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31B1 -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 Google Patents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31B1
KR101214531B1 KR1020120127316A KR20120127316A KR101214531B1 KR 101214531 B1 KR101214531 B1 KR 101214531B1 KR 1020120127316 A KR1020120127316 A KR 1020120127316A KR 20120127316 A KR20120127316 A KR 20120127316A KR 101214531 B1 KR101214531 B1 KR 101214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fting
coupling
plate port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원준
소춘영
Original Assignee
(주)우암건설
소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암건설, 소춘영 filed Critical (주)우암건설
Priority to KR102012012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lifting apparatus for a bridge deck and a lifting method for a bridge deck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erform a lifting work without damage to a support member and a pier. CONSTITUTION: A lifting apparatus for a bridge deck comprises a pair of lifting plates(10), a pair of reinforcement plates(20), and lifting units(30). The lifting plates have top plates and first joints. The top plates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s of support members and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bridge. The first joints are formed on the extended ends of the top plates and comprise first coupling grooves. The reinforcement plates are coupled to the lifting plates and comprise top plates and second joints. The top plates are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op plates of the extension plates. The second joints are formed on the extended ends of the top plates of the reinforcement plates and have second coupling grooves. The first coupling grooves ar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using first couplers. The lifting units are installed on the top portion(1a) of a pier and touch the bottoms of the top plates of the lifting plates.

Description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A bridge apparatus for raising a bridge deck and a method of raising a bridge deck using the same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인상하기 위한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를 결합한 후, 교량 상판의 지지부재에 배치되도록 하여 인상수단을 통해 지지부재의 인상시 교각에 인상수단만을 결합하여 인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 및 교각의 파손 없이 인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교축방향으로 인상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연단거리 확보에 따른 불필요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성과 시공비용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1, 2 결합부의 일부 구조를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해 보강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eck lifting apparatus for lifting a bridge deck and a bridge deck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combine the lifting plate portion and the reinforcement plate portion, and to be arranged on the support member of the bridge deck, the lifting means When the support member is pulled through, the lifting means can be combined with only the lifting means so that the lifting can be performed without damaging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pier. Because it does not need to install th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and by forming a triangular or trapezoidal shape 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formed in the impression plate and the reinforcement plate portion to serve as a reinforcing table Raise the bridge deck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Value and to raise the bridge deck using the same method.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의 상부에 걸쳐 설치되는 교량빔와 상판 등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그 교량 상판과 빔은 설치 후 작용하는 신축응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교각과 빔 및 교량 상판의 가동간 사이에는 고정식 교좌 또는 진동 흡수식 합성 교좌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교량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 됨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교량 구조체나 교좌장치가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면, 교량 상판의 조인트 부분에서의 누수 등으로 인한 교좌 장치의 부식이나, 파괴, 교좌 장치에 주입된 그리스의 기능 마비 현상 등이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교각의 균열이나 상판 및 빔의 균열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예 이외에도 지반의 부동침하 현상으로 인한 교각의 침하와 상판의 위치 변동, 빔이 충격하중으로 파괴되어 상판이 부분적으로 가라앉아 상판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 기타 교량의 당초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중차량의 등장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단면 부족과 교량 상판의 교체 필요성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요인으로 교량을 보수하지 않으면 안된다.In general, a bridge is composed of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beam and a top plate installed over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the bridge top and the beam of the bridge and beam and the bridge deck to enable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action according to the elastic stress applied after installation Stationary bridges or vibration-absorbing composite bridge devices are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on, and such bridges are often damaged by various types of natural or artificial factors as time passes after installation. For example, corrosion of the bridge device due to leakage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idge deck, destruction, paralysis of the grease injected into the bridge device, etc. may occur, thereby causing cracks in the bridge piers or cracks in the top plate and beams. do.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s, if the pier is settled due to the ground subsidence,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top plate, the beam is destroyed by the impact load, and the top plate partially sinks, resulting in a step between the top plates, exceeding the original design load of other bridges. The bridge must be repaired by various types of factors such as the lack of cross section of the bridge system and the need to replace the bridge deck due to the appearance of heavy vehicles.

이와 같이 파손 또는 변형된 교량을 보수함에 있어서는 파손 정도에 따라서 교량 전체 또는 일부분을 철거하고 다시 복구하거나, 혹은 부분적 보수작업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구하게 되는바, 이와 같이 교량 구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구축 하는데는 많은 중장비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보수 공사비가 막대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복구작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차량 통행의 폐쇄 또는 우회로 인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repairing a damaged or deformed bridge, the whole or part of the bridge may be demolished and resto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or the original structure may be restored by partial repair work. Thus, the whole or part of the bridge structure may be removed. In addition, reconstruction requires a lot of heavy equipment and manpower, which incurs a huge cost of repair work, and also causes traffic to be blocked due to closure or detour of vehicles. There was this.

따라서 교량 보수시 교량 상판이나 빔 구조물을 철거 또는 해체함이 없이 보수를 요하는 부위만을 상하 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수하는 작업으로서, 유압잭을 사용하여 교량 빔이나 상판을 들어올려서 보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있다.Therefore, when repairing a bridge, repairing by moving only the part requiring repair without moving or dismantling the bridge top plate or beam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epairing it by lifting the bridge beam or the top plate using a hydraulic jack. This is being used.

