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466B1 -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466B1
KR101213466B1 KR1020110063121A KR20110063121A KR101213466B1 KR 101213466 B1 KR101213466 B1 KR 101213466B1 KR 1020110063121 A KR1020110063121 A KR 1020110063121A KR 20110063121 A KR20110063121 A KR 20110063121A KR 101213466 B1 KR101213466 B1 KR 10121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fatty acid
surfactant
acid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544A (ko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켐
Publication of KR2012002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기 위한 가스 용기로서, 내부에 70.00[중량%] 내지 99.89[중량%]의 화장료 조성물과,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제1 계면활성제, 및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가스는 0.1[㎫] 내지 1.0[㎫]의 압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1[㎜] 이상의 지름을 갖는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형태로 부드럽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GAS CONTAINER FOR SPRAYING COSMETIC COMPOSITION IN MICRO MOISTURE MIST-TYPE}
본 발명은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형태로 미세하고 부드럽게 분사할 수 있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피부 미용에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의 간편성과 사용의 편리함을 고려한 스프레이 방식의 화장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방식의 화장품들을 구성하는 미스트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소형 고압가스 용기에 압축가스와 함께 수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시 개방된 밸브를 통해 피부로 분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스트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종종 안개와 같이 미세하게 분사되지 않고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됨으로 인해, 사용자에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미스트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피부에 물방울 형태로 맺혀진 화장료 조성물을 직접 손으로 두드려 다시 퍼트려야 한다는 점에서 번거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치기 때문에 메이크업을 완료한 이후에는 실질적으로 스프레이 방식의 화장품은 사용할 수 없다는 결함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지 않고,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형태로 미세하고 부드럽게 분사할 수 있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기 위한 가스 용기로서, 내부에 70.00[중량%] 내지 99.89[중량%]의 화장료 조성물과,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제1 계면활성제, 및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가스는 0.1[㎫] 내지 1.0[㎫]의 압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1[㎜] 이상의 지름을 갖는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이크로 미스트 형태로 부드럽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계면활성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변경하지 않도록,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따라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가스는 압축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100.00 [중량%]로 할 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00.00 [중량%] 전체를 정제수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80.00 [중량%] 내지 99.90 [중량%]의 정제수와,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의 보습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100.00 [중량%]로 할 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45.00 [중량%] 내지 99.69 [중량%]의 정제수와,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의 보습제와, 0.01 [중량%] 내지 5.00 [중량%]의 점증제와, 0.10 [중량%] 내지 10.00 [중량%]의 제2 계면활성제, 및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의 에탄올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15.00 [중량%] 내지 99.68 [중량%]의 정제수와,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의 보습제와, 0.01 [중량%] 내지 5.00 [중량%]의 점증제와, 0.10 [중량%] 내지 10.00 [중량%]의 제2 계면활성제와,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의 에탄올, 및 0.01 [중량%] 내지 30.0 [중량%]의 오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은, 비극성의 탄화수소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에스테르류, 고급 알코올류, 고급지방산류, 동식물유지,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실리콘오일, 식물정유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를 더 포함하여,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폴리솔베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계면활성제는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서로 다른 종류의 계면활성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의하면,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지 않고,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형태로 미세하고 부드럽게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미세하고 부드럽게 분사되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재차 손을 쓸 필요가 없으며, 메이크업이 완료된 이후에도 스프레이 방식의 화장품으로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실험 1 내지 실험 6에 있어서 분사 상태가 매우 양호하거나 양호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실험 1 내지 실험 6에 있어서 분사 상태가 불량하거나 매우 불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정제수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할 때, 입자의 크기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실험 데이터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정제수와 보습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할 때 입자의 크기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실험 데이터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제2 계면활성제, 에탄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할 때 입자의 크기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실험 데이터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제2 계면활성제, 에탄올,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할 때 입자의 크기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실험 데이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는 화장료 조성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기 위한 가스 용기로서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과, 제1 계면활성제, 및 압축가스를 포함한다.
