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646B1 -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646B1
KR101214646B1 KR1020080092767A KR20080092767A KR101214646B1 KR 101214646 B1 KR101214646 B1 KR 101214646B1 KR 1020080092767 A KR1020080092767 A KR 1020080092767A KR 20080092767 A KR20080092767 A KR 20080092767A KR 101214646 B1 KR101214646 B1 KR 10121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compound
tert
acrylic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751A (ko
Inventor
최은정
한창훈
강병일
오송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9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6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2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polysacchar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Abstract

본 발명은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2)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3)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광학 특성, 외관 상태, 열안정성 등이 우수하다.
광학 필름, 아크릴계 수지, 열안정제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OPTICAL FILM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학 특성, 외관 상태, 열안정성 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근래 광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브라운관을 대신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무기 EL 디스플레이(ELD) 등 여러 가지의 방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되고 시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에서는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의 이용이 제안되고 있고, 그 요구 특성이 보다 고도화되고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박형화 및 경량화를 위하여, 그리고 표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광판, 위상차 필름, 플라스틱 기판, 도광판 등에 여러 가지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판의 경우, 일반적으로 편광자에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필름, 이하 TAC 필름)을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로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TAC 필름을 대체 할 수 있는 소재로 아크릴계 수지가 개발되고 있으나, 아크릴계 수지는 부서지거나 갈라지기 쉬워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여 필름의 인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충격 보강제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공 문제나 필름의 품질, 즉 투명성과 외관 물성을 위해 높은 온도의 가공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때 수반되는 필름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외관 상태, 열안정성 등이 개선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2)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3)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
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광학 특성, 외관 상태, 열안정성 등이 우수하므로, 기존의 고가인 TAC 필름을 대체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편광자 보호 필름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2)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3)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에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광학 특성들을 저하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2)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은 화합물 내에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2 이상 포함하는 구조의 화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6644696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로는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터트-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ethylenebis(oxyethylene)bis-(3-(5-tert-butyl-4-hydroxy-m-tolyl)-propionate)), 1,3,5-트리스(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1,3,5-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1,3,5-triazine-2,4,6(1H,3H,5H)-trione),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4,4'-부틸리덴비스(2-터트-부틸-5-메틸페놀)(4,4'-butylidenebis(2-tert-butyl-5-methylphenol))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은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터트-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ethylenebis(oxyethylene)bis-(3-(5-tert-butyl-4-hydroxy-m-tolyl)-propionate))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2)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1) 아크릴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열안정제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나타나기 어렵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 제조시 필름의 내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3) 2차 열안정제로서, 인계 화합물은 녹는점이 15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계 화합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제조 온도에서 열안정제로서의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녹는점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온도에 따라 열안정제의 휘발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서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계 화합물로는 트리스(2,4-디-터트-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3,9-비스[2,6-비스(1,1-디메틸 에틸)-4-메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3,9-bis[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 3,9-비스(2,4-디-터트-부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3,9-bis(2,4-di-tert-butylphen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인계 화합물은 3,9-비스[2,6-비스(1,1-디메틸에틸)-4-메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3,9-bis[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3) 2차 열안정제로서, 황계 화합물로는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3) 인계 또는 황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1) 아크릴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 인계 또는 황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열안정제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나타나기 어렵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 제조시 필름의 내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1) 아크릴계 수지의 아크릴계 중합체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크릴계 단량체의 호모 또는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에스테르기의 카보닐기와 공액화된(conjugated) 탄소들 간의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이면 족하고 그것의 치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 부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112008066446963-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에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벤젠 핵이 하나 이상의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구조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및 에타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크릴로니크릴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산 무수물로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가 또는 2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6446963-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7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광학적 물성에 기여할 수 있고,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필름 성형성 및 위상차 부여에 기여할 수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은 내열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괴상 중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들은 추가의 공단량체로서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미드계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으로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드계 단량체로는 페닐말레이미드,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공단량체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 