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565B1 - 동물 자동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자동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565B1
KR101211565B1 KR1020100045874A KR20100045874A KR101211565B1 KR 101211565 B1 KR101211565 B1 KR 101211565B1 KR 1020100045874 A KR1020100045874 A KR 1020100045874A KR 20100045874 A KR20100045874 A KR 20100045874A KR 101211565 B1 KR101211565 B1 KR 10121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neck
catcher
ring portion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285A (ko
Inventor
최선호
조상래
최창용
손동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4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565B1/ko
Priority to PCT/KR2011/003284 priority patent/WO2011145817A2/en
Publication of KR2011012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03Nose-rings; Fastening tools therefor; Catching or driving equip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획자의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피포획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동물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물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포획하기 위해, 한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밧줄을 잡은 후, 포획기의 고정줄이 직선형태로 펴지게 하여 포획기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다가, 동물의 목부분에 포획기를 갖다대고 고정줄의 중간부를 밀면 포획기가 동물의 목을 감싸면서 잠기게 함으로써, 포획자의 안전 확보 및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동물 자동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고, 포획 중 일어날 수 있는 인사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동물을 신속하게 포획함으로써 동물이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고, 동물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고 동물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 조기에 다수의 처치 및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동물 자동 포획 장치{Automatic capturing apparatus for animal}
본 발명은 동물 자동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획자의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피포획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동물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견, 소 등의 동물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포획하여 관리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물들을 관리하는 동물보호소 뿐만 아니라 각종 동물 사육시설 및 축산농가에서는 동물을 효과적으로 포획하기 위한 기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하고 포획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처치하기 위해 안전그물망이나 특히 소의 경우 코에 코뚜레를 장착하고, 긴 철사 끝에 고리를 만들고 고리를 코뚜레에 연결하여 잡아당기거나, 미국 서부에서 사용하던 소나 말의 포획 로프로 원을 만들어 목에 거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물을 포획하였다.
그러나, 상기 안전그물망을 이용하여 동물을 포획하는 경우에, 소 등이 안전그물망을 보면 재빠르게 도망가기 때문에 동물이 도망가기 전에 안전그물망을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던져서 동물을 단번에 사로잡기란 매우 어렵고 고도의 기술을 요한다.
그리고, 소와 같이 동물의 크기가 큰 경우 안전그물망도 커야 하기 때문에 한 사람이 커다란 안전그물망을 던져서 잡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안전그물망을 던지지 않고 소 주위를 둘러싸면서 잡는 경우에도 소가 어디로 튈 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소를 놓치는 경우가 많고 소를 포획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상기 소의 코뚜레에 고리를 연결하여 잡아당겨 포획하는 경우에 동물을 가까운 거리에서 포획할 수 있으나, 소의 코뚜레는 동물보호 차원에서 소에게 많은 상해를 줄 수 있다.
그리고, 포획 로프를 이용하여 소 등의 동물을 잡는 경우에 원으로 만들어진 포획로프를 동물의 목까지 정확하게 던저셔 동물의 목을 걸기 위해서는 상당한 숙련이 필요하며, 동물이 계속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동물을 쫓아다니며 포획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동물보호시설이나 사육시설에서 포획 시 동물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으며 포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포획장치들은 동물을 보호하는데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동물을 포획한 후, 우리나 사육시설에 안전하게 풀어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포획장치는 동물에게 가능한 피해를 주지 않으며 동시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동물을 풀어주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면, 포획한 동물을 풀어주기 위해서 안전그물망은 포획한 동물로부터 걷어내기가 어려우며, 로프의 경우 동물의 목 혹은 주둥이를 누르거나 잡는 등 동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힘을 가하여 보정을 한 후 작업자에게 상해(물거나 신체적 공격에 의해)를 입히지 않게 조심스럽게 포획을 풀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기존의 로프로 원을 만든 후 동물의 목을 걸어 포획하던 것을 자동 포획기를 개발하여 포획기를 동물의 목부분에 갖다 대고 고정줄을 약간 밀면 포획기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고, 포획기에 연결된 밧줄을 이용하여 포획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포획된 동물을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포획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동물 자동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물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포획하기 위해, 한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밧줄을 잡은 후, 포획기의 고정줄이 직선형태로 펴지게 하여 포획기가 벌려짐 상태로 유지하다가, 동물의 목부분에 포획기를 갖다대고 고정줄의 중간부를 밀면 포획기가 동물의 목을 감싸면서 잠기게 함으로써, 포획자의 안전 확보 및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동물 자동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자동 포획장치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포획기를 동물의 목부분에 갖다대고 고정줄을 약간 밀기만 하면 포획기가 동물의 목부분을 자동으로 감싸면서 잠기도록 함으로써,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고, 포획 중 일어날 수 있는 인사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 동물을 신속하게 포획함으로써 동물이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고, 동물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고 동물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 조기에 다수의 처치 및 치료가 가능하다.
