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032B1 -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 - Google Patents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032B1
KR101212032B1 KR1020100049306A KR20100049306A KR101212032B1 KR 101212032 B1 KR101212032 B1 KR 101212032B1 KR 1020100049306 A KR1020100049306 A KR 1020100049306A KR 20100049306 A KR20100049306 A KR 20100049306A KR 101212032 B1 KR101212032 B1 KR 101212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bium
stem cells
derived
cultur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731A (ko
Inventor
김일숙
백진수
진영우
이은경
홍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운화
이은경
진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운화, 이은경, 진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운화
Publication of KR2010012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화과 (family Asteraceae)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분리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탈분화과정없이 미분화상태로 분리되어 장기 배양시에도 세포생장률과 생장패턴에 변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대량 배양이 가능하여 유용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배양물은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 및 COX-2 염증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바, 우수한 항염증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Plant Stem Cell Derived from Cambium of Family Asteraceae and Method of Isolating and Cul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국화과 (family Asteraceae)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분리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과거 식량 자원의 의미였으나, 현재에는 약제, 향료, 색소, 농약, 염료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화학물질의 공급원으로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식물 유래 유용 물질의 대부분은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암, 항산화 능력 등의 생리 활성이 있어, 신의약품으로서 발전가능한 이상적인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식물 유래 물질들의 화학 구조와 활성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리 활성 물질은 의약품으로 개발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그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물 내 생리 활성 물질의 함량이 극히 제한적이다. 둘째, 식물의 생장 속도는 매우 느리다. 셋째, 식물 유래 생리 활성 물질은 식물의 특정 기관 내에만 소량 존재한다. 넷째, 자연 훼손이라는 환경 문제가 연루되어 있다. 다섯째, 식물 유래 생리 활성 물질의 경우 화학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다단계 중합 과정이 요구되어 생산 비용이 매우 높은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식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들을 상업적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매우 어려웠다.
그런데, 생물공학기법의 하나인 식물 세포 배양 방법은 환경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으면서도 식물 유래 유용물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기술로 오랫동안 평가받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5-0000870 (1995. 01. 03)에 따르면 식물 세포 배양에 의한 유용물질의 생산은 식물에서 직접적인 추출에 의한 방법보다 수많은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도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하여, 생태계 파괴와 같은 현안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식물 세포 배양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에도, 산업화에 성공한 예는 아직까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다수의 식물 세포 배양에서 세포 증식과 생산성의 변이가 주요 문제로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식물 발현 시스템에 식물 세포를 이용하는 경우, 식물 세포의 분화 조직, 예컨대 잎, 줄기, 종자 등은 분열능이 상실된 영구 조직이므로, 분열능을 가진 세포주로 전환시키기 위해 탈분화 과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되고 있다. 상기 탈분화 과정은 식물체의 한 조직이나 기관을 이용하여 배양하였을 때 그 조직이나 세포가 이미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분화된 상태를 해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탈분화 과정 중에 염색체 변이에 의해 세포주의 심각한 변이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한 유용물질의 생산은 장기간의 배양기간 동안 빠른 세포 증식과 높은 대사물질 생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만 산업화가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세포주는 계대 배양에 의해 본래와는 다른 수많은 변이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이 문제점을 극복하여,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한 유용물질 생산에서 유전적으로 안정한 세포주를 획득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 중 일부는 식물의 줄기에서 채취한 형성층만을 이용하여 캘러스를 유도한 방법을 개발한 바 있으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33120호), 이 등록특허는 단순히 목본 식물의 줄기 형성층을 이용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을 뿐이었다. 캘러스(Callus)란 탈분화가 일어나 형성된 조직인 바, 이에 상기 등록특허는 여전히 탈분화에 의한 변이 문제를 보류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 중 일부는 탈분화에 의한 변이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증식이 가능한 유전적 안정성이 높은 세포주의 제공방법으로서 국제특허출원 PCT/KR 2006/001544호의 발명을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정혈작용, 해독작용 및 면역효과 등에 효과가 있는 약용식물로서 널리 알려진 국화과 아르테미시아속에 속하는 쑥의 경우, 여전히 탈분화에 의한 변이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증식이 가능한 유전적 안정성이 높은 세포주를 획득하는 것이 요청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국화과 식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함으로써 유용한 식물세포주를 제공하고자 예의노력한 결과, 국화과 식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상기 줄기세포가 안정적으로 증식되고, 배양 시 변이가 없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분화 과정 없이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국화과 (family Asteraceae)의 형성층에서 유래되고, 탈분화를 거치지 않은 선천적 미분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국화과 (family Asteraceae)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a) 국화과 식물로부터 형성층 함유 조직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형성층 함유 조직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c) 상기 형성층으로부터 세포들을 분리함으로써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그 추출물, 그 파쇄물 및 그 배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그 추출물, 그 파쇄물 및 그 배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탈분화 과정없이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탈분화과정없이 미분화상태로 분리되어 장기 배양시에도 세포생장률과 생장패턴에 변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대량 배양이 가능하여 유용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배양물은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 및 COX-2 염증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바, 우수한 항염증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쑥의 재료 사진이고, 1B는 형성층 조직을 포함하는 절편체의 사진이고, 1C는 형성층으로부터 유도된 세포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고체배양사진이다.