그리고, 교좌장치의 보수, 교체 등으로 교량 상부 구조물을 유압장치로 들어 올리는 인상작업을 행할 때에는 교좌장치의 교체시 잭 설치의 공간을 확보하는 교좌장치와 교각 끝단까지의 거리인 연단거리와, 빔의 하단에서 교각의 상단까지의 거리인 형하공간 등의 유압잭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거나 응력 부족으로 인하여 교량의 코핑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우려되어 유압잭을 코핑부에 설치하지 못할 경우 시도되는 공법들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존공법들의 경우 구조물에 손상을 주게 되어 보수, 보강의 목적 외의 추가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장기적인 교량 구조물 유지, 관리의 측면에서 손상으로 인한 하자발생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lifting work of lift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the hydraulic device due to the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bridge device, the podium distance,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device and the end of the bridge to secure the space for jack installation when the bridge device is replaced, and the beam If the hydraulic jack is not installed in the coping section due to a concern such as insufficient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hydraulic jack, such as a clamping space, which is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bridge to the top of the bridge, or damage to the coping section of the bridge due to insufficient stress. There are many methods, but the existing methods can damage the structure, incur additional costs other than the purpose of repair and reinforcement, and may cause defects due to damage in terms of long-term bridge struc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종래 조립식 브래키트를 이용한 보수공법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들어 보면, 시공할 때에 최소 8cm 이상의 형하공간 및 철근덮개 이상의 연단거리가 확보되어야 만이 적용이 가능하고, 큰 잭킹력이 작용할 때에 버팀판의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용접시 시공성이 떨어지며, 연단거리 및 형하 공간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모든 교량에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problem of the repairing method using the prefabricated brackets is applicable only when the construction space of at least 8 cm and the pore length of the reinforcing cover is secur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when the large jacking force is applied, Due to the increase in workability during we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applied to all bridge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end distance and the geometry space.

즉, 도로교 시방서에 소개된 잭 설치기준을 보면, 연단거리는 들보의 지간길이가 10m 이하인 경우에는 경간 30m 기준으로 35cm이고, 형하공간은 40cm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현실적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것이다.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jack installation standards introduced in the road bridge specifications, the podium distance is 35cm when the span length of the beam is less than 10m and 35cm in the span, 40cm should be secured, so the practical application is impossible.

또, 종래 단면확대 인상법의 문제점은 공기 및 공사비에서 타 공법과 비교하여 비경제적이고, 미관이 좋지 못하며, 기존 교량에 앵커를 사용한 후 철근을 배근하므로 기존 교량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ross-sectional enlargement raising method is uneconomical compared to other methods in the air and construction cost, the aesthetics are not good,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the existing bridge because the reinforcing bars after using the anchor in the existing bridg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27911호(2011.04.09.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7911 (Prefabricated Bracket for lifting the upper structure) has been proposed.

상기 종래 기술은 도 1 내지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s follows.

우선, 조립식 브래키트(100)는 한 쌍의 양쪽 분할부재(110)로 분리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체결요소(120)에 의해 체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First, the prefabricated bracket 100 is separated into two pairs of dividing members 110, and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the variable fastening element 120 which is adjustable in length.

상기 조립식 브래키트(100)의 양쪽 분할부재(110)는 상면판(111)의 하면에 측면판(112)이 용접되고, 상면판(111)과 측면판(112)의 외측으로 버팀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판(111)은 내부에 간섭방지홈(111a)이 내측부에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유압장치 수용홈(111b)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112)은 상기 상면판(111)의 간섭방지홈(111a)과 유압장치 수용홈(111b) 사이의 연결부(111c)에 하측으로 용접된다.Both split members 110 of the prefabricated bracket 100 are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late 111 and the side plate 112 is weld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111 and the side plate 112, the support portion 101. ) Is formed. The top plate 111 has an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111a formed therein, and a hydraulic device receiving groove 111b formed in the outer portion. The side plate 112 is welded downwar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1c between the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111a of the upper plate 111 and the hydraulic device receiving groove 111b.

상기 버팀부(101)는 상기 상면판(111)의 하면과 측면판(112)의 외면 사이에 한 쌍의 지지판(113)이 용접되고, 양쪽 지지판(113)의 사이에는 상기 유압장치(200)가 올려지는 버팀판(114)이 용접되어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101 is a pair of support plate 113 is wel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late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12, the hydraulic device 200 between the two support plate 113. Bracing plate 114 is raised is formed by welding.

또 상기 측면판(112)의 양쪽 지지판(113) 외측, 그리고 버팀판(114)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보강판(115),(116)이 용접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115 and 116 are welded to the outer side of both support plates 113 and the bottom plate 114 of the side plate 112.

