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412B1 - Vats용 니들 - Google Patents

Vats용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412B1
KR101212412B1 KR1020100082181A KR20100082181A KR101212412B1 KR 101212412 B1 KR101212412 B1 KR 101212412B1 KR 1020100082181 A KR1020100082181 A KR 1020100082181A KR 20100082181 A KR20100082181 A KR 20100082181A KR 101212412 B1 KR101212412 B1 KR 10121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usher
vats
connecto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068A (ko
Inventor
이호연
이경수
도영수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0008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4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흉부수술에 사용되는 VATS용 니들로서, 일부가 인체에 삽입되는 니들(needle)부; 상기 니들부가 내측에 실장된 채로 삽입된 후 상기 니들부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중공형의 튜브부; 및 일단이 뭉툭한 푸셔를 포함하는 VATS용 니들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탄성을 갖는 후크(hook tip); 일단이 상기 후크에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레드 바디(thread body)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의 상기 일단으로 상기 커넥터를 밀어 상기 푸셔 및 상기 커넥터 모두 상기 튜브부 내측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부는 상기 니들부 및 상기 푸셔가 실장된 채로 삽입된 후 상기 튜브부 및 상기 푸셔가 상기 니들부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니들부의 튜브부의 굵기는 23G 내지 24G이고, 상기 푸셔의 굵기는 30G이고, 상기 니들부의 삽입시 간극이 0.03mm2이며, 상기 스레드 바디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된 실크 봉합사로서,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TS용 니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VATS용 니들{A needle for VATS}
본 발명은 VATS용 니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체내 장기의 작은 종양의 제거 수술 전에 종양의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여 수술을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시행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니들에 관한 것으로, 폐, 유방을 비롯한 각종 장기 내 종양 표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니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 종양의 표시를 위한 니들의 폐 삽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인 공기색전증(air embolism)을 최소화할 수 있는 VATS용 니들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흉부 내부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대부분의 환자에게 외과적인 방법(surgical method)으로서 가슴을 열고 수술을 하는 흉강절개술(thoracoscopic wedge resection)을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이하 "CT") 및 방사 단층 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과 같은 촬영 기법(non-invasive method)의 급격한 발전과 건강 검진용 저선량 가슴 CT(low dose chest CT)의 이용 확대로, 1~2mm의 매우 작은 결절까지 발견되고 수술적 진단과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한편으로 암 병력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폐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3 내지 6개월마다 정규적으로 chest CT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CT에서 새롭게 보이는 아주 작은 결절에 대해서는 폐전이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확한 수술적 제거 및 병리 진단이 필수적이다.
최근 이러한 작은 결절의 제거의 경우, 폐기능의 보전을 위해 제거되는 폐조직의 양을 최소화하고, 수술의 위험을 줄이고, 수술 시의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고자 비디오 흉부수술(VATS;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의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비디오 흉부수술(VATS)이란 몇몇의 작은(예를 들어, 1 ~ 2cm) 흉벽 천공을 하고, 그 중 하나의 천공을 통하여 비디오 모니터와 연결된 흉강경을 삽입한 후 다른 천공을 통하여 특별히 제작된 내시경용 기구를 삽입하여 흉부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이다.
흉강절개술과 비교하면, 비디오 흉부수술(VATS)은 미리 결정된 대상에 국한된 절개로서 절개 부위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환자의 고통이 덜하며(less painful), 환자의 회복이 빠를 수 있으며(early return to full recovery), 사망률이 낮고(less pulmonary morbidity), 위급 환자(morbid patients)에게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기존의 흉강 절개술의 경우, 수술 집도의가 폐를 직접 만져 큰 결절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비디오 흉부수술(VATS)의 경우는 이러한 확인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며, 실제 만지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너무 작은 결절 크기로 인해 collapsed lung 내에서 결절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한 이유로 시술 전에 대상 폐결절(target lung nodule or pulmonary nodule)의 위치를 표시(localization or marking)하는 시술이 먼저 요구되며, 정확한 위치 표시와 수술 전까지 안정적인 표시 기구의 유지가 수술시간의 단축과, 정확한 결절 제거의 성공률에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만약 표시가 부정확한 경우(poor localization) 수술 시간이 증가하며, 계획되지 않은 개흉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폐결절 표시 시술 빈도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정확하고 효과적이며 안정적인 폐결절 표시 시술의 요구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폐결절을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되는 방법들로, 초음파(ultrasound), 엔도핑거(endofinger), 촉지(finger palpation and wait and watch), 방사선유도(radioguided), 생체염료(vital dye), 투영염료표시(fluoroscopic agar marking), 및 니들 와이어(needle wir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은 각각 장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초음파 방법, 엔도핑거 방법, 촉지 방법은 시술 자체가 복잡하지 않다는 장점을 가지나, 초음파 방법은 시술자의 능력에 크게 의존적이며, 수술장에 초음파 전문가가 항상 함께해야 하기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엔도핑거는 깊고 연한 결절(deep and tender nodule)에 적합하지 않으며, 촉지 방법은 폐의 완전한 디플레이션(complete lung deflation)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며, VATS에 있어서 사실상 불가능하다.
