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298B1 -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298B1
KR101214298B1 KR1020110093839A KR20110093839A KR101214298B1 KR 101214298 B1 KR101214298 B1 KR 101214298B1 KR 1020110093839 A KR1020110093839 A KR 1020110093839A KR 20110093839 A KR20110093839 A KR 20110093839A KR 101214298 B1 KR101214298 B1 KR 10121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cable
power transmission
wind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택
Original Assignee
우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택 filed Critical 우정택
Priority to KR102011009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supported on or from floats, e.g.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의 발전시설에 접근한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해상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는, 해상에 설치되는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전케이블과, 상기 송전케이블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상기 타단부를 이송시키는 송전케이블견인선과,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송전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송전케이블이 풀려나거나 감기는 송전케이블권취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Ocean power generator system having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power line to power storage Ship}
본 발명은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상에 위치하는 풍력발전기, 파력발전기 등에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선박이 근접 거리에 접근한 후, 상기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해상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지구온난화와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라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해상(海上)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풍력 또는 파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자 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2897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5193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888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8788호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해상발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해상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풍력발전기(1)의 타워(2) 하부에 부유체(3)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는 풍력발전기(1)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량체(4)가 수중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케이블(5)에 의해 풍력발전기(1)가 일정영역에 체류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풍력발전기(1)에서 생산된 전력은 송전케이블(6)이 해저면을 따라 육지까지 부설됨으로써 송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풍력 또는 파력을 이용하는 해상발전장치는 양질의 풍력 또는 파력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연안을 출입하는 선박 등과 충돌하는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연안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해상발전장치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로 전송하기 위해 해저에 장거리의 송전케이블을 부설하는 경우, 새로운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즉, 장거리의 송전케이블이 설치됨으로써 그 설치비용과 노력이 과도할 뿐 아니라, 해저의 조류, 선박과의 접촉 등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한 파손 시, 육지에서의 경우와 달리 심해에서 작업이 이루어거나 해상으로 올려 선상에서 보수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보수작업이 매우 어렵고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육지까지 장거리의 송전케이블을 설치하지 않고 해상발전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해상의 발전시설에 접근한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해상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는, 해상에 설치되는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전케이블과, 상기 송전케이블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상기 타단부를 이송시키는 송전케이블견인선과,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송전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송전케이블이 풀려나거나 감기는 송전케이블권취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송전케이블권취장치는,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 또는,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케이블을 감는 권취드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송전케이블권취장치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 또는,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과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수단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거리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거리를 전송받아 상기 거리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풀려나거나 감기는 상기 송전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에는 상기 송전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가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신축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신축장치는 텔레스코픽장치 또는 링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에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을 풍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피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송전케이블은 상기 대피공간을 통해서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에 연결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먼 해상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또는 파력발전기와 연결되어 육지까지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장거리의 송전케이블을 설치하고 유지 및 보수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있고, 전력저장선박이 생산된 전력을 운송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전력저장선박이 풍력발전기 또는 파력발전기에 접근하는 경우, 파랑과 같은 해수의 움직임에 의해 충돌 등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원거리에서 송전케이블견인선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 또는 파력발전기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생산된 전력의 수송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송전케이블견인선과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수단이 설치되어,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와 송전케이블견인선 간의 거리에 상당하도록 송전케이블 길이가 조절되므로 송전케이블견인선의 케이블견인작업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고 원활히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송전케이블견인선의 신축장치에 커넥터가 설치되고 신축장치의 신축에 따라 커넥터가 전력저장선박에 접근 및 이격되어 송전케이블이 전력저장선박에 연결되고 있으므로, 