상기 가변체결요소(120)는 상기 양쪽 분할부재(110)의 내측단부에 상기 간섭방지홈(111a)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고정 체결판(121)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체결판(121) 사이에 복수개의 조립 체결판(122)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체결판(121)과 조립 체결판(122)에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121a),(122a)에 끼워지는 고장력볼트(123)로 체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variable fastening element 120 has a plurality of fixed fastening plate 121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two partitioning member 110 on both sides of the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111a, the fixed fastening plate 121 A plurality of assembling fastening plates 122 are coupled therebetween, and high tension bolts 123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1a and 122a formed to penetrate the fixed fastening plate 121 and the assembling fastening plate 122. I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with).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1000)는 유압장치(200)를 이용해 교량 상판의 인상시 충분한 연단거리 확보와 더불에 교각의 파손 없이 인상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prefabricated bracket 1000 for rais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acts to secure a sufficient pore length when pulling up the bridge deck by using the hydraulic device 200 and to be pulled up without damaging the bridg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1000)는 유압장치(200)를 수용하기 위한 유압장치 수용홈(111b)이 교각을 벗어나 설치가 되기 때문에 분할요소(110)를 연결하는 가변체결요소(120)에 하중이 그대로 작용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However, the prefabricated bracket 1000 for raising the conventional upp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onnects the dividing element 110 because the hydraulic device receiving groove 111b for accommodating the hydraulic device 200 is installed out of the piers. The load is applied to the variable fastening element 120 as it is, there was a risk of breakage.

특히, 가변체결요소(120)의 경우 분할요소(111) 일부만을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압장치(200)를 통한 인상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률이 높아 실제 적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 variable fastening element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a part of the dividing element 111 is fastened, so that the failure rate due to the load acting upon the hydraulic device 200 is high, so that the actual application thereof is difficul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 상판 인상 장치는 교량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H빔 또는 거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교량 상판을 인상하기 위한 교량 상판 인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면에 배치되며 교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인상플레이트부 상판과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이 연장된 양 끝단에는 제1 결합홈을 포함하고 있는 제1 결합부를 형성한 한쌍의 인상 플레이트부와;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에 결합하며, 교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 하측으로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이 연장된 양 끝단에 형성되며, 인상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의 제1 결합홈에 배치되어 제1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하는 내측에 제2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로 구성된 한쌍의 보강 플레이트부와;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상 플레이트부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 하측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인상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Bridge top plate lif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posed in the support member made of any one of the H beam or gird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in the bridge top plate lifting apparatus for raising the bridge top plate, The pair of impression plate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coupling groove at both ends. Wealth; A reinforcing plate part upper plate coupled to the pulling plate part and exten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plate part extending below the reinforcing plate part upper plate, A pair of reinforcing plate portions dispos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pair of reinforcing plate portions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coupling groove inside the fixed coupling portion by the first coupl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lifting means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is configured to abut the lower plate plate upper plate lower portion.

본 발명에서 인상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 결합부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 하측에 사다리꼴 형상의 두개의 제1 측면판이 서로 이격되어 제1 결합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1 측면판 사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정면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irst coupling portions formed in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are configured to form two first side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first coupling groove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and between the two first side plat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pezoidal first front plate is formed.

본 발명에서 인상 플레이트부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에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리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plate portion upper plate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or more ribs are further inclu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plate portion upper plate extends.

본 발명에서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 결합부는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제2 측면판에 의해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측면판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2 정면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econd coupling portions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by two second side plate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upper plate extends. A rectangular front second plat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s.

본 발명에서 보강 플레이트부의 하측에는 보조 플레이트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는,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결합홈에 삽입되는 한쌍의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이 제2 결합수단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정면판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 하측에는 보조 플레이트부 연결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portion, the auxiliary plate portion, a pair of auxiliary plate portion front plat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reinforcement plate portion by the second coupling means I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front plate formed in th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plate portion connecting plate is formed below the pair of auxiliary plate portion front plate.

본 발명의 교량 상판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은 교량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H빔 또는 거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교량 상판을 인상하기 위한 교량 상판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에 있어서, 교각 상부에 인상수단을 배치한 후 고정 결합하는 인상수단 배치단계와; 교각 상부에 한쌍의 인상 플레이트부를 배치하되, 인상 플레이트부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이 연장되는 방향이 교축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인상 플레이트부 배치단계와;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 배치단계에서의 인상 플레이트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제1 결합부에 포함된 제1 결합홈에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삽입하도록 한쌍의 보강 플레이트부를 배치하는 보강 플레이트부 배치단계와;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의 제1, 2 결합부를 구성하는 제1, 2 측면판에 형성된 제1 체결공에 제1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를 고정 결합하는 플레이트부 결합단계와; 인상수단을 이용하여 인상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의 하측면을 인상하여 지지부재를 인상하는 인상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Bridge deck lifting method using the bridge deck lif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support member made of any one of the H beam or gird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idge deck to raise the bridge deck using a bridge deck lifting device for raising the bridge deck A method, comprising: a pulling means arrangement step of arranging and holding a pulling means on an upper portion of a piers; An impression plate portion arranging step of arranging a pair of impression plate portions on an upper portion of the pier, and placing the pair of impression plate portions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upper plate extends is located in the axial direction; A reinforcing plate portion for arranging a pair of reinforcing plate portions to insert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into a first coupling groove included in the pair of first coupling portions formed in the pulling plate portion in the pulling plate portion arrangement step. An arrangement step; A plate part for fastening the first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part by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of the impression plate part and the reinforcing plate part by using a first coupling means. Combining step;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pulling up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of the lifting plate formed on the lifting plate portion using the lifting means to raise the support member.

