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928B1 -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928B1
KR101209928B1 KR1020100094862A KR20100094862A KR101209928B1 KR 101209928 B1 KR101209928 B1 KR 101209928B1 KR 1020100094862 A KR1020100094862 A KR 1020100094862A KR 20100094862 A KR20100094862 A KR 20100094862A KR 101209928 B1 KR101209928 B1 KR 10120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le
mounting unit
wip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3378A (en
Inventor
이정중
최성호
김정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928B1/en
Publication of KR2012003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9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60S1/0425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wiper shaft holders to th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1Link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하방에 설치된 베이스(100); 좌,우측 와이퍼암(20L,20R)의 힌지축(21L,21R)을 제공하는 좌,우측 암고정부(22L,22R); 상기 힌지축(21L,21R)에 각각 연결설치된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 상기 베이스(100)의 회전축(120); 상기 회전축(12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장공의 관통홀(132)이 형성되며, 관통홀(132)에는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조절핀(136)이 설치된 제1링크(130); 제2링크(140); 제3링크(150); 및 가압부(134);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이 소개된다.A base 100 installed below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Left and right arm fixing parts 22L and 22R providing hinge axes 21L and 21R of the left and right wiper arms 20L and 20R;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s 156 and 153 connected to the hinge shafts 21L and 21R, respectively; A rotation shaft 120 of the base 100; A first link 13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120 and a through hole 132 formed in a long hole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ntrol pin 136 sliding through the long hole in the through hole 132; Second link 140; Third link 150; And a wiper mounting unit for a vehicle including a pressing unit 134 is introduced.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Automotive Wiper Mounting Units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하방에 설치되며, 차량용 와이퍼의 와이퍼암이 설치되고 와이퍼암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per mounting unit installed below a windshield glass of a vehicle and provided with a wiper arm of the vehicle wiper and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to the wiper arm.

차량의 위드실드글래스 하방에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이 설치되고, 와이퍼 마운팅 유닛에는 와이퍼암이 설치되며, 와이퍼암에는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윈드실드글래스에 쌓이는 눈 또는 비를 쓸어내 운전자가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A wiper mounting unit for the vehicle is installed under the with the shield glass of the vehicle, a wiper arm is installed for the wiper mounting unit, and a blade is installed for the wiper arm to sweep snow or rain accumulated on the windshield glass so that the driver can secure the watch. Make sure

한편, 비가 오는 경우에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회동함으로써 윈드실드글래스가 깨끗해 질 수 있으나, 눈이 올 경우에는 블레이드로 눈을 쓸어내림에 따라 눈이 윈드실드글래스의 하단에 쌓여 뭉치는 경우가 발생 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rains, the windshield glass can be cleared by rotating the blade of the wiper, but when it snows, the snow piles up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as the snow is swept away by the blade.

도 1은 이러한 위드실드글래스의 하단에 눈이 쌓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겨울철에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에서 오랜 시간 동안 윈드실드글래스(G)에 눈(S)이 쌓인 후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거나, 장시간의 폭설로 인해 윈드실드글래스(G)에 눈(S)이 다량 쌓인 경우, 블레이드의 작동에 따라 눈(S)이 윈드실드글래스(G)의 하단에 쌓이게 되고 기온이 낮을수록 쌓이는 눈(S)의 양이 증대됨에 따라 블레이드가 충분히 윈드실드글래스(G)의 하단까지 내려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된다.1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snow is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shielded glass,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win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wind (S) on the windshield glass (G) for a long time to operate the blade, or When a large amount of snow (S) is accumulated in the windshield glass (G) due to a long snowfall, snow (S) is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ade, and the snow (S) is accumulated at lower temperatures As the amount of) increases, the blade does not sufficiently fall to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G) occurs.

즉, 와이퍼(W)의 블레이드는 정해진 각도만큼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의 상황과 같이 윈드실드글래스(G)의 하단에 눈(S)이 다량 쌓인 경우에는 블레이드가 충분히 하단의 위치까지 내려오지 못하고, 이를 과도히 내리려 할 경우 와이퍼암 또는 기타 와이퍼(W)의 링크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는 모터의 회전이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지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작동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That is, the blade of the wiper (W)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snow (S)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G) as described above, the blade is sufficiently lower position If it does not fall down, if you try to lower it excessively, excessiv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link of the wiper arm or other wipers (W),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bending or breaking. This is because the rotation of the motor does not sense the stress exerted on the blade and unilaterally provides the actuation force at a predetermined angle.

