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12B1 -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12B1
KR101214512B1 KR1020100118526A KR20100118526A KR101214512B1 KR 101214512 B1 KR101214512 B1 KR 101214512B1 KR 1020100118526 A KR1020100118526 A KR 1020100118526A KR 20100118526 A KR20100118526 A KR 20100118526A KR 101214512 B1 KR101214512 B1 KR 10121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racket
inner pot
fixed
pressur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999A (ko
Inventor
배수호
손정철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3Locking devices using a clamping ring or clamping se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제품의 기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솥 내부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장착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며, 뚜껑 하부에 배치되는 탑로워 커버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컨트롤 브라켓; 및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뚜껑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테두리에 상기 내솥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 결합부 및 락킹링 결합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내솥 내부와 연통되되 상기 컨트롤 브라켓의 하면과 대향 배치되는 연통부가 형성된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electric coo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히터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식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개선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내솥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이용되는 기구로서, 상기 내솥의 상면부를 밀폐시켜 그 내부를 고온 및 고압 상태로 유지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의 압력조절수단이 결합된 탑히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기조리기의 압력조절수단이 결합된 탑히터 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1)는 본체 내측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내솥(9)을 열판을 사용한 직접적인 열전달 내지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여 그 내부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유지하여 단시간에 음식물을 취사한다. 이때, 상기 내솥(9)이 수용된 본체의 상부는 뚜껑(7)의 하부에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탑히터 플레이트(3)에 의하여 커버되되, 상기 뚜껑(7)이 닫히면 상기 내솥(9)이 밀폐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고온 및 고압이 유지되므로 취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온시에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탑히터 플레이트(3)의 외곽에는 상기 내솥(9)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회전식으로 교호 결합되어 맞물림으로써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락킹링(5)이 설치되고, 상기 락킹링(5)이 잠금상태인 경우 상기 탑히터 플레이트(3)의 외주부에 구비된 패킹이 상기 내솥(9)의 상단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솥(9) 내부를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탑히터 플레이트(3)의 상면부에는 압력추 밸브(11)과 솔레노이드 밸브(13)와 같은 압력조절수단과, 비복귀형 증기배출부(15) 및 뚜껑열림 방지부(17) 등과 같은 안전장치가 직접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탑히터 플레이트(3)는 알루미늄 재질을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제작하고 표면을 코팅 처리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의 탑히터 플레이트(3)는 고온 고압의 증기에 노출되는 경우 쉽게 부식되므로 그 표면에 내식성을 강화하기 위한 아노다이징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하였으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표면처리층이 벗겨지는 경우 해당 부분이 급격히 산화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탑히터 플레이트(3)의 하면에 별도의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오븐커버를 부착하는 등의 보완수단을 구비하였으나, 상기 오븐커버의 탈부착 과정에서 표면처리 피막의 스크래치 등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어려웠으며 부품수가 증가되어 사용편의성,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탑히터 플레이트(3)에는 상기 내솥(9)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이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홀의 내주면은 표면처리되기 어려운 구조였으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분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 내주면 테두리의 쉽게 부식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부식의 발생 정도가 심해지면 상기 관통홀을 막아 상기 압력조절수단이 오작동을 일으키는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점도 야기할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히터 플레이트를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하여 부식방지를 도모함에 있어서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솥 내부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장착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며, 뚜껑 하부에 배치되는 탑로워 커버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컨트롤 브라켓; 및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뚜껑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테두리에 상기 내솥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 결합부 및 락킹링 결합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내솥 내부와 연통되되 상기 컨트롤 브라켓의 하면과 대향 배치되는 연통부가 형성된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테두리에 내솥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 결합부 및 락킹링 결합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연통부를 형성하여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컨트롤 브라켓을 제작하는 제1단계; 상기 컨트롤 브라켓에 압력대응 작동수단을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컨트롤 브라켓을 뚜껑 하부에 배치된 탑 로워 커버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의 연통부가 상기 컨트롤 브라켓과 대향되도록 상기 탑 로워 커버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조리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가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내재된 내솥 상부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되므로 효율적인 부식방지 및 청결유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컨트롤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홀에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을 취합하여 장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간편한 고정 및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
