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418B1 -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 - Google Patents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418B1
KR101210418B1 KR1020120008836A KR20120008836A KR101210418B1 KR 101210418 B1 KR101210418 B1 KR 101210418B1 KR 1020120008836 A KR1020120008836 A KR 1020120008836A KR 20120008836 A KR20120008836 A KR 20120008836A KR 101210418 B1 KR101210418 B1 KR 10121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weight
board
friendly high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식
김용태
Original Assignee
김용태
김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김완식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102012000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의 함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도 천연목재보다 우수한 강도(물성), 가공성, 시공성 등을 가지는 인조목재를 사용하고, 상기 인조목재 보드의 상면에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접착시킨 후,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프라이머층 및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에 불에 잘 타지 않을 뿐 아니라 발화되더라도 유독성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다양한 무늬와 모양을 나타내며, 제품 표면의 평활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투명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광성, 입체성 및 고광택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 친환경 고기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HIGH PERFORMANCE BOARD AND ECO-FRIENDLY, HIGH PERFORMANCE BOAR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가구의 문짝이나 씽크대 문짝 또는 건축용 실내도어 등의 인테리어 마감재로 유용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에 대한 것이다.
건축용 내장재 또는 인테리어 마감재란 건축물 내부를 마무리하고 장식하는 데 쓰는 재료를 말하는 것으로, 마감재 보드 및 시트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종 가구용 문짝이나 씽크대 문짝 또는 건축용 실내도어 등의 인테리어 마감재 보드 및 시트는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해야 하고,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여서는 안된다는 요구를 충족하여야 한다. 특히, 오늘날에는 내연성을 가지는 것은 물론이고, 발화되더라도 유독가스를 최대한 발생하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한 요구조건이다.
종래에는 합판이나 가공목재(MDF, 파티클 보드, 집성목 등) 등의 재료 위에 원하는 색상과 무늬 등이 인쇄된 전사필름을 얹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전사함으로써 원하는 색상이나 무늬 등을 가진 패널을 얻었다.
또는 원하는 색상과 무늬 등이 상면에 인쇄된 PVC DECO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합판이나 가공 목재 위에 얹고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원하는 색상이나 무늬 등을 가진 패널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사필름은 전이를 위한 필름이 제거되면 상기 색상이나 무늬 등의 시각적 특성 및 내스트레치성, 내용제성, 내광성 등의 물적 특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좀더 경과된 후에는 인쇄층에 균열이 일어나는 문제와 천연목재의 질감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전사면의 색상이나 무늬가 지워질 우려가 있어 전사면 위에 표면 요철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샌딩공정을 거칠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형층 하단에 탑 코팅층을 부여하여 필름이 제거된 후에도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투명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광성, 입체성, 고광택성 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도를 하였으나 탑 코팅층의 두께를 두껍게 올리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미려한 외관을 위한 고광택 효과를 얻기 위해 피사체로써 유리제품을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쉽게 깨어질 우려가 있고 무거워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합판이나 가공 목재 위에 원하는 색상과 무늬 등이 상면에 인쇄된 PVC DECO 필름을 접착하는 방식은 인쇄층에 균열은 생기지 않으나 전사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면 요철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샌딩공정을 거칠 수가 없고, 필름을 부착할 때 접착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필름이 부분적으로 물리적 변형을 일으켜 매끄러운 표면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이용한 인조목재를 사용하여 화재발생시 유해한 가스발생률이 감소되고, 천연 식물성 섬유질이 다량 포함되어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천연목재와 유사한 강도(물성)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투명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및 내광성 등이 높으면서 입체성 및 고광택성 등의 효과가 높아 제품의 단가를 높일 수 있고 유리제품과 같은 고급스러움을 나타낼 수 있는 건축용 내장재 가공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의 함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도 천연목재보다 우수한 강도(물성), 가공성, 시공성 등을 가지는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이용한 인조목재를 사용하고, 상기 인조목재 보드의 상면에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접착시킨 후,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프라이머층 및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재시에 불에 잘 타지 않을 뿐 아니라 발화되더라도 유독성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다양한 무늬와 모양을 나타내며, 제품 표면의 평활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투명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광성, 