본 발명에서 보강 플레이트부 배치단계 이전에 보강 플레이트부 하측에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과 보조 프렐이트부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보조 플레이트부를 결합하는 보조 플레이트부 결합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 결합단계는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결합홈에 보조 플레이트부의 보조 플레이트 정면판을 삽입한 후, 보강 플레이트부의 제2 정면판과 보조 플레이트부의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에 형성된 제2 체결공을 제2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rrangement step further includes a subsidiary plate portion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sub plate portion consisting of the sub-plate portion front plate and the auxiliary fret portion connecting plate in the lower reinforcing plate portion, the sub-plate portion coupling step After inserting the auxiliary plate front plate of the auxiliary plate portion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the second coupl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front plate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nd the auxiliary plate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portion second coupling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using.

본 발명은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를 결합한 후, 교량 상판의 지지부재에 배치되도록 하여 인상수단을 통해 지지부재의 인상시 교각에 인상수단만을 결합하여 인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 및 교각의 파손 없이 인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lifting plate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so that it is arranged on the support member of the bridge top plate so that only the lifting means can be combined to the pier when the support member is pulled up through the lifting means, the breakag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piers You can do the hike without it.

특히, 교축방향으로 인상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연단거리 확보에 따른 불필요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성과 시공비용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forming the pulling means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unnecessary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securing the pore distance,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cost and air.

아울러,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1, 2 결합부의 일부 구조를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해 보강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by forming a partial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in a triangular or trapezoidal shape to serve as a reinforcing table,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종래의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인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상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량 상판 인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보강 플레이트부와 보조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상 방법을 도시한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racket for raising a conventional superstruct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deck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3;
Fig. 5 is a side view of Fig.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deck pu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nd the auxiliary plate portion.
9 to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u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교각(1) 및 교각(1) 상부(1a)에 설치된 교좌 장치(E)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 상판(도면에 미도시)의 하부에 설치되는 H빔 또는 거더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를 인상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H beam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top plate (not shown in the figure) supported by the bridge device (E) installed on the bridge (1) and the upper portion (1a) of the bridge as shown in Figs. Or it is an apparatus for raising the support member 2 which consists of a girder.

특히, 본 발명에서의 교량 상판 인상 장치(50)는 지지부재(2)에 직접 맞닿도록 하여 지지부재(2) 및 교각(1)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교축방향으로 인상수단(30)을 배치하여 연단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upper plate pulling device 5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2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support member 2 and the pier 1 while arranging the pulling means 30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secure sufficient podium distance.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우선, 인상 플레이트부(10)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H빔 또는 거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의 하측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2개소가 서로 대칭된 구조로 배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S. 3 to 6,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is disposed in a structure in which two places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 made of either an H beam or a girder.

상기와 같은 인상 플레이트부(10)는 교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이 평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의 양 끝단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홈(H1)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12)가 구성된다.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flat plate shape of the upper plate 11 extending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wer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pulling plate portion The first coupling part 12 includ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is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12)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2)이 연장되는 방향의 양 끝단에 각각 1개소씩 형성이 된다.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is formed at each end at each 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ression plate upper plate 12 extends.

이러한, 제1 결합부(12)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2)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제1 측면판(12a)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제1 결합홈(H1)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irst coupling part 12 is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forming two first side plates 12a having a trapezoidal sh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ression plate upper plate 12 extends. It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in the space.

또한, 상기 제1 결합부(12)의 제1 측면판(12a)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정면판(12b)이 제1 측면판(12a)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front plate 12b for connecting between the 1st side plate 12a of the said 1st coupling part 12 is comprised in trapezoid shape similarly to the 1st side plate 12a.

여기서,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에는 다수의 리브(R)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Here, a plurality of ribs 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late 11 of the pulling plate part 10.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브(R)는 제 1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에 형성하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것이 좋다.More specifically, the rib (R)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11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i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is formed, but the extension pl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plate 11 extends It is good to form in.

다음으로, 보강 플레이트부(20)는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된 제1 결합부(12)에 삽입하여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Next,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formed in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is made of a structure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따라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20)도 2개소가 한조로 이루어지되, 서로 대칭되게 배열된다.Therefore,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s also made of a pair of two, ar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부(20)의 구성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such a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우선,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시 말해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이 연장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1)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1)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제1 결합부(1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결합홈(H1)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22)가 구성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7 to 8, a reinforcing plate part upper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that is, the pulling plate part upper plate 11 of the pulling plate part 10 extends in a right angle direction extending ( 21 is formed,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1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formed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 is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부(22)는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제1 결합홈(H1)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1 결합부(12)를 구성하는 제1 측면판(12a)과 일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Here, sinc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partially similar to the first side plate 12a constitu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It is made of a shape.

