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812B1 -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 Google Patents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812B1
KR101210812B1 KR1020100071427A KR20100071427A KR101210812B1 KR 101210812 B1 KR101210812 B1 KR 101210812B1 KR 1020100071427 A KR1020100071427 A KR 1020100071427A KR 20100071427 A KR20100071427 A KR 20100071427A KR 101210812 B1 KR101210812 B1 KR 10121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n2
lichen planus
protein
ge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005A (ko
Inventor
이증훈
김창덕
손경철
시가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8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analyt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nucleic acids, uric acid, worms, m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Brn2 유전자를 이용한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 이를 이용한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및 편평태선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Brn2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편평태선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및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Brn2 유전자는 정상적인 조직 또는 세포에 비해 편평태선의 조직 또는 세포에서 발현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Brn2 유전자를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 사용할 경우 편평태선을 조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편평태선의 발병을 진단하는 진단용 시약 또는 치료제의 타겟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편평태선의 발병 메카니즘을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Use of Brn2 as a diagnostic marker for lichen planus}
본 발명은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평태선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신규한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 편평태선 진단용 키트, 마이크로 어레이, 상기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를 이용한 편평태선의 진단 방법, 각질세포의 분화유도방법 및 편평태선 유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과정 중 Brn2 유전자의 발현 변화 양상 및 편평태선 피부조직에서의 Brn2의 발현 경향에 기초하여 이를 이용한 편평태선의 치료제의 개발 및 진단 방법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 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람의 표피는 인체의 최외곽에 위치하면서 외부의 다양한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장벽 기능을 통해 체액의 증발을 막아 인체의항상성을 유지해준다. 이런 기능은 주로 표피를 구성하는 각질형성세포가 피부 지질과 함께 피부 장벽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각질형성세포는 기저막에서부터 상층부로 진행하면서 분화하여 각화함에 따라 형태가 변하면서 결국 핵이 없고 편평한 각질세포로 분화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이런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과정은 복합적인 유전자 상호 작용에 의해 정교하게 조절되며 이런 분화 과정의 이상은 아토피 피부염이나 건선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의 발생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현재 여러 연구 기관에서 각질형성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유전자들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기전이 완전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으며, 분화에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는 유전자들이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다.
한편, POU domain 전사인자인 Brn2는 신경세포의 분화와 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corticotrophin-releasing hormone)의 활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이다. 피부과 영역에서는 정상 멜라닌세포에 비해 흑색종 세포에서 Brn2 유전자가 더욱 많이 발현되어 흑색종세포의 증식과 흑색종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연구에서는 정상 표피 및 각질형성세포에서의 Brn2의 발현은 아직 관찰된 바 없으며 분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규명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Brn2 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분화 이상과 관련된 각종 질환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를 배양한 후 칼슘을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면서 Brn2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고, Brn2를 과발현시킨 각질형성세포에서 각종 분화 및 증식 표지자들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여 Brn2가 각질층의 형성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표피 조직 및 여러 피부 질환에서 Brn2의 발현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Brn2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Brn2 가 표피의 각질층을 생산하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일 가능성을 처음으로 확인하였고 정상 표피의 과립층에서 발현이 뚜렷하게 증가하며 Brn2를 과발현시킨 쥐의 피부가 피부과 질환인 편평태선과 유사한 조직소견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편평태선(lichen planus)은 피부와 점막에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소양감이 심한 염증성 질환으로서 대개 만성적인 경과를 취하며 재발이 흔한 질환이다. 즉 피부와 점막에 특징적인 구진과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인데 확실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정신적인 긴장이나 면역학적 요인, 가족력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밖에 약물이나 바이러스 등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손목과 대퇴부 안쪽에 많이 나타나고 손등이나 음경의 귀두에 생기기도 한다. 발진은 불규칙하게 여러 개가 모여 나타나며, 구진은 표면이 편평하고 매끄러운 다각형으로 중심부가 함몰되어 있다. 특히 표면에 살이 튼 것처럼 여러 개의 선이 연결되어 나타나며 자주색이 가장 흔하고, 질환이 사라지면 그 자리의 색소가 침착해서 수개월간 지속되기도 하며 피부가 위축되기도 한다. 점막을 침범한 경우에는 입안에 여러 개의 구진이 레이스 모양으로 나타나며, 이곳에 궤양이 생기면 나중에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밖에 소음순이나 항문 등에도 발생하며 궤양성인 경우에는 발이나 발가락에 통증이 심한 수포와 궤양이 나타나고, 발톱과 머리카락이 빠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등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위축성 편평태선과 같이 궤양이 생기는 병변은 수년간 지속되면 악성종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중요한 질환이다. 편평태선은 다양한 임상형태를 보이지만 조직학적으로는 톱니 모양의 표피 증식과 과립층의 비대, 기저층에 공포성 액화변성이 있으면서 진피 상부에 림프구 중심의띠 모양의 염증세포의 침윤을 보이는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진단할 수 있다. 편평 태선의 치료법으로는 국소성 병변에는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도포하거나 병변 내에 주사를 시행하고, 전신형과 같은 환자에게는 스테로이드를 경구 투여하거나 자외선치료나 비타민A 제제, 면역억제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료법이 장기간 적용 시에는 부작용의 발생 위험이 있고, 완치에 이르거나 재발을 막는 치료법이 없으므로 병변의 정도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대증 요법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편평태선의 병인 및 병태생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증적인 치료가 아닌 근본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편평태선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감염설, 유전적 요인, 면역설, 약물 또는 화학 물질에 의한 발생 등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이나 발병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유전적 요인으로 가족력과 관련하여 특정 HLA 항원의 발현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을 보일 것으로 생각되는 유전자가 명확히 규명된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편평태선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마커를 연구하던 중, 편평태선 질환의 세포에서 Brn2 유전자가 정상세포에 비해 과발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유전자를 편평태선을 진단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평태선을 진단할 수 있는 신규한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Brn2 유전자의 mRNA 또는 Brn2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평태선을 예측 및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Brn2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안티센스 