최근에는 이러한 폭설시 와이퍼 고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식으로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여 모터의 회전각도 또는 와이퍼암의 회전각도를 조정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제작비용이 고가이고 와이퍼의 중량이 증가 되며 혹한시 전자부품의 동결문제가 발생 되는 등의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식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기계적 구성의 변경만을 통해 와이퍼암의 외력을 감지하고 작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조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wiper failure during heavy snow, a technology for electronically detect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lad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or the rotation angle of the wiper arm has been developed. As the weight is increased, there is still a problem such as free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ontrol structure capable of sensing the external force of the wiper arm and adjusting the operating angle without using such an electronic component only by changing a relatively simple mechanical configuration.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related ar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내부의 기계적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고 중량이 증대되지 않으며 제작 비용 역시 저렴하고 2차적인 고장의 문제를 일으킬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by changing the mechanical structure inside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the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the weight is not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low, and the probability of causing the problem of secondary failure is remarkably high.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duced vehicle wiper mounting uni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하방에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좌,우측 와이퍼암의 힌지축을 제공하는 좌,우측 암고정부; 상기 좌,우측 암고정부의 힌지축에 각각 연결설치된 좌,우측 링크연결부; 상기 베이스에 모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장공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에는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조절핀이 설치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조절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측 링크연결부에 연결된 제2링크; 상기 좌,우측 링크연결부를 연결하는 제3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여 조절핀이 상기 관통홀에서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절핀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Vehicle wiper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is provided under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Left and right arm fixing parts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to provide hinge axes of the left and right wiper arms, respectively;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hinge shafts of the left and right female fixing parts; A rotating shaft installed at the base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to provide power; A first link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ntrol pin sliding in the through hole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pin of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eft link connection part; A third link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link connectors; And a pressing part installed on the first link and having an elasticity to press the adjusting pin so that the adjusting pin i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관통홀은 제1링크의 타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장공의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may have a shape of a long hol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또한, 상기 관통홀은 조절핀의 좌측에 곡률중심을 갖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우측으로 갈수록 상승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in, it may be formed to have a form that rises toward the right.

한편, 상기 가압부는 일단부가 제1링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조절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조절핀이 관통홀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portion may be a spring that is fixed so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control pin is pressed to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제1링크의 조절핀은 일정크기 이상의 외력이 제1링크에 의해 가해질 경우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을 이기고 제1링크의 우측 단부로 슬라이딩 되며 그에 따라 제2링크가 우측으로 당겨지도록 하고, 상기 제1링크의 조절핀은 상기 외력이 일정크기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가압부에 의해 다시 제1링크의 좌측 단부로 슬라이딩 되며 그에 따라 제2링크가 좌측으로 원위치 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pin of the first link is to overcome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when the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by the first link to slide to the right end of the first link, and accordingly to pull the second link to the right, The adjusting pin of the first link may be slid back to the left end of the first link by the pressing unit when the external force falls below a predetermined size, thereby allowing the second link to return to the left sid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에 따르면,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베이스에서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 또는 와이퍼 마운팅 유닛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내부 링크 등의 부품의 변형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d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lade at the base of the wiper mounting unit, the excessive stress applied to the blade or the wiper mounting unit is essentially Blocking and deformation of parts such as internal links are prevented.

또한, 전자부품이 아닌 기계적 구성으로 응력의 집중을 피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중량의 증대가 미세한 차이에 불과하며, 2차적 고장의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void the concentration of stress due to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rather tha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the weight increase is only a slight difference, and the probability of secondary failure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일정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만 블레이드의 작동각도를 줄이고, 외력이 일정크기 이하로 감소될 경우에는 바로 블레이드의 작동각도를 원위치시켜 응력을 집중을 피하면서도 동시에 운전자의 시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blade's operating angle is reduced only when an external force over a certain size is appli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decreases below a certain size, the blade's operating angl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avoid stress concentration, while at the same time ensuring sufficient driver's time. Will be.

도 1은 윈드실드글래스에 눈이 쌓인 경우의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또 다른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제1링크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링크의 관통홀을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제1작동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제2작동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작동도를 축소한 도면.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작동 개념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wiper when snow is accumulated on the windshield glas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per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4 is another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FIG. 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ink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FIG.
FIG. 6 is a plan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rough hole of the first link illustrated in FIG. 5.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FIG. 8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FIG.
FIG. 9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FIG.
FIG. 10 is a reduced view of the second operation diagram shown in FIG. 9; FIG.
FIG. 11 is an opera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vehicle wiper moun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또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per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Another enlarged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은 베이스(100), 좌,우측 암고정부(22L,22R),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 회전축(120), 제1링크(130), 제2링크(140), 제3링크(150), 가압부(134)로 구성된다. Vehicle wiper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se 100, left and right female fixing parts (22L, 22R),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arts (156, 153), the rotary shaft 120, the first link (130), The second link 140, the third link 150, the pressing portion 134 is composed of.