도 3A는 국화의 재료 사진이고, 3B는 국화의 형성층 조직을 포함하는 절편체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배양 과정의 줄기세포(A) 및 쑥의 배축(Hypocotyl) 조직에서 유도한 캘러스 (B)의 세포응집정도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으로, A의 스케일 바는 75㎛이고, B의 스케일 바는 250㎛이다.
도 5는 Nuetral red로 액포를 염색한 후 관찰한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A) 및 쑥의 배축(Hypocotyl) 조직에서 유도한 캘러스 (B)의 현미경 사진으로, 각 사진의 우측하단의 스케일 바는 20㎛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A) 및 쑥의 배축(Hypocotyl) 조직에서 유도한 캘러스 (B)의 미토콘드리아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Stem cell)의 생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3L 공기부양식(air-lift) 생물반응기(A) 및 20L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B)에서 12일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를 도관요소(TE)로 분화시킨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NO 분석 수행 시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의 배양물 추출물의 농도별 NO 발생억제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및 그 배양물 추출물의 농도별 COX-2 유전자 발현 억제정도를 보여주는 겔 사진이다 (A: Growth phase 0.5g/ml, B: Elicitation phase 0.5g/ml, C: Growth phase 2mg/ml, D: Elicitation phase 2mg/ml).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본원에서, 유관속 "형성층"은 식물의 유관속 조직(vascular tissue) 내에 위치하는 측재분열조직으로 줄기와 뿌리에 위치한다. 형성층의 활동에 의해 식물의 비대생장이 일어나며, 그 결과 11,000년 이상의 연륜을 가진 거대 식물체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발생학적으로 유관속 형성층은 전형성층으로부터 기원되므로 분열조직적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분화된 동일 분열조직으로 편의상 구분될 뿐으로 (식물형태학, 이재두 외 7인 공저, 아카데미 서적, 제10장, 1993), 본 발명에 있어서 형성층은 전형성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형성층과 전형성층은 동일한 1기 분열조직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형성층 및 전형성층 조직을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것임은 자명한 사항이다.
본원에서 식물 "줄기세포" (stem cell)란, 탈분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 유전적으로 보다 안정한 선천적인 미분화세포를 말한다.
본원에서 "파쇄물"이란 세포를 detergent 등을 이용한 화학적 방법 또는 물리적 방법 등으로 파쇄하여 얻은 세포 용해물을 의미하며, 세포주의 "추출물"이란 세포를 용매에 녹여 분리한 물질로, 증류 또는 증발을 이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또한, 세포주 "배양액"이란 세포를 배양시킨 다음, 세포를 제외하고 남은 세포 배양용액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본원에서 "배양물"이란 배양액 및/또는 배양된 세포주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이때 배양된 세포주는 배양조건에 의하여 분화되거나 유용물질의 생산능 및/또는 분비능이 향상된 세포주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원에서 "선천적인 미분화 상태(innately undifferentiated)"란 탈분화 과정을 거쳐 미분화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본래부터 분화 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에서 "캘러스"란, 탈분화 과정을 통하여 분화하지 않은 상태로 된 세포 또는 세포덩어리 (PNAS, 99(25):15843, 2002)를 말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에 관한 것으로, 이는 국화과의 형성층에서 유래되고, 탈분화를 거치지 않은 선천적 미분화세포이다.