또는 siRNA(small interference R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Brn2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코딩되는 Brn2 단백질을 포함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rn2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rn2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rn2 유전자의 mRNA 또는 Brn2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rn2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은 상기 Brn2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rn2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은 상기 Brn2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생물학적 시료에 존재하는 Brn2 유전자의 발현양 또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측정결과를 정상대조군 시료의 Brn2 유전자의 발현양 또는 단백질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측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세포,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및 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rn2 유전자의 발현양을 측정하는 방법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팅 및 DNA 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rn2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은 웨스턴 블럿,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및 단백질 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Brn2 유전자 또는 Brn2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측정 결과,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이 상기 시료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시료를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Brn2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안티센스 또는 siRNA(small interference R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Brn2 유전자는 정상적인 조직 또는 세포에 비해 편평태선의 조직 또는 세포에서 발현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Brn2 유전자를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 사용할 경우 편평태선을 조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편평태선의 발병을 진단하는 진단용 시약 또는 치료제의 타겟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편평태선의 발병 메카니즘을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의 Brn2의 발현을 역전사효소중합연쇄반응과 웨스턴 블럿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Brn2 유전자를 세포에서 과발현시킨 후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가 유도된 것을 나타낸 결과들이다.
도 3은 ChIP assay를 통해서 각질세포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들과 Brn2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Thymidine assay 를 통해 Brn2가 각질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Brn2 과발현 시에 각질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표지자들의 발현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쥐의 피부에 재조합된 Brn2-GFP를 정제한 아데노바이러스를 피내주입한 후 조직의 면역화학염색, 역전사효소중합반응과 웨스턴 블로팅 및 등을 이용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변화를 관찰하고 각질세포 분화 및 증식에 관여하는 표지자들의 발현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Brn2를 피내주사한 쥐의 표피 조직과 편평태선 환자의 조직의 면역화학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Brn2 유전자를 과발현시킨 Jurkat 세포주를 이용한 주화성 분석(chemotaxis assay)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Brn2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코딩되는 Brn2 단백질을 포함하는 신규한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기존에 편평태선 진단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마커의 경우, 편평태선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비율이 비교적 낮고 편평태선 이외의 다른 질병들과도 뚜렷한 구분을 보이지 않아 편평태선에 대한 예민도 및 특이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를 발굴하기 위해 편평태선 조직 및 정상 조직에서 발현의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신경세포의 분화와 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corticotrophin-releasing hormone)의 활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서 알려져 있는 Brn2가 정상 조직에 비해 편평태선 조직에서 과발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Brn2 유전자가 편평태선의 발병을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Brn2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코딩되는 Brn2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진단”이라는 용어는 병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진단은 편평태선 진단 마커의 발현 유무를 확인하여 편평태선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본 발명에서의 “진단”은 편평태선 진단 마커의 발현 유무 및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편평태선의 발병여부, 발전 및 경감 등을 판단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단용 마커(diagnosis marker)”란 편평태선의 세포를 정상 세포와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정상 세포에 비하여 편평태선의 세포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핵산(예컨대, mRNA 등),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당(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등)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는 정상 세포에 비해 편평태선의 세포에서 발현양이 증가하는 Brn2 유전자 또는 단백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Brn2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염기서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rn2 단백질은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에 대해 기능적 동등물일 수 있다. 상기 '기능적 동등물'이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Brn2 와 실질적으로 동질의 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질의 활성'이란 상기에서 기재한 Brn2의 활성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적 동등물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Brn2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중 일부가 치환되거나, 결실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 변형체가 포함될 수 있다. 아미노산의 치환은 바람직하게는 보존적 치환일 수 있으며, 천연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보존적 치환의 예는 다음과 같다; 지방족 아미노산(Gly, Ala, Pro), 소수성 아미노산(Ile, Leu, Val), 방향족 아미노산(Phe, Tyr, Trp), 산성 아미노산 (Asp, Glu), 염기성 아미노산 (His, Lys, Arg, Gln, Asn) 및 황함유 아미노산(Cys, Met). 아미노산의 결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Brn2의 활성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적 동등물의 범위에는 Brn2의 기본 골격 및 이의 생리 활성을 유지하면서 폴리펩티드의 일부 화학 구조가 변형된 폴리펩티드 유도체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안정성, 저장성, 휘발성 또는 용해도 등을 변경시키기 위한 구조변경 및 생리활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단백질과 융합으로 만들어진 융합단백질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rn2 단백질은 DNA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rn2 단백질은 상기 Brn2 유전자를 사용하여 세균, 효모, 식물 세포주 및 동물 세포주 내에서 재조합 방식으로 주입하는 유전공학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 Brn2가 편평태선의 진단용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칼슘을 처리하여 분화 유도된 각질세포에서 Brn2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분화 유도된 각질세포의 경우 세포 내에서 Brn2가 과발현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실시예 1 참조), 이를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각질세포내로 재조합된 Ad-GFP-Brn2 벡터와 대조군인 Ad-GFP 벡터를 형질도입한 후, 상기 세포내에서 각질세포 분화 마커 단백질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각질세포 분화마커인 인보크린(Involucrin), 로리크린(loricrin) 및 필라그린(filagrin)이 대조군에 비해 Brn2가 과발현된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2 참조).