입체성 및 고광택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 친환경 고기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구현예로서, (S1) 인조목재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S2) 인조목재 보드를 예열하는 단계; (S3) 예열된 보드의 상면에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접착시키는 단계; (S4) 접착된 필름층 상면을 프라이머 조성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S5) 프라이머층 상면을 UV 코팅액으로 도포하여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S6)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2) 단계는 인조목재 보드의 표면 온도가 40~60℃가 되도록 예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3) 단계에서의 필름은 상면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3) 단계에서의 필름은 하면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3) 단계의 공정을 수행할 때, 작업실 조건은 습도가 50% 이상에서 온도가 10℃가 되어야 건조가 빠르고 접착력이 양호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3) 단계는 예열된 보드의 상면에 접착제를 35~50㎛의 두께로 도포한 후 필름을 얹고 40~60℃에서 40~60kgf/㎠의 압력으로 압착롤을 연속적으로 압착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접착제는 아크릴산 부틸-아세트산 비닐 중합체 35~50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5~10중량%, 물 44~52중량%, 첨가제 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은, (S3) 단계와 (S4) 단계의 사이에 상기 보드를 10~40℃에서 1~2일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샌딩 및 이물질 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4) 단계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5~80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20중량%, 자외선 경화개시제 5~10중량% 및 첨가제 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4) 단계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리버스 롤 코팅방식을 이용하여 10~20㎛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5) 단계의 UV 코팅액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0~55중량%, 자외선 경화개시제 5~10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5~40중량% 및 첨가제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5) 단계는 UV 코팅액을 커튼 도장방식을 이용하여 70~150㎛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에서, (S6) 단계는 UV 램프를 이용하여 광량 2400~3500mJ 및 온도 20~60℃의 조건에서 6~15m/분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은, UV 코팅층 상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2구현예로서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친환경 고기능 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에 불에 잘 타지 않을 뿐 아니라 발화되더라도 유독성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다양한 무늬와 모양을 나타내며, 제품 표면의 평활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투명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광성, 입체성 및 고광택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 친환경 고기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면에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접착한 인조목재 보드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UV 코팅층을 형성을 하기 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UV 코팅층의 코팅(도장)시 생길 수 있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제품 표면의 평활성, 투명성, 내광성, 내약품성, 입체성 및 고광택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등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합성수지의 함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도 천연목재보다 우수한 강도(물성), 가공성, 시공성 등을 가지는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이용한 인조목재를 사용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유해한 가스발생률이 감소되고, 천연 식물성 섬유질이 다량 포함되어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천연목재와 같은 질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물리적 성능, 가공성, 시공성이 우수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S1) 인조목재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S2) 인조목재 보드를 예열하는 단계; (S3) 예열된 보드의 상면에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접착시키는 단계; (S4) 접착된 필름층 상면을 프라이머 조성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S5) 프라이머층 상면을 UV 코팅액으로 도포하여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S6)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인조목재 보드를 준비한다. 상기 보드는 두께가 1 ~ 12mm인 것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드는 폐지, 볏짚, 옥수수대, 수수대, 마, 커피껍질, 야자수잎, 사탕수수찌꺼기 및 녹차찌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식물성 섬유질 분말; 폴리프로필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말레이트 처리된 폴리프로필렌(MAPP), 티탄산염계 및 지르콘산염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결합제; 및 윤활제, 항산화제, UV 안정제, 조핵제, 충진제 및 무기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천연 식물성 섬유질 분말을 포함하는 인조목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조목재에 대한 내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121872호 및 제10-2010-0121873호에 기재된 내용을 전용한다.
