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878B1 - 보석장식판 - Google Patents

보석장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878B1
KR101210878B1 KR1020100081545A KR20100081545A KR101210878B1 KR 101210878 B1 KR101210878 B1 KR 101210878B1 KR 1020100081545 A KR1020100081545 A KR 1020100081545A KR 20100081545 A KR20100081545 A KR 20100081545A KR 101210878 B1 KR101210878 B1 KR 10121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jewel
plate
decorative plate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603A (ko
Inventor
김응석
Original Assignee
태현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현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현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8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8Decorative panels for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보석을 물품의 외부 표면으로 노출시켜 물품의 외부 표면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보석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의 보석장식판(20)에 있어서는 장식판 본체(24)의 각 보석수납홈(21)이 원뿔형으로 요입 형성되었기 때문에 보석수납홈(21)에 삽입되는 보석(30)이 장식판 본체(24)의 표면에서 심하게 돌출될 수 있게 되어 각 보석(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장식판 본체에 형성된 보석수납홈에 상부 장식부와 하부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보석이 삽입 설치되는 보석이 장식판 본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에 의해 지지되는 보석장식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 본체에 형성되는 보석수납홈을 상기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상단부 외부 직경과 대응되는 경사받침부와 상기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하부를 수납하는 원기둥형 수용부로 구성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에 의하면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상단부가 보석수납홈의 경사받침부에 받쳐지고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하부가 보석수납홈의 원기둥형 수용부에 수용되므로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높이와 관계없이 모든 보석이 보석수납홈에 일정한 높이로 수납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투명필름을 장식판 본체의 표면과 평평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고, 각 보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석장식판{a jewel decoration plate}
본 발명은 특정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보석을 물품의 외부 표면으로 노출시켜 물품의 외부 표면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보석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장식판 본체에 형성된 보석수납홈에 보석을 삽입 설치한 후 그 전방에 투명필름을 설치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콘, 김치냉장고 등을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이나 가스렌지, 가스보일러 등의 주방용 물품, 휴대폰이나 디지털카메라, MP플레이어, 전자사전 등의 휴대용 물품들은 다양한 형상과 색상, 디자인을 통해 상품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는 실정인 바, 최근에는 이들 물품의 외부 표면에 장식물을 부착 설치하여 물품의 외부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예가 많다.
종래에 있어서 물품의 외부 표면에 인조보석이나 천연보석 등의 보석을 부착 설치할 때에는 물품의 표면판에 보석 설치를 위한 구멍이나 홈을 형성하고, 그에 보석을 접착 설치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물품의 표면판에 형성된 보석설치구멍이나 보석설치홈에 보석을 직접 접착 설치하는 경우 작은 크기의 보석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일일이 설치구멍이나 설치홈에 접착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물품의 표면판에 투명 노출부나 노출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투명노출부나 노출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석을 부착 설치한 별도의 보석장식판을 물품의 표면판의 후방에 밀착 설치하는 방식도 제안되었다.
별도의 보석장식판을 사용하는 경우 크기가 큰 물품의 표면판에 직접 보석을 부착하지 않고, 크기가 작은 별도의 장식판 본체에 보석을 부착한 다음 보석장식판을 물품의 표면판에 조립하게 되므로 부품관리 측면이나 보석 설치 작업측면에서 좋게 되지만 종래에는 장식판 본체에 다수의 보석을 접착제로 일일이 접착 설치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식판 본체에 일부의 보석이 제대로 접착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장식판 본체와 함께 그에 부착된 모든 보석을 폐기하여야 하고, 보석장식판을 물품의 표면판의 후방에 밀착 설치하는 과정에서 물품의 표면판에 직접 접촉되는 보석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보석이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 1에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의 요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선출원 발명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선출원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장식판 본체(24)에 형성된 보석수납홈(21)의 주변에 양면폼테이프(22)를 설치하고, 상기 양면폼테이프(22)에 접착 설치되는 투명필름(23)을 통해 상기 보석수납홈(21)에 삽입된 보석(30)을 장식판 본체(24)에 고정하며, 상기 보석장식판(20)을 보석(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석노출부(11)가 마련된 물품(100)의 표면판(10)의 후면에 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보석장식구조 및 보석장식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특허출원 제10-2008-0113538호)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에 의하면 장식판 본체(24)의 보석수납홈(21)에 보석(30)을 접착 없이 삽입하고 투명필름(23)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보석(30)의 설치가 간편하게 되어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작업비용 및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석장식판(20)을 물품의 표면판(10)에 밀착 설치하는 과정에서 보석(30)이 직접 물품의 표면판(10)에 접촉되지 않게 되고 투명필름(23)과 완충성을 가진 양면폼테이프(22)를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보석(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장식판 본체(24)에 보석(3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에 투명필름(23)을 제거하면 간편하게 보석(30)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의 