즉, 상기 제2 결합부(22)는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2)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삼각형 형상의 2개의 제2 측면판(22a)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제2 결합홈(H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formed by two second side plates 22a having a triangular shape which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2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second space therebetween. It is configured to form the coupling groove (H2).

또한, 상기 2개의 제2 측면판(22a)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정면판(22b)이 구성되어 있다.Moreover, the 2nd front plate 22b which consists of a rectangular shape which consists of a structure which connects the said 2nd 2nd side plate 22a is comprised.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부(20)의 제2 결합부(22)는 각각의 인상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1)이 연장되는 방향의 양 끝단에 각각 1개소씩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22 of the reinforcing plate part 20 extends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part upper plate 21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2 formed in each of the lifting plate parts 20. One place is formed in each end of the direction to become.

특히,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제1 결합부(12)에 결합하는 보강 플레이트부(20)는 서로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한다.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should be kept in a fixed coupling state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제1 결합부(12)에 형성된 제1 측면판(12a)과 보강 플레이트부(20)의 제2 결합부(22)에 형성된 제2 측면판(22a)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제1 체결공(h1)이 형성하여 이를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제1 결합수단(J1)을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인상 플레이트부(10)와 보강 플레이트부(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first side plate 12a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a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Each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h1 having the same size is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holes h1, and the fastening plate part 10 and the reinforcing plate part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le h1. It is configured to be.

다음으로, 인상수단(30)은 교각(1)의 상부(1a)에 배치되어 보강 플레이트부(20)와 결합되어 있는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된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 하측과 맞닿아서 지지부재(2)를 인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Next, the pulling means 30 is placed in the upper portion (1a) of the piers 1 and abuts the lower plate portion upper plate 11 formed in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t is configured to raise the support member (2).

따라서, 상기 인상수단(30)은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상수단(30)은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the pulling means 30 is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1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the pulling means 30 is made of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at operates by the hydraulic pressu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20)의 지지력 향상 및 지지부재(2)의 인상시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플레이트부(40)를 더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late part 4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improve the bearing force of the reinforcing plate part 20 and to prevent deformation caused by the load when the support member 2 is pulled up.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40)는 도 8에서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부(20)의 제2 결합부(22)에 형성된 제2 결합홈(H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2개의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41)이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 플레이트부(41)를 연결하는 보조 플레이트부 연결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auxiliary plate part 40 includes two auxiliary plate part front plate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H2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22 of the reinforcing plate part 20. 41 is configured and includes an auxiliary plate portion connecting plate 42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auxiliary plate portions 41.

특히,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40)는 2개소로 이루어진 보강 플레이트부(20)에 결합하기 때문에, 이 또한 2개소가 한조를 이루어 구성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auxiliary plate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consisting of two places, this place is also constituted in two pairs.

또한,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40)는 보강 플레이트부(20)의 지지력 향상과 더불어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40 is configured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load while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따라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20)의 제2 결합부(22)에 형성된 제2 정면판(22b)과 보조 플레이트부(40)에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41)에 각각 제2 체결공(h2)을 형성하여 이를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제2 결합수단(J2)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refore, the second fastening holes (2) in the second front plate 22b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and the auxiliary plate portion front plate 41 formed on the auxiliary plate portion 40, respectively. h2)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using a second coupling means (J2) consisting of bolts / nuts.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 상판(도면에 미도시)을 구성하는 지지부재(2)와 직접 맞닿아 지지부재(2)를 인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교량 상판 인상 장치(50)를 이용하여 인상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bridge top plate lifting device 50 configur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2 constituting the bridge top plate (not shown in the figure) as described above to raise the support member 2 You can make an impression.

이러한, 교량 상판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is, the bridge top plate lifting method using the bridge top plate lif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교각(1) 상부(1a)에 인상수단(30)을 배치한다.(인상수단 배치단계)First, the pulling means 3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1a of the piers 1. (Impression means arranging step)

상기 인상수단 배치단계에서는 인상수단(30)을 교각(1)의 상부(1a)에 통상의 볼트/너트(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해 고정 결합하거나 또는 그냥 배치만 하여도 무방하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pulling means, the pulling means 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1a of the pier 1 using a conventional bolt / nut (not shown) or simply arranged.

특히, 상기 인상수단(30)의 배치시에는 교축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에 배치하도록 하며, 이때에, 상기 인상수단(30)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of the pulling means 30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pulling means 30 may be formed at least one.

즉, 교각(1)은 많은 하중을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설계를 통해 크기가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에 상부(1a)의 가로, 세로의 길이가 달리 형성된다.That is, the pier (1) is to be supported by a large load because the size is determined through the structural design is usu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portion (1a) when shown in the plane.

구체적으로는, 교축방향의 길이는 짧고 교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is short and the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s lo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상수단(30)을 통한 인상 작업시 별도의 구조물 없이 충분한 연단거리의 확보를 위해 길이가 더 긴 방향인 교축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인상수단(30)을 배치하도록 한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means 30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which is a longer length, 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pore distance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through the pulling means 30.

