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26B1 -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 Google Patents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26B1
KR101214526B1 KR1020110012907A KR20110012907A KR101214526B1 KR 101214526 B1 KR101214526 B1 KR 101214526B1 KR 1020110012907 A KR1020110012907 A KR 1020110012907A KR 20110012907 A KR20110012907 A KR 20110012907A KR 101214526 B1 KR101214526 B1 KR 101214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top
folded
bend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956A (ko
Inventor
이경길
변효석
강태원
최보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1001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배포가 편리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써 사용마다 사용자가 간단하게 접어서 기차나 카페 등의 테이블위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로 동영상 감상 등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는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사각형상의 끝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1절곡선(11)과, 제1절곡선(1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2절곡선(21)과, 제2절곡선(21)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3절곡선(31)이 형성되고, 제1절곡선(11), 제2절곡선(21) 및 제3절곡선(31)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접으면 제1절곡선(11)과 제2절곡선(21) 사이에 형성된 전면 받침부(20)와, 제2절곡선(21)과 제3절곡선(31) 사이에 형성된 후면 받침부(30)와, 제3절곡선(31)과 타측끝단으로 형성된 바닥부(40)와, 끝단부분과 제1절곡선(11) 사이의 부분의 상부면이 바닥부(40)에 밀착되는 결합부(10)가 형성되며, 결합부(10)는 제1절곡선(11)에서 끝단으로 연장된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중앙의 정면삽입부(13)와 양측의 지지부(14)로 분리되는 세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제1절곡선(11)에 밀착되는 바닥부(40)에는 정면삽입부(13)가 끼워지면서 후면으로 연장되는 절개된 끼움슬릿(41)이 형성되며, 끼움슬릿(4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는 양측면과 후면측이 절개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멈춤부(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Portable Mobile Device Supporter}
본 발명은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배포가 편리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시 사용자가 간단하게 접어서 기차나 카페 등의 테이블위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로 동영상 감상 등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는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핸드폰을 세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 형태를 갖도록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거치가 되도록 완제품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며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막대형 거치대 등 형태에 따라서 휴대가 편리한 거치대도 있기는 하였으나, 막대형 거치대의 경우 거치의 견고성이 현저히 떨어져서 외부 충격, 특히 기차안과 같은 공간에서의 거치시 모바일 장치가 바닥에 떨어질 위험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휴대 및 배포가 편리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써 사용마다 사용자가 간단하게 접어서 기차나 카페 등의 테이블위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로 동영상 감상 등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는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모바일 장치의 후방을 안정적인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하여 모바일 장치의 거치시 매우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사각형상의 끝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1절곡선(11)과, 제1절곡선(1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2절곡선(21)과, 제2절곡선(21)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3절곡선(31)이 형성되고,
제1절곡선(11), 제2절곡선(21) 및 제3절곡선(31)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접으면 제1절곡선(11)과 제2절곡선(21) 사이에 형성된 전면 받침부(20)와, 제2절곡선(21)과 제3절곡선(31) 사이에 형성된 후면 받침부(30)와, 제3절곡선(31)과 타측끝단으로 형성된 바닥부(40)와, 끝단부분과 제1절곡선(11) 사이의 부분의 상부면이 바닥부(40)에 밀착되는 결합부(10)가 형성되며,
결합부(10)는 제1절곡선(11)에서 끝단으로 연장된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중앙의 정면삽입부(13)와 양측의 지지부(14)로 분리되는 세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제1절곡선(11)에 밀착되는 바닥부(40)에는 정면삽입부(13)가 끼워지면서 후면으로 연장되는 절개된 끼움슬릿(41)이 형성되며,