먼저, 가스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가스 용기는 사용자가 화장품으로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그 부피가 크지 않아야 하므로 소형 용기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가스 용기는 내부에 압축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쉽게 폭발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법률상 규정하고 있는 규격에 맞추어 제작될 것이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의해 마이크로 미스트 형태로 피부에 도포되는 물질로서, 가스 용기 내부에 포함되는 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스 용기에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은 후술할 제1 계면활성제와 압축가스의 양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지만, 이를 수치화하면 가스 용기에 포함되는 물질의 총 무게를 100[중량%]이라 할 때 70.00[중량%] 내지 99.89[중량%]를 차지한다.
이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표 1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베타인, 알라토인, 디소튬이디티이에이,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트캐스터오일, 방부제, 알코올, 판테놀, 향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수분 미스트 제형(moisture mist-type)의 화장료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정제수가 다량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선 블록 미스트 제형(sun block mist-type)의 화장료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O/W형 자외선 차단제가 다량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무작위적으로 선택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는 점을 고려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그 종류와 양이 선택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6b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이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과는 무관하게 가스 용기에 포함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제1 계면활성제는 묽은 용액 속에서 계면에 흡착하여 그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로서, 하나의 분자 속에 친유기와 친수기가 함께 들어 있는 양쪽 친매성인 물질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모든 계면활성제가 제1 계면활성제에 포함되지는 않고, 화장료 조성물에 따라 그 종류가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즉, 화장료 조성물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제2 계면활성제, 에탄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면,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솔베이트,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된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에 오일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솔베이트도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실험예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화장료 조성물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가스 용기 내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화장료 조성물 때문에 제1 계면활성제가 갖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변경되어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변경하지 않기 위하여 제1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제한적으로 선택하는 중요한 이유도 있다. 즉, 제1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종류가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제1 계면활성제의 무게비도 화장료 조성물에 따라 제한적으로 선택되어지며, 구체적으로는 가스 용기 내부에 포함되는 물질의 총 무게를 100[중량%]이라 할 때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제1 계면활성제의 양이 0.01[중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굵게 뭉쳐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화장료 조성물을 마이크로 미스트 형태로 부드럽게 분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반대로 제1 계면활성제의 양이 20.00[중량%]보다 큰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거품 형태로 분사되며 피부 트러블이 생길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압축가스는 화장료 조성물을 가스 용기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압축가스는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LPG), 디메틸에테르(DME) 등과 같은 끓는점이 -50℃ 내지 0℃인 액화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화가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싫어하는 냄새일 수 있으며 예상치 못한 피부의 동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압축공기의 압축 정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의 내구력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압축가스는 가스 용기 내부에 포함되는 물질의 총 무게를 100[중량%]이라 할 때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압축가스의 무게비를 한정하는 이유는 제1 계면활성제와 함께 화장료 조성물을 마이크로 미스트 형태로 부드럽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압축가스가 0.10 [중량%]보다 적은 양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대로 분사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며, 압축가스가 10.00[중량%]보다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빠른 속도로 과도하게 분사되어 상대적으로 물방울 형태로 뭉쳐지는 것과 같이 분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압축가스는 가스 용기 내에서 0.1[㎫] 내지 1.0[㎫]의 압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 역시 압축가스의 무게비를 한정하는 이유와 동일한 이유이다.
즉, 압축가스가 0.1[㎫]보다 작은 압력을 갖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대로 분사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며, 압축가스가 1.0[㎫]보다 큰 압력을 갖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빠른 속도로 과도하게 분사되어 상대적으로 물방울 형태로 뭉쳐지는 것과 같이 분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와 같은 압축가스의 무게비에 대한 한정 및 압력에 대한 한정은, 압축가스의 종류 및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기계적 요소인 밸브의 기술 발전으로 달라질 수 있을 것이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고려하여 제1 계면활성제 및 압축가스를 조정하고, 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효과를 도 3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스 용기에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100.00 [중량%]로 할 때 100.00 [중량%] 전체를 정제수로 구성하고, 제1 계면활성제와 압축가스를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종류와 양을 조정한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하면,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70.00[중량%] 내지 99.89[중량%]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에, 제1 계면활성제로서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과, 0.1[㎫] 내지 1.0[㎫]의 압력을 갖는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를 포함시키면, 도 3a 및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제수는 180[㎛] 내지 250[㎛]의 크기로 부드럽게 분사된다.