셋째,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취합하여 고정되는 컨트롤 브라켓이 뚜껑 하부의 탑로워 커버에 직접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컨트롤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의 압력조절수단이 결합된 탑히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의 압력조절수단이 결합된 탑히터 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탑로워 커버, 컨트롤 브라켓 및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탑로워 커버와 결합된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탑로워 커버, 컨트롤 브라켓 및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탑로워 커버, 컨트롤 브라켓 및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탑로워 커버와 결합된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탑로워 커버, 컨트롤 브라켓 및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도 4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탑로워 커버, 컨트롤 브라켓 및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도 4의 C-C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는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 컨트롤 브라켓(110), 그리고 압력대응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뚜껑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내솥 상면부 전체를 덮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의 테두리에 내솥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103a)이 결합되는 내솥패킹 결합부(103 참조) 및 락킹링(55)이 결합되는 락킹링 결합부가 일체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는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의 외곽측 상면에는 복수개의 결합부재(101)가 스폿 웰딩(spot welding)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101)의 연장된 상부에는 상기 뚜껑의 하부에 배치되는 탑 로워 커버(15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재(101)의 상단부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101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01)의 연장된 상부 외주에는 스프링(102)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열선 내지 각종 가열원으로 이루어지는 탑히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상기 내솥 내부와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증기배출홀(109a)이 형성된 연통부(109)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은 상기 내솥 내부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각종 장치로서, 압력추 밸브(121) 및 솔레노이드 밸브(123)를 포함하는 압력조절수단과, 비복귀형 증기배출부(125) 및 뚜껑열림 방지부(127)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복귀식 증기배출부(125)는 내솥 내부에 이상 고압이 발생된 경우 플런저가 비복귀식으로 상승되어 증기를 배출시키며, 상기 뚜껑열림 방지부(127)는 내솥 내부가 설정압 이상인 경우 핀이 상승되어 락킹링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뚜껑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에는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이 장착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데, 하나의 컨트롤 브라켓(110)에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이 취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의 장착부에는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의 단부측 외면이 형합되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장착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홀(111)과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의 외주 사이에는 각각 밀폐를 위한 별도의 실링부재(107)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력대응 작동장치 중 안전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다이아프램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종 장치들이 하나의 컨트롤 브라켓(110)에 취합하여 조립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됨과 동시에 조립 및 생산성이 개선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브라켓에는 상기 뚜껑 하부에 배치되는 탑로워 커버(150)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5)에는 탑로워 커버(150)의 결합보스(156)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 등의 체결부재(106)가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이 탑로워 커버(150)에 결합되어 고정된 후,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가 전술된 결합부재(도 4의 101)를 매개로 상기 탑로워 커버(15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장착된 컨트롤 브라켓(100)의 하면은 상기 연통부(109)의 상면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과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는 상호 개별적이며 독립적으로 상기 탑로워 커버(15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109)의 위치와 컨트롤 브라켓(110)의 위치는 상호 대향된다.
한편, 상기 연통부(109)는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통부(109)에 형성되는 증기배출홀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121,123,125,127)의 단부에 각각 대응되어 결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증기배출홀의 테두리와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의 단부의 사이에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증기배출홀의 테두리 상면과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단부 사이에 가압되어 밀폐를 이루도록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알루미늄 내지 내열성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홈에는 상기 연통부(109) 테두리와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 하면 사이를 밀폐하는 보호패킹(130)의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호패킹(130)은 고온 고압의 증기가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와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 사이의 갭을 통하여 뚜껑 내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히, 상기 연통부(109)의 테두리는 단차지게 절곡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통부(109)의 절곡된 테두리의 측면부(109b)에는 상기 보호패킹(130)의 연장부(130a)의 일면이 접촉되어 밀폐를 이룬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장부(130a)는 그의 일면이 상기 단차진 측면부(109b)에 접촉되어 밀폐를 이루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내솥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는 상기 연장부(130a)를 외측으로 가압하지만, 상기 연장부(130a)의 외측 일면이 상기 측면부(109b)에 접촉 및 지지되어 밀폐되며 증기의 외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측면부(109b)에 더욱 밀착되므로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하면. 고온 고압의 증기가 존재하는 상기 내솥 상면은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에 의해 밀폐되므로 부식 방지 및 청결유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이 장착된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을 먼저 탑로워 커버(15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를 탑로워 커버(150)의 하면부에 결합하기만 하면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의 단부가 상기 연통부(109)의 증기배출홀(109a)를 통해 상기 내솥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예로써, 도 6을 참조하면, 압력추 밸브(121)의 유로(121a)는 상기 연통부(109)의 증기배출홀을 통하여 내솥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물론, 기타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종 안전장치의 경우 그 내부에 구비된 다이어프램이 상기 증기배출홀을 통하여 내솥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는 종래의 고온 고압의 증기에 약한 알루미늄 재질 대신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테두리에 내솥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 결합부 및 락킹링결합부가 형성된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 및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장착되기 위한 컨트롤 브라켓(110)을 제작한다(s701).