끼움슬릿(4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는 양측면과 후면측이 절개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멈춤부(50)가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멈춤부(50)는 끼움슬릿(41)의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하방이 개방된 형태의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는 제1멈춤절취선(52)과 전면측에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4절곡선(53)이 형성된 제1멈춤부(51)와, 끼움슬릿(41)의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양측면으로연장되어 ㄱ'자 형상으로 절개되는 제2멈춤절취선(56)과 전면측에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5절개선(57)이 형성된 제2멈춤부(55)를 포함하고,
끼움슬릿(41)은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 이상 형성되며,
멈춤부는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시 사용자가 간단하게 접어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차나 카페 등에서 배포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거치대를 휴대하여야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배포받은 거치대를 직접 접어서 테이블위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로 동영상 감상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견고한 플라스틱 제품에 비하여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므로 배포에 있어서 경제적 비용 부담이 적다. 또한 일회 사용 후 사용자가 재사용을 원할 경우 쉽게 다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다시 펼칠 경우 책장 사이에나 가방 등에 넣기 편리하기 때문에 휴대하더라도 휴대가 매우 간편해진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전체적인 형상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삼각기둥 형태를 가지므로 모바일 장치의 거치시 매우 안정적이고 견고한 거치가 가능하다. 특히 기차안에서 좌석 앞 테이블에서 모바일 장치를 통해 동영상 감상등을 할 때 기차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모바일 장치를 떨어뜨릴 염려가 없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광고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일반적인 모바일 장치의 크기에 적합한 사각형상의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로폭은 일반적인 모바일 장치의 가로 폭과 비슷한 6 내지 15 센티미터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사각형상의 끝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1절곡선(11)이 형성되고, 제1절곡선(1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2절곡선(21)이 형성되며, 제2절곡선(21)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3절곡선(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절곡선(11), 제2절곡선(21) 및 제3절곡선(31)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접으면 제2절곡선(21) 및 제3절곡선(31)을 중심으로 3각형상으로 접히게 되며, 제1절곡선(11)과 제2절곡선(21) 사이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이 부분이 전면 받침부(20)를 형성하고, 제2절곡선(21)과 제3절곡선(31) 사이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이 부분이 후면 받침부(30)를 형성한다. 또한, 제3절곡선(31)과 종이 또는 플라스틱의 타측끝단은 바닥부(40)를 형성하고, 끝단부분과 제1절곡선(11) 사이의 부분의 상부면이 바닥부(40)에 밀착되는 결합부(10)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결합부(10)의 길이는 너무 길 필요가 없으며, 1센티미터 내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받침부(20) 및 후면 받침부(30)의 길이는 일반적인 모바일 장치의 세로 폭과 비슷한 4 내지 8 센티미터 정도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정을 위해서 비슷한 길이를 가지거나 후면 받침부(30)가 약간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부(10)의 중앙부분에는 제1절곡선(11)에서 끝단으로 연장된 2개의 절개선(12)이 형성되어 중앙의 정면삽입부(13)와 양측의 지지부(14)로 분리되는 세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2개의 절개선(12)은 좌우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정면삽입부(13) 및 지지부(14)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이들 중 하나의 너비가 너무 작지 않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절곡선(11)에 밀착되는 바닥부(40)에는 정면삽입부(13)가 끼워지면서 후면으로 연장되는 절개된 끼움슬릿(4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10)의 상부면이 바닥부(40)에 밀착될 때에 바닥부(40)의 정면삽입부(13)가 바닥부(40)의 끼움슬릿(41)에 삽입된 후에 접히게 되면 전면 받침부(20)와 후면 받침부(30)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슬릿(41)은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끼움슬릿(41)을 포함할 경우, 정면삽입부(13)를 제3절곡선(31)에 가까운 쪽의 끼움슬릿(41)에 삽입한 경우에는 모바일 장치 거치대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고, 정면삽입부(13)를 제3절곡선(31)에 먼 쪽의 끼움슬릿(41)에 삽입한 경우에는 모바일 장치 거치대의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한편, 끼움슬릿(4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는 양측면과 후면측이 절개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멈춤부(50)가 형성된다. 