이미 분화된 조직인 잎이나 줄기, 뿌리 부분을 사용할 경우, 캘러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분화된 조직에서 미분화조직으로 되돌아가는(rejuvenilation) 탈분화(dedifferentiation)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탈분화 과정 중에 체세포에 돌연변이가 나타나 세포 불안정성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세포 변이가 거의 없는 식물 세포 시스템을 연구하던 중, 분열조직인 형성층에서만 특이적으로 세포주를 유도할 경우 탈분화를 거치지 않고 분열조직 자체가 가지고 있는 왕성한 분열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체세포 변이가 없어 유전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생리적으로 균일한 세포주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고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현탁배양 시 국화과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많은 수의 단세포를 포함하거나 작은 사이즈의 세포 집합체를 포함함;
(b) 다수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냄;
(c) 국화과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다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짐;
(d) 국화과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오랫동안 성장할 수 있음;
(e) 국화과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생물반응기에서 전단 스트레스(shear stress)에 대해 낮은 민감성을 가짐; 및
(f) 도관요소(tracheary elements)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능을 가짐.
이때, "다수의 액포"를 가진다고 함은, 국화과의 탈분화된 캘러스 등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다수의 액포를 가짐을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국화과의 캘러스 등과 비교하여 크기면에서 작은 액포를 가진다. 아울러, "다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고 함은, 국화과의 탈분화된 캘러스와 비교하여 미토콘드리아를 2배 이상의 다수 가짐을 말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국화과의 탈분화된 캘러스와 비교하여 활성이 증가된 미토콘드리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현미경 하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미토콘드리아를 가짐을 말한다. 아울러, 국화과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여 도관요소(tracheary elements)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물줄기세포를 특징짓는 특성에는 자가재생능력(self renewal)이외에 분화능(pluripotency)이 있는바,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국화과 형성층 유래 세포가 줄기세포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네 개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다섯 개 이상의 특성을 가지거나, 상기 (a) 내지 (f)의 특성을 모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a) 국화과 식물로부터 형성층 함유 조직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형성층 함유 조직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c) 상기 형성층으로부터 세포들을 분리함으로써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b) 단계는 형성층 함유 조직을 배양하여 형성층으로부터 증식되는 배양된 형성층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c) 단계는 배양된 형성층을 분리함으로써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b)단계는 옥신(auxin)을 포함한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이때, 옥신으로는 NAA (α-Naphtalene acetic acid) 또는 IAA (Indole-3-acetic aci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옥신은 1~5㎎/ℓ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형성층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무정형으로 증식되는 캘러스 층으로부터 상기 배양된 형성층을 분리함으로써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국화과 아르테미시아속인 쑥로부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였으며,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국화과 국화속의 국화로부터 국화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유사한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아르테미시아속(genus Artemisia) 또는 국화속(genus Chrysanthemum) 식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임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쑥 또는 국화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수득된 국화과 아르테미시아속인 쑥로부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그 추출물 및 그 파쇄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물은, 상기 줄기세포를 엘리시터로서 3~5중량%의 원당 또는 설탕; 또는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키토산, 페닐알라닌(phenylalanin), 벤조익산, ABA, 살리실산(salicylic acid) 및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추가로 배양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지는 3~5중량%의 원당 또는 설탕; 및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진균류 추출물, 세균류 추출물, 효모(yeast) 추출물, 키토산, 글루코마난(glucomanan), 글루칸(gluc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벤조산(benz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아라키돈산(arachonic acid), STS, mevalonalonate N-benzolyglycine, ABA, SNP, IPP, BHT, CCC, 에테폰(ethephon), 히푸익산(hippuic acid), 암모니움 세릭 니트레이트(amminoium ceric nitrate), AgNO3, 바나딜 설페이트(vanadyl sulfate), p-아미노벤조익산(p-aminobenzoic acid),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sinosteroids), 소디움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아세트산 나트륨 (sodium acte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배지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또한, 상기 줄기세포에 엘리시터로서 자외선, 열, 에틸렌, 항진균제, 항생제, 중금속 염 및 높은 염농도 등을 처리하여 물리적 화학적 스트레스를 가하여 수득된 배양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추출물은 증류수, 에탄올 등 알코올, 아세톤, DMSO (Dimethyl Sulfoxide)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쑥 유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및 그 배양물 추출물이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 및 COX-2 염증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관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가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및 그 배양물의 추출물은 매우 우수한 항염증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줄기세포 또는 그 파쇄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제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가 없다 하더라도,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줄기세포 추출물 및 그 배양물의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한바,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자체나 그 파쇄물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에도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어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그 추출물, 그 파쇄물 및 그 배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줄기세포 등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 기간 등에 따라 적절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톤,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 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그 추출물, 그 파쇄물 및 그 배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또는 그 추출물, 그 파쇄물 및 그 배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함으로써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국화과 식물 중 쑥 및 국화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였으나, 국화과의 다른 식물에서도 유사한 특성을 갖는 식물줄기세포를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제조 (1) - 쑥
1-1: 식물재료의 준비
국화과 아르테미시아속의 쑥(Artemisia annua L.)으로부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수득하기 위하여, 먼저 쑥의 줄기를 채취한 후(진안 약초연구소), 즉시 항산화제 100㎎/L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DUCHEFA, The Netherlands) 용액에 침적하여 운송?보관하였다. 이때, 전형성층을 이용하여 동일한 줄기세포를 수득하기 위하여는 줄기 대신 잔가지를 채취한다.