구체적으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하방에 설치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좌,우측 와이퍼암(20L,20R)의 힌지축(21L,21R)을 제공하는 좌,우측 암고정부(22L,22R); 상기 좌,우측 암고정부(22L,22R)의 힌지축(21L,21R)에 각각 연결설치된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 상기 베이스(100)에 모터(M)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120); 상기 회전축(12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장공의 관통홀(132)이 형성되며, 관통홀(132)에는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조절핀(136)이 설치된 제1링크(130); 상기 제1링크(130)의 조절핀(136)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142)가 상기 좌측 링크연결부(156)에 연결된 제2링크(140); 상기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를 연결하는 제3링크(150); 및 상기 제1링크(130)에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여 조절핀(136)이 상기 관통홀(132)에서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절핀(136)을 가압하는 가압부(134);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wiper mounting unit for a vehicle includes: a base 100 installed below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Left and right female fixing parts 22L and 22R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00 to provide hinge shafts 21L and 21R of left and right wiper arms 20L and 20R, respectively;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s 156 and 153 connected to the hinge shafts 21L and 21R of the left and right arm fixing portions 22L and 22R, respectively; A rotating shaft 120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M in the base 100 to provide power; A first link 13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120 and a through hole 132 formed in a long hole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ntrol pin 136 sliding through the long hole in the through hole 132; A second link 14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pin 136 of the first link 130 and the other end 142 connected to the left link connector 156; A third link 150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link connectors 156 and 153; And a pressing part 134 installed on the first link 130 and having elasticity to press the adjusting pin 136 such that the adjusting pin 136 i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do.

상기 베이스(100)는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하단에 설치되며, 와이퍼암(20L,20R)은 베이스(100)를 통해 차체에 고정되고, 베이스(100)의 모터(M)로부터 작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복수의 링크(130,140,150)가 설치되어 링크에 의해 모터(M)의 작동력을 전달받아 좌,우의 와이퍼암(20L,20R)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그에 따라 블레이드(10L,10R)가 회전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베이스 및 링크가 결합된 구조는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하단의 카울탑패널에 의해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증대시키고 부품을 보호한다.The base 1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and the wiper arms 20L and 20R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base 100, and receive operating force from the motor M of the base 100. In addition, the bas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ks (130, 140, 150) to receive the operating force of the motor (M) by the link to rotate the wiper arms (20L, 20R) of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blade (10L, 10R) Will be rotated. 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link is combined with the cowl top panel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to be invisible to the outside to increase aesthetics and protect parts.

상기 베이스(100)에는 모터(M)가 연결되고 모터(M)는 기어조립체에 의해 베이스(100)의 중앙에 마련된 회전축(1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회전축(120)의 회전은 각각 좌,우에 배치된 와이퍼암(20L,20R)에 링크(130,140,150)들에 의해 회전력을 분배한다. 베이스(100)의 좌,우측에는 각각 좌,우측 암고정부(22L,22R)가 설치되고 암고정부(22L,22R)에는 각각 힌지축(21L,21R)이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힌지축(21L,21R)의 상단에는 좌,우측 와이퍼암(20L,20R)이 각각 결합되고 힌지축(21L,21R)의 하단에는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가 각각 설치되며 링크연결부(156,153)에는 복수의 링크(130,140,150)들이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M)의 회전력은 회전축(120)으로부터 링크(130,140,150)들에 전달되고, 링크(130,140,150)들은 링크연결부(156,153)를 회전시켜 결론적으로 와이퍼암(20L,20R)이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좌측 암고정부(22L)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고정바(24)로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우측 암고정부(22R)는 베이스(100)의 우측에 바로 고정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100 is connected to the base 100, and the motor M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on shaft 12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100 by a gear assembly.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20 distributes the rotational force by the links (130, 140, 150) to the wiper arms (20L, 20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female fixing parts 22L and 22R are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00, respectively, and the hinge shafts 21L and 21R are provided at the female fixing parts 22L and 22R, respectively. Left and right wiper arms 20L and 20R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hinge shafts 21L and 21R, and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s 156 and 153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hinge shafts 21L and 21R, respectively. )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nks (130, 140, 150).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M is transmitted from the rotation shaft 120 to the links 130, 140, and 150, and the links 130, 140, and 150 rotate the link connecting portions 156 and 153 and consequently rotate the wiper arms 20L and 20R. Meanwhile, as shown, the left female fixing part 22L is connected to the base 100 and the fixing bar 24 to fix the position, and the right female fixing part 22R is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base 100 directly. It can be formed as.