송전케이블과 전력저장선박의 전기적 연결이 해상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에 송전케이블견인선의 대피공간이 마련됨으로써 태풍 등의 비상상황에서 송전케이블과 송전케이블견인선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에서 권취드럼이 설치된 영역의 확대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케이블견인선이 전력저장선박에 접근하여 커넥터가 연견된 상태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케이블견인선이 대피공간에 대피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에서 권취드럼을 견인선박의 내부에 설치한 변형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가 다수의 해상풍력발전기에 적용되고 다수의 송전케이블견인선이 전력저장선박에 접근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상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10)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케이블에 의해 육지까지 전달하지 않고, 전력저장선박(70)이 해상의 풍력발전기(10)에 접근하여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여 육지로 운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는 먼 해상의 해상발전장치와 연결되는 장거리의 송전케이블의 설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력저장선박(70)은 전기에너지를 직접 저장하거나, 전기에너지를 변환한 형태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으로, 대량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가 탑재된 선박,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설비를 탑재하여 수소를 생산한 후 육지로 운송하는 선박이다. 상기 수소는 연료전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쉽게 변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는, 해상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10)와, 상기 풍력발전기(10)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풍력발전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전케이블(30)과, 상기 송전케이블(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풍력발전기(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상기 타단부를 이송시키는 송전케이블견인선(50)과, 상기 풍력발전기(10)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송전케이블(3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송전케이블(30)이 풀려나거나 감기는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풍력발전기(10)는 통상적인 해상용 풍력발전기(10)로서, 블레이드, 나셀 조립체, 타워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풍력발전기(10)는 해상에서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기의 하나의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고, 해상에서 발전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발전장치에 본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파력발전장치의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권취드럼(21)과 권취드럼(21)에 감기는 송전케이블(30)을 파력발전작용에 방해되지 않는 일측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기(10)는 대수심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부유체(14)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이고, 해저면과 연결되는 고정케이블(16)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중량추연결체(15)에 의해 중량추가 하측에 설치됨으로써 해수 중에 부유한 상태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송전케이블(30)은 상기 풍력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이 후술하게 될 전력저장선박(70)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전력선이다. 상기 송전케이블(30)은 일측이 풍력발전기(10)의 발전설비에 연결되고, 타측은 송전케이블견인선(50)에 연결되어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송전케이블(30)을 끌어 상기 풍력발전기(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있는 전력저장선박(70)까지 이송시킨다. 상기 송전케이블(30)은 풍력발전기(10)의 타워(11) 하부에 설치되는 권취드럼(21)에 감겨 있는 상태이고,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의 이동에 따라 권취드럼(21)으로부터 풀려난다. 송전케이블(30)은 풍력발전기(10)로부터 송전케이블견인선(50)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해수 중에서 과도하게 처지지 않도록 그 피복재의 내부에 공기층이나 부유재를 포함시키거나 피복재의 외측에 부유체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船)(50)은 송전케이블(30)의 타단부가 설치되고 송전케이블(30)을 권취드럼(21)으로부터 끌어내어 전력저장선박(70)까지 이송시키는 소형선박이다. 송전케이블견인선(50)은 전력저장선박(70)에서 제어하여 풍력발전기(10)로부터 전력저장선박(70)이 정박한 위치까지 이동하거나 풍력발전기(10)로 복귀하는 운전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송전케이블(30)을 전력저장선박(70)에 연결함으로써 대형선박인 전력저장선박(70)이 해상발전장치에 접근하여 충돌 등의 위험상황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접속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에는 전력저장선박(70)에 송전케이블(30)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55)가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55)의 위치를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신축장치(5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신축장치(52)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링크장치로 구성하거나, 텔레스코픽(telescopic)장치로 구성하여 상기 커넥터(55)를 송전케이블견인선(50)으로부터 전력저장선박(70)의 커넥터삽입구(75)로 전달하여, 전력저장선박(70)에 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55)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수단으로 전력저장선박(70)의 커넥터삽입구(75)에 삽입되면 전력저장선박(70)의 내부에서 작업자 또는 자동화장치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는 송전케이블(30)을 감는 권취드럼(21)과,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과 풍력발전기(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수단(24)과, 상기 권취드럼(21)을 회전시키는 전동기(22)와, 상기 거리측정수단(24)에서 측정된 거리를 전송받아 상기 거리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21)으로부터 풀려나거나 감기는 송전케이블(3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동기(22)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드럼(21)은 송전케이블견인선(50) 또는 상기 풍력발전기(10)에 설치되어 송전케이블(30)이 그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상기 권취드럼(21)에는 체인 등의 전동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부가하는 전동기(22)가 권취드럼(21)이 위치하는 장소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 2에서는 권취드럼(21)이 풍력발전기(10)의 하부에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에서는 권취드럼(21)이 송전케이블견인선(50)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풍력발전기(10)의 타워 하부에 하우징(18)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권취드럼(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드럼(21)은 전동체인(23)에 의해 전동기(22)로부터 회전력을 받고 있으며, 상기 전동기(22)는 회전수를 제어하여 권취드럼(21)으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송전케이블(3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보모터(servo motor)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권취드럼(21)이 설치된 영역을 확대하여 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권취드럼(21)의 회전축(25)은 양측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스프로킷(28)이 고정되어 전동체인(23)으로부터 회전축(25)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있다.