그 후, 0.1% 베노밀(benomyl, Dongbu Hannong Chemical, Korea), 0.1% 다코닐(daconil, Dongbu Hannong Chemical, Korea), 0.1% 스트렙토마이신(sterptomycin sulphate, DUCHEFA, The Netherlands), 0.01% 세포탁심(cefotaxime sodium DUCHEFA, The Netherlands)의 혼합용액에 1시간 전처리 후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과 잔존 화학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돗물(tap water)로 30분간 세척하였다. 그리고, 70% 에탄올(ethanol, DC Chemical, Korea)에 30초, 3%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LG Chemical, Korea) 5분, 0.5% CLOROX 용액에 3분, 0.1% CLOROX용액에 5분 표면 살균 후 3~4회 세척하였다.
1-2: 줄기로부터 형성층 포함 절편체의 제조 및 조직 분리
상기 실시예 1-1의 살균과정을 거친 줄기 (전형성층 이용시 잔가지)를 높이 1cm 이하로 잘라 폭 2~5mm로 목부까지 칼집을 낸 뒤 목부를 핀셋으로 잡고 분열능이 왕성한 형성층이 포함된 사부(phloem) 및 표피(epidermis) 조직을 벗겨내었다. 도 1A는 쑥 재료 사진이고, 도 1B는 이로부터 수득한 형성층 포함 절편체를 제조한 모습이다.
1-3: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유도단계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형성층 포함 절편체는 표 1의 줄기세포 유도배지(배지 1)에 치상하여 배양하였다.
세포주 유도배지 (배지 1)
Composition Contents(㎎/L)
Inorganic salts

KNO3 2500
(NH4)2SO4 134
MgSO4?7H2O 121.56
MnSO4?4H2O 10
ZnSO4 ?7H2O 2
CuSO4?5H2O 0.025
CaCl2?2H2O 113.23
KI 0.75
CoCl2?6H2O 0.025
NaH2PO4?H2O 130.44
H3BO3 3
Na2MoO4?2H2O 0.25
FeNaEDTA 36.7
Vitamin
Myo-inositol 200
Thiamine-HCl 20
Nicotinic acid 2
Pyridoxine-HCl 2
L-ascorbic acid 50
Citric acid 75
Amino acid


L-aspartic acid 133
L-arginine 175
Glycine 75
Proline 115
Hormone α-Naphtalene acetic acid 2
Sucrose 10,000
Activated charcoal 100
Gelrite 2,000
배지에 생장 조절제로서 NAA, IAA와 같은 옥신(Auxin)은 1~5mg/L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mg/L의 농도로 첨가한다. 배양은 25±1℃로 조절된 암실에서 실시되었다.
상기와 같이, 배양한 결과, 초기 배양 4~7일째 형성층으로부터 세포 분열이 육안상으로 관찰되고 (도 1C), 배양 15일 이후에 사부?피층 및 표피로 이루어진 층으로부터 탈분화에 의한 무정형의 캘러스가 유도되기 시작하였다. 배양 30일 경과 후 배양된 형성층과 사부 피층 및 표피와, 즉 무정형의 캘러스층으로 분리되기 시작했고, 두 층이 자연스럽게 분리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완벽한 분리가 이루어지면 각기 다른 페트리디쉬(petridish)에 분리 배양하였다. 한편, 일부 배양 결과에서는, 초기 배양 4~7일째 형성층으로부터 세포분열이 육안상으로 관찰되고 배양 15일 후 일정한 판 형태로 분열한 형성층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때 배양기간 내내 사부는 세포분열이 일어나지 않아 다른 조직의 세포 없이 형성층 세포만을 분리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분리배양된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기 배양시 세포의 생장률, 생장 패턴, 응집 정도에 변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제조 (2) - 국화
국화과 국화속(genus Chrysanthemum)의 국화 (동산화훼영농조합법인 동산화훼작목회)의 줄기를 채취한 다음,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재료를 준비하였다(도 3A). 그리고,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국화의 형성층 포함 절편체를 제조한 다음, 표 1의 줄기세포 유도배지에 치상하여 배양하였다.