또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Brn2가 각질세포 분화 단백질들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ChIP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발현된 Brn2는 인보크린(Involucrin), 로리크린(loricrin) 및 필라그린(filagrin)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3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Brn2가 과발현되면 각질세포의 분화를 유도함을 통해 편평태선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자들은 Brn2의 과발현에 의한 편편태선의 발병 여부 및 원인을 동물 실험을 대상으로 분석하기 위해, Brn2 유전자를 포함한 재조합된 아데노바이러스 및 Brn2 유전자를 포함하지 않은 아데노바이러스를 쥐의 피부에 주입한 후, 표피의 두께와 각질세포 분화 단백질(케라틴 10 및 로리크린)의 발현 양상 및 T 림프구의 침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Brn2가 주입된 쥐의 표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표피가 두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질세포 분화 단백질의 발현도 현저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5 참조). 또한, T 림프구의 침윤 정도를 조사한 경우에서도 Brn2가 과발현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염증세포인 T 림프구가 표피하로 이동되어 침윤하고 있는 현상이 관찰되었다(실시예 6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Brn2의 과발현이 각질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염증세포인 T 림프구의 침윤을 유도함으로써 편평태선을 유발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Brn2의 발현양상 분석은 편평태선의 발병을 예측 및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Brn2 유전자의 수준 또는 Brn2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rn2 유전자의 수준은, 바람직하게 Brn2 유전자가 발현된 mRNA 수준, 즉, mRNA의 양을 의미하며, 상기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물질로는 Brn2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rn2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1로 나타내는 Brn2 유전자 전체 또는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일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통해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프라이머”란 용어는 적합한 온도 및 적합한 완충액 내에서 적합한 조건(즉, 4종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중합반응 효소)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의미한다. 프라이머의 적합한 길이는 다양한 요소, 예컨대, 온도와 프라이머의 용도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의 서열은 주형의 일부 서열과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주형과 혼성화되어 프라이머 고유의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충분한 상보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프라이머는 주형인 Brn2 유전자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이 유전자 서열에 혼성화되어 프라이머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상보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는 유전자 증폭 반응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3 및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일 수 있다.
상기 “증폭 반응”은 핵산 분자를 증폭하는 반응을 말하며, 이러한 유전자의 증폭 반응들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예컨대,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리가아제 연쇄반응(LCR), 전자 중재 증폭(TMA), 핵산 염기서열 기판 증폭(NASB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프로브”라는 용어는 자연의 또는 변형된 모노머 또는 연쇄(linkages)의 선형 올리고머를 의미하며,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및 리보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고 타켓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특이적으로 혼성화할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합성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는 단일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올리고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자연 dNMP(즉, dAMP, dGMP, dCMP 및 dTMP),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브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프로브는 골격 변형된 뉴클레오타이드, 예컨대, 펩타이드 핵산 (PNA) (M. Egholm et al., Nature, 365:566-568(1993)), 포스포로티오에이트 DNA,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DNA, 포스포로아미데이트 DNA, 아마이드-연결된 DNA, MMI-연결된 DNA, 2'-O-메틸 RNA, 알파-DNA 및 메틸포스포네이트 DNA, 당 변형된 뉴클레오타이드 예컨대, 2'-O-메틸 RNA, 2'-플루오로 RNA, 2'-아미노 RNA, 2'-O-알킬 DNA, 2'-O-알릴 DNA, 2'-O-알카이닐 DNA, 헥소스 DNA, 피라노실 RNA 및 안히드로헥시톨 DNA, 및 염기 변형을 갖는 뉴클레오타이드 예컨대, C-5 치환된 피리미딘(치환기는 플루오로-, 브로모-, 클로로-, 아이오도-, 메틸-, 에틸-, 비닐-, 포르밀-, 에티틸-, 프로피닐-, 알카이닐-, 티아조릴-, 이미다조릴-, 피리딜- 포함), C-7 치환기를 갖는 7-데아자퓨린 (치환기는 플루오로-, 브로모-, 클로로-, 아이오도-, 메틸-, 에틸-, 비닐-, 포르밀-, 알카이닐-, 알켄일-, 티아조릴-, 이미다조릴-, 피리딜-), 이노신 및 디아미노퓨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Brn2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물질로는 Brn2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펩티드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다클론 항체, 단일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 등의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편평태선을 진단할 수 있는 마커 단백질로서 Brn2 단백질이 규명되었으므로, 상기 단백질을 이용하여 항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 기술자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다클론 항체의 경우에는 Brn2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클론 항체는 염소, 토끼, 양, 원숭이, 말, 돼지, 소, 개 등의 임의의 동물 종 숙주로부터 제조가능하다. 단일클론 항체의 경우에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하이브리도마(hybridoma) 방법(Kohler et al., European Jounral of Immunology, 6, 511-519, 1976)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Clackson et al, Nature, 352, 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 Biol., 222:58, 1-597, 1991)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rn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평태선 진단용 키트에 포함되는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은 Brn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정의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편평태선 진단용 키트가 만일 PCR 증폭 과정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키트는 선택적으로, PCR 증폭에 필요한 시약, 예컨대, 완충액, DNA 중합효소(예컨대, Thermus aquaticus (Taq), Thermus thermophilus (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또는 Pyrococcus furiosus(Pfu)로부터 수득한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 DNA 중합 효소 조인자 및 dNTP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편평태선 진단용 키트가 면역 분석에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키트는 선택적으로, 이차항체 및 표지의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상기한 시약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rn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에 있어서, Brn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는 혼성화 어레이 요소(hybridizable array element)로서 이용되며, 기질(substrate) 상에 고정화된다. 