이와 같은 크기로 정제수가 부드럽게 분사된다는 것은, 적절한 종류와 양의 제1 계면활성제 및 압축가스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1[㎜] 이상의 지름을 갖는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라고 할 것이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에 정제수 이외에 보습제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화장료 조성물이 정제수로만 구성될 때와 동일하게 제1 계면활성제와 압축가스의 종류와 양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한 결과는 도 4a 및 도 4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습제의 종류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그 양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계면활성제와 관계 및 사용자에게 적용할 경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100.00 [중량%]로 할 때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보습제의 양이 100.00 [중량%]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0.10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비하며, 20.00 [중량%] 초과이면 사용자의 피부에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즉, 화장료 조성물에 해당하는 정제수 및 보습제를 80.00 대 20.00 내지 99.90 대 0.10의 비율로 70.00[중량%] 내지 99.89[중량%]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에, 제1 계면활성제로서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과, 0.1[㎫] 내지 1.0[㎫]의 압력을 갖는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를 포함시키면, 도 4a 및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은 180[㎛] 내지 300[㎛]의 크기로 부드럽게 분사된다.
한편,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도 3a 내지 도 4b로 나타난 실험 결과는 향료가 추가적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품화되어 판매할 때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환기시킬 가능성은 비교적 적은 편이어서, 다음과 같이 도 5a 및 도 6b로 나타난 실험 결과에 더욱 주목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향료를 가용화하기 위하여는 점증제, 제2 계면활성제, 에탄올, 오일 등이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인데, 이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되는 종류가 많아지면, 제1 계면활성제 및 압축가스의 종류와 양을 적절히 조정하거나 또는 추가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의 비율을 적절히 조정하여야 할 것이며, 도 5a 및 도 6b로 나타난 실험 결과는 화장료 조성물, 제1 계면활성제 및 압축가스를 적절히 조절하였을 때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험 결과는, 화장료 조성물을 100.00 [중량%]로 할 때 정제수를 45.00 [중량%] 내지 99.69 [중량%]로 하고, 보습제를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로 하며, 점증제를 0.01 [중량%] 내지 5.00 [중량%]로 하고, 제2 계면활성제를 0.10 [중량%] 내지 10.00 [중량%]로 하며, 에탄올을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로 하여 70.00[중량%] 내지 99.89[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제1 계면활성제로서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과, 0.1[㎫] 내지 1.0[㎫]의 압력을 갖는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를 포함시킨 경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포함되는 물질을 구성하게 되면, 도 5a 및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은 120[㎛] 내지 250[㎛]의 크기로 부드럽게 분사된다.
이때, 제2 계면활성제는 제1 계면활성제와 다른 별도의 계면활성제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분사 상태를 개선하는데 실질적으로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이하 서술할 실험예를 참고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계면활성제에 해당하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트캐스터오일을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트캐스터오일을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하는 것은, 정제수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분사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제수에 향료가 잘 포착되도록 하여 피부에 분사시 사용자가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2 계면활성제를 추가되지 않는다면, 정제수에 향료가 잘 포착되지 않을 것이므로, 사용자는 피부에 분사시 향을 느낄 수 없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상품화되어 판매할 때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환기시킬 가능성이 줄어들게 될 것이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실험 결과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실험 결과에 있어서의 화장료 조성물에 오일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경우이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100.00 [중량%]로 할 때 정제수를 15.00 [중량%] 내지 99.68 [중량%]로 하고, 보습제를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로 하며, 점증제를 0.01 [중량%] 내지 5.00 [중량%]로 하고, 제2 계면활성제를 0.10 [중량%] 내지 10.00 [중량%]로 하며, 에탄올을 0.10 [중량%] 내지 20.00 [중량%]로 하고, 오일을 0.01 [중량%] 내지 30.0 [중량%]로 하여 가스 용기에 70.00[중량%] 내지 99.89[중량%] 포함시키고, 나머지를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제1 계면활성제와, 0.11[㎫] 내지 1.0[㎫]의 압력을 갖는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를 포함시킨 경우이다.