3. 포획기의 제1 및 제2고리부가 반타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고리가 체결될 때 타원형을 이루어서 동물의 목을 꽉 조이지 않아 동물의 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 자동 포획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A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도 1에서 B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포획기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1의 자동 포획기가 소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도 1의 자동 포획기가 개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 자동 포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포획자의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피포획 동물(10)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동물(10)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10) 자동 포획장치는 포획기(11), 고정줄(13), 밧줄(14), 고정브라켓(15), 거리조절부(16) 및 손잡이(17)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포획기(11)는 반타원형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일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고,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타단부가 체결돌기(18)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타단부가 체결돌기(18)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하나의 타원형태로 이루어지며 동물(10)의 목을 감싸서 동물(10)이 포획될 수 있게 되고,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타단부가 체결해제 되는 경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타단부가 벌어지면서 동물(10)의 목이 해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획기(11)가 작은 동물(10)을 포획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강화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큰 동물(10)을 포획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스텐레스 재질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18)는 제1고리부(12a)의 단부에 볼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제2고리부(12b)의 단부에는 볼형태의 체결홀(19)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오므려짐에 따라 체결돌기(18)와 체결홀(19)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고정줄(13)의 양단부가 포획기(11)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내측에 결합되고, 고정줄(13)의 중심부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밀리면 접힘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줄(13)은 동물(10)을 포획하기 전에 포획기(11)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벌려짐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벌려짐 각도 및 벌려짐 길이는 동물(10)의 목 직경보다 커서 동물(10)의 목을 포획하기에 용이한 각도 및 길이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닫힘 상태인 경우 고정줄(13)의 중심부가 접혀져 "V" 형태를 이루면서,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내측에 형성된 고리수용홈에 고정줄(13)의 절반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열림상태인 경우 고정줄(13)의 중심부가 펴져 고정줄(13)이 일직선 형태로 되어 상기 고리수용홈에서 빠져나와 노출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일단부에는 각각 원형링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 원형링이 겹쳐진 상태로 원형링의 내부에 관통홀을 통해 힌지핀(20)이 삽입결합됨에 따라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핀(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폐단면을 이루도록 밧줄고리(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5)은 포획기(11)를 고정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포획기(11)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를 각각 수용하여 고정시켜주는 "ㄷ"단면의 채널부(15a)와, 상기 채널부(15a)의 중간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채널부(15a)는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수직부재의 중간에는 연결관(15b)과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채널부(15a)의 수평부재 내측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한 쌍의 고정볼(2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일측면이 고정볼(22) 사이에 압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볼(22)이 고정줄(13)에 의해 벌려진 제1 및 제2고리부(12a,12b)를 채널부(15a)에 고정시켜준다.