보석장식판(20)에 있어서는 장식판 본체(24)의 각 보석수납홈(21)이 원뿔형으로 요입 형성되었기 때문에 보석수납홈(21)에 삽입되는 보석(30)이 장식판 본체(24)의 표면에서 심하게 돌출될 수 있게 되어 각 보석(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4a에는 종래의 보석장식판의 요부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동 종래의 보석장식판의 요부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보석장식판에서 사용되는 보석(30)은 거들선을 중심으로 상부 장식부(31)와 다각뿔형의 하부 수납부(32)가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석을 연마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하부 수납부(32)의 높이 편차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장식판 본체(24)의 각 보석수납홈(21)이 원뿔형으로 요입 형성된 종래의 보석장식판(20)에 있어서는 하부 수납부(32)의 높이가 높은 보석(30)을 보석수납홈(21)에 삽입하게 되면 해당 보석(30)만이 장식판 본체(24)의 표면으로 높게 돌출되어 투명필름(23)을 평평하게 부착할 수 없게 되며, 그에 따라 각 보석수납홈(21)에 삽입된 보석(3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석장식판(20)은 장식판 본체(24)에 양면폼테이프(22)의 하부 접착층(22a)을 부착하고, 양면폼페이프(22)의 상부 접착층(22b)에 투명필름(23)을 부착하게 되므로 투명필름(23)의 설치가 다소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석장식판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하부 수납부의 높이와 관계없이 모든 보석이 보석수납홈에 일정한 높이로 수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투명필름을 장식판 본체의 표면과 평평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각 보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석장식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투명필름을 보다 간편하게 장식판 본체에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보석장식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식판 본체에 형성되는 보석수납홈을 경사받침부와 원기둥형 수용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투명필름의 하단 외곽 둘레에 접착층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장식판 본체에 형성된 보석수납홈에 상부 장식부와 하부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보석이 삽입 설치되는 보석이 장식판 본체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에 의해 지지되는 보석장식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 본체에 형성되는 보석수납홈을 상기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상단부 외부 직경과 대응되는 경사받침부와 상기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하부를 수납하는 원기둥형 수용부로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은 상기 투명필름을 하단 외곽 둘레에 접착층을 일체로 형성한 형태로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에 의하면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상단부가 보석수납홈의 경사받침부에 받쳐지고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하부가 보석수납홈의 원기둥형 수용부에 수용되므로 보석의 하부 수납부의 높이와 관계없이 모든 보석이 보석수납홈에 일정한 높이로 수납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투명필름을 장식판 본체의 표면과 평평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고, 각 보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에 의하면 투명필름의 하단에 접착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판 본체의 보석수납홈에 보석을 수납한 후에 투명필름을 보다 간편하게 장식판 본체에 부착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의 요부 정면도
도 2는 동 선출원 발명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동 선출원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a는 종래의 보석장식판의 요부 분해 단면도
도 4b는 동 종래의 보석장식판의 요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6a는 동 실시예의 요부 분해 단면도
도 6b는 동 실시예의 요부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a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a, 도 6b와 같이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200)은 외부 표면에 다수의 보석수납홈(221)이 형성되는 장식판 본체(224)와; 상부 장식부(231)와 하부 수납부(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판 본체(224)의 각 보석수납홈(221)에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보석(230)과; 상기 장식판 본체(224)에 부착되어 각 보석(230)을 지지하는 투명필름(22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200)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 본체(224)에 형성되는 보석수납홈(221)은 상기 보석(230)의 하부 수납부(232)의 상단부 외부 직경과 대응되는 경사받침부(221a)와 상기 보석(230)의 하부 수납부(232)의 하부를 수납하는 원기둥형 수용부(221b)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200)에 있어서 투명필름(223)은 그의 하단 외곽 둘레에 접착층(223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장식판 본체(224)에 형성된 다수의 보석수납홈(221)에 각각 보석(230)을 삽입한 후 장식판 본체(224)에 투명필름(223)을 부착하여 각 보석(230)을 덮게 되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각 보석(2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200)을 보석노출부가 마련된 물품의 표면판 후방에 밀착 설치하게 되면 각 보석(230)이 물품의 표면판의 보석노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220)에 있어서는 보석(230)을 장식판 본체(224)의 보석수납홈(221)에 삽입하였을 때에 보석(230)의 하부 수납부(232)의 상단부가 보석수납홈(221)의 경사받침부(221a)에 받쳐지고 보석(230)의 하부 수납부(232)의 하부 전체가 보석수납홈(221)의 원기둥형 수용부(221b)에 수용되므로 하부 수납부(232)의 높이와 관계없이 보석(230)이 보석수납홈(221)에 일정한 높이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220)에 있어서는 각 보석수납홈(221)에 수납되는 다수의 보석(230)이 모두 동일한 높이로 수납될 수 있게 되므로 투명필름(223)을 장식판 본체(224)의 표면과 평평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어 각 보석(2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석장식판(220)에 있어서는 별도의 양면폼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하단 외곽 둘레에 접착층(223a)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투명필름(223)을 직접 장식판 본체(224)에 부착하게 되므로 투명필름(223)을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00 : 보석장식판
221 : 보석수납홈
221a : 경사받침부
221b : 원기둥형 수납부
223 : 투명필름
223a : 접착층
230 : 보석
231 : 상부 장식부
232 : 하부 수납부