이때, 오일은 화장품, 의약품 등의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일은 극성의 탄화수소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에스테르류, 고급 알코올류, 고급지방산류, 동식물유지,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실리콘오일, 식물정유오일 등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이러한 오일에 대하여 예를 들면,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류, 카프릭/카르픽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 트리옥타노인, 디에톡시에틸썩씨네이트, 옥틸썩시네이트, 네오 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이소 스테아릴 이소 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류, 케스터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오일, 팜 오일, 해바라기 오일 등의 유지류,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류, 유칼리투스 오일 등의 식물정유오일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오일로도 제1 계면활성제가 갖는 역할인 표면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1 계면활성제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후술할 실험 5의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오일로서 제1 계면활성제를 대체하는 경우 장기간 사용시 층 분리가 발생되어 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1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 구성요소라고 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오일의 효과를 고려하여 볼 때, 오일이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후술할 실험 4에서 언급될 폴리솔베이트도 제1 계면활성제의 한 종류로 포함될 수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에 오일이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폴리솔베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에 포함되는 물질을 구성하게 되면, 도 6a 및 도 6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은 150[㎛] 내지 250[㎛]의 크기로 부드럽게 분사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도 3a 및 도 6b의 실험 결과에 있어서 분사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크기를 비교하여 보면, 그래프 상에서 실험 결과의 분산 값은 일부 상이하나 평균값은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제1 계면활성제 및 압축가스를 동일하게 포함하여 실험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것이며, 만약 다른 제1 계면활성제 또는 다른 압축가스를 포함하여 실험한다면 도 3a 및 도 6b의 실험 결과와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결과라고 하더라도 이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실험예에 불과하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효과를 다른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함으로써, 종래의 가스 용기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는 효과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의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의 실험예 역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여기서 언급된 성분 및 밸브의 종류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혀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먼저, 실험 1 내지 실험 6에 대하여 설명하면, 실험 1 내지 실험 6은 아래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 유칼리투스오일, 실리콘오일(사이클로메치콘)의 유?무에 따라 실험예를 6개의 실험으로 나눈 것이다.
성분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실험6
정제수 93.43 93.13 93.13 93.13 93.13 92.73
글리세린 0.50 0.50 0.50 0.50 0.50 0.50
부틸렌글라이콜 0.20 0.20 0.20 0.20 0.20 0.20
베타인 3.00 3.00 3.00 3.00 3.00 3.00
알라토인 0.20 0.20 0.20 0.20 0.20 0.20
디소튬이디티이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트캐스터오일 0.30 0.30 0.30 0.30 0.30 0.30
방부제 0.20 0.20 0.20 0.20 0.20 0.20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판테놀 0.10 0.10 0.10 0.10 0.10 0.10
향료 0.05 0.05 0.05 0.05 0.05 0.05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 0.30 - - - -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 - 0.30 - - -
폴리솔베이트 - - - 0.30 - 0.20
유칼리투스오일 - - - - - 0.50
실리콘오일(사이클로메치콘) - - - - 0.30 -
즉, 실험 1의 경우에는 제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실험한 것이고, 실험 2 및 실험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실험한 것으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제1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실험한 것이다. 또한, 실험 4는 오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폴리솔베이트를 계면활성제로 포함하여 실험한 것이며, 실험 5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실리콘오일(사이클로메치콘)만 포함하여 실험한 것이고, 실험 6은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솔베이트를 포함하고, 오일로서 유칼리투스오일을 포함하여 실험한 것이다.