그런 후, 교각(1)의 상부(1a)에 인상 플레이트부(10)를 배치하도록 하며, 이때에,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 교축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를 한다.(인상 플레이트부 배치단계)Thereafter,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1a of the pier 1, in which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has a direction in which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upper plate 11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Arrange to match with (Improvement Plate Placement Step)

특히,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는 교각(1)에 형성되어 있는 교좌 장치(E)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형태로 2개소를 배치한다.In particular, the said impression plate part 10 arrange | positions two places in the form which i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ridge | seat device E formed in the pier 1.

한편, 상기와 같이 인상 플레이트부(10)의 배치가 완료되면,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12)의 제1 결합홈(H1)에 보강 플레이트부(20)를 삽입하여 배치한다.(보강 플레이트부 배치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arrangement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formed in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Insert and place. (Reinforcement plate arrangement step)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강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부(22)의 외측이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제1 결합부(12)에 형성된 제1 결합홈(H1)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하도록 하며, 이때에,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된 제2 결합부(22)는 2개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제2 결합부(22)는 어느 하나의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홈(H1)에 삽입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보강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제2 결합부(22)는 다른 하나의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된 제1 결합홈(H1)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More specifically,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s inside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s composed of two places, any on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22 is one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formed in the (10), the other second coupling portion 22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s the other lifting plate portion 10 It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formed in.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강 플레이트부(20)가 2개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결합은 반대편에서도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are two places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t is natural that the above-described coupling is also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그런 후,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와 보강 플레이트부(20)를 제1 결합수단(J1)을 이용하여 체결한다.(플레이트부 결합단계)Thereafter, the pulling plate 10 and the reinforcing plate 20 are fastened using the first coupling means J1. (Plating unit joining step)

상기 플레이트부 결합단계는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제1 결합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측면판(12a)과 보강 플레이트부(20)의 제2 결합부(22)에 형성된 제2 측면판(22a)에 각각 제1 체결공(h1)을 형성한 후, 이를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제1 결합수단(J1)을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plate unit coupling step includes a first side plate 12a formed at the first coupling unit 12 of the impression plate unit 10 and a second coupling unit 22 formed at the second coupling unit 22 of the reinforcing plate unit 20. After forming the first fastening hole (h1) in the side plate (22a), respectively, by using the first coupling means (J1) made of bolts / nuts, the coupling is mad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 상판 인상 장치(50)의 설치가 완료되면, 인상수단(30)을 가동하여 보강 플레이트부(20)가 결합된 인상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된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의 하측면을 밀어 올리게 된다.(인상단계)When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top plate lifting devic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the lifting plate 30 is formed on the lifting plate portion 20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by moving the lifting means 30. Will push up the lower side ().

그러면, 교각(1)의 상부(1a)에 배치되었던 인상 플레이트부(10)가 인상되면서 어느 순간에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된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의 상측면이 지지부재(2)와 맞닿게 되고, 지속적으로 인상수단(30)을 작동시키게 되면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의 상측면에 의해 지지부재(2)의 인상이 이루어지게 된다.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upper plate 11 formed in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at any moment while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1a of the pier 1 is raised, the support member 2.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and continuously operating the pulling means 30 is the lifting of the support member 2 by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is made.

즉, 본 발명에서의 인상 플레이트부(10) 및 보강 플레이트부(20)는 교각(1)이나 지지부재(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조가 아닌, 받침대의 역할로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교각(1) 및 지지부재(2)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교량 상판을 구성하는 지지부재(2)의 인상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and the reinforcement plate portion 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tructure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pier (1) or the support member (2),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role of the bas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bridge 1 and the support member 2,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 constituting the bridge top plate is smoothly made.

특히, 본 발명에서의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제1 결합부(12)를 구성하는 제1 측면판(12a)과 제1 정면판(12b)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리브가 없이도 보강대의 역할과 더불어 프레임 역할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인상수단(30)의 인상 작업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side plate 12a and the first front plate 12b constitu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or a triangular shape without a separate rib. In addition to the role of the reinforcing table to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role of the frame is to act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he load generated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pulling means (30).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보강 플레이트부(20)는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양 끝단을 지지할 수 있는 역할과 더불어 각각의 인상 플레이트부(10)를 연결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인상시 발생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tructure that connects each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with the role that can support both ends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the load generated during the lifting It will work to withstand enough.