반대로, 방사선유도 방법, 생체염료 방법, 투영염료표시 방법, 니들 와이어 방법은 시술 자체가 다소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나, 조금 더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방사선 유도 방법은 매 시술마다 c-arm을 이용한 시술이 필수적이고 수술 집도의와 환자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전제로 하기에 환자에 대한 일반적인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염료나 니들 와이어 방법은 비교적 간편한 시술 방법과 저렴한 비용이라는 장점을 갖지만 대비(contrast)가 확연히 나타나지 않거나 일부 개흉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니들 와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시술 후 환자의 작은 움직엠으로도 쉽게, 표시하여야 하는 자리를 벗어날 수도 있으며(dislodgement) 시술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들 중 니들 와이어를 사용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니들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니들 와이어에 대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종래 사용되는 니들 와이어를 설명한다.
상기 방법은 후크 와이어(hook wire)로 지칭되기도 하는 니들 와이어를 환자의 흉부에 삽입하여 대상 폐결절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니들 와이어는 비디오 흉부수술(VATS) 또는 기타 흉부, 유방 관련 치료, 진단 또는 시술 이전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술 2시간 전에 시술하는 것이 평균적으로 보고된다.
도 1a는 종래 사용되는 니들 와이어를 도시한다. 니들 와이어는 니들부(1) 및 니들부(1)가 내부에 실장될 수 있는 외측의 튜브부(6)로 이루어진다.
튜브부(6)는 내측에 니들부(1)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형이며, 전단에는 피부(skin) 및 흉막(pleura)을 통과하도록 날카롭게 이루어진 중공형 첨단부(7)가 위치하며, 후단에는 시술자를 위한 손잡이(8)가 위치한다.
니들부(1)는 후크(hook tip)(2), 커넥터(connector)(3) 및 와이어 바디(4)로 이루어진다. 후크(2)는 튜브부(6)가 환자 외부로 배출된 경우에도 니들부(1)가 고정되도록 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니들 와이어의 튜브부(6) 굵기는 18G 내지 22G이며 그 길이는 3 내지 10cm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니들 와이어는 튜브부(6) 굵기가 21G(외경 약 0.7mm, 내경 약 0.6mm)이며, 니들부(1) 굵기는 30G(약 0.25mm)이다.
튜브부(6) 굵기에 있어서, 시술자는 튜브부(6) 삽입을 위한 힘을 와이어 바디(4)를 통해 가하기 때문에 와이어 바디(4)는 소정의 강성(stiffness)이 필요하고,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금속(metal) 성분 와이어의 물성상 소정의 굵기가 필요하며 그 굵기는 약 30G이다.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 사용되는 니들 와이어(1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니들부(1)는 튜브부(6) 내측에 실장되어 준비된다. 니들부(1)의 후크(2)는 탄성을 갖은 상태로 굽혀서 튜브부(6)의 내측에 완전히 실장되며, 이로 인하여 튜브부(6)의 첨단부(7)가 환자에 먼저 삽입되어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튜브부(6) 내측에 니들부(1)가 실장된 상태(A)에서 튜브부(6)와 니들부(1)에 힘을 가하여 대상 폐결절 또는 그 주변에 니들 와이어를 삽입한다(B).
튜브부(6) 및 니들부(1)가 삽입된 후, 튜브부(6)만을 외측으로 배출한다(C). 튜브부(6)가 상승되면 후크(2)는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이로 인하여 니들부(1)가 폐결절 또는 그 주변에 고정된다(D).