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중량비는 각각 55 ~ 80 : 10 ~ 30 : 4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1) 아크릴계 수지는 필름의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격보강제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코어는 고무 성분을 포함하고, 쉘은 아크릴계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성분으로는 공액 디엔계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액 디엔계 고무 성분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계 고무, 부타디엔계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부타디엔계 고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액 디엔계 고무 성분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 4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쉘의 성분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계 단량체의 호모 또는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 성분과 아크릴계 수지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코어-쉘 구조를 갖도록 그라프트 중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통상의 유화 중합 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프트율은 30 내지 60%인 것인 바람직하다. 그라프트율이 30% 미만이면 최종 필름의 연신에 의한 헤이즈가 증가할 수 있으며, 그라프트율이 60%를 초과하면 공정상 제조가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1) 아크릴계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가 120 ~ 130℃, 분자량 12 ~ 15만, MI(220℃, 10kg)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4 ~ 10, 헤이즈 0.3 ~ 2%의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I는 수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척도로 220℃에서 하중 10kg으로 눌렀을 때 분당 흐르는 양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1) 아크릴계 수지는 광학 필름에 요구되는 정도의 투명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굴절율이 1.480 내지 1.545인 것이 바람직하고, 1.485 내지 1.5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수지 조성물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필름을 형 성하는 방법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과 달리 캐스팅법 이외에도 압출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전술한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가소제, 윤활제, 충격 완화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첨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편광자 및 액정 패널을 외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비스 (bis) (2,2,6,6-테트라메틸(tetramethyl)-4-피페리딜(piperidyl)) 세바케이트(sebaceate) 등의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Tinuvin 328, Tinuvin 321 및 Tinuvin 360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두께는 20 ~ 200㎛, 바람직하게는 40 ~ 120㎛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 130℃ 이고, 열변형온도(Vicat)는 110 ~ 140℃ 이며, MI(220℃, 10kg)는 2 ~ 6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열팽창계수 CTE(ppm/K, 40 ~ 90℃)가 50 ~ 120 이고, 헤이즈는 0.5 ~ 3% 이며, 투과도는 88 ~ 93%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력 향상을 위해 표면을 개질할 수 있다. 개질 방법으로는 코로나 처리, 플 라즈마 처리, UV 처리 등으로 보호 필름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과 보호 필름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고, 상기 두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란 커플링제와 같이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포함하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착은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과 편광판의 합지시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이들 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 중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아세트아세틸기 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 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충분히 접착할 수 있고, 광학적 투시도가 우수하며, 경시적인 황변 등의 변화가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특히 가교제와의 원활한 가교반응을 고려하면 아세트아세틸기가 함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 및 검화도는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중합도가 200 내지 4,000의 범위 내이고, 검화도가 70 몰% 내지 99.9 몰%의 범위 내인 것이 좋다. 분자 움직임의 자유로움에 따른 함유 물질과의 유연한 혼합을 고려하면, 중합도는 1,500 내지 2,500의 범위 내이고, 검화도는 90 내지 99.9 몰%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0.1 내지 30 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트아세틸기의 범위에서 가교제와의 반응이 원활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접착제의 내수성 및 접착력에 충분히 유의하기 때문이다.
상기 아민계 금속 화합물 가교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가지는 수용성 가교제로서, 아민계 리간드를 함유하는 금속 착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금속으로는 지르코늄(Zr), 타이타늄(Ti), 하프 늄(Hf),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니켈(Ni), 루테늄(Ru), 오스뮴(Os), 로듐(Rh), 이리듐(Ir), 팔라듐(Pd), 백금(Pt) 등의 전이금속이 가능하며, 중심 금속에 결합된 리간드로는 일차 아민, 이차 아민(다이아민), 삼차 아민이나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포함한 것이 모두 가능하다. 그 사용량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범위에서 목적하는 접착제에 충분히 유의적인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저장 안정성(pot life)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상기 아민계 금속 화합물 가교제를 함유하는 접착제 수용액은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그 pH를 9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pH를 2 초과 9 이하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H를 4 내지 8.5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착은 편광자용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인 PVA 필름의 표면 상에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먼저 코팅하고,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보호 필름과 편광막을 합지 롤로 가열압착하거나 상온 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압착롤을 사용하여야 한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광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시기와의 반응성이 비교적 낮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세테이트계 용제, 케톤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또는 방향족계 용제 등으로 희석된 용액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접착제 점도는 5,000cps 이하의 저점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들은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400 ~ 800nm에서의 광투과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 점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는 합지 후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하여 충분히 경화가 일어나 기계적 강도가 접착제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면접착력도 커서 점착제가 부착된 양쪽 필름 중 어느 한 쪽의 파괴없이는 박리되지 않는 정도의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광학 투명성이 우수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등과 여기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를 첨가한 경화형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편광판은 각종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CD)용 편광판,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 등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각종 기능성 막, 예를 들면 λ/4판, λ/2판 등의 위상차판, 광확산판, 시야각 확대판, 휘도 향상판, 반사판 등의 여러 가지 광학층을 조합한 복합 편광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이후 화상 표시 장치 등에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이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층 상에 이형 필름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LCD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본원 발명은 광원, 제1 편광판, 액정 셀, 제2 편광판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의 보호 필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 셀은 액정층;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기판; 및 상기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층을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횡전계방식(In-Plane Switching mode; IPS mode), 수직배향방식(Vertically Aligned mode; VA mode), OCB 방식(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mode), 비틀린 네마틱(Twisted Nematic mode; TN mode), FFS(Fringe Field Switching mode; FFS mode) 방식 등의 모든 액정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실시예 1>