그리고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 중 제1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는 다수의 리브(R)가 구성되어 인상수단(30)에 의한 인상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 인상 플레이트부(10)가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ibs R ar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part 12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11 of the lifting plate part 10,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lifting means 30. At this time,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is to act so a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warping or bending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 배치단계 이전에 보강 플레이트부(20)에 보조 플레이트부(40)를 더 결합할 수도 있다.(보조 플레이트부 결합단계)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late portion 4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before the step of arranging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40)는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보강 플레이트부(20)의 강도개선에 따른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The auxiliary plate 40 serves to further improve the bearing force according to the strength improvement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supporting both ends of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한편, 상기와 같이 인상작업을 완료하여 소정의 작업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인상수단(30)을 하강시킨 후 인상 플레이트부(10)와 보강 플레이트부(20)를 연결하였던 제1 결합수단(J2)의 결합을 해제하게 되면 간단하게 철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predetermined work is completed by completing the lifting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means 30 is lowered and then the first coupling means (J2) of connecting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and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Decommissioning can be done simply demolition wor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교량 상판 인상 장치(50)는 교각(1)이나 지지부재(2)에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라 받침대의 역할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교각(1) 및 지지부재(2)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설치시공 및 철거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의 효과와 더불어 무파손 시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ridge deck lifting device 5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not to be coupled to the pier 1 or the support member 2, but to perform only the role of the pedestal, so that the pier 1 and the support member. As well as preventing the damage of (2),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is very easy,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damage-free construction with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shortening the air.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임을 명시한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It should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E : 교좌 장치
1 : 교각
1a : 상부
2 : 지지부재
10 : 인상 플레이트부
11 :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 H1 : 제1 결합홈 12 : 제1 결합부
12a : 제1 측면판 12b : 제1 정면판
20 : 보강 플레이트부
21 :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 H2 : 제2 결합홈 22 : 제2 결합부
22a : 제1 측면판 22b : 제2 정면판
30 : 인상수단
40 : 보조 플레이트부
41 :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 42 : 보조 플레이트부 연결판
50 : 교량 상판 인상 장치
E: Chair Unit
1: pier
1a: upper part
2: support member
10: impression plate portion
11: lifting plate portion upper plate H1: first coupling groove 12: first coupling portion
12a: first side plate 12b: first front plate
20: reinforcement plate part
21: upper plate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H2: second coupling groove 22: second coupling portion
22a: first side plate 22b: second front plate
30: raising means
40: auxiliary plate
41: auxiliary plate portion front plate 42: auxiliary plate portion connecting plate
50: bridge deck lifting device

Claims (7)

교량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H빔 또는 거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에 배치되어 교량 상판(E)을 인상하기 위한 교량 상판 인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의 하측면에 배치되며 교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인상플레이트부 상판(11)과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이 연장된 양 끝단에는 내측에 제1 결합홈(H1)을 포함하고 있는 제1 결합부(12)를 형성한 한쌍의 인상 플레이트부(10);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에 결합하며, 교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1)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1) 하측으로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1)이 연장된 양 끝단에 형성되며,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된 제1 결합부(12)의 제1 결합홈(H1)에 배치되어 제1 결합수단(J1)에 의해 고정결합하는 내측에 제2 결합홈(H2)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22)로 구성된 한쌍의 보강 플레이트부(20);
교각(1)의 상부(1a)에 설치되어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 하측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인상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
In the bridge upper plate lifting device for raising the bridge upper plate (E), which is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2) made of any one of H beams or girder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idge upper plate,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11 and the upper plate 11 of the lifting plate part 1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2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pair of impression plate portions 10 forming a first coupling portion 12 including;
The reinforcing plate part upper plate 21 coupled to the pulling plate part 10 and extend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plate part upper plate 21 extending below the reinforcing plate part upper plate 21. The seco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dispos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formed in the impression plate portion 10 and fixedly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means J1. A pair of reinforcing plate portions 20 composed of a second coupling portion 22 including (H2);
And a lifting means (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1a) of the pier (1) and configured to abut agains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raising plate portion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에 형성된 한쌍의 제1 결합부(12)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 하측에 사다리꼴 형상의 두개의 제1 측면판(12a)이 서로 이격되어 제1 결합홈(H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1 측면판(12a) 사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정면판(1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
The pair of first coupling parts 12 formed in the lifting plate part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wo trapezoidal first side plates 12a below the upper plate 11 of the lifting plate part 10. The first upper plate (12b) of trapezoidal shape is formed between the two first side plates (12a), and is formed so as to form a first coupling groove (H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10)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에는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리브(R)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late 11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10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ribs (R) is further inclu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plate portion upper plate 11 extends. Bridge tops rais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된 한쌍의 제2 결합부(22)는 보강 플레이트부 상판(21)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제2 측면판(22a)에 의해 제2 결합홈(H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측면판(22a)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2 정면판(2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portion 22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s made of two third made of a triangular shap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upper plate 21 extends The second coupling groove H2 is formed by the second side plate 22a, and a rectangular front face plate 22b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22a. Impress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20)의 하측에는 보조 플레이트부(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40)는, 보강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된 제2 결합홈(H2)에 삽입되는 한쌍의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41)이 제2 결합수단(J2)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부(20)에 형성된 제2 정면판(22b)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41) 하측에는 보조 플레이트부 연결판(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portion 40, the auxiliary plate portion 40, the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A pair of auxiliary plate portion front plate 41 inserted into (H2)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front plate 22b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20 by the second coupling means (J2), A bridge upper plate rai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plate connecting plate 42 is formed below a pair of auxiliary plate portion front plates 41.
교량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H빔 또는 거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에 배치되어 교량 상판을 인상하기 위한 교량 상판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에 있어서,
교각 상부에 인상수단을 배치한 후 고정 결합하는 인상수단 배치단계;
교각 상부에 한쌍의 인상 플레이트부를 배치하되, 인상 플레이트부의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이 연장되는 방향이 교축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인상 플레이트부 배치단계;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 배치단계에서의 인상 플레이트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제1 결합부에 포함된 제1 결합홈에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삽입하도록 한쌍의 보강 플레이트부를 배치하는 보강 플레이트부 배치단계;
상기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의 제1, 2 결합부를 구성하는 제1, 2 측면판에 형성된 제1 체결공에 제1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인상 플레이트부와 보강 플레이트부를 고정 결합하는 플레이트부 결합단계;
인상수단을 이용하여 인상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인상 플레이트부 상판의 하측면을 인상하여 지지부재를 인상하는 인상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In the bridge top plate lifting method using a bridge top plate lifting device which is disposed on a supporting member made of any one of an H beam or a girder provided below the bridge top plate, to raise the bridge top plate,
Placing the pulling means fixedly arranged after placing the pulling means on the pier;
An impression plate part arranging step of arranging a pair of impression plate parts on an upper part of the pier, and placing the pair of impression plate parts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plate of the impression plate part extends is located in the axial direction;
A reinforcing plate portion for arranging a pair of reinforcing plate portions to insert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into a first coupling groove included in the pair of first coupling portions formed in the pulling plate portion in the pulling plate portion arrangement step. Batching step;
A plate part for fastening the first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part by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of the impression plate part and the reinforcing plate part by using a first coupling means. Combining step;
And a pulling-up step of pulling up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plate of the lifting plate portion formed by the pulling-up unit to raise the support memb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부 배치단계 이전에 보강 플레이트부 하측에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과 보조 프렐이트부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보조 플레이트부를 결합하는 보조 플레이트부 결합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부 결합단계는 보강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제2 결합홈에 보조 플레이트부의 보조 플레이트 정면판을 삽입한 후, 보강 플레이트부의 제2 정면판과 보조 플레이트부의 보조 플레이트부 정면판에 형성된 제2 체결공을 제2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판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According to claim 6, Prior to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arrang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subsidiary plate portion joining step of engaging the sub-plate portion consisting of the auxiliary plate portion front plate and the auxiliary fret portion connecting plate below the reinforcing plate portion, the auxiliary The plate joining step includes inserting the auxiliary plate front plate of the auxiliary plate part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part, and then attaching the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front plate of the reinforcing plate part and the auxiliary plate part front plate of the auxiliary plate part. Bridge deck lifting method using a bridge deck lif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using the second coupling means.
KR1020120127316A 2012-11-12 2012-11-12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KR101214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16A KR101214531B1 (en) 2012-11-12 2012-11-12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16A KR101214531B1 (en) 2012-11-12 2012-11-12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31B1 true KR101214531B1 (en) 2013-01-09

