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900B1 -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 Google Patents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900B1
KR101210900B1 KR1020120107614A KR20120107614A KR101210900B1 KR 101210900 B1 KR101210900 B1 KR 101210900B1 KR 1020120107614 A KR1020120107614 A KR 1020120107614A KR 20120107614 A KR20120107614 A KR 20120107614A KR 101210900 B1 KR101210900 B1 KR 10121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unit
calibration
dimming
switch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종제
Original Assignee
성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규 filed Critical 성민규
Priority to KR102012010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조명에 따라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제어함과 더불어 디밍(dimming) 기능에 의해 최적 상태의 LED등기구 조명을 구현하도록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그린 LED를 발광하면서 일정 시간동안 상기 LED등기구의 조명을 최대 밝기로 설정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감지된 조도감지 값과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된 결과 값을 바탕으로 상기 LED등기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LED light dimming method}
본 발명은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조명에 따라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제어함과 더불어 디밍(dimming) 기능에 의해 최적 상태의 LED등기구 조명을 구현하도록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다이오드라 하여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의 한 종류로서 반도체 제조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LED는 신뢰성이 높고 변조가 쉬우며 동작이 안정되어 있다는 등의 이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 LED의 효율성이 많이 향상되어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전구와 같은 기존의 조명장치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에너지 소모가 적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LED를 채용하는 LED 조명장치는 종래의 형광등, 백열전구 등과 같은 등기구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세대 조명장치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등기구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5296(2005.05.27)와 등록특허공보 특10-0154652(1998.12.15)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의 등록실용신안공보(20-0385296)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주위의 밝기와 일출일몰 시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할 뿐, 등기구의 케리브레이션 기능이 없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공보(특10-0154652)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등기구의 광속의 감소, 벽의 더러움 등을 고려한 조광 기능만 제공할 뿐, 등기구의 케리브레이션 기능이 없었다. 또한, 등기구의 점/소등시 광량이 제어되지 않아 급격한 광량의 변화로 인한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등기구의 디밍 기능뿐만 아니라 케리브레이션 기능이 접목되어 최적 조건의 등기구 조명을 조광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변 조명에 따라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제어하도록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밍 기능에 의해 LED등기구 조명의 광량이 제어되어 LED등기구 조명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그린 LED를 발광하면서 일정 시간동안 상기 LED등기구의 조명을 최대 밝기로 설정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감지된 조도감지 값과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된 결과 값을 바탕으로 상기 LED등기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조명에 따라 이전에 설정된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상태를 현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 상태로 보정되도록 LED등기구의 조명 조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밍(dimming) 기능에 의해 LED등기구 조명의 광량이 제어되어 과도한 조명에 의한 LED등기구 조명의 눈부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갑작스러운 조도변화를 최소화하여 조도변화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며, 최적 조건의 조명을 구현하면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밍시스템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등기구 조명에 대한 케리브레이션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등기구의 입력전원 온/오프 동작에 따른 타이밍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시스템은 입력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른 출력데이터를 바탕으로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실행을 제어하고, 이를 기반으로 LED등기구 조명의 광량이 제어되도록 하는 디밍(dimming)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밍시스템의 회로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성요소(스위칭부, 디밍제어부)는 별도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회로 구성과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디밍(dimming) 시스템은 전원공급부(110), 조도감지부(120), 스위칭부(130), 동작상태표시부(140), 제어부(150), 데이터기억부(160), 디밍제어부(170) 및 LED등기구 램프(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10)는 본 발명의 디밍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교류전원을 LED등기구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팅(convering)하거나 인버팅(inverting)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전원공급부(110)는 LED 점등용 전원공급장치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하며, 더 나아가 주변조도의 밝기에 따라 펄스폭(PWM)을 조절하는 조광 기능을 갖는 LED 점등용 전원공급장치를 활용하는 본 분야의 공지된 LED 점등용 전원공급장치를 활용하는 것이어서 그 구체적 회로구성 및 동작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공지된 LED점등용 전원공급장치는 전압 및 전류감지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정기의 정상동작을 판단하기 위해 안정기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감지하게 된다. 만약 정격전압이 감지되고 전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LED등기구 램프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안정기의 입력전압을 차단하여 안정기를 보호하게 된다.