그 결과, 초기 배양 4~7일째 형성층으로부터 세포 분열이 육안상으로 관찰되고 배양 10일 후 사부?피층 및 표피로 이루어진 층으로부터 탈분화에 의한 무정형의 캘러스가 유도되기 시작하였고, 배양 20일 후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층, 사부, 표피로 자연스럽게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화과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 및 특성관찰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하기 <표 2>의 액상배지가 함유된 플라스크에 넣어 암조건에서 25±1℃에서 100rpm의 회전 교반기(shaker)에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 주기는 2주일로 고정함으로써 배양세포가 항상 대수생장기 상태에서 높은 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Suspension medium (배지 2)
Composition Contents(㎎/L)
Inorganic salts

Ca(NO3)2 471.26
NH4NO3 400
MgSO4?7H2O 180.54
MnSO4?4H2O 22.3
ZnSO4 ?7H2O 8.6
CuSO4?5H2O 0.25
CaCl2?2H2O 72.5
K2SO4 990
Na2MoO4?2H2O 0.25
H3BO3 6.2
KH2PO4 170
FeNaEDTA 36.7
Vitamin
Myo-inositol 200
Thiamine-HCl 20
Nicotinic acid 2
Pyridoxine-HCl 2
L-ascorbic acid 50
Citric acid 75
Amino acid


L-aspartic acid 133
L-arginine 175
Glycine 75
Proline 115
Hormone α-Naphtalene acetic acid 2
Sucrose 30,000
세포 응집정도(biological microscope CX31, Olympus, Japan)를 살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탁배양 시 많은 수의 단세포를 포함하며, 일부는 작은 사이즈의 세포 집합체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인 쑥의 배축(Hypocotyl) 조직에서 유도한 캘러스의 경우,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응집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neutral red로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다수개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분리 직후에는 다수개의 액포를 가지는 특징을 보인다. 분리된 줄기세포가 배양과정에서 줄기세포에 가해지는 압력이 낮아지면서 1~2개의 액포만 존재하는 형태로 변화된다. 이렇게 소수개의 액포를 가지는 형태로 변화된 줄기세포의 경우는 압력을 가해주면 다시 다수의 액포를 가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식물체 내에 존재하는 미분화된 세포에서도 압력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하여 나타나는 특징으로서,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미분화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쑥의 배축(Hypocotyl) 조직에서 유도한 캘러스의 경우,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 하나 또는 세 개의 액포를 포함하며, 매우 드물게 최대 5개의 액포를 가질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는 광학현미경 BX41TF를 통해 관찰한 결과, 움직임 면에서 활성이 매우 높은 미토콘드리아를 다수 개 관찰할 수 있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가 다수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짐을 나타낸다. 이에 반하여, 쑥의 배축(Hypocotyl) 조직에서 유도한 캘러스의 경우,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대량 배양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3L의 내용적을 갖는 공기 부양식 생물반응기(airlift bioreactor, 삼성과학, Kore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지는 <표 2>의 액상배지를 사용하였고, 암조건에서 25±1℃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aeration rate는 0.1~0.3vvm의 조건으로 하였다.