도 1c는 니들 와이어(10)에 의한 표시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니들 와이어는 다음의 문제점을 갖는다.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튜브부의 내경(약 0.6mm)과 내부 와이어 바디(약 0.25mm) 사이에 약 0.3mm2의 간극이 생겨, 니들 와이어의 폐 삽입시 상기 간극을 통한 공기가 폐혈관 내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인 공기색전증(air embolism)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이러한 큰 간극은 기존의 니들 와이어가 애초에 유방조직의 결절 표시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폐조직의 특수한 성질(즉, air-containing)과 이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공기색전증을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지는 한계이며, 실제 이 니들 와이어를 사용한 환자에서의 공기색전증 에 대한 학술 보고들이 세계적으로 다수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성을 갖는 와이어로 인하여 삽입 이후 도 1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채로 유지되기에 니들 와이어의 고정(fixation)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삽입 이후 환자 흉막의 생리적 슬라이딩에 의해 니들 와이어에 비틀림 응력(torsional stress)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바디(4)가 쉽게 밀리거나 이동할 수 있어서(needle dislodgement), 수술 전에 표시 위치가 변경되거나 빠져버리는 일(failed localization)이 흔하며, 또한 환자에게 불편함 또는 고통을 줄 수도 있다.
또한, 기흉(peumothorax)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가끔은 폐내 출혈(intrapulmonary hemorrhage) 또는 혈흉(hemothorax)이 문제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들 중 일부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는 와이어 바디(4)의 재질을 이동이 잘 되지 않고 고정력이 높은 재질로 바꾸는 것인데, 그러한 재질은 매우 고가이어서 환자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단점들의 해결에도 요원하지 않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CT 기술의 발전으로 니들 와이어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추세이기에, 상기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환자가 체감하는 부담 정도는 매우 높을 수 있다.
미국 특허 US 5,556,410은 니들부의 단면을 반원형으로 바꾸는 방식의 니들 와이어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공기색전증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어도 그 외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니들 와이어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인 공기색전증 발생을 최소화하는 VATS용 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니들 와이어의 고정(fixation)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환자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는 값비싼 재질로 변경하는 방안이 아닌, 비용 면에 있어서도 유리한 방법을 안출하고자 한다.
또한, 시술 절차를 복잡하게 하지 않음으로서 시술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환자에게 위험하지 않고 불편함이나 고통을 적게 느끼도록 하며 안정적인 VATS용 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디오 흉부수술에 사용되는 VATS용 니들로서, 일부가 인체에 삽입되는 니들(needle)부; 상기 니들부가 내측에 실장된 채로 삽입된 후 상기 니들부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중공형의 튜브부; 및 일단이 뭉툭한 푸셔를 포함하는 VATS용 니들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탄성을 갖는 후크(hook tip); 일단이 상기 후크에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레드 바디(thread body)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의 상기 일단으로 상기 커넥터를 밀어 상기 푸셔 및 상기 커넥터 모두 상기 튜브부 내측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부는 상기 니들부 및 상기 푸셔가 실장된 채로 삽입된 후 상기 튜브부 및 상기 푸셔가 상기 니들부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니들부의 튜브부의 굵기는 23G 내지 24G이고, 상기 푸셔의 굵기는 30G이고, 상기 니들부의 삽입시 간극이 0.03mm2이며, 상기 스레드 바디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된 실크 봉합사로서,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TS용 니들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푸셔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타단 측에 위치하며, 상기 푸셔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니들부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레드 바디의 굵기는 0.05 내지 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는 금속(metal)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서 고정의 문제를 해결하고, 복잡하거나 위험한 시술을 요구하지 않으며, 환자에게 불편함이나 고통을 적게 느끼도록 하는 안정적인 VATS용 니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VATS용 니들은 종래의 니들 와이어에 비하여 전체적인 굵기가 현저히 감소한다.
종래의 니들 와이어의 튜브부 굵기가 약 18G 내지 22G(가장 널리 사용되는 굵기가 21G)이고 니들부의 굵기가 30G이어서 약 0.3mm2의 간극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공기색전증의 발생 확률이 낮지 않은데, 본 발명에 의한 VATS용 니들은 튜브부 굵기가 22G 내지 25G, 바람직하게 23G 내지 24G이며 약 30G의 푸셔를 사용하기에 간극이 약 0.03mm2이어서 90% 이상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색전증의 발생 확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봉합사의 사용으로 인하여 고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체내 장기의 작은 종양 제거 수술 전에 종양의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여 수술을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시행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폐, 유방을 비롯한 각종 장기 내 종양 표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니들 와이어를 도시하며,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VATS용 니들을 도시한다.