조도감지부(120)는 주변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로 구성되며, 빛의 밝기에 따라 센서의 출력을 0.1V ~ 2.56로 출력한다. 특히, 조도센서 값은 적어도 30회 이상의 입력 조도데이터를 바탕으로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평균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조도센서로서 CDS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을 감지하는 조도센서라면 어느 종류의 센서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스위칭부(130)는 입력 교류전원의 점등(ON) 및 소등(OFF)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입력된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된 출력 스위칭 신호를 바탕으로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실행의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 즉,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5초 이내에서 5회 이상의 횟수가 반복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실행 신호를 출력한다.
동작상태표시부(140)는 스위칭부(130)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LED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되는데, 레드(red) LED 및 그린(green) LED가 일체로 형성된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다.
또한, 스위칭부(130)의 동작 상태에 따라 레드(red) LED 및 그린(green) LED를 발광하게 되는데, 상기 레드(red) LED와 그린(green) LED를 동시에 온(ON)되면 옐로우(yellow) LED의 색상을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시스템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총괄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능을 하며, 조도감지부(120) 및 스위칭부(130)로부터 검출된 출력신호에 따라 LED등기구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실행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교류전원의 스위칭부(130)가 온(ON)되는 경우 데이터기억부(160)에 저장된 내부 메모리를 읽어들어 초기에는 메모리에 "1"로 저장하고 5초(sec)가 경과하면 "0" 으로 저장하며, 다시 5초 이내에 스위칭부(130)를 오프(OFF)시켰다가 온(ON)시키는 경우 메모리에 "2" 가 저장되며, 5초 이상이 경과되면 "0"으로 저장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스위칭부(130)에서 5초 이내 5회 이상의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150)에서는 케리브레이션 실행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물론, 입력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시간 인식이 없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위치부(130)에서 발생된 온/오프 스위칭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50)는 온/오프 스위칭 횟수가 5회 이상 입력되는 경우 케리브레이션 동작을 실행하라는 명령신호로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명령신호를 동작상태표시부(140)의 레드 LED를 1분 동안 1초 간격으로 깜박임으로서 케리브레이션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1분이 경과되면 그린 LED를 4분 동안 깜박거리게 되며, 이때의 조도 값을 조도감지부(120)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기억부(16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동작상태표시부(140)에서의 LED 밝기가 최대 밝기로 출력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LED등기구로서의 주변 조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명할 수 있는 상태로서 디밍(dimming)이 되지 않은 기본 조도 값을 설정하는 것이며, 이때가 본 발명의 케리브레이션 상태인 것이다.
데이터기억부(160)는 이이프롬(EEPROM) 등과 같은 형태의 메모리로 구성되어 스위칭부(130)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대한 출력데이터, 즉 케리브레이션 완료 상태의 조도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 값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5초 이내에서 5회 이상 반복된 스위칭 동작 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를 판독한 제어부(150)의 신호에 따라 데이터기억부(160)에 저장된 케리브레이션된 조도 값을 독출하고 조도감지부(120)부로부터 감지된 조도데이터와 비교하여 디밍을 실행하게 된다.
디밍제어부(170)는 조도감지부(120)의 출력신호와 케리브레이션되어 저장된 데이터기억부(160)의 조도 값을 비교 연산하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LED등기구 램프(180)의 출력을 펄스폭(PWM) 조절 등의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조광될 영역에서의 디밍(dimming)이 되도록 제어한다.
즉, 조도감지부(120)로부터 출력된 조도 값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50)로 입력되고, 디밍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110)의 조광 기능을 활용하여 주변의 밝기 정도에 따라서 펄스폭(PWM) 조절에 의해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여 LED등기구의 램프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dimming)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등기구 조명에 대한 케리브레이션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2에 도시된 회로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이전의 상태
본 발명에 의한 케리브레이션 이전의 상태, 즉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 과정은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하이고,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이 없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동안 옐로우 LED를 발광한 후 레드 LED를 발광하는 단계와; 상기 LED등기구 조명의 밝기를 최대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원공급부(110)의 교류전원이 입력된 상태(S110)에서 제어부(150)는 데이터기억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스위칭부(130)의 온/오프스위칭에 대한 출력데이터신호를 바탕으로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실행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120).