SM-MMA-MAH(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무수말레산)의 비가 23 : 70 : 7 중량%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만인 아크릴계 중합체 80 중량%, 고무 부분을 제외한 쉘의 분자량이 13만이고 코어와 쉘의 그래프트율이 40%인 충격보강제 20 중량%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 상기 수지 조성물을 기준으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0.5 중량%와 3,9-비스[2,6-비스(1,1-디메틸에틸)-4-메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3,9-bis[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 0.5 중량%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을 건조시킨 후, T- 다이를 포함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80㎛ 두께의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 3>
하기 표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SM-MMA-MAH(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무수말레산)의 비가 25 : 66 : 9 중량%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만인 아크릴계 중합체 80 중량%를 이용한 것을 제 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열안정제로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터트-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ethylenebis(oxyethylene)bis-(3-(5-tert-butyl-4-hydroxy-m-tolyl)-propionate)) 0.5 중량%와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0.7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1 ~ 4>
하기 표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 :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B :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터트-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ethylenebis(oxyethylene)bis-(3-(5-tert-butyl-4-hydroxy-m-tolyl)-propionate))
C : 3,9-비스[2,6-비스(1,1-디메틸에틸)-4-메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3,9-bis[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
D :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Figure 112008066446963-pat00005
(1) Tg(유리 전이 온도) : Perkin Elmer 사의 Pyris 6 DSC(Differential Scanning Calro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Color b : 색차계를 사용하여 사출 시편(T-3t)의 color를 측정하였다.
(3) 외관 : 60㎛ 두께로 제조된 필름을 가로 세로 20cm씩 잘랐을 때 발생된 기포 수를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1 : 기포가 관찰되지 않음,
2 : 1cm 이하의 기포 10개 미만,
3 : 1cm 이하의 기포 10개 이상 및 1 ~ 2cm의 기포 10 ~ 20개,
4 : 1 ~ 2cm의 기포 20 ~ 50개,
5 : 1 ~ 2cm의 기포 50개 이상.
(4) Haze : ASTM 1003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Claims (17)

1)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2)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3)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
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충격보강제의 함량은 상기 1)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65 중량부이고,
상기 광학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가 110 ~ 130℃이고, 헤이즈가 0.5 ~ 3%인 광학 필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은 화합물 내에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2 이상 포함하는 구조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8066446963-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은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터트-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ethylenebis(oxyethylene)bis-(3-(5-tert-butyl-4-hydroxy-m-tolyl)-propionate)), 1,3,5-트리스(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1,3,5-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1,3,5-triazine-2,4,6(1H,3H,5H)-trione),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및 4,4'-부틸리덴비스(2-터트-부틸-5-메틸페놀)(4,4'-butylidenebis(2-tert-butyl-5-methylphe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1) 아크릴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계 화합물은 녹는점이 150℃ ~300℃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계 화합물은 트리스(2,4-디-터트-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3,9-비스[2,6-비스(1,1-디메틸에틸)-4-메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3,9-bis[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 및 3,9-비스(2,4-디-터트-부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3,9-bis(2,4-di-tert-butylphen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계 화합물은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및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 인계 또는 황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1) 아크릴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는 공액 디엔계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타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은 아크릴계 단량체의 호모 또는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삭제
1)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힌더드(hindered)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열안정제, 및 인계 화합물 및 황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이며,
이때, 상기 충격보강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65 중량부이고,
상기 광학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가 110 ~ 130℃이고, 헤이즈가 0.5 ~ 3%인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및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인 것인 편광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및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청구항 15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80092767A 2008-09-22 2008-09-22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67A KR101214646B1 (ko) 2008-09-22 2008-09-22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67A KR101214646B1 (ko) 2008-09-22 2008-09-22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51A KR20100033751A (ko) 2010-03-31
KR101214646B1 true KR101214646B1 (ko) 2012-12-21

Family

ID=4218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767A KR101214646B1 (ko) 2008-09-22 2008-09-22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80B1 (ko) * 2010-12-30 2013-08-23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내스크래치성 도광판,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268A (ja) 1999-09-09 2001-03-27 Kuraray Co Ltd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2002241574A (ja) 2001-02-21 2002-08-28 Kuraray Co Ltd 加工熱安定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268A (ja) 1999-09-09 2001-03-27 Kuraray Co Ltd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2002241574A (ja) 2001-02-21 2002-08-28 Kuraray Co Ltd 加工熱安定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51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198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4976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5131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5217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5200B1 (ko) 광학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009734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4646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5806B1 (ko)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광학 필름
KR101002695B1 (ko) 광학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광학필름
KR101065199B1 (ko)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