구체적으로 각 구성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베이스(100)의 회전축(120)에는 제1링크(130)가 연결된다. 제1링크(130)는 일단부가 회전축(120)에 고정되어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된다. 제1링크(130)의 타단부에는 장공의 관통홀(132)이 형성되고, 관통홀(132)에는 조절핀(136)이 관통홀(13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관통홀(132)의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each configuration,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20 of the base 100. One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2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120.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32 of the long hole, the through hole 132 is installed so that the control pin 136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long hole of the through hole 132 To be slid along.

상기 제1링크(130)의 일단부에 마련된 조절핀(136)에는 제2링크(140)가 연결된다. 또한 제2링크(140)는 상기 좌측 링크연결부(156)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좌측 링크연결부(156)는 회전축(120), 제1링크(130), 제2링크(14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모터(M)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고, 그에 따라 힌지축(21L)으로 연결된 좌측 와이퍼암(20L)이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다.The second link 1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in 136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130.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140 is connected to the left link connecting portion 156. Therefore, the left link connecting portion 156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by the rotation shaft 120, the first link 130, the second link 140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M), according to the hinge shaft 21L Left wiper arm (20L) connected by) is to rotate together.

한편, 좌측 링크연결부(156)에는 상기 제2링크(140)의 타단부(142) 뿐만 아니라 제3링크의 일단부(154)가 연결된다. 또한 제3링크(150)의 타단부(152)는 우측 링크연결부(153)에 연결된다. 이로써 우측 링크연결부(153)는 좌측 링크연결부(156)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며 우측 링크연결부(153)에 힌지축(21R)으로 연결된 우측 와이퍼암(20R) 역시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eft link connecting portion 156 is connected to one end 154 of the third link as well as the other end 142 of the second link 140. In addition, the other end 152 of the third link 150 is connected to the right link connector 153. Accordingly, the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 153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left link connecting portion 156, and the right wiper arm 20R connected to the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 153 by the hinge shaft 21R is also rotated together.

상기 동력의 전달관계를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축(120) -> 제1링크(130) -> 제2링크(140) -> 좌측 링크연결부(좌측 와이퍼암) -> 제3링크(150) -> 우측 링크연결부(우측 와이퍼암) 순으로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좌,우측 와이퍼 블레이드(10L,10R)가 동시에 윈드실드글래스 상에서 회전하는 것이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is described in time series, the rotation shaft 120-> first link 130-> second link 140-> left link connection (left wiper arm)-> third link 150 Power is transferred from the right link connection (right wiper arm) to left and right wiper blades (10L, 10R) rotating on the windshield glass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차량용 와이퍼의 경우에도 겨울철 윈드실드글래스 하단에 눈이 쌓일 경우 블레이드(10L,10R)가 눈에 막혀 충분히 하사점으로 하강되지 못하는 점에서 상기 기재된 부품들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된다. 이러한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0L,10R)의 회전각이 좁혀진다면 블레이드(10L,10R)가 눈을 과도하게 밀어내며 본래의 회전각도까지 전진하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러한 이유로 부품들에 집중되는 응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the vehicle wiper as described above, if the snow piles up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in winter, excessiv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above-described parts in that the blades 10L and 10R are clogged with snow and are not sufficiently lowered to the bottom dead center. do. In this case, if the rotational angles of the wiper blades 10L and 10R are narrow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lades 10L and 10R from excessively pushing the eyes and advancing to the original rotational angle, which is why It is possible to prevent stress in advance.

이러한 효과는 상기 관통홀(132)과 조절핀(136) 및 가압부(13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130)에는 탄성을 구비하여 조절핀(136)이 상기 관통홀(132)에서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절핀(136)을 가압하는 가압부(134)가 마련된다. 가압부(134)는 조절핀(136)을 항상 관통홀(132)의 좌측 단부로 가압하는 상태여서 조절핀(136)에 연결된 제2링크(140)는 항상 좌측으로 밀린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블레이드(10L,10R)에 방해력이 전달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This effect may be achieved by the through hole 132, the adjustment pin 136, and the pressing unit 134. Specifically, the first link 13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134 having elasticity to press the adjusting pin 136 so that the adjusting pin 136 i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The pressing unit 134 is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ing pin 136 is always pressed to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so that the second link 140 connected to the adjusting pin 136 is always in a position pushed to the left. This state means a general state in which interference is not transmitted to the blades 10L and 10R.