바람직한 기질은 적합한 견고성 또는 반-견고성 지지체로서, 예컨대, 막, 필터, 칩, 슬라이드, 웨이퍼, 파이버, 자기성 비드 또는 비자기성 비드, 겔, 튜빙, 플레이트, 고분자, 미소입자 및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성화 어레이 요소는 상기 기질 상에 배열되고 고정화되며, 이와 같은 고정화는 화학적 결합 방법 또는 UV와 같은 공유 결합적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성화 어레이 요소는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알데히드기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글래스 표면에 결합될 수 있고, 또한 폴리라이신 코팅 표면에서 UV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성화 어레이 요소는 링커(예: 에틸렌 글리콜 올리고머 및 디아민)를 통해 기질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이크로어레이에 적용되는 시료가 핵산일 경우에는 표지(labeling)될 수 있고, 마이크로어레이상의 어레이 요소와 혼성화 될 수 있다. 혼성화 조건은 다양할 수 있으며, 혼성화 정도의 검출 및 분석은 표지 물질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rn2 유전자의 발현수준 또는 Brn2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여 편평태선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방법은 (a) 생물학적 시료에 존재하는 Brn2 유전자의 발현양 또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측정결과를 대조군 시료의 Brn2 유전자의 발현양 또는 단백질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Brn2 유전자의 발현수준 또는 Brn2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mRNA 또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공지의 공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란 편평태선 발생 또는 진행 정도에 따른 상기 Brn2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단백질의 수준이 정상 대조군과는 다른, 생체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말하며, 상기 시료로는 예를 들면,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조직, 세포,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및 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Brn2 유전자의 발현 수준 측정은 바람직하게는 mRNA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며, mRNA의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럿 및 DNA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Brn2 단백질 수준의 측정은 항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생물학적 시료 내의 Brn2 마커 단백질과 이에 특이적인 항체는 결합물, 즉,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하며,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량은 검출 라벨(detection label)의 시그널의 크기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라벨은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선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웨스턴 블럿,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선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분석법, FACS, 단백질 칩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검출 방법들을 통하여, 정상대조군의 Brn2 mRNA 발현양 또는 단백질의 양과 편평태선 환자 또는 편평태선 의심환자에서의 Brn2 mRNA 발현양 또는 단백질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발현양의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편평태선의 발병여부, 진행단계 또는 예후 등을 예측 및 진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a) Brn2 유전자 또는 Brn2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측정 결과,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이 감소되는 경우에 상기 시료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먼저 Brn2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시료”는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스크리닝에서 이용되는 미지의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시료는 화학물질, 뉴클레오티드, 안티센스-RNA, siRNA(small interference RNA) 및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후, 시료가 처리된 세포에서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이 측정되면 상기 시료는 편평태선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물질로 판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웨스턴 블럿, 노던 블럿,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및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rn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또는 Brn2 단백질의 발현 및 활성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물질, 뉴클레오티드, 안티센스, siR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Brn2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안티센스 또는 siRNA(small interference R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란 용어는 특정 mRNA의 서열에 상보적인 핵산 서열을 함유하고 있는 DNA 또는 RNA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의미하고, mRNA 내의 상보적인 서열에 결합하여 mRNA의 단백질로의 번역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안티센스 서열은 Brn2 mRNA에 상보적이고 Brn2 mRNA에 결합할 수 있는 DNA 또는 RNA 서열을 의미하며, Brn2 mRNA의 번역, 세포질내로의 전위(translocation), 성숙(maturation) 또는 다른 모든 전체적인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필수적인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센스 핵산은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염기, 당 또는 골격(backbone)의 위치에서 변형될 수 있다(De Mesmaeker et al., Curr Opin Struct Biol., 5, 3, 343-55, 1995). 핵산 골격은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메틸 포스포네이트, 단쇄 알킬, 시클로알킬, 단쇄 헤테로아토믹, 헤테로시클릭 당간 결합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안티센스 핵산은 하나 이상의 치환된 당 모이어티(sugar moiety)를 포함할 수 있다. 안티센스 핵산은 변형된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염기에는 하이포크잔틴, 6-메틸아데닌, 5-메틸피리미딘(특히 5-메틸시토신), 5-하이드록시메틸시토신(HMC), 글리코실 HMC, 젠토비오실 HMC, 2-아미노아데닌, 2-티오우라실, 2-티오티민, 5-브로모우라실, 5-하이드록시메틸우라실, 8-아자구아닌, 7-데아자구아닌, N6 (6-아미노헥실)아데닌, 2,6-디아미노퓨린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센스 핵산은 상기 안티센스 핵산의 활성 및 세포 흡착성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moiety) 또는 컨쥬게이트(conjugate)와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 모이어티, 콜레스테릴 모이어티, 콜릭산, 티오에테르, 티오콜레스테롤, 지방성 사슬, 인지질, 폴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아다맨탄 아세트산, 팔미틸 모이어티, 옥타데실아민, 헥실아미노-카르보닐-옥시콜에스테롤 모이어티 등의 지용성 모이어티 등이 있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지용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5,138,045호, 제5,218,105호 및 제5,459,255호). 