본 발명의 인조목재는 구체적으로 폐지, 볏짚, 옥수수대, 수수대, 마, 커피껍질, 야자수잎, 사탕수수찌꺼기 및 녹차찌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식물성 섬유질 분말 60~75중량%; 폴리프로필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3~29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3~11중량%; 말레이트 처리된 폴리프로필렌(MAPP), 티탄산염계 및 지르콘산염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결합제 0.5~2.5중량%; 및 윤활제, 항산화제, UV 안정제, 조핵제, 충진제 및 무기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 2~6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상 또는 이형의 형상으로 현장에 맞게 압출성형될 수 있으며, 유해한 가스발생률이 감소되고, 천연 식물성 섬유질이 다량 포함되어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합성수지가 16~40중량%의 함량으로 적게 함유됨에도 불구하고 천연목재와 유사한 강도(물성) 및 촉감 등을 가진다.
상기 인조목재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보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조 목재 보드에는 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정전기가 발생하여 다량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드 표면에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제거하지 않는 경우 이후의 접착 공정에서 접착제에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여서 접착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또한 표면의 요철로 인해 이후의 UV 코팅층 형성 단계에서 부풀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드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은 꼭 제거를 해야 경면에 굴곡이 없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S2)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인조목재 보드를 예열한다. 상기 보드를 예열하는 이유는 이후의 접착 공정에서 보드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접착제에 포함된 수분이 용이하게 증발되어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보드의 표면 온도는 40~60℃를 유지할 때 접착력이 가장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드 예열 단계에서는 내부온도가 50~70℃이고, 길이는 20~50m이며, 속도는 10~15m/분인 터널형 밀폐 콘베이어 벨트식 예열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단계에서는 예열된 보드의 상면에 문양이 인쇄 또는 전사된 필름을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에는 원하는 색상이나 문양이 인쇄 또는 전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그 상면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드 위에 원하는 색상이나 문양을 부여하기 위한 필름 상면이 상기와 같은 친환경 소재의 물질로 코팅된 경우 투명성이 뛰어나고 인쇄된 문양 위에 코팅된 것이기 때문에 문양이 지워질 것에 대한 우려 없이 샌딩공정을 거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층 위에 코팅층을 두껍게 형성할수 있어 입체효과가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필름의 하면은 필름에 인쇄 또는 전사되어 있는 색상이나 문양을 더욱 선명하게 하기 위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필름을 준비한 후에는 예열된 보드의 상면에 접착제를 35~50㎛의 두께로 도포한 후 필름을 얹고 40~60℃에서 40~60kgf/㎠의 압력으로 압착롤을 연속적으로 압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제 도포 방법은 메쉬롤 코팅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30~60메쉬의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쉬롤의 경은 Ф150~200mm이고, 온도는 5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도포 메쉬롤에 열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접착제 도포시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접착제는 아크릴산 부틸-아세트산 비닐 중합체 35~50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5~10중량%, 물 44~52중량%, 첨가제 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드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는 인조목재 보드의 상면에 상기 필름을 대고 가열 압착 로울러 공법을 이용하여 압착롤로 연속적으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착 조건으로는 40 ~ 60℃에서 40 ~ 60kgf/㎠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 온도가 60℃를 초과하면 상기 필름에 열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압착시 사용할 압착 로울러는 외부에 10~15mm 정도의 실리콘이 붙어있고 압착롤 경이 Ф400?600mm인 것으로 1~3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S3) 단계의 공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작업실 조건을 습도가 50% 이상에서 온도가 1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작업실의 조건은 건조가 빠르고, 접착력이 양호한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필름을 접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인조목재 보드는 냉각시킨 후 10 ~ 40℃의 온도에서 1 ~ 2일간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드나 필름, 접착제 등에 남아있는 여분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보드가 휘거나 비틀리는 등의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접착제가 상기 보드에 완전히 함침되고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접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인조목재 보드에 접착시킨 필름의 평활도 및 이물제거를 위해, 그리고 하기의 프라이머 조성물 코팅시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샌딩공정 및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 단계에서는 상기 보드 상면에 접착한 필름층을 프라이머 조성물로 도포한다.
