム
KR100624976B1 (ko) 2005-06-29 2006-09-15 성열학 학습 기능을 가지는 당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27A (ko) 2020-01-07 2021-07-15 최항구 큐 스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110B2 (en) Billiards shot training device
US4052064A (en) Basketball game
US7270327B1 (en) Game playing device for rolling balls
KR101215176B1 (ko) 당구 학습장치
US8057319B2 (en) Training balls for pool
CN103316464B (zh) 一种高尔夫挥杆练习方法及其装置
US20170014700A1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volleyball training
CN201880320U (zh) 板球防守技术练习反弹板
CN104906772A (zh) 一种带有拉绳双板的体育器械
CN108619694B (zh) 篮球组合运动墙板训练系统
US8721466B2 (en) Training balls for pool and the like
US4519611A (en) Sliding ring game
US1518030A (en) Indoor baseball game
TWM612226U (zh) 桌球桌及其計分裝置
US20150024876A1 (en) Ball hit indicator and method
KR101831835B1 (ko) 롤 앤드 바운스 볼 운동구
KR20180022486A (ko) 종합 탁구 연습대
Hulton Teaching Dribbling to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tudents
AU2016310660B2 (en) A golf teaching set in the form of a subconscious habit
US20140212859A1 (en) Focus Object and Method for Use
GB353196A (en) Improved apparatus for playing a board game simulating golf
RU147430U1 (ru) Бильярдный стол
JP6433303B2 (ja) 素振り練習具
KR20220002157U (ko) 당구 연습 장치
GB344973A (en)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of sk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