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064B1 - 너트 - Google Patents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064B1
KR101212064B1 KR1020090086274A KR20090086274A KR101212064B1 KR 101212064 B1 KR101212064 B1 KR 101212064B1 KR 1020090086274 A KR1020090086274 A KR 1020090086274A KR 20090086274 A KR20090086274 A KR 20090086274A KR 101212064 B1 KR101212064 B1 KR 101212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upport
cam portion
bolt memb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714A (ko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102009008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5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the action of one or more springs or resilient retai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공이 형성된 너트가 분할되어 이루어진 일측 및 타측 너트와; 상기 타측 너트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너트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지지대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타단부에 축고정되는 캠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캠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타측 너트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 너트, 타측 너트, 일측 지지대, 타측 지지대 및 손잡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 너트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몽키스패너 등의 도구 없이도 볼트부재 등과 조립 및 분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립하는 과정 중에 분실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일측 너트, 타측 너트, 일측 지지대, 타측 지지대, 손잡이부

Description

너트{NUT}
본 발명은 도구 없이도 조립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과정 중에 분실될 우려가 없는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너트는 공구에 물려 돌릴 수 있는 외형성과 암나사부가 볼트의 수나사부에 체결결합되는 나사로 구성된다.
볼트와 너트를 체결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볼트의 수나사부를 너트의 암나사부에 삽입한 후 너트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너트가 볼트의 수나사부상에 일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볼트의 수나사부와 체결결합된 상태의 너트를 분리하고 할 경우에는 너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볼트의 수나사부상에 위치하는 너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만큼 너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너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너트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도구 없이도 조립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과정 중에 분실될 우려가 없는 너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도구 없이도 조립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과정 중에 분실될 우려가 없는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사공이 형성된 너트가 분할되어 이루어진 일측 및 타측 너트와; 상기 타측 너트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너트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지지대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타단부에 축고정되는 캠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캠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타측 너트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너트와 상기 타측 너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복수 구비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너트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타측 너트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 너트, 타측 너트, 일측 지지대, 타측 지지대 및 손잡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 너트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몽키스패너 등의 도구 없이도 볼트부재 등과 조립 및 분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립하는 과정 중에 분실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너트와 상기 타측 너트 사이에 탄성부재가 복수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볼트부재 등에 조립된 상태의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를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측 너트가 상기 캠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볼트부재 등에 조립된 상태의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를 몽키스패너 등의 도구 없이도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 각각 길이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너트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타측 너트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몽키스패너 등의 도구 없이도 사용자가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를 상기 볼트부재 등과 보다 더욱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측 너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너트를 분실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캠부(510)에 의해 타측 너트(2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너트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너트(10), 타측 너트(20), 일측 지지대(30), 타측 지지대(40) 및 손잡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는 나사공이 형성된 너트가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부재(도 3의 9) 등의 수나사부(도 3의 91)와 맞물린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내측에 동일한 암나사 부(110, 2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는 반드시 볼트부재(9)에 조립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는 상기 타측 너트(20)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너트(1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5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타단부에 축고정되는 캠부(510)의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캠부(51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캠부(510)에 의해 상기 타측 너트(20)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일측 너트(10)와 타측 너트(20)가 볼트부재(9)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일측 너트(10)와 타측 너트(20)를 볼트부재(9)에 조립하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볼트부재(9)의 수나사부(91)가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의 암나사부(110, 2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부재(9)를 상기 일측 너트(10)와 타측 너트(20)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50)를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캠부(510)가 상기 손잡이부(50)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편심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타측 너트(20)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서 상기 볼트부재(9)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의 암나사부(110, 210)와 상기 볼트부재(9)의 수나사부(91)가 맞물린 상태가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일측 너트(10)와 타측 너트(20)가 상기 볼트부재(9)에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일측 너트(10)와 타측 너트(20) 사이에 탄성부재(60)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일측 너트(10)와 상기 타측 너트(20) 사이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60)가 복수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는 일단이 상기 일측 너트(10)의 타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타측 너트(20)의 일단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일측 너트(10)와 상기 타측 너트(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일측 너트(10)와 상기 타측 너트(20)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60)가 복수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볼트부재(9) 등에 조립된 상태의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50)를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측 너트(20)가 상기 캠부(51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볼트부재(9) 등에 조립된 상태의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를 몽키스패너 등의 도구 없이도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의 가이드홈(310, 410)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너트(20)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홈(310, 410)에 수용되어 상기 타측 너트(2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30)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에는 반드시 상기 가이드홈(310, 410)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길이방향의 가이드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 각각 길이방향의 상기 가이드홈(310, 410)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너트(20)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홈(310, 410)에 수용되어 상기 타측 너트(2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돌기(230)가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를 몽키스패너 등의 도구 없이도 상기 볼트부재(9) 등에 보다 더욱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측 너트(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너트를 분실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일측 너트(10), 타측 너트(20), 일측 지지대(30), 타측 지지대(40) 및 손잡이부(50)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 측 너트(2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몽키스패너 등의 도구 없이도 볼트부재(9) 등과 조립 및 분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립하는 과정 중에 분실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너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캠부에 의해 타측 너트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 너트와 타측 너트가 볼트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측 너트와 타측 너트 사이에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 볼트부재, 91; 수나사부,
10; 일측 너트, 110,210; 암나사부,
20; 타측 너트, 230; 가이드돌기,
30; 일측 지지대, 310,410; 가이드홈,
40; 타측 지지대, 50; 손잡이부,
510; 캠부, 60; 탄성부재