생장속도 및 GI 측정결과
Cell lines Growth rate (folds) GI
Stem Cell 2.87 1.87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배양시작 접종 (inoculation) 양이 평균 4.1g/L인데, 배양 14일째 최대 건조중량이 11.8g/L에 달하였으며, 이에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장속도가 2.87배이고, GI (growth index = (maximum DCW - initial DCW) / initial DCW )가 1.87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N.B. Paniego 등의 연구결과 (N.B. Paniego & A.M. Giulietti,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 36: 163, 1994)에 따르면, 탈분화된 조직인 캘러스의 경우 생물반응기에 비하여 증식이 용이한 것으로 알려진 플라스크 수준에서 배양한 경우에도 초기 접종 약 3mg(DW)에서 15일 배양 한 후 약 4mg(DW)까지 약 1.3배 증식할 뿐인 것으로 보고된바, 상기 3L 생물반응기에서의 2.87배의 증식율을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통상 반응기의 경우 반응기 내에서의 생장고리 생성과 배양중의 식물 배양체 응집성과 세포벽이 단단하여 전단에 대한 민감성으로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이 급격히 감소하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배양물은 생물반응기 내의 생장고리 면적을 아주 작게 형성하고, 배양기에 간단한 자극을 주어 배지를 움직여주면 내벽의 링(ring)이 간단하게 해소되었다. 또한 응집이 작고, 많은 액포(vacuole)를 가지고 있어 전단에 대한 민감성이 약하여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량배양 공정
Bioreactors Max. dry cell weight (g/L)
A 3L air-lift bioreactor 10.1
B 20L air-lift bioreactor 11.8
아울러, <표 4>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3L air-lift 생물반응기 및 20L air-lift 생물반응기에서 12일간 배양한 결과, 20L의 대량배양시에도 오히려 리터당 건조세포 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대량배양을 위한 생물 반응기에서 전단 스트레스에 대하여 낮은 민감성을 가지므로, 생물반응기 내에서 급속 대량 생장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가 쑥의 탈분화된 캘러스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전단스트레스에 대하여 낮은 민감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식물줄기세포를 특징짓는 특성에는 자가재생능력(self renewal)이외에 분화능(pluripotency)이 있다. 이에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도관요소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피콜로람을 각각 0.1, 0.5 및 1mg/L 함유하고 있는 MS, B5 및 WPM 배지조건에서 25±1℃, 암조건에서 배양한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층 줄기세포로부터 도관요소가 분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리시터의 처리 및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추출물 제조
4-1: 엘리시터의 처리
실시예 3과 같이 14일간 현탁배양한 줄기세포를 수거하여 2가지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1) 상기 14일간 현탁배양한 세포주(growth phase), (2) 상기 14일간 현탁배양한 세포주를 멸균수에 원당 3~5중량%(g/L) 및 메틸 자스모네이트 100μM를 첨가한 배지에서 14일간 암배양한 세포주(elicitation phase)를 이용하였다.
4-2: 추출물의 제조
상기 두 세포주를 각각 배양액을 제거시킨 다음 동결건조한 동결건조세포주(Dry) 2g에 50ml의 80% 에탄올로 15℃에서 48시간 교반시키면서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 후,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얻은 추출분말을 PBS에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두 세포주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여 사용하였다.
NO ( Nitric oxide ) 생성 억제효과 확인 - 항염증 효과의 확인 (1)
NO 분석은 대식세포 (Macropharge)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대식세포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식세포작용(phagocytosis)와 관련된 간접적인 활성측정 방법이다. 실시예 4-2의 각 에탄올 추출물이, RAW264.7 cell에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NO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상청액(supernatant)상에 녹아있는 NO 양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24-well 배양플레이트(culture plate)에 RAW264.7 cell(2X105/ml)과 시료를 농도별로 30분간 전처리 배양한 후 LPS(1u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시킨 세포배양액 100ul과 Griess reagent 100ul를 넣어 15분 동안 실온에서 암반응 시킨 후 Microplate reader(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Packard, USA)하였다. 배양액만 넣은 well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NO 농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0.5mg/ml 1mg/ml 1.3mg/ml 5mg/ml
Growth Phase 100 97 90 73
Elicitation phase 83 32 0 1.4
그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쑥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의 에탄올 추출물(Growth phase)의 농도증가에 따라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엘리시터로 원당과 메틸자스모네이트를 처리한 세포주로부터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 (Elicitation phase)는 1.3mg/ml에서는 100%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가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도 10은 엘리시터를 처리한 세포주의 에탄올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COX -2 발현효과 확인 - 항염증 효과의 확인 (2)
COX-2 염증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6 well 배양플레이트(culture plate)에 RAW264.7 cell(2X106/ml)과 실시예 4-2의 각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A: Growth phase 0.5g/ml, B: Elicitation phase 0.5g/ml, C: Growth phase 2mg/ml, D: Elicitation phase 2mg/ml)로 30분간 전처리 배양한 후, LPS(1u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시킨 세포를 수거하여 TRIzol로부터 전체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그 다음, COX-2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COX-2 Primer>
mouse COX2 F: 5'-AAGAAGAAAGTTCATTCCTGATCCC-3' (서열번호 1)
mouse COX2 R: 5'-TGACTGTGGGAGGATACATCTCTCC-3' (서열번호 2)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엘리시터를 처리한 세포주, 즉 배양물의 에탄올 추출물 2mg/ml농도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COX-2 염증 유전자 발현이 완전히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학제제 제조예