권취드럼(21)의 일측에는 회전축(25)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설치된 한 쌍의 브러쉬링(44)이 고정되고, 상기 브러쉬링(44)에 접하도록 브러쉬(42)가 설치된다. 브러쉬(42)는 브러쉬링(44)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이 발생하고 있고, 풍력발전기(10)의 발전부와 연결선(41)에 의해 연결되어 한 쌍의 브러쉬링(44)과 상기 연결선(4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브러쉬링(44)은 회전축(25)과 권취드럼(21)의 내부에서 상기 송전케이블(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권취드럼(2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풍력발전기(10)의 전력은 송전케이블(3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도 2의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의 구성을 변형한 것으로 권취드럼(21)이 송전케이블견인선(50)의 내부에 설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송전케이블(30)은 풍력발전기(10)의 발전부에서 연장되는 연결선(41)과 직접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고, 송전케이블견인선(50)의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드럼(21)에 감긴 상태에서 권취드럼(21)을 전동기(22)가 회전시켜 송전케이블(30)이 풀리거나 감기는 길이가 조절된다. 권취드럼(21)에 감겨 있는 송전케이블(30)과, 신축장치(52)에 설치된 커넥터(55)와의 전기적 연결방식은 전술한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는, 권취드럼(21)을 회전시키는 전동기(22)가 설치되지 않고 권취드럼(21)이 탄성스프링에 의한 송전케이블(30)을 감는 토크를 받으며, 송전케이블(30)에 작용하는 견인력이 제거되면 저절로 송전케이블(30)이 권취드럼(21)에 감기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탄성스프링의 토크를 이기고 송전케이블(30)을 견인해야 하므로 송전케이블견인선(50)에 과도한 동력이 요구될 것이다.
한편, 상기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의 거리측정수단(24)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 또는 풍력발전기(10)의 하부구조물에 설치되어 송전케이블견인선(50)과 풍력발전기(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측정된 거리에 따라 권취드럼(21)으로부터 풀려나거나 감기는 송전케이블(3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전동기(22)의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 거리측정수단(24)은 음파, 초음파, 적외선 등이 측정대상에 부딪혀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검출하는 다양한 방식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방식 중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풍력발전기(10) 하부의 하우징(18)에 거리측정수단(24)을 설치하고, 송전케이블견인선(50)에는 반사판(2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수단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사된 음파, 초음파, 적외선 등이 상기 반사판(27)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시간이 측정됨으로써 풍력발전기(10)와 송전케이블견인선(50) 사이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에서는 상기 거리측정수단(24)에 의해 풍력발전기(10)와 송전케이블견인선(50)의 거리가 일정시간간격으로 측정되면, 그 거리에 따라 제어장치는 전동기(22)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송전케이블(30)이 풀려나거나 감기는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전력저장선박(70)에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접근하는 경우, 측정된 상기 거리에 따라 전동기(22)를 구동하므로써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전진한 거리만큼 실시간으로 송전케이블(30)이 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송전케이블(30)이 과도한 길이가 풀려나서 송전케이블견인선(50)의 견인부하를 증가시키거나, 송전케이블(30)이 충분히 풀리지 않아 송전케이블견인선(50)의 진행을 방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풍력발전기(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을 풍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피공간(13)이 마련된다. 상기 대피공간(13)은 풍력발전기(10)의 하부구조물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기상예보에 의해 태풍 등의 접근이 예상되면, 전력저장선박(70)은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상기 대피공간(13)에 진입하도록 운전제어한 후 육지로 철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나 송전케이블(30)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대피공간(13)은 해상에 설치되는 파력발전기 등 타 종류의 해상발전기인 경우에도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은 상기 대피공간(13)을 수시로 출입하게 되므로, 송전케이블(30)은 대피공간(13)의 벽면, 천정 등을 통해 설치됨으로써 송전케이블견인선(5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해상에 다수의 풍력발전기(10)가 설치된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전력저장선박(70)에 다수의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접근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과 같이, 해상풍력발전단지에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풍력발전기(10)가 설치되므로, 각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왕래하는 전력저장선박(70)이 도착하면, 다수의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전력저장선박(70)에 접근하여 신축장치(52)에 의해 송전케이블(30)과 연결된 커넥터(55)를 전력저장선박(70)에 연결하게 된다. 그와 같은 작동은 모두 전력저장선박(70)의 주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자동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저장선박(70)의 충전 또는 수소생산이 완료되면, 송전케이블견인선(50)이 커넥터(55)를 전력저장선박(70)으로부터 분리한 후, 전력저장선박(7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다. 이후, 전력저장선박(70)이 철수하고 주변영역에 대기하고 있던 또 다른 전력저장선박(70)이 같은 위치에 정박하면, 다수의 송전케이블견인선(50)은 전력저장선박(70)에 접근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해서 진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풍력발전기 2,11; 타워
3; 부유체 4; 중량체
5,16; 고정케이블 6,30; 송전케이블
10; 풍력발전기 13; 대피공간
14; 부유체 15; 중량추연결체
18; 하우징 20; 송전케이블권취장치
21; 권취드럼 22; 전동기
23; 전동체인 24; 거리측정수단
25; 회전축 27; 반사판
28; 스프로킷 41; 연결선
42; 브러쉬 44; 브러쉬링
50; 송전케이블견인선 52; 신축장치