상기 변형된 핵산은 뉴클레아제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안티센스 핵산과 표적 mRNA와의 결합 친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통상의 방법으로 시험관에서 합성되어 생체 내로 투여하거나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시험관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하는 일예는 RNA 중합효소 I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RNA가 합성되도록 하는 한 가지 예는 인식부위(MCS)의 기원이 반대 방향에 있는 벡터를 사용하여 안티센스 RNA가 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안티센스 RNA는 서열 내에 번역 중지 코돈이 존재하도록 하여 펩타이드 서열로 번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siRNA”용어는 RNA 방해 또는 유전자 사일런싱을 매개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국제공개 특허번호 00/44895, 01/36646, 99/32619, 01/29058, 99/07409 및 00/44914 참조). siRNA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유전자 넉다운(knock-down) 방법으로서 또는 유전자치료 방법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센스 가닥(Brn2 mRNA 서열에 상응하는 서열)과 안티센스 가닥(Brn2 mRNA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이중쇄를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자기-상보성(self-complementary) 센스 및 안티센스 가닥을 가지는 단일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siRNA는 RNA끼리 짝을 이루는 이중사슬 RNA 부분이 완전히 쌍을 이루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매치(대응하는 염기가 상보적이지 않음), 벌지(일방의 사슬에 대응하는 염기가 없음) 등에 의하여 쌍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siRNA 말단 구조는 Brn2 유전자의 발현을 RNAi 효과에 의하여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평활(blunt) 말단 혹은 점착(cohesive) 말단 모두 가능하고, 점착 말단 구조는 3'-말단 돌출 구조와 5'-말단 돌출 구조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자기-상보성(self-complementary) 센스 및 안티센스 가닥 사이에 짧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발현에 의해 형성된 siRNA 분자는 분자내 혼성화에 의하여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전체적으로는 스템-앤드-루프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스템-앤드-루프 구조는 인 비트로(In vitro) 또는 인 비보(on vivo)에서 프로세싱되어 RNAi를 매개할 수 있는 활성의 siRNA 분자를 생성한다.
siRNA를 제조하는 방법은 시험관에서 siRNA를 직접 합성한 뒤, 형질전환 과정을 거쳐 세포 안으로 도입시키는 방법과 siRNA가 세포 안에서 발현되도록 제조된 siRNA 발현 벡터 또는 PCR-유래의 siRNA 발현 카세트 등을 세포안으로 형질전환 또는 감염(infection)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유전자 특이적인 siRN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siRNA의 세포내 유입을 촉진시키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siRNA의 세포내 유입을 촉진시키는 제제에는 일반적으로 핵산 유입을 촉진하는 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리포좀을 이용하거나 콜레스테롤, 콜레이트 및 데옥시콜산을 비롯한 다수의 스테롤류 중 1종의 친유성 담체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폴리-L-라이신(poly-L-lysine), 스퍼민(spermine), 폴리실아잔(polysilazane), 폴리에틸레민(PEI: polyethylenimine), 폴리디하이드로이미다졸레늄(polydihydroimidazolenium), 폴리알리라민(polyallylamine), 키토산(chitosan) 등의 양이온성 고분자(cationic polymer)를 이용할 수도 있고, 숙실화된 PLL(succinylated PLL), 숙실화된 PEI(succinylated PEI), 폴리글루타믹산(polyglutamic acid), 폴리아스파틱산(polyaspartic acid),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타아크릴산(polymethacylic acid),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헤파린(heparin), 히아루릭산(hyaluronic acid) 등의 음이온성 고분자(anionic polymer)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rn2 단백질의 발현 및 활성을 감소시키는 물질로서 Brn2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항체는 기존의 치료제와 직접 또는 링커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커플링(예를 들어, 공유결합)시킬 수 있다. 항체와 결합될 수 있는 치료제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131I, 90Y, 105Rh, 47Sc, 67Cu, 212Bi, 211At, 67Ga, 125I, 186Re, 188Re, 177Lu, 153Sm, 123I, 111In 등과 같은 방사성핵종(radionuclid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및 인터페론과 같은 림포카인(lympokine) 등의 생물학적 반응 변형체 또는 약물; 리신, 아브린, 디프테리아 등과 같은 독소; 이형기능성 항체(heterofunctional antibodies), 즉 다른 항체와 결합되어서 그 복합체가 암 세포와 효능 세포(예를 들면, T 세포와 같은 K 세포(killer cell) 모두에 결합하는 항체; 및 자연적인, 즉, 비-연관 또는 비-복합된 항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를 들면,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과 같은 경구 투여용 담체 및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담체 등이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 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환약 및 캡슐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형화된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으로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는데, 상기 “투여”란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물질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유효량” 이란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질환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체중, 약물에 대한 민감도, 현재 치료법의 종류, 투여방법, 표적 세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종래의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0㎍/체중kg/day,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1000㎎/체중kg /day의 유효용량으로 하루에 수회 반복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표피 각질 형성 세포에서 Brn2 발현정도 분석
본 발명자들은 먼저 Brn2 유전자가 편평태선 질환의 발병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정상인으로부터 수득한 피부조직을 70% 에탄올에서 약 1 분간 멸균한 다음, 상기 조직을 잘라 dispase 용액에 넣고 4℃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표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표피는 0.05% 트립신, 0.025% EDTA 용액에 넣고 37℃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피펫팅하여 각질형성세포를 회수하였으며, 각질형성 세포는 bovinepituitary extract(BPE)와 epidermal growth factor(EGF)가 포함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성장 배지에 1.2mM 칼슘을 14일 동안 처리하여 분화가 유도된 각질형성세포를 수득하였다. 일반적으로 편평태선은 분화된 각질형성세포가 과증식되어 유발되는 특징이 있으며, 각질형성세포는 칼슘의 처리에 의해 더욱 분화되는 특징이 있는 바, 상기 방법으로 분화유도된 각질형성세포주는 즉 편평태선 질환의 세포와 유사하므로 이를 대상으로 세포내에서 발현되는 Brn2의 발현양을 PCR 및 웨스턴블롯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때 대조군으로 사람의 정상 표피세포를 사용하였다.
