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635B1 -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635B1
KR101209635B1 KR1020100059086A KR20100059086A KR101209635B1 KR 101209635 B1 KR101209635 B1 KR 101209635B1 KR 1020100059086 A KR1020100059086 A KR 1020100059086A KR 20100059086 A KR20100059086 A KR 20100059086A KR 101209635 B1 KR101209635 B1 KR 101209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connector
terminal
terminal block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909A (ko
Inventor
신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지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지로
Priority to KR102010005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6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매트에 사용하는 커넥터를 모듈형으로 구성하여 소형화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조립 및 작업성을 개선하여 전기매트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 표준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60)와 리셉터클 커넥터(80)로 구성되는 전기매트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60)에는 체결구멍(65)과 조립용구멍(68) 그리고 단턱(69)을 형성하고, 단자대(70)에 고정 설치되는 터미널(71)은 내부가 비워진 중공 상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며, 플러그 커넥터(60)의 단자대(70)에 정렬된 터미널(71)에 결합 되는 리셉터클 커넥터(80)에는 소켓(83)이 내장형으로 설치되고 소켓(83)을 분리하여 터미널(71)에 진입시키는 가이드 홈(84)을 갖는 소켓 헤드(85)가 구성되고 소켓 헤드(85)의 상하부에는 각각 단턱(82)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60)의 외부와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 헤드(85)를 안내하여 가려주는 커버(8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NEXT GENERATION SAFETY CONNECTOR FOR ELECTRIC HEATING MAT}
본 발명은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매트에 사용하는 커넥터를 모듈형으로 구성하여 소형화할 수 있고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조립 및 작업성을 개선하여 전기매트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 표준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매트에는 전기를 통전 시켜 발열선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접속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전기매트의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접속 커넥터(20)를 장착한 예이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접속 커넥터(20)는, 전기매트에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30) 부분, 여기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40) 부분으로 되어 있고 전기적 통전을 위한 컨트롤러(21) 및 플러그(22)를 포함한다.
전기매트에 사용하는 전기접속 커넥터(20)의 구체적인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07-0117256호의 '전기매트용 접속기'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전기매트에 사용하는 종래의 전기접속 커넥터(20)의 구체적 구성 예로서,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커넥터와 일부 차이가 있으나 도 2의 커넥터 구조는 전기매트용으로 개발된 대표적 구조이다.
주요 구성은, 전기매트에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30)가 있고, 그 플러그 커넥터(30)에 접속 가능한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40)로 구분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30)에는 단자대(50)가 내장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30)는 하부받침대(31)와 상부받침대(32) 그리고 수직부(3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기매트(10)에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전기매트(10)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일단이 개방된 홈(34)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받침대(32)에는 터미널(51)이 정렬된 단자대(50)가 안착 되는 홀더(35)가 있어 이곳에 단자대(50)를 안착하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40)는 케이블(41)이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터미널(51)에 접속시켜 발열선에 통전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40)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41)이 연결되어 있고, 단자대(50)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터미널(51)에 접속 가능하도록 각 터미널(51)에 대응되는 소켓(4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받침대(32)에 결합 되는 별도의 커버(52)가 있다.
커버(52)는 여러 곳에 뚫려 있는 구멍(53)들을 통해 볼트나사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플러그 커넥터(30)의 상부를 덮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전기매트(10)에 배열된 발열선(11)에 전기접속용 커넥터(20)를 장착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결선도 이다.
도 3의 결선도에 따르면, 단자대(50)에 배열된 터미널(51)의 단부를 접속단(54)으로 가공하고, 그 접속단(54)에 발열선(11)과 연결되는 와이어(11a)를 납땜(soldering)하여 발열선(11)들이 통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단자대(50)에 배열된 터미널(51)의 접속단(54)에 와이어(11a)를 납땜으로 연결한 상세 구조이다.