한편, 블레이드가 눈에 의해 하사점으로 내려가지 못할 경우에는 그 눈에 의한 방해력이 와이퍼암(20L,20R)을 통해 각각의 링크(130,140,150)들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동력의 제공원인 제1링크(130) 및 회전축(120)으로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좌,우측 와이퍼암(20L,20R)을 통해 제2링크(140)에 전달된 눈에 의한 방해력은 제2링크(140)가 조절핀(136)을 우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조절핀(136)이 가압부(134)의 가압력을 이기고 관통홀(132)의 우측 단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2링크(140)는 우측으로 당겨지고, 그에 따라 좌,우측의 링크연결부(156,153)는 조절핀(136)이 이동한 만큼 우측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가 된다. 즉, 와이퍼암(20L,20R)의 하사점이 종래의 하사점보다는 상승된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각도의 변화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0L,10R)는 변화된 하사점에서 멈추게 되는 것이고, 무리하게 눈을 누르며 종래의 하사점을 향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lade does not fall to the bottom dead center by the eye, the interference force of the eye is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links 130, 140 and 150 through the wiper arms 20L and 20R, and finally the first source of power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link 130 and the rotating shaft 120. The interference force caused by the eye transmitted to the second link 140 through the left and right wiper arms 20L and 20R is the second link 140 presses the control pin 136 to the right, and accordingly, the adjustment pin ( As the 136 overcomes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unit 134 and moves to the righ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the second link 140 is pulled to the right, so that the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s 156 and 153 are control pins. As much as 136 moves, it turns to the right angle. That is,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wiper arms 20L and 20R is to maintain an elevated angle than the conventional bottom dead center, and the wiper blades 10L and 10R are stopped at the changed bottom dead cent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ngle. Pressing will not face the conventional bottom dead center.

이러한 구성은 모터(M)의 회전각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를 합한 길이 자체를 축소시킴으로써 와이퍼암(20L,20R)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블레이드(10L,10R)의 활동영역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중량에도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고, 전자부품의 사용에 따른 2차적인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is configuration reduces the length of the sum of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itself without chang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M, there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wiper arms 20L and 20R. By adjusting the active area of (10L, 10R), i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have little effect on the weight, and provide the effect to prevent the secondary failure caused by the use of electronic components in advance. .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제1링크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링크의 관통홀을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다.FIG. 5 is a plan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link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6 is a plan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rough hole of the first link illustrated in FIG. 5.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132)은 제1링크(130)의 타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장공의 형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132)의 형상에 따라 조절핀(136)은 좌,우 이동거리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며, 그만큼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를 더한 거리의 축소폭이 커지고 와이퍼암(20L,20R)의 회전각의 축소폭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Specifically, the through hole 132 is preferably to be in the shape of a long hole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0 to the left and right. The control pin 136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hrough-hole 132 is becaus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distan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 reduction width of the distance plus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is This is because the width of the rotational angle of the wiper arms 20L and 20R is increased to increase.

더 나아가, 상기 관통홀(132)은 조절핀(136)의 좌측에 곡률중심(P)을 갖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우측으로 갈수록 상승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관통홀(132)과 같이 조절핀(136)의 좌측에 곡률중심(P)이 있는 것으로 가정할 때 그려질 수 있는 호의 형상으로 관통홀(132)이 형성된 경우로서, 관통홀(132)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상승되는 형상이며, 이에 따라 조절핀(136) 역시 좌측 하단부에서 우측 상단부로 이동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레이드(10L,10R)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조절핀(136)은 관통홀(132)과의 마찰력에 의해 좀처럼 쉽게 관통홀(132)을 따라 슬라이딩되기 어려우며,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조절핀(136)은 관통홀(132)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되기 시작한 순간부터 빠르게 우측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 길이의 합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통홀(132)의 형상은 조절핀(136)이 슬라이딩하기 위한 외력의 조건으로서 일정한 역치 값을 부여하는 의미를 갖게 되어, 와이퍼암(20L,20R)의 작동각도를 설계하기에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Further, the through hole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P) on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in 136, it may be formed to have a form that rises toward the right. In this case, as in the through-hole 132 shown in Figure 6, the through-hole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that can be drawn assuming that the center of curvature (P) on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in 136 The through hole 132 has a shape that rises from the left to the right, and thus the adjusting pin 136 also moves from the lower left to the upper right. In this case, unless the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applied to the blades 10L and 10R, the adjustment pin 136 is hard to easily slide along the through hole 132 by a frictional force with the through hole 132, and has a predetermined size. When the abov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djusting pin 136 slides along the through hole 132 and quickly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right side from the moment when the sliding starts to reduc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You will be able to. Therefore, the shape of the through-hole 132 has a meaning of giv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s a condition of the external force for the adjustment pin 136 to slide, it is easy to design the operating angle of the wiper arms (20L, 20R). Has an advantage.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10L,10R)에 작용되는 외력이 소실된 경우에는 조절핀(136)이 가압부(134)에 의해 다시 관통홀(132)의 좌측 하단부로 이동하게 되고, 제2링크(140)가 조절핀(136)에 의해 좌측으로 밀려나가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 길이의 합이 본래와 같이 연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wiper blades (10L, 10R) is lost, the adjusting pin 136 is moved to the lower left of the through hole 132 by the pressing unit 134, the second link 140 ) Is pushed to the left by the adjusting pin 136 so that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extends as it is.