Claims (2)

  1. 장식판 본체(224)에 형성된 보석수납홈(221)에 상부 장식부(231)와 하부 수납부(232)로 이루어지는 보석(230)이 삽입 설치되는 보석(230)이 장식판 본체(224)에 부착되는 투명필름(223)에 의해 지지되는 보석장식판(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 본체(224)에 형성되는 보석수납홈(221)을 상기 보석(230)의 하부 수납부(232)의 상단부 외부 직경과 대응되는 경사받침부(221a)와 상기 보석(230)의 하부 수납부(232)의 하부를 수납하는 원기둥형 수용부(221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장식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223)은 그의 하단 외곽 둘레에 접착층(223a)을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장식판.
KR1020100081545A 2010-08-23 2010-08-23 보석장식판 KR10121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545A KR101210878B1 (ko) 2010-08-23 2010-08-23 보석장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545A KR101210878B1 (ko) 2010-08-23 2010-08-23 보석장식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03A KR20120018603A (ko) 2012-03-05
KR101210878B1 true KR101210878B1 (ko) 2012-12-11

Family

ID=4612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545A KR101210878B1 (ko) 2010-08-23 2010-08-23 보석장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6677B4 (de) * 2014-11-12 2016-06-30 Alexander Wilser GmbH Schließe und Herstell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399Y1 (ko) 2005-02-18 2005-05-03 김경석 액세서리용 장식구
KR100908210B1 (ko) 2008-11-07 2009-07-20 유재섭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보석류들이 부착된 보석 장식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399Y1 (ko) 2005-02-18 2005-05-03 김경석 액세서리용 장식구
KR100908210B1 (ko) 2008-11-07 2009-07-20 유재섭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보석류들이 부착된 보석 장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03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64066B (zh) 生产具有附着物体的瓶的方法以及由此生产的瓶
USD535207S1 (en) Face display for a timepiece
JP5358671B2 (ja) 装飾効果を有する携帯用物品
USD518406S1 (en) Fashion jewelry eyeglass clasp
JP6295326B2 (ja) 時計の文字盤に宝石を固定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宝石を固定するシステムを備えた時計
KR101210878B1 (ko) 보석장식판
US8096702B2 (en) Ornament container for watch
USD517940S1 (en) Fashion jewelry eyeglass clasp
USD575184S1 (en) Prismatic glass for watches and clocks
KR20100054572A (ko) 물품의 보석장식구조 및 보석장식방법
KR200442457Y1 (ko) 인조보석장식판
KR200393217Y1 (ko) 휴대물품용 장식프레임
CN213344640U (zh) 一种具有收纳、展示两用功能的首饰盒
JP3225467U (ja) コインを用いた装身具
KR20100054573A (ko) 보석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173B1 (ko) 장식물 부착 방법
KR200445768Y1 (ko) 보석장식블록
KR100777024B1 (ko) 휴대폰용 보석장식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보석장식구
KR101244984B1 (ko) 가전제품용 장식재 및 그 조립공정
KR101410341B1 (ko) 장식물 부착 구조
KR20140000998A (ko) 액자
CN211403132U (zh) 一种双层字面镶嵌装饰物的表盘结构
JP3124341U (ja) メガネフレーム等の装飾体
KR200381950Y1 (ko)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200316373Y1 (ko) 보석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