Brn2 유전자의 mRNA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PCR을 수행하였는데, 상기 PCR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이때 Invocin은 각질세포의 분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지자로 사용하였으며, cyclophilin은 loading control로 사용하였으며,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95℃에서 5분간 열변성 시킨 후, 95℃에서 30초, 56℃에서 30초,72℃에서 30초 및 4℃에서 5분의 반응을 35 사이클을 반복 수행하였다. 또한, 이때 cyclophilin의 유전자 증폭은 상기 PCR 반응 조건에서 35 사이클 대신 20 사이클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증폭 대상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서열목록
Brn2 F-primer 5‘-gcggatcaaactgggattta-3’ 3
Brn2 R-primer 5‘-ggaggggtcatccttttctc-3’ 4
Invocin F-primer 5‘-gatgtcccagcaacacacac-3’ 5
Invocin R-primer 5‘-tgctctgggttttctgcttt-3’ 6
cyclophilin F-primer 5‘-ctcctttgagctgtttgcag-3’ 7
cyclophilin R-primer 5‘-caccacatgcttgccatcc-3’ 8
또한, Brn2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웨스턴 블럿은 Brn2에 대한 항체( SC-6029, Lot# K3009)를 Santa Cruz Biotechnology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웨스턴 블럿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또한, 상기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염색 방법을 수행하였는데, 이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염색 후 현미경을 통해 각 세포에서의 Brn2 단백질의 발현양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a 및 1b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에 칼슘을 처리하여 배양한 결과,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Brn2의 발현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동일하게 각질세포의 분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지자인 Invocin의 발현도 시간에 따라 점점 발현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면역화학염색 분석 결과, 정상 세포에 비해 분화된 각질형성세포의 경우 Brn2가 과발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c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각질세포의 과다증식이 원인이 되는 편평태선의 경우, 정상에 비해 특이적으로 Brn2가 과다하게 발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써 상기 Brn2를 편평태선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Brn2 과발현과 각질세포의 분화와의 관련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각질세포의 분화가 진행될수록 Brn2가 과발현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Brn2의 과발현이 각질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활성이 있음을 예상하였으며 이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세포내에서 Brn2를 과발현시킬 수 있도록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는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형광물질인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및 Brn2 유전자가 연결되어 결합된 Ad-GFP-Brn2 벡터를 제작하였고, 대조군을 위해 상기 벡터에서 Brn2만 삽입되지 않은 Ad-GFP 벡터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제작된 상기 벡터는 정상 각질세포에 각각 형질도입한 다음, 5일 이후 형광현미경을 통해 각 세포를 관찰하였다. 이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상기 세포들로부터 세포 추출물을 제조한 후, 각질세포 분화단백질인 인보크린(Inv), 로리크린(Lor, loricrin) 및 필라그린(Fila, filagrin)과 loading control로 cyclophilin(CYP), GFP 및 액틴에 대한 항체 및 상기 유전자들을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프라이머 및 하기 표에 기재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 및 웨스턴 블럿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방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하였으며, 단지 필라그핀 유전자 증폭시 PCR 반응 조건을 25회 반복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증폭 대상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서열목록
loricrin F-primer 5‘-agtggactgcgtgaagacct-3‘ 9
loricrin R-primer 5‘-tagagacgcctccgtagctc-3‘ 10
filagrin F-primer 5‘-agtgaggcatacccagagga-3‘ 11
filagrin R-primer 5‘-acccggattcaccataatca-3‘ 12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각질세포 분화단백질인 인보크린(Inv) 및 로리크린(Lor, loricrin)이 Brn2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인보크린(Inv) 및 로리크린(Lor, loricrin)의 프로모터가 삽입된 리포터 아데노바이러스와 Brn2를 발현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성장배지(Keratinocyte-serum free medium (K-SFM)) 와 함께 상기 성장배지에 서로 다른 농도의 칼슘, 즉, 1.2mM 및 0.6mM의 칼슘이 각각 첨가된 배지에서 각질세포내로 형질도입 하였다. 이후 2일 및 5일 배양한 다음, 세포를 각각 용해시키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루시퍼라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는 Luc 단위와 SEM으로 표시하였으며, 3개의 다른 실험군으로부터 평균을 내어 측정하였고, 루시퍼라제 활성은 RLU(Reactive Light Units)단위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의 평균 RLU값을 100(%)으로 하여 각 실험군의 값을 표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Brn2을 과발현 시킨 경우, Brn2가 삽입되지 않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로 형질도입한 경우에 비해 각질세포분화 표지 단백질인 인보크린(Inv), 로리크린(Lor, loricrin) 및 필라그린(Fila, filagrin)이 더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발현양은 2일 배양한 것에 비해 5일 배양한 경우가 더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b 및 2c 참조).