멈춤부(50)는 끼움슬릿(4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제1멈춤부(51) 또는 양측면에 위치하는 제2멈춤부(55)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멈춤부(51)는 하방이 개방된 형태의 'ㄷ'자 형상으로 양측면과 후면측이 절개된 제1멈춤절취선(52)과 전면측에 제4절곡선(53)으로 이루어진다. 제1멈춤부(51)는 제4절곡선(53)을 따라 접으면 후면과 양측면이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접히게 된다. 이러한 제1멈춤부(51)를 세로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제1멈춤부(51)를 포함할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제3절곡선(31)에 가까운 쪽의 제1멈춤부(51)에 걸쳐놓았을 경우보다 제3절곡선(31)에 먼 쪽의 제1멈춤부(51)에 걸쳐놓았을 경우에 모바일 장치가 더 눕게 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멈춤부(55)는 끼움슬릿(41)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ㄱ'자 형상으로 종이 또는 플라스틱의 측면으로 연장된 후면과 측면이 제2멈춤절취선(56)과 전면에 제5절개선(57)이 형성된 제2멈춤부(55)가 각각 대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멈춤부(55)는 제5절곡선을 따라 접으면 후면과 양측면이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접히게 된다. 이러한 제2멈춤부(55)는 세로방향으로 2쌍 이상 형성될 수 있다. 2쌍 이상의 제2멈춤부(55)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제3절곡선(31)에 가까운 쪽의 제2멈춤부(55)에 걸쳐놓았을 경우보다 제3절곡선(31)에 먼 쪽의 제2멈춤부(55)에 걸쳐놓았을 경우에 모바일 장치가 더 눕게 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멈춤부(51)와 제2멈춤부(55)가 함께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4절곡선(53)이 제5절곡선(57)보다 제3절곡선(31)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할 경우, 거치된 모바일 장치가 제1멈춤부(51)에 걸쳐져 있는 경우보다 제2멈춤부(55)에 걸쳐져 있는 경우가 모바일 장치가 더 눕게된다. 그리고, 제1멈춤부(51)의 제1멈춤절취선(52)이 중앙에 형성되고, 제2멈춤부(55)의 제2멈춤절취선(56)이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것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하면 각 절취선에 의한 저면부의 강도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의 최하단, 제1멈춤부(51) 또는 제2멈춤부(55) 중의 어느 한 곳 이상의 부분에 광고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면삽입부(13)는 뒷면의 하단에 광고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거치하였을 때에도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기 때문에 광고영역에 표시된 광고 또한 매우 높은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6의 사용상태도를 참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는 모바일 장치의 몸통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1절곡선(11)의 지지부(14), 제2절곡선(21), 제3절곡선(31)을 상부방향으로 접으면서 제2절곡선(21)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면 1절곡선과 제2절곡선(21) 사이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이 부분이 전면 받침부(20)를 형성하고, 제2절곡선(21)과 제3절곡선(31) 사이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이 부분이 후면 받침부(30)를 형성한다. 이때, 끝단부분과 제1절곡선(11) 사이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정면삽입부(13)는 끼움슬릿(41)에 삽입된 후에 안쪽으로 접히면 전면 받침부(20)와 후면 받침부(30)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장치의 바닥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4절곡선(53)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접으면 제1멈춤부(51)가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위치하게 접히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몸통 후면은 전면받침부에 위치하고, 모바일 장치의 바닥부(40)분은 제1멈춤부(51)에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상태인 기울어진 상태로 놓을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장치의 바닥부(40)분이 중력에 의하여 앞으로 밀리게 되더라도 제1멈춤부(5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장치를 더욱 기울어진 상태로 놓는 경우에는 제1멈춤부(5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5절곡선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접으면 제5멈춤부를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몸통 후면은 전면받침부에 위치하고, 모바일 장치의 바닥부(40)분은 제2멈춤부(55)에 지지되도록 놓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결합부 11 : 제1절곡선
12 : 절개선 13 : 정면삽입부
14 : 지지부 20 : 전면 받침부
21 : 제2절곡선 30 : 후면 받침부
31 : 제3절곡선 40 : 바닥부
41 : 끼움슬릿 50 : 멈춤부
51 : 제1멈춤부 52 : 제1멈춤절취선
52 : 제2멈춤부 53 : 제4절곡선
56 : 제2멈춤절취선 57 : 제5절개선

Claims (6)

  1.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 소재의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끝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1절곡선과, 제1절곡선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2절곡선과, 제2절곡선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3절곡선이 형성되고,