즉,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전(前) 상태, 제어부(150)에 스위칭부(130)의 온/오프스위칭에 대한 5회 이상의 출력 스위칭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초기의 5초 동안에는 동작상태표시부(140)의 트랜지스터(Q2)(Q3)를 동시에 동작시켜 옐로우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며(S130), 다시 트랜지스터(Q3)를 동작시켜 레드 LED가 발광하게 된다(S140). 이때, LED등기구 조명이 최대 밝기로 설정된 상태이다.
(2)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의 실행 상태
본 발명에 의한 케리브레이션 실행 상태, 즉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의 반복에 의해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 과정은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데이터기억부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레드 LED를 깜박거린 후 그린 LED를 깜박거림과 더불어 현재의 조도감지 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3 표시기가 발광하면서 케리브레이션을 종료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원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스위칭부(130)의 온/오프스위칭 신호가 5초 이내에서 5회 이상 반복된 횟수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10).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교류전원의 스위칭부(130)가 온(ON)되는 경우 데이터기억부(160)에 저장된 내부 메모리를 읽어들어 초기에는 메모리에 "1"로 저장하고 5초(sec)가 경과하면 "0" 으로 저장하며, 다시 5초 이내에 스위칭부(130)를 오프(OFF)시켰다가 온(ON)시키는 경우 메모리에 "2"가 저장되며, 5초 이상이 경과되면 "0"으로 저장되는 방법으로 반복 실행하여 스위칭부(130)에서 5초 이내 5회 이상의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150)에서는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동작상태표시부(140)의 엘로우 LED가 발광된 상태에서는 스위칭부(130)의 스위칭 신호를 오프(OFF)시키게 되며, 제어부(150)에서는 데이터기억부(160)의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온/오프 스위칭 출력데이터를 지워버리게 된다(초기화 상태를 말함)(S220).
그 상태에서, 케리브레이션 동작이 실행되는 동안 제어부(150)에서는 LED등기구 램프(180)의 조명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50)는 동작상태표시부(140)의 트랜지스터(Q3)를 동작시켜 레드 LED가 1분동안 1초 간격으로 깜박이게 된다(S230). 이는 초기 LED등기구의 램프 안정시간(대기 시간)을 나타낸다.
그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1분이 경과하게 되면 동작상태표시부(140)의 트랜지스터(Q2)를 동작시켜 그린 LED가 4분 동안 깜박이도록 제어하며(S240), 그와 동시에 조도감지부(120)의 조도센서 값을 데이터기억부(160)에 저장하게 된다(S250).
그 후, 최종 5분이 경과하게 되면 다시 동작상태표시부(140)의 트랜지스터(Q2)를 동작시켜 그린 LED가 발광하면서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동작이 완료된다(S260).
(3) 케리브레이션(calibration) 이후의 상태
본 발명에 의한 케리브레이션 이후의 상태, 즉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의 반복에 의해 LED등기구 조명의 케리브레이션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상태이고,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 과정은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그린 LED를 발광하면서 일정 시간동안 상기 LED등기구의 조명을 최대 밝기로 설정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감지된 조도감지 값과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된 결과 값을 바탕으로 상기 LED등기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 교류전원의 온/오프스위칭부(130)의 스위칭 신호를 온(ON)시키게 되며(S310), 데이터기억부(160)에 저장된 내부 메모리의 설정 값을 확인하게 된다(S320).
그 후, 동작상태표시부(140)의 그린 LED를 켜고 3분 동안은 최대 밝기로 동작하게 된다(S330). 제어부(150)에서 3분이 경과되면 조도감지부(120)의 조도센서 신호를 받아들어 펄스폭(PWM)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340). 이때, 전원공급부(110)에 내장된 컨버터에 의해 펄스폭(PWM) 신호가 조절되어 최종 LED 등기구 램프(180)의 조명이 디밍(dimming)된다.
즉, 조도감지부(120)로부터 출력된 조도 값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밍제어부(170)로 입력되고, 디밍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110)의 조광기능을 활용하여 주변의 밝기정도에 따라서 펄스폭 조절에 의해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여 LED등기구 램프(180)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S350).