또한, 루시퍼라제 분석 결과, Brn2의 발현은 인보크린 및 로리크린의 프로모터에 의해 더욱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인보크린 프로모터 보다 로리크린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된 칼슘의 농도 보다는 배양 시간이 Brn2의 발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칼슘 처리 후 2일 배양한 것에 비해 5일 배양한 경우가 최소 1.5배에서 4배 정도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c 및 2d 참조).
< 실시예 3>
ChIP 분석을 통한 각질세포 분화와 Brn2 와의 관련성
Brn2 유전자가 각질세포 분화관련 유전자들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Ad-GFP-Brn2 벡터 및 Ad-GFP 벡터를 각질세포로 형질도입한 후 세포 추출물을 수득한 후, Brn2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전을 수행하여 Brn2와 결합된 단백질 복합체를 수득한 다음, 인보루크린(Involucrin), 로리크린(loricrin), 필라그린(filagrin)-1 및 -2에 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Brn2와 상기 단백질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앞서 수행한 실험 결과들을 통해 Brn2가 상기 단백질들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음을 가정하였고, Brn2가 인보루크린, 로리크린 및 필라그린에 각각 결합할 수 있는 부위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서열
증폭 대상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서열목록
loricrin-1 F-primer 5'-aatggtgcaatcttggcgca-3' 13
loricrin-1 R-primer 5'-tagtgccatctactctggag-3' 14
filagrin-1 F-primer 5'-acaggaggagcacagactgt-3' 15
filagrin-1 R-primer 5'-ttggatacatccacttgtcc-3' 16
filagrin-2 F-primer 5'-ggtcaaagagtgagatcctt-3' 17
filagrin-2 R-primer 5'-caacagaagccaggaaagaa-3' 18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hip 분석을 통해 각질세포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들은 Brn2와 결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편평태선의 질환에 있어서 Brn2의 경우 세포내에서 과발현 될 경우 각질세포 분화 관련 단백질들과의 결합을 통해 각질세포 분화를 더욱 촉진시키는 과정을 통해 편평태선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4>
Brn2 의 각질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자들은 Brn2의 발현이 각질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당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티미딘 시험(thymidine assay)을 수행하였다. 즉, adeno-GFP와 adeno-GFP-Brn2 바이러스를 각질세포에 각각 24, 48,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3H-thymidine을 이용하여 세포의 증식정도를 확인하였는데, 상기 처리한 세포들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정량한 다음 SDS-PAGE를 이용하여 전기영동 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아데노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또한, 세포증식 정도의 확인은 상기 전기영동 후의 아가로스겔에 있는 단백질들을 니트로 셀루로즈 막으로 이동시킨 후,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들인 p21, p53, Rb 및 세포 증식 마커인 pCNA와 세포자살(apoptosis) 마커인 parp 및 이 외의 K14와 p63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각각의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각질세포에서 Brn2가 과발현되는 동안 세포 주기 단백질들인 p21, p53, Rb는 단백질의 발현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세포 증식 마커인 pCNA의 발현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도 4b 참조), 세포자살(apoptosis) 마커인 parp의 발현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4c 참조), K14와 p63의 발현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d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각질세포 내에서 Brn2의 과발현은 각질세포의 세포 증식 속도와는 무관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Brn2 를 쥐에 피내 주사한 후의 발현 분석
본 발명자들은 실제로 Brn2 유전자의 과발현이 편평태선을 유발시킬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상기 본 발명에서 제작한 adeno-GFP-Brn2 벡터 및 adeno-GFP 벡터를 이용하여 정제한 Brn2-GFP 아데노바이러스 및 GFP 아데노바이러스를 쥐(rat) 피부에 피내 주사하고, 1주 후 피부조직을 적출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CTL를 피내 주사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적출된 조직은 포르말린(formalin)으로 고정한 다음, section하여 헤마토자일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조직 내에서 Brn2의 과발현으로 인한 각질단백질의 발현도 함께 조사하기 위해 로리크린(loricrin), 케라틴 10 및 케라틴 14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GFP, CTL 또는 PBS 만을 단독으로 주입한 경우에 비해 Brn2가 주입된 경우, 표피의 두께는 더 두꺼워져서 과각화(hypergranularization)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과각화 현상은 상기 대조군들에 비해 Brn2를 주입한 경우 약 3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리크린(Lorincrin) 및 케라틴 10(keratin 10)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염색을 수행한 결과, CTL, GFP, PBS 및 Brn2를 각각 주입한 피부조직에서 상기 단백질들은 발현 양상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각질분화의 초기 마커인 케라틴 10의 경우, Brn2의 주입에 의해 케라틴 10 단백질의 발현은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질분화의 후기 마커인 로리크린 역시 Brn2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c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Brn2를 쥐의 표피에 피내주사 한 후, 쥐의 피부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양상을 편평태선 질환의 조직과 비교하였는데, 상기 비교를 위해 편평태선 질환에 걸린 환자로부터 수득한 조직과 Brn2가 주입된 쥐의 조직을 가지고 HE 염색을 수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T 림프구의 침윤에 의해 매개되는 편평태선 질환에서 본 발명의 Brn2가 T 림프구의 활성화를 통해 질환을 유도하는지를 확인하고자 Brn2가 피내 주사된 쥐의 조직, 편평태선 환자로부터 수득한 조직 및 대조군으로 GFP만을 피내 주사한 쥐의 조직을 대상으로 Brn2에 대한 항체 및 T 림프구의 침윤을 확인할 수 있는 마커인 CD3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염색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Brn2가 주입된 쥐의 조직의 경우 편평태선 환자의 조직과 같이 과립층이 두꺼워지고 과각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저층의 세포들은 괴사되었고 염증 세포들이 상피하층(subepithelial layer)쪽에 침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면역염색 결과, 편평태선 환자의 조직에서 Brn2의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고, Brn2를 피내 주사한 경우와 편평태선 환자 조직의 경우 모두 T 림프구의 침윤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b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Brn2가 세포 내에서 과발현 되면 각질형성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T 림프구의 침윤을 활성화시켜 편평태선 질환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Brn2의 발현 정도를 측정함을 통해 편평태선의 증상 여부 및 발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6>