상기와 같이 샌딩공정 및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치는 경우 필름층 상면의 표면장력이 40~50dyn/㎝에서 25~30dyn/㎝ 정도로 떨어지고 접착력이 저하되므로 이를 높이기 위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5~80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20중량%, 자외선 경화개시제 5~10중량% 및 첨가제 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을 리버스 롤 코팅방식을 이용하여 10~20㎛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는 강제 공기 순환방식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5) 단계에서는 프라이머층 상면을 UV 코팅액으로 도포하여 UV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S5) 단계에서는 상기 프라이머층 상면에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0~55중량%, 자외선 경화개시제 5~10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5~40중량% 및 첨가제 5~10중량%를 포함하는 UV 코팅액을 커튼 도장 방식으로 도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에 의하면 큰 광량에 노출이 되는 경우에도 황변이 잘 생기지 않는다.
이때, UV 코팅액은 70 ~ 150㎛의 두께로 도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UV 코팅층의 도포 두께가 70 ~ 150㎛인 경우 제품 표면의 평활도, 투명성, 입체성, 내광성, 내약품성, 고광택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등이 배가가 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포층의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스프레이 방식이나 롤 코팅 방식은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포가 발생하거나 평활도가 떨어지므로 커튼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6) 건조단계는 UV 램프를 이용하여 광량 2400 ~ 3500mJ 및 온도 20 ~ 60℃의 조건에서 6 ~ 15m/분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량이 큰 이유는 상기 UV 코팅층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이다.
그리고, UV 코팅층 상면에는 판매 및 보관을 위하여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UV 코팅층의 충분한 경화를 위하여 10 ~ 40℃의 온도에서 2 ~ 4일간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는 화재시에 불에 잘 타지 않을 뿐 아니라 발화되더라도 유독성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다양한 무늬와 모양을 나타내며,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내용제성, 내광성, 입체성 및 고광택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S1) 인조목재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S2) 인조목재 보드의 표면 온도가 40~60℃가 되도록 예열하는 단계;
    (S3) 예열된 보드의 상면에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접착시키는 단계;
    (S4) 접착된 필름층 상면을 프라이머 조성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S5) 프라이머층 상면을 70~150㎛ 두께의 UV 코팅액으로 도포하여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S6)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조목재는 폐지, 볏짚, 옥수수대, 수수대, 마, 커피껍질, 야자수잎, 사탕수수찌꺼기 및 녹차찌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식물성 섬유질 분말, 폴리프로필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말레이트 처리된 폴리프로필렌(MAPP), 티탄산염계 및 지르콘산염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결합제 및 윤활제, 항산화제, UV 안정제, 조핵제, 충진제 및 무기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S3) 단계에서의 필름은 상면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코팅되며, 하면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코팅된 것인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S3) 단계는 예열된 보드의 상면에 접착제를 35~50㎛의 두께로 도포한 후 필름을 얹고 40~60℃에서 40~60kgf/㎠의 압력으로 압착롤을 연속적으로 압착하여 수행하는 것인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S3) 단계의 공정을 수행할 때, 작업실 조건은 습도 50% 이상에서 온도 1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아크릴산 부틸-아세트산 비닐 중합체 35~50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5~10중량%, 물 44~52중량%, 첨가제 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S3) 단계와 (S4) 단계의 사이에
    상기 보드를 10~40℃에서 1~2일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샌딩 및 이물질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S4) 단계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5~80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20중량%, 자외선 경화개시제 5~10중량% 및 첨가제 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S4) 단계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리버스 롤 코팅방식을 이용하여 10~20㎛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인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S5) 단계의 UV 코팅액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0~55중량%, 자외선 경화개시제 5~10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5~40중량% 및 첨가제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S6) 단계는 UV 램프를 이용하여 광량 2400~3500mJ 및 온도 20~60℃의 조건에서 6~15m/분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인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UV 코팅층 상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15. 삭제
KR1020120008836A 2012-01-30 2012-01-30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 KR10121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36A KR101210418B1 (ko) 2012-01-30 2012-01-30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36A KR101210418B1 (ko) 2012-01-30 2012-01-30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418B1 true KR101210418B1 (ko) 2012-12-11