한편, 나머지 성분은 본 발명의 작용 및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물질을 더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생산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전제로 하여 실험한 것으로, 가스 용기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100이라고 할 때 각 성분에 해당하는 양을 상대적으로 나타내면 위 표 1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의 일 실시예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한 결과는 아래 표 2 및 표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상태는, 분사되지 않고 대기하고 있는 경과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1일, 1개월, 3개월, 6개월로 나누어, 표 2 및 표 3에 그 결과를 표시하였다. 또한, 일반 밸브와 일반 밸브보다 분사가 더 양호하게 되는 파우치 밸브로 나누어 표 2 및 표 3에 각각 분사 상태를 확인한 결과를 표시하였다.
한편, 분사 상태를 확인한 결과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되었을 때 관찰되는 물방울의 크기 및 개수를 기준으로 4단계로 표시하였다. 즉, 물방울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지름이 1[㎜] 이하의 물방울이 약 1개 내지 5개 정도 관찰되는 경우에는 '양호'한 것으로, 지름이 약 1[㎜] 내지 약 3[㎜] 정도의 물방울이 약 5개 내지 20개 정도 관찰되는 경우에는 '불량'으로, 지름이 약 3[㎜] 이상의 물방울이 약 20개 이상인 경우에는 '매우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일반 밸브인 경우>
경과 시간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실험6
1일 경과한 이후 × ×
1개월 경과한 이후 × ×
3개월 경과한 이후 × ×
6개월 경과한 이후 × × ×
(◎: 매우 양호, ○: 양호, △: 불량, ×: 매우 불량)
<파우치 밸브인 경우>
경과 시간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실험6
1일 경과한 이후
1개월 경과한 이후
3개월 경과한 이후
6개월 경과한 이후
(◎: 매우 양호, ○: 양호, △: 불량, ×: 매우 불량)
위의 표 2 및 표 3에 표시된 분사 상태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각 실험에 대하여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실험한 실험 1 및 오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폴리솔베이트를 제1 계면활성제로서 포함하여 실험한 실험 4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상태가 '매우 불량'하거나 '불량'하다.
한편, 제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오일만 포함하여 실험한 실험 5의 경우에는, 일반 밸브인 경우에는 분사 상태가 '불량'하거나 '매우 불량'하지만, 파우치 밸브인 경우에는 분사 상태가 '매우 양호'하거나 '불량'하다.
이는 실험 5와 같이 제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오일만 포함하는 경우 일반 밸브로서 달성할 수 없는 본 발명의 효과를 파우치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6개월 경과하여 분사한 경우 분사 상태가 현저하게 불량해진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실험 2 및 실험 3, 실험 6과 같은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제1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실험한 것으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실험한 실험 2 및 실험 3, 또는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솔베이트를 포함하고, 오일로서 유칼리투스오일을 포함하여 실험한 실험 6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상태가 '매우 우수'하거나 '우수'하다.