또한, 상기 가압부(134)는 일단부가 제1링크(13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조절핀(136)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조절핀(136)이 관통홀(132)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134 is formed so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link 130 and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control pin 136 so that the control pin 136 i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It may be composed of a spring for pressing.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제1작동도이며, 도 9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제2작동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작동도를 축소한 도면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FIG. 8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FIG. 9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and FIG. 10 is FIG. 2 is a reduced view of the second operation diagram.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가압부(134)에 의해 조절핀(136)은 좌측 단부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고, 제2링크(140)는 좌측으로 밀려나간 상태를 유지하여 도시된 반경(r1)에 따라 조절핀(136) 및 제2링크(140)가 이동하게 되고, 와이퍼암의 회전각이 증대된 상태를 유지한다. 참고로, 모터의 회전각은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상태에서 세팅을 하면 된다.As shown in FIG. 8, in a gener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djusting pin 136 is pushed to the left end by the pressing unit 134, and the second link 140 is pushed to the left. The control pin 136 and the second link 140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shown radius (r1) to maintain the rotation angle of the wiper arm is maintained. For refere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may be set in the general state as described above.

도 9 및 10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제2링크(140)에 의해 조절핀(136)에 전달된 경우 조절핀(136)은 관통홀(132)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관통홀(132)의 우측 상단부로 슬라이딩 된다. 그에 따라 제2링크(140)는 우측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고, 조절핀(136)과 제2링크(140)가 이동되는 회전 반경(r2)이 상기의 일반적인 반경(r1)보다 축소된다. 그에 따라 와이퍼암의 회전각은 모터의 회전각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축소되는 것이고, 와이퍼의 블레이드는 무리하게 눈을 밀어내며 종래의 하사점을 향하지 않고 일정 각도에서 멈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력이 사라질 경우 즉,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하사점에 다다른 후 다시 역회전하여 상사점으로 나아가는 때 눈의 방해에 따른 외력이 소멸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조절핀(136)은 다시 가압부(134)의 가압력으로 관통홀(132)의 좌측 단부로 이동되고 와이퍼암은 본래의 회전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사점에서는 본래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case that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wiper blade, when the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transmitted to the adjusting pin 136 by the second link 140, the adjusting pin 136 is a through hole 132 ) And slides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through hole 132. As a result, the second link 140 is pulled to the right, and the rotation radius r2 at which the adjusting pin 136 and the second link 140 are moved is smaller than the general radius r1. Accordingly, the rotation angle of the wiper arm is naturally reduced even without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and the blade of the wiper is forced to push the eye and stop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facing the conventional bottom dead cen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that is, when the blade of the wiper approaches the bottom dead center and then rotates again to the top dead center, the external force is dissipated according to the disturbance of the eyes, and accordingly, the adjustment pin 136 is pressed again ( The wiper arm is moved to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by the pressing force of 134 and maintains the original rotation angle at the top dead center.