Family

ID=4790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836A KR101210418B1 (ko) 2012-01-30 2012-01-30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4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3285A (zh) * 2016-07-19 2016-10-12 湖北福汉木业有限公司 利用人造板锯边料重组的细木工板及其生产方法
WO2018136763A1 (en) 2017-01-19 2018-07-26 Javacube, Inc. Cellulosic composition containing coffee parchment cellulose and uses thereof
KR101963170B1 (ko) * 2018-11-16 2019-03-29 주식회사 에스엠방재산업 Pet 필름이 적층된 판재의 고광택 방염 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광택 방염 판재
KR102054457B1 (ko) * 2019-09-02 2019-12-10 주식회사 아이템 목재판재와 그 제조방법
CN111469223A (zh) * 2019-01-23 2020-07-31 山东卓远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净醛除菌防污的家具板材及其制备工艺
KR102202817B1 (ko) * 2019-08-28 2021-01-14 (주)젠텍 커피박을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510820A (zh) * 2021-05-07 2021-10-19 东北林业大学 一种轻质保温秸秆复合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410A (ja) 1998-08-31 2000-03-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の製造方法
JP2000246859A (ja) 1999-02-26 2000-09-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
KR100409016B1 (ko) * 1999-06-26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층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 포함하는바닥장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410A (ja) 1998-08-31 2000-03-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の製造方法
JP2000246859A (ja) 1999-02-26 2000-09-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
KR100409016B1 (ko) * 1999-06-26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층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 포함하는바닥장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3285A (zh) * 2016-07-19 2016-10-12 湖北福汉木业有限公司 利用人造板锯边料重组的细木工板及其生产方法
WO2018136763A1 (en) 2017-01-19 2018-07-26 Javacube, Inc. Cellulosic composition containing coffee parchment cellulose and uses thereof
KR101963170B1 (ko) * 2018-11-16 2019-03-29 주식회사 에스엠방재산업 Pet 필름이 적층된 판재의 고광택 방염 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광택 방염 판재
CN111469223A (zh) * 2019-01-23 2020-07-31 山东卓远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净醛除菌防污的家具板材及其制备工艺
KR102202817B1 (ko) * 2019-08-28 2021-01-14 (주)젠텍 커피박을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4457B1 (ko) * 2019-09-02 2019-12-10 주식회사 아이템 목재판재와 그 제조방법
CN113510820A (zh) * 2021-05-07 2021-10-19 东北林业大学 一种轻质保温秸秆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3510820B (zh) * 2021-05-07 2023-02-21 东北林业大学 一种轻质保温秸秆复合材料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418B1 (ko) 친환경 고기능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보드
KR101187660B1 (ko)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US11660850B2 (en) Method to produce a coating layer, a building panel and a coated foil
RU245879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амината
RU2667757C1 (ru) Плита из древес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в виде древесно-пластикового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6672333B2 (ja) 構造化された表面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方法で構造化された物品
US20200030846A1 (en) Pressable coating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anel products
CN103753656B (zh) 一种柔性复合薄木及其加工方法
KR101045282B1 (ko) 하드코팅층을 구비하는 장식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EP3601418A1 (en) Transfer film and membrane coverings for panel products
CN103770430A (zh) 一种柔性复合装饰薄木饰面工艺
KR101103409B1 (ko)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46978B1 (ko) 방염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방염 보드
KR102063599B1 (ko)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데코시트
KR20180026827A (ko) 컬링 현상이 없는 내오염성 화장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1079332A (ja) 化粧シート
CA2615739C (en) Decorative wood material shee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5235391B2 (ja) 凹凸模様を有する化粧板の製造方法
CN1236703A (zh) 微胶合装饰层压板、其制造方法及由其制造的制品
KR101207513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목재패널의 제조방법
KR101247466B1 (ko) A-페트 시트지가 포함된 친환경 건축 자재용 합판의 uv 하이그로시 제조 방법
KR20140055740A (ko) 판재 도장 면상에 양각 롤에 의한 음각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진 음각무늬로 장식된 판재
KR101355923B1 (ko) 엠보싱 필름의 제조방법
EP2638121B1 (en) Coa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coating
KR100683183B1 (ko) 탑 코팅된 mdf 래핑 및 mdf 평판용 종이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