이와 같은 위의 표 2 및 표 3에 표시된 분사 상태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하면, 화장료 조성물은 1[㎜] 이상의 지름을 갖는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지 않고,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형태로 미세하고 부드럽게 분사되는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화장료 조성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기 위한 가스 용기로서,
    70.00[중량%] 내지 99.89[중량%]의 화장료 조성물과,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 및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제1 계면활성제가 가스 용기 내부에 포함되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향료가 함유된 70.00[중량%] 내지 99.8[중량%]의 정제수와,
    상기 정제수에 함유된 상기 항료가 상기 정제수에 포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와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제2 계면활성제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에톡시디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솔비톨, 말티톨, 폴리에칠렌글라이콜, 베타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0.10[중량%] 내지 20.00[중량%]의 보습제로 구성되면,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기 이전에 상온에서 0.1[㎫] 내지 1.0[㎫]의 내부압력을 갖는 압축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를 상기 제2 계면활성제와 상이하게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압축가스 및 상기 제1 계면활성제로 인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1[㎜] 이상의 지름을 갖는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마이크로 미스트 형태로 부드럽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2. 화장료 조성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기 위한 가스 용기로서,
    70.00[중량%] 내지 99.89[중량%]의 화장료 조성물과,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압축가스 및 0.01[중량%] 내지 20.00[중량%]의 제1 계면활성제가 가스 용기 내부에 포함되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향료가 함유된 15.00[중량%] 내지 99.68[중량%]의 정제수와,
    상기 정제수에 함유된 상기 향료가 상기 정제수에 포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와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0.10[중량%] 내지 10.00[중량%]의 제2 계면활성제와,
    0.10[중량%] 내지 20.00[중량%]의 에탄올과,
    비극성의 탄화수소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에스테르류, 고급 알코올류, 고급지방산류, 동식물유지,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실리콘오일, 식물정유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0.01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의 오일과,
    0.01[중량%] 내지 5.00[중량%]의 점증제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에톡시디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솔비톨, 말티톨, 폴리에칠렌글라이콜, 베타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0.10[중량%] 내지 20.00[중량%]의 보습제로 구성되면,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분사되기 이전에 상온에서 0.1[㎫] 내지 1.0[㎫]의 내부압력을 갖는 압축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를 상기 제2 계면활성제와 상이하게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또는 폴리솔베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압축가스 및 상기 제1 계면활성제로 인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1[㎜] 이상의 지름을 갖는 물방울 형태로 굵게 뭉쳐서 분사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마이크로 미스트 형태로 부드럽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63121A 2010-08-17 2011-06-28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KR101213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232 2010-08-17
KR1020100079232 2010-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44A KR20120022544A (ko) 2012-03-12
KR101213466B1 true KR101213466B1 (ko) 2012-12-20

Family

ID=4613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121A KR101213466B1 (ko) 2010-08-17 2011-06-28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159A (ko) * 2013-04-02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 조성물을 배합하여 분사각을 증진시킨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224A (ja) 2002-09-13 2004-04-08 Kao Corp 噴霧化粧料
JP2009013102A (ja) 2007-07-04 2009-01-22 Nisshin Kagaku Kk エアゾール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エアゾール製品
JP2009235025A (ja) 2008-03-28 2009-10-15 Kose Corp ミスト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224A (ja) 2002-09-13 2004-04-08 Kao Corp 噴霧化粧料
JP2009013102A (ja) 2007-07-04 2009-01-22 Nisshin Kagaku Kk エアゾール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エアゾール製品
JP2009235025A (ja) 2008-03-28 2009-10-15 Kose Corp ミスト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159A (ko) * 2013-04-02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 조성물을 배합하여 분사각을 증진시킨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8827B1 (ko) * 2013-04-02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 조성물을 배합하여 분사각을 증진시킨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44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0947A1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CA2714015C (en) Substantially non-aqueous foamable petrolatum base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and their uses
ES2170522T5 (es) Crema cutánea espumosa.
ES2532906T5 (es) Espuma cosmética y farmacéutica
JP5921818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H08119831A (ja) 起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KR20180045539A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BR112018073118B1 (pt) Formulação espumante, método para preparar uma formulação espumável, e, embalagem pressurizada
CN107929097A (zh) 一种防晒泡沫气雾剂
KR101412020B1 (ko) 에어졸형 모발 화장료
KR101991248B1 (ko) 화장료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가지는 시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3466B1 (ko) 마이크로 수분 미스트 분사용 가스 용기
AU2017263533A1 (en) Whipped formulations with desired sensory impact
KR102453890B1 (ko)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JP6069547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6163340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その使用方法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241745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6214135B2 (ja) 人体用害虫忌避エアゾール剤、及びこれを用いた害虫忌避並びに冷感の付与方法。
US9333186B2 (en) Dermo-cosmetic composition for pets
EP1151744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dermatologique à stabilité améliorée
US20080249161A1 (en) Dermo-Cosmetic Composition For Pets
WO2019230835A1 (ja) マスク塗布用製剤
JP3905512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
US20140199256A1 (en) Cosmetic Compositions Including Natural Or Naturally Derived Polye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