상기의 작동원리는 도 11을 참고할 때, 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의 작동 개념도로서, 일반적인 상태에서 조절핀(136)은 가압부(134)에 의해 관통홀(132)의 좌측 단부로 가압되어 큰 반경 상에 위치하게 된다. 모터의 회전력은 회전축(120)을 통해 제1링크(130)에 전달되고 제2링크(140)는 제1링크(130)의 조절핀(136)에 이끌려 나가게 된다. 제2링크(140)의 이동에 따라 좌측 링크연결부(156)가 좌측 힌지축(21L)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좌측 와이퍼암(20L)이 회전한다. 좌측 링크연결부(156)의 회전에 따라 제3링크(150)는 우측 링크연결부(153)를 밀어내거나 당기고, 우측 링크연결부(153)는 회전하며 그에 연결된 우측 힌지축(21R)에 의해 우측 와이퍼암(20R)이 회전하는 것이다.The above operation principle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FIG. 1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illustrated in FIG. 2, in which the control pin 136 is pressed to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by the pressing unit 134 in a general state so as to be positioned on a large radius. d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link 130 through the rotation shaft 120 and the second link 140 is led to the control pin 136 of the first link 130. As the second link 140 moves, the left link connector 156 rotates around the left hinge shaft 21L, and the left wiper arm 20L rotates accordingly. As the left link connector 156 rotates, the third link 150 pushes or pulls the right link connector 153, and the right link connector 153 rotates and the right wiper arm is rotated by the right hinge shaft 21R connected thereto. 20R is to rotate.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에 작용되는 눈의 방해력은 모터의 회전력과 상충되어 각각의 부품들에 응력을 발생시킨다. 그에 따라 제2링크(140)는 조절핀(136)을 밀어내게 되고, 조절핀(136)은 관통홀(132)의 우측 단부로 이동되며 작은 반경(r2)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링크(140)는 그러한 조절핀(136)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축(120) 측으로 당겨지며 좌측 링크연결부(156) 또한 그만큼 우측으로 당겨져 회전하는 것이며, 제3링크(150)에 의해 우측 링크연결부(153) 역시 우측으로 밀린다. 즉,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 길이의 합이 축소됨에 따라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의 하사점의 각도가 수정되는 것이며, 결론적으로 와이퍼암의 회전각(S1,S2)이 축소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와이퍼의 블레이드는 하사점이 상승되어 무리하게 윈드실드글래스의 하단까지 나아가지 않고 하강을 멈추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turbing force of the eye acting on the wiper blades is in conflict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generate stress on the respective parts. Accordingly, the second link 140 pushes the adjusting pin 136, and the adjusting pin 136 is moved to the righ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and is positioned on a small radius r2. In addition, the second link 140 is pulled toward the rotating shaft 1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trol pin 136 and the left link connecting portion 156 is also pulled to the right to rotate, the right link by the third link 150 The connector 153 is also pushed to the right. That is, as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is reduced, the angles of the bottom dead centers of the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s 156 and 153 are modified. Consequently, the rotation angles S1, S2) results in a reduction. Therefore, the blade of the wiper stops descending without rising to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glass by increasing the bottom dead center.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블레이드의 전개에 대한 방해력은 겨울철 눈에 의한 것뿐만이 아니라, 기타 윈드실드글래스에 존재할 수 있는 방해물에 의한 방해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turbance to the deployment of the above-mentioned blade is to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by the snow in winter, but also by the obstacles that may be present in other windshield glass.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20L : 좌측 와이퍼암 20R : 우측 와이퍼암
21L : 좌측 힌지축 21R : 우측 힌지축
22L : 좌측 암고정부 22R : 우측 암고정부
100 : 베이스 120 : 회전축
130 : 제1링크 132 : 관통홀
134 : 가압부 136 : 조절핀
140 : 제2링크 150 : 제3링크
156 : 좌측 링크연결부 153 : 우측 링크연결부
20L: Left wiper arm 20R: Right wiper arm
21L: Left hinge axis 21R: Right hinge axis
22L: Left Armo Government 22R: Right Armo Government
100: base 120: rotation axis
130: first link 132: through hole
134: pressure unit 136: control pin
140: second link 150: third link
156: left link connection 153: right link connection