제제예 7-1: 정제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줄기세포 추출물 100㎎을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하여 통상의 정제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제예 7-2: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줄기세포 추출물 500㎎을 연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7-3: 시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줄기세포 1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적량의 정제수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액제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00㎖의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7-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줄기세포 추출물 200㎎을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카스트로 오일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 200㎎에 가열 용해시켜 혼합 추출물을 0.1%의 농도로 함유하는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식품의 제조
제조예 8-1: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줄기세포 200㎎을 96㎖의 물에 용해시킨 후 보조제로서 비타민 C 500㎎, 교미제로서 구연산, 올리고당을 각각 1g 가하고, 보존재로서 나트륨벤조에이트 0.05g을 가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로 만들어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2: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줄기세포 추출물 200㎎을 96㎖의 물에 용해시킨 후 보조제로서 비타민 C 500㎎, 교미제로서 구연산, 올리고당을 각각 1g 가하고, 보존재로서 나트륨벤조에이트 0.05g을 가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로 만들어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24)

  1. 쑥의 형성층에서 유래되고, 탈분화를 거치지 않은 선천적 미분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그 추출물, 그 파쇄물 및 그 배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 현탁배양 시 쑥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많은 수의 단세포를 포함하거나 작은 사이즈의 세포 집합체를 포함함;
    (b) 다수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냄;
    (c) 쑥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다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짐;
    (d) 쑥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오랫동안 성장할 수 있음;
    (e) 쑥의 탈분화된 캘러스에 비하여 생물반응기에서 전단 스트레스(shear stress)에 대해 낮은 민감성을 가짐; 및
    (f) 도관요소(tracheary elements)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능을 가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두 개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세 개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네 개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 중 적어도 다섯 개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상기 (a) 내지 (f)의 특성을 모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방법에 의하여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 쑥으로부터 형성층 함유 조직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형성층 함유 조직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배양된 형성층 함유 조직으로부터 배양된 형성층만을 분리함으로써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은 상기 줄기세포를 3~5중량%의 원당 또는 설탕; 또는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진균류 추출물, 세균류 추출물, 효모(yeast) 추출물, 키토산, 글루코마난(glucomanan), 글루칸(gluc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벤조산(benz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아라키돈산(arachonic acid), STS, mevalonalonate N-benzolyglycine, ABA, SNP, IPP, BHT, CCC, 에테폰(ethephon), 히푸익산(hippuic acid), 암모니움 세릭 니트레이트(amminoium ceric nitrate), AgNO3, 바나딜 설페이트(vanadyl sulfate), p-아미노벤조익산(p-aminobenzoic acid),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sinosteroids), 소디움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및 아세트산 나트륨 (sodium acte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추가로 배양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19. 삭제
  20. 삭제
  21. 쑥의 형성층에서 유래되고, 탈분화를 거치지 않은 선천적 미분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의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그 추출물, 그 파쇄물 및 그 배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은 상기 줄기세포를 3~5중량%의 원당 또는 설탕; 또는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진균류 추출물, 세균류 추출물, 효모(yeast) 추출물, 키토산, 글루코마난(glucomanan), 글루칸(gluc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벤조산(benz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아라키돈산(arachonic acid), STS, mevalonalonate N-benzolyglycine, ABA, SNP, IPP, BHT, CCC, 에테폰(ethephon), 히푸익산(hippuic acid), 암모니움 세릭 니트레이트(amminoium ceric nitrate), AgNO3, 바나딜 설페이트(vanadyl sulfate), p-아미노벤조익산(p-aminobenzoic acid),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sinosteroids), 소디움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및 아세트산 나트륨 (sodium acte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추가로 배양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23. 삭제
  24. 삭제
KR1020100049306A 2009-05-26 2010-05-26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 KR101212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953 2009-05-26
KR20090045953 2009-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731A KR20100127731A (ko) 2010-12-06