여기서 터미널(51)의 단면은 속이 채워진 환봉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11a)를 납땜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접속단(54)은 평면 가공되어 있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55'는 와이어(11a)를 접속단(54)의 평면에 납땜하여 경화된 납땜 비드(soldering bead)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접속용 커넥터(2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전기매트(10)에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20) 부분과 여기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40) 부분이 서로 독립된 구조로 되어 있어 플러그 커넥터(20)에 안착된 단자대(50)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40)의 소켓(42)이 작은 외력에 의해서 쉽게 빠지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전기매트(10)의 사용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플러그 커넥터(20)의 단자대(50)에 정렬된 터미널(51)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대측 리셉터클 커넥터(40)의 소켓(42)이 직접 터미널(51)에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외관이 불량하고, 외력에 의한 터미널(51)의 위치 변형과 파손이 나타나며, 구조적으로 부품 규격화나 소형화가 어렵다.
플러그 커넥터(20), 단자대(50), 커버(52)를 결합하고 조립할 때 여러 번 결합 조립이 필요하여 전기매트(10)에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다.
플러그 거넥터(20)의 내부 단자대(50)에 배열된 터미널(51)의 단부를 평면상의 접속단(54)으로 가공하고, 그 접속단(54)에 와이어(11a)를 납땜하여 발열선(11)과 통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단자대(50)의 터미널(51) 접속단(54)을 평면으로 가공하는 별도의 평면 가공 작업이 필요하고, 터미널(51)은 환봉이므로 재료 사용량이 많고 무게도 무겁다.
터미널(51)은 단순히 소켓(42)과 접속시켜 전기를 통전 시키는 기능만 하는 부분이다. 반드시 무겁고 경제성이 낮은 고가의 환봉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터미널(51)의 접속단(54)을 평면 가공한 후 와이어(11a)를 납땜하여 와이어(11a)의 분리 이탈을 줄이도록 되어 있으나 납땜 부분이 접속단(54)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통전 불능과 쇼트 및 합선 등으로 발전되어 전기적 안정성이 낮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전기매트용 전기접속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전기매트에 사용하는 커넥터를 규격화 소형화될 수 있는 모듈형으로 구성하고 구조적으로는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매트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 표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측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전기매트의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개선하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터미널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매트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에 단자대와 커버를 결합하고 조립할 때 조립 작업을 간단히 마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기매트에 플러그를 설치하는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단자대에 배열된 터미널 구조를 변경하여 경제적으로 제작하고 전기매트 사용 중 와이어의 쇼트와 합선 등에 의한 전기적 안정성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는,
전기매트에 장착되며 단자대가 안착 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대에 접속되도록 소켓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되는 단자대 및 그 단자대에 정렬되어 고정된 터미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하부받침대와 상부받침대 그리고 수직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기매트에 장착될 수 있게 전기매트에 끼워질 수 있는 개방된 홈을 갖으며 커넥터의 외부를 가려주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매트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부받침대와 상부받침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상기 단자대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받침대의 일단부에 형성된 홀더플레이트 및 슬라이드홈과,
상기 단자대를 관통하여 커버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부받침대의 체결구멍과 대응되도록 홀더플레이트에 형성된 조립용구멍과,
상기 상부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네터의 하부측 단턱이 밀착 결합 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단턱과,
내부가 비워진 중공 상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소켓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대에 고정 설치되는 터미널과,