    제1절곡선, 제2절곡선 및 제3절곡선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접으면 제1절곡선과 제2절곡선 사이에 형성된 전면 받침부와, 제2절곡선과 제3절곡선 사이에 형성된 후면 받침부와, 제3절곡선과 타측끝단으로 형성된 바닥부와, 끝단부분과 제1절곡선 사이의 부분의 상부면이 바닥부에 밀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결합부는 제1절곡선에서 끝단으로 연장된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중앙의 정면삽입부와 양측의 지지부로 분리되는 세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제1절곡선에 밀착되는 바닥부에는 정면삽입부가 끼워지면서 후면으로 연장되는 절개된 끼움슬릿이 형성되고,
    끼움슬릿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는 양측면과 후면측이 절개되어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멈춤부가 형성되며,
    멈춤부는 끼움슬릿의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하방이 개방된 형태의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는 제1멈춤절취선과 전면측에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4절곡선이 형성된 제1멈춤부와, 끼움슬릿의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ㄱ'자 형상으로 절개되는 제2멈춤절취선과 전면측에 상부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제5절개선이 형성된 제2멈춤부를 포함하고,
    끼움슬릿은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 이상 형성되며,
    멈춤부는 세로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 이상 형성되고,
    저면부의 최하단, 제1멈춤부 또는 제2멈춤부 중의 어느 한 곳 이상에 광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12907A 2011-02-14 2011-02-14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KR101214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07A KR101214526B1 (ko) 2011-02-14 2011-02-14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07A KR101214526B1 (ko) 2011-02-14 2011-02-14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956A KR20120092956A (ko) 2012-08-22
KR101214526B1 true KR101214526B1 (ko) 2012-12-27

Family

ID=4688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907A KR101214526B1 (ko) 2011-02-14 2011-02-14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16Y1 (ko) * 2013-02-14 2013-06-05 강세원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KR101461225B1 (ko) * 2014-08-05 2014-11-18 이정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641A (ja) * 2001-01-12 2002-07-30 Takami Kuwabara 段ボールによる書見台
WO2005020752A1 (en) 2003-09-03 2005-03-10 Wolf Ciecierski Stand, in particular for holding up a document and/or a laptop
WO2006108891A1 (es) 2005-04-12 2006-10-19 Gemma Bernado Bonada Soporte para teléfonos móvi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641A (ja) * 2001-01-12 2002-07-30 Takami Kuwabara 段ボールによる書見台
WO2005020752A1 (en) 2003-09-03 2005-03-10 Wolf Ciecierski Stand, in particular for holding up a document and/or a laptop
WO2006108891A1 (es) 2005-04-12 2006-10-19 Gemma Bernado Bonada Soporte para teléfonos móv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956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407B2 (en) Cutting board with scrap bin
KR101214526B1 (ko)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20160037935A1 (en) Chair Assembly
US20170164753A1 (en) Combination Cooler Support and Drink Display Device
US6401371B2 (en) Desktop pen, eyeglass and picture frame holder
KR20160071981A (ko) 모바일 장치 종이 거치대 만드는 도면
US20140291181A1 (en) Storage box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200451893Y1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US8602071B1 (en) Bag filling assembly
JP6319174B2 (ja) 携帯端末用観察部材
CN104149670B (zh) 一种地铁座椅用头枕装置
US20160058176A1 (en) Portable Table Assembly
JP2006130263A (ja) コップ安定置き台
KR200473785Y1 (ko) 보강 밴드가 구비된 빈백 쿠션
KR20190021045A (ko) 담배갑 진열대
JP3172641U (ja) 名札支持棒直立安定装置
CN213962992U (zh) 一种挂耳滤袋
CN203995812U (zh) 一种地铁座椅用头枕装置
CN208582153U (zh) 一种模压组合式纸杯托盘
KR200183739Y1 (ko) 담배판매대
JP6453591B2 (ja)
US10820758B1 (en) Adjustable upright standing soap dish
CN209047610U (zh) 一种鞋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