이후,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에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을 장착한다(s703). 이때,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단부는 상기 실링부재가 개재된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의 장착홀(111)에 형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밀폐를 이룬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을 뚜껑 하부에 배치된 탑로워 커버(150) 하단부를 결합한다(s705).
그리고,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를 뚜껑 하부에 배치된 탑로워 커버(150) 하단에 개별적으로 결합한다(s707). 이때,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연통부(109)는 상기 컨트롤 브라켓(110)의 하면부와 상호 대향됨과 아울러,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각 장치들의 유로가 상기 연통부에 형성된 증기배출홀을 통해 내솥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취합하여 고정되는 컨트롤 브라켓(110)이 뚜껑 하부의 탑로워 커버(150)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고정을 위한 구조를 간소화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전기조리기 7: 뚜껑
9: 내솥 100: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
109: 연통부 110: 컨트롤 브라켓
121: 압력추 밸브 121a: 유로
123: 솔레노이드 밸브 125: 비복귀형 증기배출부
127: 뚜껑열림 방지부 150: 탑로워커버

Claims (6)

  1. 내솥 내부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장착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며, 뚜껑 하부에 배치되는 탑로워 커버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컨트롤 브라켓; 및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뚜껑 하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테두리에 상기 내솥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 결합부 및 락킹링 결합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내솥 내부와 연통되되 상기 컨트롤 브라켓의 하면과 대향 배치되는 연통부가 형성된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압력대응 작동수단의 단부가 형합되어 고정되는 장착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브라켓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에는 상기 연통부 테두리와 상기 컨트롤 브라켓 하면 사이를 밀폐하는 보호패킹의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의 테두리는 단차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통부의 절곡된 테두리의 측면부에 접촉되어 밀폐를 이루도록 상기 보호패킹은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의 상면 외곽측에는 복수개의 결합부재가 스폿 웰딩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상기 뚜껑의 탑 로워 커버가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6.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테두리에 내솥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 결합부 및 락킹링 결합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연통부를 형성하여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컨트롤 브라켓을 제작하는 제1단계;
    상기 컨트롤 브라켓에 압력대응 작동수단을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컨트롤 브라켓을 뚜껑 하부에 배치된 탑 로워 커버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탑히터 스텐 플레이트의 연통부가 상기 컨트롤 브라켓과 대향되도록 상기 탑 로워 커버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조리기의 제조방법.
KR1020100118526A 2010-11-26 2010-11-26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26A KR101214512B1 (ko) 2010-11-26 2010-11-26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26A KR101214512B1 (ko) 2010-11-26 2010-11-26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99A KR20120056999A (ko) 2012-06-05
KR101214512B1 true KR101214512B1 (ko) 2013-01-09

Family

ID=4660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526A KR101214512B1 (ko) 2010-11-26 2010-11-26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43B1 (ko) * 2006-05-15 2007-09-07 양근혜 전기압력조리기의 덮개부
KR100857577B1 (ko) * 2007-06-13 2008-09-09 쿠쿠전자주식회사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KR20100002402U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리홈 전기압력밥솥의 스텐커버장착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43B1 (ko) * 2006-05-15 2007-09-07 양근혜 전기압력조리기의 덮개부
KR100857577B1 (ko) * 2007-06-13 2008-09-09 쿠쿠전자주식회사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KR20100002402U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리홈 전기압력밥솥의 스텐커버장착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99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403B1 (ko) 전기조리기
KR101292769B1 (ko) 전기조리기
KR100542335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N105559619A (zh) 排气阀组件和具有其的电饭煲
KR101214512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8643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CN204133256U (zh) 排气阀组件和具有其的电饭煲
CN211704261U (zh) 冷却结构及压力锅
KR101218638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744863B (zh) 烹饪器具
KR101875136B1 (ko) 전기조리기
KR101388508B1 (ko) 전기조리기
KR101218642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110023A (zh) 冷却结构及压力锅
KR101218641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55357A (ko) 전기조리기
KR100827406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비복귀형 증기 배출장치
KR20090030110A (ko) 전기 압력솥의 증기 배출밸브
CN210540734U (zh) 分体式烹饪器具
KR20130055355A (ko) 전기조리기
KR200460251Y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102492361B1 (ko) 전기압력밥솥
KR102426297B1 (ko) 전기압력밥솥
JP7257792B2 (ja) 加熱調理器
KR102159814B1 (ko) 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