도 1b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니들 와이어 및 본 발명에 따른 VATS용 니들의 작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니들(needle)"은 종래의 "니들 와이어(needle wire)" 또는 "후크 와이어(hook wire)"로 지칭되는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신체 내부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모든 형태의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니들"로 표기하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VATS용 니들"을 의미함을 강조해둔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대상(target)"은 니들로서 표시하고자 하는 환자의 신체 내부 특정 위치 또는 그 주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굵기"는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내경이 아닌 외경으로서의 굵기를 의미하며, 굵기의 단위 "G"는 게이지 단위를 의미한다. 특히, "니들부의 굵기"는 니들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디 부분의 외경의 굵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튜브부의 굵기" 역시 튜브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디 부분의 외경의 굵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니들은 니들부(10)와 튜브부(60)로 이루어진다.
튜브부(60)는 도 1a에서 설명한 종래의 튜브부와 같이 내측에 니들부(10)가 실장되고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중공형이며, 튜브부(60)의 전단에는 날카로운 첨단부(70)가 위치하며, 후단에는 손잡이(80)가 위치한다.
니들부(100)는 후크(20), 커넥터(30), 스레드 바디(thread body)(40)로 이루어져서, 니들부(100)의 일부는 인체에 삽입된다.
후크(20)는 종래 사용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20)는 탄성이 있어서 대상 위치에서 튜브부(60)가 외부로 배출되면 탄성에 의해 펼쳐지면서 니들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커넥터(30)는 후크(20)와 스레드 바디(40)를 잇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푸셔(50)가 니들부(100)를 밀 수 있는 받침 역할을 한다. 커넥터(30)의 굵기는 니들부(100)보다 크나, 푸셔(50)와 니들부를 합한 것보다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스레드 바디(40)는 기존의 와이어가 아닌 봉합사(suture)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스레드 바디(40)의 사용에 의하여 종래의 니들 와이어가 갖는, 고정이 어려우며 슬라이딩의 우려가 있으며 환자에게 불편함이나 고통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스레드 바디(40)는, 많은 시술자가 다루기 쉬운 실크 봉합사(silk sutur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굵기는 0.05 ~ 0.15mm이며, 일반적으로 약 0.1mm이다.
실크 봉합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 성분의 와이어 바디를 사용하는 종래의 니들 와이어와 비교하여, 첫째 방사선 촬영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둘째 강성이 약하여 삽입시에 시술자가 힘을 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첫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레드 바디(40)에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이용한 코팅(radio-opaque material coating)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니들부(100)는 푸셔(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셔(50)는 커넥터(30)의 일 말단을 누를 수 있어서 시술자가 푸셔(50)에 가한 힘이 커넥터(30)를 통해 니들부(10)에 전달되어 니들부(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니들부(10)의 삽입 후에는 튜브부(60)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시술자는 푸셔(50)에 힘을 가하여 커넥터(30)를 통해 니들부(10)에 힘을 전달하기에, 푸셔(50)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푸셔(50)는 튜브부(60)의 내측에 삽입된다.
푸셔(50)는 종래 니들 와이어의 와이어와 달리 힘을 전달해주는 역할만을 하기에 그 굵기는 30G이면 족하며, 제조 공차에 따라 약 29G 내지 31G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튜브부(60)는 푸셔(50)가 삽입되어 니들부(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굵기면 족하며, 스레드 바디(40)의 굵기가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기에 그 굵기는 22G 내지 25G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3G 내지 24G일 수 있다. 즉, 푸셔(50)가 통과 가능한 가장 작은 굵기가 바람직하다.
약 0.1mm인 튜브부(60)의 두께를 고려하면, 예를 들어 튜브부(60)의 내경의 굵기는 약 26G 내지 27G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30G 굵기의 푸셔(50)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힘 전달이 매끄러우면서도 내측 간극이 종래의 니들 와이어에 비하여 90% 이상 감소하기에 공기색전증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니들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니들부(10)와 푸셔(50)가 튜브부(60) 내측에 실장되어 준비된다. 니들부(10)의 후크(20)는 탄성을 갖은 상태로 굽혀서 튜브부(60)의 내측에 완전히 실장되어 준비된다.
튜브부(60) 내측에 니들부(10)와 푸셔(50)가 실장된 상태(A)에서 튜브부(60)와 푸셔(50)에 힘을 가하여 대상 폐결절 또는 그 주변에 니들을 삽입한다(B).