55; 커넥터 70; 전력저장선박
75; 커넥터삽입구

Claims (6)

  1. 해상에 설치되는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와,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전케이블(30)과,
    상기 송전케이블(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상기 타단부를 이송시키는 송전케이블견인선(50)과,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송전케이블(3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송전케이블(30)이 풀려나거나 감기는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는,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 또는,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케이블(30)을 감는 권취드럼(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케이블권취장치(20)는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 또는,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과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수단(24)과,
    상기 권취드럼(21)을 회전시키는 전동기(22)와,
    상기 거리측정수단(24)에서 측정된 거리를 전송받아 상기 거리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21)으로부터 풀려나거나 감기는 상기 송전케이블(3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동기(22)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55)가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55)의 위치를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신축장치(5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장치(52)는 텔레스코픽장치 또는 링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을 풍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피공간(13)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송전케이블(30)은 상기 대피공간(13)을 통해서 상기 파력 또는 풍력발전기(10)와 상기 송전케이블견인선(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KR1020110093839A 2011-09-19 2011-09-19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KR10121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39A KR101214298B1 (ko) 2011-09-19 2011-09-19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39A KR101214298B1 (ko) 2011-09-19 2011-09-19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298B1 true KR101214298B1 (ko) 2012-12-20

Family

ID=4790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39A KR101214298B1 (ko) 2011-09-19 2011-09-19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2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658A (ko) 2017-09-29 2017-12-13 (주)판토스 선박의 해저케이블 운송장치 및 운송방법
WO2021013415A1 (de) * 2019-07-24 2021-01-28 Rwe Renewables Gmbh Energiekabelanordung für offshore-windpar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263A (ja) 2005-04-14 2006-10-26 Ihi Marine United Inc 船用給電装置および船舶の給電切り替え方法
JP2008521694A (ja) 2004-12-01 2008-06-26 イパルコ ビー ヴィ 海上給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694A (ja) 2004-12-01 2008-06-26 イパルコ ビー ヴィ 海上給電システム
JP2006290263A (ja) 2005-04-14 2006-10-26 Ihi Marine United Inc 船用給電装置および船舶の給電切り替え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658A (ko) 2017-09-29 2017-12-13 (주)판토스 선박의 해저케이블 운송장치 및 운송방법
WO2021013415A1 (de) * 2019-07-24 2021-01-28 Rwe Renewables Gmbh Energiekabelanordung für offshore-windparks
US11679953B2 (en) 2019-07-24 2023-06-20 Rwe Renewables Gmbh Power cable arrangement for offshore wind far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0388B2 (ja) 浮体式太陽光発電システム
CA2964793C (en) Connection system for array cables of disconnectable offshore energy devices
JP7142914B2 (ja) 再生可能なエネルギバージ船
US8169099B2 (en) Deep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and method of deep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assembly,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GB2586893A (en) Offshore power distribution method and arrangement
US20140102189A1 (en) Hydroelectric turbine testing method
EP2018477B1 (en) Offshore apparatus for capturing energy
CN104948380B (zh) 一种波浪能光伏与海上风机联合发电系统
AU2011347182A1 (en) A hydroelectric turbine testing method
KR101214298B1 (ko) 전력저장선박에 송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해상발전장치
JP2016149868A (ja) 電力ケーブルユニットおよび送電システム
CN210744829U (zh) 一种利用波浪能进行海底无线充电的装置
GB2602462A (en) Floating wind turbine array
US11440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nd data transmission in a body of water to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CN110768349A (zh) 一种利用海流能进行海底无线充电的装置
NL1044133B1 (nl) Methode en Inrichting voor het vervoeren van energie vanaf in zee geïnstalleerde windturbines
WO2024003616A1 (en) Connection arrangements for marine energy installations
JP2021085329A (ja) 浮遊式水流発電システムを敷設する方法
WO202303427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gen generation, collection, and distribution
KR20230126254A (ko) 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Ricci et al. Cabling umbilical and array layout
KR20130046893A (ko) 수중철탑을 이용한 전력시스템 연계방법
KR20150005748A (ko) 잠수함 전력 공급용 해저 압축공기저장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