상기 소켓을 내장형으로 구비하고 소켓을 분리하여 터미널에 진입시키기 위해 가이드 홈을 갖는 소켓 헤드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소켓 헤드를 씌워주는 형태로 결합 되고 내부 벽면에는 상기 리셉터클 플러그의 소켓 헤드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끼워지는 리브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조립용구멍에 대응되어 체결부재로 조립되는 보스를 구비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받침대의 표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소켓 헤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용 돌기가 양편에 형성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단턱은 상부와 하부의 형상이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턱에 밀착되고 상부는 커버의 일단이 밀착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전기매트에 사용하는 커넥터를 모듈화하여 소형화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는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전기매트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전기매트의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전기매트에 대한 커넥터 설치 외관을 개선하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터미널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하여 반복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단자대와 커버를 결합하고 조립할 때 조립이 간단하여 전기매트에 커넥터를 설치하는 작업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단자대에 배열된 터미널의 재료 사용을 줄여 경제적으로 제작하고 내부 와이어 결합력을 증가시켜 쇼트와 합선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기매트에 전기접속 커넥터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기매트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전기매트용 커넥터에 의한 결선도.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매트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자대, (a)는 평면도 (b)는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사시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커버를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매트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자대, (a)는 평면도 (b)는 일측면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사시도 이다.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커버를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90)는, 도 5 내지 도 11과 같이, 전기매트(10)에 장착되며 단자대(70)가 안착 되는 플러그 커넥터(60)와, 플러그 커넥터(60)의 단자대(70)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80)와, 플러그 커넥터(60)에 설치된 단자대(70) 및 그 단자대(70)에 정렬되어 고정된 터미널(71)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60)는 하부받침대(61)와 상부받침대(62) 그리고 수직부(6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기매트(10)에 장착될 수 있게 전기매트(10)에 끼워질 수 있는 개방된 홈(64)을 갖으며 커넥터의 외부를 가려주기 위한 커버(81)를 포함하는 전기매트용 커넥터(9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기매트(10)의 일측에서 홈(64)을 통해 끼워지는 플러그 커넥터(60)는, 하부받침대(61)와 상부받침대(62)에 각각 대응되는 체결구멍(6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받침대(62)의 일단부는 단자대(70)를 안착시키기 위한 홀더플레이트(66)와 슬라이드홈(67)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플레이트(66)에는 단자대(70)를 관통하여 커버(80)를 결합하기 위한 조립용구멍(68)이 하부받침대(61)의 체결구멍(65)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한편 상부받침대(62)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단턱(69)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80)의 하부측 단턱(82)이 밀착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단자대(70)에 고정 설치되는 터미널(71)은 내부가 비워진 중공 상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60)의 단자대(70)에 정렬된 터미널(71)에 결합 되는 소켓(83)이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80)는, 소켓(83)을 내장형으로 설치하고 그 소켓(83)을 분리하여 터미널(71)에 진입시키는 가이드 홈(84)을 갖는 소켓 헤드(85)가 구성되고, 소켓 헤드(85)의 상하부에는 각각 단턱(8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81)는, 플러그 커넥터(60)의 외부와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 헤드(85)를 씌워주는 형태로 가려주도록 결합 된다.
커버(81)의 내벽면으로는 리셉터클 플러그(80)의 소켓 헤드(85)에 형성된 가이드 홈(84)에 끼워지는 리브(91)와 플러그 커넥터(60)에 형성된 체결구멍(65)과 조립용구멍(68)에 대응되어 체결부재(93)로 조립되는 보스(92)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60)의 상부받침대(62)의 표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 헤드(85)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용 돌기(69a)가 양편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단턱(82)은 상부와 하부의 형상이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는 플러그 커넥터(60)의 단턱(69)에 밀착되어 결합 되고, 상부는 커버(81)의 일단이 밀착되어 결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90)를 분해한 상태는 도 5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90)를 전기매트(10)에 장착하거나 조립하는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플러그 커넥터(60)를 전기매트(10)의 일측에서 장착하는 것으로 조립이 시작된다.
이를 위해 플러그 커넥터(60)에는 홈(64)이 있다. 전기매트(10)에 홈(64)을 밀어 넣어서 결합하면 플러그 커넥터(60)의 하부받침대(61)는 전기매트(10)의 바닥면과 밀착된다. 상부받침대(62)는 전기매트(10)의 윗면 평면 위에 놓인다.
플러그 커넥터(60)의 상부받침대(62) 일부는 홀더플레이트(66)의 기능을 한다. 이것은 터미널(71)이 설치된 단자대(70)를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단자대(70)를 고정하기 위한 턱 모양의 슬라이드홈(67)이 있어 이곳에 단자대(70)의 헤드 부분을 끼워 넣어 결합한다.