Jurkat 세포주를 이용한 주화성 시험( Chemotaxis assay )
T 림파구 세포주인 Jurkat 세포를 대상으로 Brn2의 과발현 시 편평태선을 유발시키는 인자인 T 림파구의 표피하 이동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이를 위해 먼저 Jurkat 세포가 분주된 웰(위쪽의 웰)에 빨간색을 나타내는 아데노바이러스를 12시간 처리하였고, 아래쪽의 웰에는 분주된 각질세포에 아데노바이러스-GFP 및 아데노바이러스-GFP-Brn2를 48시간 동안 각각 처리하였다. 이후 다시 18시간 동안을 배양한 후, 필터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T 림파구 세포주인 Jurkat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Brn2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Brn2을 처리하여 Brn2가 과발현된 군의 경우 T 림파구 세포가 더 많이 이동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Brn2가 과발현 되었을 경우 세포 내에서 염증세포인 T 림파구를 세포내로 표피하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편평태선 질환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Brn2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또는 Brn2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편평태선 진단용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편평태선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편평태선 의심환자의 생물학적 시료 및 정상 대조군 시료로부터 Brn2 유전자의 발현양 또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세포, 혈액, 혈청, 혈장, 타액 및 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rn2 유전자의 발현양을 측정하는 방법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팅 및 DNA 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rn2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은 웨스턴 블랏,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및 단백질 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a) Brn2 유전자 또는 Brn2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측정 결과, Brn2 유전자의 발현양, Brn2 단백질의 양 또는 Brn2 단백질의 활성이 상기 시료를 접촉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시료를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
  12. Brn2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안티센스 또는 siRNA(small interference R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편평태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00071427A 2010-07-23 2010-07-23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KR10121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427A KR101210812B1 (ko) 2010-07-23 2010-07-23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427A KR101210812B1 (ko) 2010-07-23 2010-07-23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005A KR20120010005A (ko) 2012-02-02
KR101210812B1 true KR101210812B1 (ko) 2012-12-10

Family

ID=4583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427A KR101210812B1 (ko) 2010-07-23 2010-07-23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812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database NCBI Reference Sequence: NP_005595. POU domain, class 3, transcription factor 2(2010.0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005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334B2 (ja) 血中循環腫瘍細胞に関する方法およびアッセイ
KR20120088063A (ko)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커로서의 Lin-28의 용도
Zhang et al. Identification of novel adipokines through proteomic profiling of small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adipose tissue
Yang et al. Salvia miltiorrhiza-derived miRNAs suppress vascular remodeling through regulating OTUD7B/KLF4/NMHC IIA axis
WO2016152352A1 (ja) メラノーマ特異的バイオマーカー及びその利用
KR101154130B1 (ko) 전이에 관련된 인자 및 그 용도
KR101315570B1 (ko) 간암 진단 마커 및 치료제로서의 nlk
WO2011129427A1 (ja) 癌の診断剤および治療剤
KR101200194B1 (ko) 간암 진단용 마커로서의 socs6의 용도
KR101351234B1 (ko) 간암 진단용 마커로서 Gankyrin의 용도
KR101210812B1 (ko) 편평태선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KR101789910B1 (ko) 쇼그렌 증후군 진단 마커로서 siglec5의 용도
CN107921150B (zh) 非酒精性脂肪肝调控因子14-3-3蛋白
CN107921149B (zh) 非酒精性脂肪肝调控因子14-3-3蛋白
KR102025005B1 (ko) 전암성 병변에서 조기 간암을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 및 이의용도
KR101210718B1 (ko) 이식편대숙주병 진단용 마커로서의 Brn2의 용도
KR20170052454A (ko) 소라페닙 민감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100861464B1 (ko) 발암/전이유전자 tip41과 이에 의해 코드되는 단백질 및이를 이용한 발암 및 전이 진단 키트
KR102202120B1 (ko)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Ube2h의 용도
KR20140123701A (ko) 신규한 간암치료 타겟으로서 sirt7의 용도
WO2009113495A1 (ja) 肝癌特異的発現遺伝子による肝癌の検査方法並びに肝癌の治療及び予防剤
KR101128640B1 (ko) 간암 진단용 마커로서의 rps 14의 용도
KR101385783B1 (ko) 간암 진단 마커 및 치료제로서의 dbc1
KR101150410B1 (ko) 간암 진단용 마커로서의 s100p의 용도
WO201903617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ANTI-CALC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