Family

ID=4784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316A KR101214531B1 (en) 2012-11-12 2012-11-12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3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7304A (en) * 2013-09-04 2013-12-11 北京中交桥宇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changing pot bearing by enlarging pier section
KR101971274B1 (en) 2018-09-28 2019-04-22 윤형남 Bridge lifting apparatus and lifing method using 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80B1 (en) 2008-03-25 2010-08-23 서울메트로 a pulling plate of beam the bridge p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80B1 (en) 2008-03-25 2010-08-23 서울메트로 a pulling plate of beam the bridge p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7304A (en) * 2013-09-04 2013-12-11 北京中交桥宇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changing pot bearing by enlarging pier section
CN103437304B (en) * 2013-09-04 2016-04-13 北京中交桥宇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increasing pier section replacing pot bearing
KR101971274B1 (en) 2018-09-28 2019-04-22 윤형남 Bridge lifting apparatus and lifing method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012B1 (en) Bridge deck dismantling method by means of united pulling jack and pier
JP5106338B2 (en) Box girder edge reinforcement method
JP2006090026A (en) Repairing/reinforcing structure of existing steel member arch bridge
KR101696450B1 (en) Lifting device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Replacing method of bridge bearing and Installing method of bridge bearing at lowe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24665B1 (en) System For Lifting Bridge Upper Plate
KR101214528B1 (en)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KR101214531B1 (en) A lifting apparatus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CN104762874A (en) Joint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for assembled bridge and mounting method of joint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KR200227911Y1 (en) Assembling bracket to lift up upper structure
KR101095449B1 (en) Bridge deck dismembering method and its equipment
CN213953079U (en) Defect shear force wall bilateral support underpins structure
KR1011301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bearings of box girder bridge
KR100214386B1 (en) Jack supproting apparatus in raising the bridge super structure
KR102085928B1 (en) Temporary bridge with end corne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605011B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of lower structure of bridge
KR19990001958A (en) Jack restraint device for raising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8003559A (en) Column-beam frame repairing method and repaired column-beam frame
KR102109816B1 (en) Method of Replacing Bearing for Bridge and Bearing Structure
KR20050009806A (en) Pulling up,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KR101454888B1 (en) Circle steel girder having horizontal support and girder bridge
KR100348632B1 (en) Apparatus bridge beam using the opposite direction temporary construction bracket and thereof method
JP2019199711A (en) Method for rebuilding bridge
KR20020012899A (en) Assembling bracket to lift up upper structure
KR100478702B1 (en) Successively replacement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JP6586305B2 (en) Replacement method for existing b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