상부받침대(62) 위에 단자대(70)를 안착시키면 한쪽으로는 터미널(71)이 돌출되고 반대쪽은 단자대(7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후속 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단자대(70)의 외부 노출을 가리기 위해서 별도의 커버(81)를 씌운다.
전기매트(10)의 밑에서 체결부재(93)를 끼워 넣어 결합하면 체결부재(93)는 플러그 커넥터(60)의 체결구멍(65)과 단자대(70)의 조립용구멍(68)을 차례로 지나 커버(81)의 보스(92)에 결합 된다.
하나의 체결부재(93)를 이용하여 전기매트(10)에 플러그 커넥터(60)와 커버(81)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나열한 모든 과정을 거치면 전기매트(10)에 플러그 커넥터(60) 설치가 완료된 상태가 되고 외부에서 리셉터클 커넥터(80)를 단자대(70)의 터미널(71)에 접속하면 통전 상태가 된다.
각 부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60)의 상세 구조이다. 플러그 커넥터(60)의 하부받침대(61)와 상부받침대(62)에 형성된 체결구멍(65)은 홀더플레이트(66)에 단자대(70)를 안착시켜 조립용구멍(68)을 통해 단자대(70)와 커버(80)를 체결부재(93)로 한번의 결합 작업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복잡하지 않고 간결하며 단순해진다.
그리고 상부받침대(62)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단턱(69)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80)를 단자대(70)의 터미널(71)에 밀어 넣어 끼울 때 리셉터클 커넥터(80)의 단턱(82)이 닿아 더 이상 진입이 되지 않으므로 리셉터클 커넥터(80)를 끼워 넣는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단자대(70)와 터미널(71)의 상세 구조이다. 단자대(70)에 고정 설치되는 터미널(71)은 내부가 비워진 중공 상의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공 공간에 해당하는 만큼 재료 사용을 줄인다. 터미널(71)은 전원을 통전 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대측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83)과 접속되면 되므로 반드시 봉형일 필요가 없다.
본 발명과 같은 중공형상의 터미널(71)은 환봉 형상의 터미널과 달리 속이 비워진 상태이므로 납땜 대상 부위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 납땜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환봉 형상의 터미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의 평면 가공 작업이 필요하고 납땜 부분의 쇼트 발생 가능성도 크지만 중공 상의 터미널(71)은 용융된 납이 중공 공간을 따라 일부 침투하여 납땜 작업성을 개선하고 와이어 납땜 후 쇼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무게도 가볍고 사용 재료량도 환봉에 비해 적어 경제적이다.
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상세 구조이다. 리셉터클 커넥터(80)는 소켓(83)이 내장형으로 설치되어 있고 소켓(83)을 분리하여 터미널(71)에 진입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홈(84)을 갖는 소켓 헤드(85)로 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80)를 손으로 잡고 소켓 헤드(85)를 플러그 커넥터(60)에 끼워 넣으면 커버(81)의 리브(91)를 따라 소켓 헤드(85)가 안으로 진입되어 터미널(71)에 접속된다.