Claims (3)

  1. 나사공이 형성된 너트가 분할되어 이루어진 일측 및 타측 너트(10, 20)와;
    상기 타측 너트(20)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너트(1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타단부에 축고정되는 캠부(510)의 타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캠부(51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캠부(510)에 의해 상기 타측 너트(20)를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너트(10)와 상기 타측 너트(20)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복수 구비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의 가이드홈(310, 410)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너트(20)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홈(310, 410)에 수용되어 상기 타측 너트(2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4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3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 삭제
  3. 삭제
KR1020090086274A 2009-09-14 2009-09-14 너트 KR10121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274A KR101212064B1 (ko) 2009-09-14 2009-09-14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274A KR101212064B1 (ko) 2009-09-14 2009-09-14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14A KR20110028714A (ko) 2011-03-22
KR101212064B1 true KR101212064B1 (ko) 2012-12-18

Family

ID=4393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274A KR101212064B1 (ko) 2009-09-14 2009-09-14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62B1 (ko) * 2014-12-19 2016-02-29 주식회사 에프엠에스 중량물 이송용 고정지그
CN109681513A (zh) * 2018-12-10 2019-04-26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拆装螺纹紧固件及其螺母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914A (en) 1975-11-06 1978-03-21 Skf Compagnie D'applications Mecaniques Device for gripping a pin or bolt
EP1561957A2 (en) 2004-02-03 2005-08-1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plit n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914A (en) 1975-11-06 1978-03-21 Skf Compagnie D'applications Mecaniques Device for gripping a pin or bolt
EP1561957A2 (en) 2004-02-03 2005-08-1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plit n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14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893B2 (en) Nut for providing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US9038506B1 (en) Socket wrench with positioning device
US20150290783A1 (en) Wrench tool with positioning device
US20140203164A1 (en) Anti-theft structure for a socket display hanger
WO2013125651A1 (ja) バンパー固定クリップ
US8146461B1 (en) Tool extension rod
KR101212064B1 (ko) 너트
US6745652B2 (en) Tool combining rod
JP6125487B2 (ja) サーフボードのフィンの取り付け構造及びサーフボード
JP4704446B2 (ja) クリップ
US9221167B2 (en) Screw bit holder
US20120202657A1 (en) Exercise-cord anchored device
TWM480447U (zh) 套孔型棘輪扳手之嵌卡結構
EP3181921B1 (en) Portable power working machin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falling of fastening nut, and method for attaching fastening nut to cover
JP2019155495A (ja) ソケット型工具
US20090019973A1 (en) Socket assembly for quickly releasing object engaged with the socket
KR20110002798U (ko) 너트
JP5873525B2 (ja) タングレスコイルスレッド用工具
JP5981261B2 (ja) ねじ回し工具用のアタッチメント
KR101647270B1 (ko) 만능 렌치
JP2009196577A (ja) スペアタイヤカバーの取付構造
JP2009115175A (ja) 物品固定構造
JP6286290B2 (ja) パッキンの取付構造
JP3120755U (ja) ハンドツールのスクリュードライバービット
JP3194964U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