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373Y1 - 보석 고정구 - Google Patents

보석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373Y1
KR200316373Y1 KR20-2003-0007007U KR20030007007U KR200316373Y1 KR 200316373 Y1 KR200316373 Y1 KR 200316373Y1 KR 20030007007 U KR20030007007 U KR 20030007007U KR 200316373 Y1 KR200316373 Y1 KR 200316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shape
fixture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선
Original Assignee
장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선 filed Critical 장기선
Priority to KR20-2003-0007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용체 및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보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보석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 공동의 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의 내외주면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석이 보석 고정구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보석에 흠집이 덜 생성되어, 보석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보석 고정구{Device for holding jewel}
본 고안은 보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석을 수용하는 수용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보석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 공동의 통형으로 이루어져 보석을 수용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보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반지, 목걸이 또는 팔찌 등과 같은 액세서리에 사용되는 보석을 고정시키는 장치인 보석 고정구가 일반적으로 사각통형으로 제공되어 왔으며, 또한, 사각통형 상단부에 다수개의 지지편이 접합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보석 고정구는 보석의 형태와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사각통형으로 제공됨으로써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석이 보석 고정구에 수용되는 경우에 보석과 보석 고정구 사이에 빈 공간이 많이 형성되어 양자 사이의 결합을 느슨하게 만들며, 이로써 보석을 보석 고정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석 고정구에 접합된 다수개의 지지편이 보석에 많은 흠집을 생성시킴으로써 보석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석을 보석 고정구와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보석에 흠집을 덜 생성시키는 보석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석 고정구에서 보석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석 고정구에 보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보석 고정구에 보석이 결합되어 귀걸이로 제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보석, 30...수용체,
50...지지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용체 및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보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보석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 공동의 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의 내외주면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석 고정구에서 보석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석 고정구는 보석(10)을 수용하는 수용체(30)와, 보석(10)을 수용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지지편(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체(30)는 보석(10)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동의 통형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보석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에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단부의 내외주면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편(50)은 상단부가 곡선처리되어 2개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체(30)의 상단부에 돌출 형태로 대응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체(30)가 보석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보석(10)을 수용체(30)와 결합시키는 경우에 보석(10)과 수용체(30) 사이에 빈 공간이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보석(10)을 수용체(30)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지지편(50)의 필요성이 절감되어 2개 정도의 지지편(50)만으로도 보석(10)이 수용체(3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충분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석 고정구에 보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보석 고정구에 보석이 결합되어 귀걸이로 제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석(10)과 수용체(30)가 결합되는 경우에 보석(10)과 수용체(30) 사이에 빈 공간이 작게 형성되어 보석(10)과수용체(30)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또한, 2개의 지지편(50)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보석(10)을 눌러줌으로써 보석(10)이 수용체(30) 내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보석 고정구에 있어서, 보석이 보석 고정구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보석에 흠집이 덜 생성되어, 보석 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2)

  1. 수용체 및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보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보석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 공동의 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의 내외주면의 형상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이 두개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체의 상단부에 대응 설치되어 수용체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고정구.
KR20-2003-0007007U 2003-03-10 2003-03-10 보석 고정구 KR200316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07U KR200316373Y1 (ko) 2003-03-10 2003-03-10 보석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07U KR200316373Y1 (ko) 2003-03-10 2003-03-10 보석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373Y1 true KR200316373Y1 (ko) 2003-06-18

Family

ID=4940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007U KR200316373Y1 (ko) 2003-03-10 2003-03-10 보석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3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1585S1 (en) Bracelet
US10602815B2 (en) Jewelry device and assembly
USD628511S1 (en) Watch strap clasp
USD561636S1 (en) Jewelry clasp
USD473483S1 (en) Bracelet
USD452030S1 (en) Decorative fluorescent fixture
USD482982S1 (en) Bracelet
KR200316373Y1 (ko) 보석 고정구
KR100449408B1 (ko) 보석홀더
USD560027S1 (en) Light fixture
KR100953447B1 (ko)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WO2022185567A1 (ja) 宝石支持台および装飾具
KR200210886Y1 (ko) 액세서리
USD483287S1 (en) Bracelet
KR200163238Y1 (ko) 장식보석홀더의구조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USD519395S1 (en) Watch face
USD492716S1 (en) Congo stand
KR200359717Y1 (ko) 다용도 장신구 및 이를 수용하는 장신구케이스
KR101210878B1 (ko) 보석장식판
KR200338248Y1 (ko) 장신구의 보석 설치구조
USD482870S1 (en) Jewelry box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100777024B1 (ko) 휴대폰용 보석장식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보석장식구
KR200260669Y1 (ko) 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