KR101212032B1 true KR101212032B1 (ko) 2012-12-12

Family

ID=4322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306A KR101212032B1 (ko) 2009-05-26 2010-05-26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36757A2 (ko)
KR (1) KR101212032B1 (ko)
RU (1) RU2011152866A (ko)
WO (1) WO201013787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7309A1 (en) 2018-12-06 2020-06-11 Rahimi Maryam Plant stem cell product treat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2368B (zh) 2012-01-05 2019-06-14 欧莱雅 去分化植物细胞的美容用途
RU2636462C2 (ru) * 2013-02-28 2017-11-23 Вэллкей Холдингз Лимитед Рекомбинантные клетки растений,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лка-мишени с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101618180B1 (ko) * 2014-07-03 2016-05-04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652360B (zh) * 2019-01-11 2022-04-15 成都大学 一种获得高生物产量的羌活细胞培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004B2 (ja) 1985-10-31 1997-09-17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イオン注入装置及び方法
US5407816A (en) * 1992-02-20 1995-04-18 Phyton Catalytic, Inc. Enhanced production of taxol and taxanes by cell cultures of taxus species
US5850032A (en) * 1992-04-01 1998-12-15 Union Camp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plant biological products in precocious neomorphic embryoids
KR950005081B1 (ko) * 1993-07-06 1995-05-18 산림청임목육종연구소 주목 종자의 씨눈 유래의 체세포배 및 체세포배성세포 혹은 그 배양배지로부터 택솔(Taxol) 및 그 유도체를 생산하는 방법
KR100533120B1 (ko) 2003-06-16 2005-12-14 주식회사 운화 바이오텍 형성층을 이용한 식물세포배양 방법
KR100578974B1 (ko) 2004-06-30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064519B1 (ko) * 2005-10-31 2011-09-19 주식회사 운화 동질화된 식물세포 배양을 통한 2차대사산물의 대량생산 안정화
AU2008202078B2 (en) * 2007-10-10 2012-05-31 Wellkey Holdings Limited Stability of secondary metabolite mass production through synchronized plant cell cul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7309A1 (en) 2018-12-06 2020-06-11 Rahimi Maryam Plant stem cell product trea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7877A2 (ko) 2010-12-02
RU2011152866A (ru) 2013-07-10
WO2010137877A3 (ko) 2011-04-14
KR20100127731A (ko) 2010-12-06
EP2436757A2 (en)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166B1 (ko) 은행나무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방법
RU2440820C2 (ru) Противорак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линию клеток, полученную из камбия и прокамбия стебля тисса (taxus)
KR101211682B1 (ko) 가지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
Keng et al. Micropropagation of Gynura procumbens (Lour.) Merr.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KR101068971B1 (ko) 분열지연중심부 유래 식물줄기세포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1212032B1 (ko) 국화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
Tasheva et al. Role of biotechnology for protection of endangered medicinal plants
Rai Biotechnological strategies for conservation of rare and endangered medicinal plants
Jenifer et al. In vitro adventitious root and hairy root cultures in Boerhaavia diffusa L
Jamal et al. In vitro regeneration of a common medicinal plant, Ocimum sanctum L. for mass propagation
Ren et al. Clonal bulblet regeneration and endophytic communities profiling of Lycoris sprengeri, an economically valuable bulbous plant of pharmaceutical and ornamental value
KR20100127727A (ko) 버드나무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배양방법
Afshar et al. Mucilage synthesis by in vitro cell culture in different species of Alyssum
Rahiman et al. Plant regeneration and induction of coloured callus from henna (Lawsonia inermis syn. Lawsonia alba)
Abdelsalam et al. Micropropagation through in vitro tillering from seed cultures of the medicinal plant Cymbopogon schoenanthus subsp. proximus
Lv et al. In vitro propagation of silybum marianum (l.) gaertn. and genetic fidelity assessment of micropropagated plants
Farzan et al. Callus induction in plantain (Plantago major L.) for in vitro production of mucilage.
JP2014054230A (ja) 植物組織からのカルス及び培養細胞の誘導方法並びに形質転換細胞の作出方法
Dorani et al. Effects of explant type and Agrobacterium rhizogenes strains on hairy root induction and alizarin production in madder (Rubia tinctorum Ardakan)
KR102678647B1 (ko) 블루베리로부터 비니페린 및 테로스틸벤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Majumder et al. In Vitro Rapid Clonal Propagation of Plumbago zeylanica Linn. Through Direct Organogenesis
Seyis et al. In Vitro Multiplication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Genotypes Using Different Explants
Saleh et al.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different growth regulating hormones on callus weight and the amount of thymol of Thymus daenensis.
KR101064520B1 (ko) 분열지연중심부 유래 식물줄기세포주 및 이의 분리방법
WO2020168141A1 (en) Method of isolating secondary metabolites from cambium derived callus cul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