삽입된 후, 튜브부(60)와 푸셔(50)를 외측으로 배출한다(C). 튜브부(60)와 푸셔(50)가 배출되면 후크(20)는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이로 인하여 니들부(10)가 폐결절 또는 그 주변에 고정되고, 환자 외측으로는 스레드 바디(40)만이 남게 된다(D). 이후, 시술자는 스레드 바디(40)를 반창고와 같은 접착부재(200)를 이용하여 피부에 고정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해보면, 스레드 바디(40)의 재질은 실과 같은 성분이며, 특히 실크 봉합사를 사용하기에, 시술자가 다루기 편리하며 비용 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와이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스레드 바디(40)를 피부에 고정시킬 수 있기에, 종래의 니들 와이어 고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환자에게 불편함이나 고통을 덜 주게 되고 위치가 변경될 가능성도 적어서, 위험성을 낮추고 안정적인 시술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10: 니들부
2, 20: 후크
3, 30: 커넥터
4: 와이어 바디
6, 60: 튜브부
7, 70: 첨단부
8, 80: 손잡이
40: 스레드 바디
50: 푸셔
200: 접착부재

Claims (12)

  1. 비디오 흉부수술에 사용되는 VATS용 니들로서,
    일부가 인체에 삽입되는 니들(needle)부;
    상기 니들부가 내측에 실장된 채로 삽입된 후 상기 니들부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중공형의 튜브부; 및
    일단이 뭉툭한 푸셔를 포함하는 VATS용 니들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탄성을 갖는 후크(hook tip);
    일단이 상기 후크에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레드 바디(thread body)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의 상기 일단으로 상기 커넥터를 밀어 상기 푸셔 및 상기 커넥터 모두 상기 튜브부 내측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부는 상기 니들부 및 상기 푸셔가 실장된 채로 삽입된 후 상기 튜브부 및 상기 푸셔가 상기 니들부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니들부의 튜브부의 굵기는 23G 내지 24G이고, 상기 푸셔의 굵기는 30G이고, 상기 니들부의 삽입시 간극이 0.03mm2이며,
    상기 스레드 바디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코팅된 실크 봉합사로서,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TS용 니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타단 측에 위치하며,
    상기 푸셔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니들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TS용 니들.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바디의 굵기는 0.05 내지 0.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TS용 니들.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금속(metal)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TS용 니들.
  12. 삭제
KR1020100082181A 2010-08-24 2010-08-24 Vats용 니들 KR10121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81A KR101212412B1 (ko) 2010-08-24 2010-08-24 Vats용 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81A KR101212412B1 (ko) 2010-08-24 2010-08-24 Vats용 니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68A KR20120019068A (ko) 2012-03-06
KR101212412B1 true KR101212412B1 (ko) 2012-12-13

Family

ID=4612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181A KR101212412B1 (ko) 2010-08-24 2010-08-24 Vats용 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47B1 (ko) * 2013-12-11 2014-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외과 수술용 표시구
CN108888320A (zh) * 2018-08-13 2018-11-27 王玉涛 用于肺结节穿刺定位的针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4983A1 (en) 1998-03-03 2006-05-04 Burbank Fred H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medical instruments to desired locations in a patient's bod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4983A1 (en) 1998-03-03 2006-05-04 Burbank Fred H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medical instruments to desired locations in a patient's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68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3290B2 (ja) 血管内閉塞システム
Sofocleous et al. Sonographically guided placement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venous catheters: review of 355 procedures.
JP5830028B2 (ja) 位置決め・マーカーを持つ血管内カテーテル及び配置法
Chi et al. Ultrasound guidance for renal tract access and dilation reduces radiation exposure during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US1079206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luoro-less or near fluoro-less percutaneous surgery access
US20170095314A1 (en) Kit and Method for Reduced Radiation Procedures
CA2052999A1 (en) Guide for localizing a nonpalpable breast lesion
CN103347454A (zh) 用于递送植入物,例如在肺中经支气管镜植入标记物的递送导管和方法
US20240130829A1 (en) Tissue mark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Pilegaard Short Nuss bar procedure
KR101212412B1 (ko) Vats용 니들
Gompelmann et al. Endoscopic lung volume reduction. A European perspective
Xing et al. Novel methods of removing metallic foreign body from human soft tissue: a report of 7390 cases
CN204274463U (zh) 一种放射显影标记测量导管
CN215778565U (zh) 骨伤科用骨折复位钳
KR102115663B1 (ko)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
CN204121122U (zh) 一种肿瘤内科介入治疗针引导装置
KR101211397B1 (ko) 폐결절의 흉강경 수술을 위한 위치표시 와이어
CN210811592U (zh) 肺小结节双侧定位器械
CN208892732U (zh) 肿瘤内科用介入治疗装置
US20180263655A1 (en) Guidance device for ultrasonography guided device placement
CN219940814U (zh) 一种肺结节定位装置及系统
CN213347199U (zh) 一种注射辅助器
RU2751279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ровня позвоноч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сегмента при операциях на позвоночнике
CN213130315U (zh) 一种脑棉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