Claims (6)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하방에 설치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좌,우측 와이퍼암(20L,20R)의 힌지축(21L,21R)을 제공하는 좌,우측 암고정부(22L,22R);
상기 좌,우측 암고정부(22L,22R)의 힌지축(21L,21R)에 각각 연결설치된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
상기 베이스(100)에 모터(M)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120);
상기 회전축(12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장공의 관통홀(132)이 형성되며, 관통홀(132)에는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조절핀(136)이 설치된 제1링크(130);
상기 제1링크(130)의 조절핀(136)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142)가 상기 좌측 링크연결부(156)에 연결된 제2링크(140);
상기 좌,우측 링크연결부(156,153)를 연결하는 제3링크(150); 및
상기 제1링크(130)에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여 조절핀(136)이 상기 관통홀(132)에서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조절핀(136)을 가압하는 가압부(134);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A base 100 installed below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Left and right female fixing parts 22L and 22R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00 to provide hinge shafts 21L and 21R of left and right wiper arms 20L and 20R, respectively;
Left and right link connecting portions 156 and 153 connected to the hinge shafts 21L and 21R of the left and right arm fixing portions 22L and 22R, respectively;
A rotating shaft 120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M in the base 100 to provide power;
A first link 13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120 and a through hole 132 formed in a long hole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ntrol pin 136 sliding through the long hole in the through hole 132;
A second link 14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pin 136 of the first link 130 and the other end 142 connected to the left link connector 156;
A third link 150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link connectors 156 and 153; And
A pressing unit 134 installed on the first link 130 and having an elasticity to press the adjusting pin 136 such that the adjusting pin 136 i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Car wiper mount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32)은 제1링크(130)의 타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장공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 hole 132 is a vehicle wiper moun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long hole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0 to the left and r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32)은 조절핀(136)의 좌측에 곡률중심(P)을 갖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우측으로 갈수록 상승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hole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P) on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in 136, the vehicle wiper moun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form that rises toward the r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4)는 일단부가 제1링크(13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조절핀(136)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조절핀(136)이 관통홀(132)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art 134 is formed such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link 130 and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adjusting pin 136 to press the adjusting pin 136 to be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Vehicle wiper moun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130)의 조절핀(136)은 일정크기 이상의 외력이 제1링크(130)에 의해 가해질 경우 상기 가압부(134)의 가압력을 이기고 제1링크(130)의 우측 단부로 슬라이딩 되며 그에 따라 제2링크(140)가 우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ing pin 136 of the first link 130 overcomes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unit 134 when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applied by the first link 130 and slides to the right end of the first link 130. And accordingly the second link 140 is pulled to the righ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130)의 조절핀(136)은 상기 외력이 일정크기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가압부(134)에 의해 다시 관통홀(132)의 좌측 단부로 슬라이딩 되며 그에 따라 제2링크(140)가 좌측으로 원위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adjusting pin 136 of the first link 130 is slid back to the left end of the through hole 132 by the pressing unit 134 when the external force falls below a predetermined size, and accordingly the second link 140 ) Is the home position wiper moun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KR1020100094862A 2010-09-30 2010-09-30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KR1012099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62A KR101209928B1 (en) 2010-09-30 2010-09-30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62A KR101209928B1 (en) 2010-09-30 2010-09-30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378A KR20120033378A (en) 2012-04-09
KR101209928B1 true KR101209928B1 (en) 2012-12-10

Family

ID=4613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862A KR101209928B1 (en) 2010-09-30 2010-09-30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92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18B1 (en) 2000-09-07 2003-01-24 주식회사 캄코 Wiper system having an idle pivot
JP2005145223A (en) 2003-11-14 2005-06-09 Asmo Co Ltd Wiper device
US20090025173A1 (en) 2006-02-13 2009-01-29 Valeo Systemes D'essuyage Rotation control mechanism especially for a window wiping device pertaining to a motor vehicle
JP2010188841A (en) 2009-02-18 2010-09-02 Mitsuba Corp Wip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18B1 (en) 2000-09-07 2003-01-24 주식회사 캄코 Wiper system having an idle pivot
JP2005145223A (en) 2003-11-14 2005-06-09 Asmo Co Ltd Wiper device
US20090025173A1 (en) 2006-02-13 2009-01-29 Valeo Systemes D'essuyage Rotation control mechanism especially for a window wiping device pertaining to a motor vehicle
JP2010188841A (en) 2009-02-18 2010-09-02 Mitsuba Corp Wip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378A (en)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8739A (en) Windshield wiper air deflector with movable end portions
CN101312861A (en) Connector for mounting and jointing a wiper blade to a driving arm end
CN101239614A (en) Wiper device
CN203293870U (en) Skylight device
CN206749658U (en) A kind of wind energy rain strip for rearview mirror
KR101209928B1 (en) Mounting unit for wiper for vehicle
US6651291B2 (en) Wip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a wiping angle
US8510896B2 (en) Wiper device for vehicle
CN102723214B (en) B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CN108437935B (en) Drive device for driving a wiper arm, in particular a panoramic windscreen, in rotation
KR101230830B1 (en) Load absorbing type motor link of wiper linkage system
CA2022734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of variable pressure for motor vehicles
JP2007326468A (en) Wiper device
JPS6230531Y2 (en)
CN212605517U (en) Four-crawler-wheel agricultural chassis
KR200160328Y1 (en) Shroud tilt cover for steering shaft
KR200344547Y1 (en) Wiper Blade Assembly of Vehicle
US8910341B2 (en) Wiper device having improved vibration prevention of wiper strip
KR100293790B1 (en) Wiper blade for use in an automobile
KR101559125B1 (en) Arm head including clutch system
KR200269542Y1 (en) The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 wiper
EP3388293B1 (en) Movement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wiper device
KR910002391Y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rive of wind shield-wiper
KR200156239Y1 (en) Window wiper for a car
KR200164956Y1 (en) Room mirror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