상기 거리조절부(16)는 원통형태로 고정브라켓(15)과 손잡이(17)를 연결하고, 거리조절부(16)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가 손잡이(17)의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손잡이(17)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브라켓(15)과 손잡이(17)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손잡이(17)는 원통형의 관형태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손잡이(17)의 일단부에 거리조절용 회전부가 직경이 손잡이(17)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7)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손잡이(17)가 거리조절부(16)와 나사결합됨에 따라, 손잡이(17)를 회전시켜 고정브라켓(15)과 손잡이(1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밧줄(14)의 일단부는 밧줄고리(21)에 결합되고, 밧줄(14)의 타단부는 고정브라켓(15)의 원형관, 거리조절부(16) 및 손잡이(17)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포획기(11)로 동물(10)의 목을 감싸서 동물(10)을 포획한 후 고정브라켓(15), 거리조절부(16) 및 손잡이(17)를 포획기(11)로부터 분리시키고 포획기(11)와 밧줄(14)만을 사용하여 동물(10)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10) 자동 포획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에서 포획기의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포획기(11)의 밧줄고리(21)에 밧줄(14)을 연결하고, 포획기(11)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를 벌려 고정줄(13)을 일직선으로 펴서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 고정브라켓(15)의 연결관(15b)과 거리조절부(16)를 조립하고, 거리조절부(16)에 손잡이(17)를 조립하여 고정브라켓(15)과 손잡이(1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계속해서, 상기 밧줄(14)을 고정브라켓(15)의 연결관(15b), 거리조절부(16) 및 손잡이(17)의 안쪽을 관통시킨 후, 포획기(11)를 고정브라켓(15)의 고정볼(22) 사이에 압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동물(10)의 목부위를 포획하기 위한 준비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동물(10)의 목을 포획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한손으로 밧줄(14)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손잡이(17)를 잡은 상태에서 벌려진 포획기(11)를 소나 개 등의 동물(10)의 목부분에 갖다 대고 고정줄(13)의 중심부를 밀면 고정줄(13)이 접히면서 포획기(11)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닫히고, 체결돌기(18)에 의해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동물(10)의 목부분이 포획기(11)에 의해 포획되면, 포획기(11)가 닫히면서 고정브라켓(15)의 고정볼(22)에서 빠져나와 분리되고, 고정브라켓(15), 한손으로 밧줄(14)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거리조절부(16) 및 손잡이(17)를 잡아당겨 밧줄(14)에서 빼내어 분리시킨 후, 밧줄(14)을 사용하여 포획된 동물(10)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동물(10)을 우리 또는 사육장 안으로 집어넣거나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 조기에 동물(10)을 안전하게 처치 및 치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물 자동 포획장치에 의하면, 벌려진 포획기(11)를 동물(10)의 목부분에 갖다대고 고정줄(13)을 밀기만 하면 포획기(11)가 자동으로 동물(10)의 목을 감싸면서 체결됨에 따라, 포획기(11)에 연결된 밧줄(14)로 동물(10)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고, 포획자의 안전확보와 동시에 동물(10)을 더욱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기(11)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반타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고리가 체결될 때 타원형을 이루어서 동물(10)의 목을 꽉 조이지 않아 동물(10)의 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획기가 소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획기가 개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준다.
10 : 동물 11 : 포획기
12a : 제1고리부 12b: 제2고리부
13 : 고정줄 14 : 밧줄
15 : 고정브라켓 15a : 채널부
15b : 연결관 16 : 거리조절부
17 : 손잡이(17) 18 : 체결돌기
19 : 체결홈 20 : 힌지핀
21 : 밧줄고리

Claims (3)

  1.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개폐가능한 반타원형의 제1 및 제2고리부(12a,12b)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닫힐 때 동물(10)의 목을 감싸면서 동물(10)의 목부분을 포획하는 포획기(11);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의 내측에 연결되고, 중심부가 접힘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상기 중심부가 동물(10)의 목부분에 의해 눌려지면 접혀짐에 따라 제1 및 제2고리부(12a,12b)를 당겨서 닫히게 하는 고정줄(13);
    상기 포획기(11)에 연결되어 포획된 동물(10)의 목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밧줄(14);
    상기 제1 및 제2고리부(12a,12b)가 압입되어 제1 및 제2고리부(12a,12b)를 지지하도록 상하면에 고정볼(22)이 돌출형성된 채널부(15a)와, 상기 채널부(15a)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5b)을 포함하고, 상기 포획기(11)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
    상기 고정브라켓(15)에 연결되어 포획기(11)를 지지하는 손잡이(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자동 포획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5)과 손잡이(17) 사이에 거리조절부(16)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5)과 손잡이(17)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동물 자동 포획장치.