다시 말해, 현재 상태에서 조도감지부(120)로부터 감지된 조도감지 값과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비교하며, 그 비교된 결과 값을 바탕으로 LED등기구 램프(180)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후 설명에서는 동작상태표시부(140)의 옐로우 LED(이하; 제1 표시기), 레드 LED(이하; 제2 표시기), 그린 LED(이하; 제3 표시기)라 명명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10: 전원공급부 120: 조도감지부
130: 스위칭부 140: 동작상태표시부
150: 제어부 160: 데이터기억부
170: 디밍제어부 180: LED등기구램프

Claims (3)

  1.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데이터기억부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제2 표시기를 깜박거린 후 제3 표시기를 깜박거림과 더불어 현재의 조도감지 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3 표시기가 발광하면서 케리브레이션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2.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제3 표시기를 발광하면서 일정 시간동안 LED등기구의 조명을 최대 밝기로 설정하는 단계와;
    현재 상태에서 감지된 조도감지 값과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된 결과 값을 바탕으로 LED등기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3.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상을 반복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케리브레이션의 실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 횟수 이하이고, 기 설정된 케리브레이션의 설정 값이 없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동안 제1 표시기를 발광한 후 제2 표시기를 발광하는 단계와;
    LED등기구 조명의 밝기를 최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KR1020120107614A 2012-09-27 2012-09-27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KR10121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614A KR101210900B1 (ko) 2012-09-27 2012-09-27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614A KR101210900B1 (ko) 2012-09-27 2012-09-27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900B1 true KR101210900B1 (ko) 2012-12-11

Family

ID=4790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614A KR101210900B1 (ko) 2012-09-27 2012-09-27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9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65B1 (ko) 2013-07-16 2013-09-13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출력 밝기 설정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제어 방법
WO2022142263A1 (zh) * 2020-12-29 2022-07-07 广东洲明节能科技有限公司 光控组件、光控灯具、光控系统、调光控制组件及调光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03B1 (ko) 2004-12-20 2006-12-19 (주)씨티전자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이용한 조도제어 시스템
JP2008545230A (ja) 2005-06-30 2008-12-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器具の出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041640B1 (ko) 2009-08-06 2011-06-14 (주)한빛전자 오토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엘이디램프용 조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03B1 (ko) 2004-12-20 2006-12-19 (주)씨티전자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이용한 조도제어 시스템
JP2008545230A (ja) 2005-06-30 2008-12-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器具の出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041640B1 (ko) 2009-08-06 2011-06-14 (주)한빛전자 오토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엘이디램프용 조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65B1 (ko) 2013-07-16 2013-09-13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출력 밝기 설정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제어 방법
WO2022142263A1 (zh) * 2020-12-29 2022-07-07 广东洲明节能科技有限公司 光控组件、光控灯具、光控系统、调光控制组件及调光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478B1 (ko)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JP4951369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US20090267541A1 (en) Led lamp control circuit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17900A1 (en) Led driving circuit, led illumination appliance, led illuminator, and led illumination system
RU2009147312A (ru) Схем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ки силы света лампы
TWI504310B (zh) Dimming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system and its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KR20110092156A (ko)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JP5834235B2 (ja) 固体光源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と照明システム
KR101210900B1 (ko)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 방법
JP2009123506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210901B1 (ko) 엘이디등기구 조명의 디밍시스템
US9351374B2 (en) Multi-mode photo-controlled light with timer circuit
JP2006310258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5063782B2 (ja) 照明自動点滅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946692B1 (ko) 자동 조도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조도 제어 방법
JP5317345B2 (ja) 光源点灯装置、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3030415A (ja) センサ付き照明制御装置およびセンサ付き照明器具
JP5345013B2 (ja) 内照看板
TWI399129B (zh) 用於一發光二極體電路之驅動裝置及相關照明裝置
KR101664729B1 (ko) 다조도 엘이디 조명 장치
KR20080041464A (ko) 개별 자동 조도 제어 장치를 내장한 조명 기구
JP2016095937A (ja) 制御装置、及び照明装置
JP6464517B2 (ja) 制御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753646B1 (ko) 엘이디조명의 디밍시스템
KR200200366Y1 (ko) 전등 자동 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