KR1020100045874A 2010-05-17 2010-05-17 동물 자동 포획 장치 KR10121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74A KR101211565B1 (ko) 2010-05-17 2010-05-17 동물 자동 포획 장치
PCT/KR2011/003284 WO2011145817A2 (en) 2010-05-17 2011-05-03 Automatic animal capt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74A KR101211565B1 (ko) 2010-05-17 2010-05-17 동물 자동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285A KR20110126285A (ko) 2011-11-23
KR101211565B1 true KR101211565B1 (ko) 2012-12-12

Family

ID=4499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874A KR101211565B1 (ko) 2010-05-17 2010-05-17 동물 자동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1565B1 (ko)
WO (1) WO201114581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3552A (zh) * 2015-09-16 2015-12-09 黑龙江省畜牧研究所 远距离抓牛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2524B2 (ja) * 2015-09-18 2017-10-11 和田 三生 狩猟用足錠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電気殺処分装置
KR102362419B1 (ko) * 2020-01-08 2022-02-11 최진호 유해동물 포획을 위한 안전 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892A (ja) * 1999-11-15 2001-05-22 Mitsuo Wada 狩猟用足錠具
JP2002330689A (ja) * 2001-05-02 2002-11-19 Yukio Miyahara 捕獲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445A (en) * 1990-10-29 1991-11-26 Matthews Donald H Device for capturing and restraining animals
KR200170004Y1 (ko) * 1998-02-26 2000-02-01 한종석 야생동물 포획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892A (ja) * 1999-11-15 2001-05-22 Mitsuo Wada 狩猟用足錠具
JP2002330689A (ja) * 2001-05-02 2002-11-19 Yukio Miyahara 捕獲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3552A (zh) * 2015-09-16 2015-12-09 黑龙江省畜牧研究所 远距离抓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285A (ko) 2011-11-23
WO2011145817A3 (en) 2012-03-01
WO2011145817A2 (en)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5035A (en) Lead rope
US2704052A (en) Device for restraining and capturing animals
KR200448074Y1 (ko) 동물 포획용 올무
KR101211565B1 (ko) 동물 자동 포획 장치
US81768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nd muzzling animals
US201600665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n Animal
US20220211006A1 (en) Leash for facilitating detangling
US10517273B2 (en) Animal muzzle
AU2009201634A1 (en) Head restraint for animal control chute
JP2017143762A (ja) 獣類の捕獲罠装置
GB2300557A (en) Spring activated animal snare
US20190200575A1 (en) Rigging and method for rescuing an animal stuck in the water
JPH10234285A (ja) 動物捕獲具
KR102033431B1 (ko) 가축 고정장치
KR100990812B1 (ko) 소 포획구
US6237540B1 (en) Device for securing animals to stationary objects and method therefor
US5067445A (en) Device for capturing and restraining animals
CN210158726U (zh) 一种具有自动锁定和释放功能的动物控制杆
US1052749A (en) Bridle attachment.
CN203353511U (zh) 小型禽类捕捉装置
JP5834047B2 (ja) 小動物捕獲用の罠
JPH0536384Y2 (ko)
CN204305943U (zh) 捕兽器
US3064623A (en) Starting gate horse control
US20140215896A1 (en) Self-Locking, Spring-loaded Sn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