소켓 헤드(85)의 접속 과정에서 소켓 헤드(85)에 형성된 가이드 홈(84)이 커버(80)의 리브(91)를 따라 진입 되어 소켓(83)의 위치 확인 없이 정확히 결합 된다. 소켓 헤드(85)의 상하부에는 단턱(82)이 있어 접속이 완료되면 삽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60)의 상부받침대(62)의 표면에 형성된 유동방지용 돌기(69a)는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 헤드(85)를 끼울 때 정확하게 터미널(71)에 접속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접속 후 외력에 의한 변형과 유동을 방지한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60)에 리셉터클 커넥터(80)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커버(81)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커버(81)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전기매트
60:플러그커넥터
61:하부받침대
62:상부받침대
63:수직부
64:홈
65:체결구멍
66:홀더플레이트
67:슬라이드홈
68:조립용구멍
69:단턱
69a:유동방지용돌기
70:단자대
71:터미널
80:리셉터클커넥터
81:커버
82:단턱
83:소켓
84:가이드홈
85:소켓헤드
90:커넥터
91:리브
92:보스
93:체결부재

Claims (3)

  1. 전기매트(10)에 장착되며 단자대(70)가 안착 되는 플러그 커넥터(60)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60)의 단자대(70)에 접속되도록 소켓(83)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80)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60)에 설치되는 단자대(70) 및 그 단자대(70)에 정렬되어 고정된 터미널(71)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60)는 하부받침대(61)와 상부받침대(62) 그리고 수직부(6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기매트(10)에 장착될 수 있게 전기매트(10)에 끼워질 수 있는 개방된 홈(64)을 갖으며 커넥터의 외부를 가려주기 위한 커버(81)를 포함하는 전기매트용 커넥터(9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60)의 하부받침대(61)와 상부받침대(62)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구멍(65),
    상기 단자대(70)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받침대(62)의 일단부에 형성된 홀더플레이트(66) 및 슬라이드홈(67),
    상기 단자대(70)를 관통하여 커버(8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부받침대(61)의 체결구멍(65)과 대응되도록 홀더플레이트(66)에 형성된 조립용구멍(68),
    상기 상부받침대(62)의 일측에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네터(80)의 하부측 단턱(82)이 밀착 결합 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단턱(69),
    내부가 비워진 중공 상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83)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대(70)에 고정 설치되는 터미널(71),
    상기 소켓(83)을 내장형으로 구비하고 소켓(83)을 분리하여 터미널(71)에 진입시키기 위해 가이드 홈(84)을 갖는 소켓 헤드(85),
    상기 플러그 커넥터(60)의 외부와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 헤드(85)를 씌워주는 형태로 결합 되고 내부 벽면에는 상기 리셉터클 플러그(80)의 소켓 헤드(85)에 형성된 가이드 홈(84)을 따라 끼워지는 리브(9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60)에 형성된 체결구멍(65)과 조립용구멍(68)에 대응되어 체결부재(93)로 조립되는 보스(92)를 구비하는 커버(81)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60)의 상부받침대(62)의 표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소켓 헤드(85)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용 돌기(69a)가 양편에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단턱(82)은 상부와 하부의 형상이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플러그 커넥터(60)의 단턱(69)에 밀착 되고 상부는 커버(81)의 일단이 밀착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100059086A 2010-06-22 2010-06-22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KR101209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086A KR101209635B1 (ko) 2010-06-22 2010-06-22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086A KR101209635B1 (ko) 2010-06-22 2010-06-22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09A KR20110138909A (ko) 2011-12-28
KR101209635B1 true KR101209635B1 (ko) 2012-12-06

Family

ID=4550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086A KR101209635B1 (ko) 2010-06-22 2010-06-22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395B1 (ko) * 2013-10-17 2014-03-17 주식회사 뉴지로 발열체용 착탈식 컨트롤러의 결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209Y1 (ko) * 1999-05-31 2000-02-15 신현규 전기장판용접전소켓
KR200248224Y1 (ko) 2001-06-13 2001-10-29 신현규 전원 접속기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209Y1 (ko) * 1999-05-31 2000-02-15 신현규 전기장판용접전소켓
KR200248224Y1 (ko) 2001-06-13 2001-10-29 신현규 전원 접속기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09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049B1 (ko) 전자밸브
KR101209635B1 (ko) 전기매트용 차세대 안전 커넥터
WO2023125288A1 (zh) 连接器、灯具安装结构及灯具
CN217004202U (zh) 灯具安装结构及灯具
KR200476198Y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구조
JP6748969B2 (ja) 配線器具
JP5614688B2 (ja) 直管型led照明器
JP6748983B2 (ja) 配線器具
KR101387978B1 (ko) 단일형 벌브홀더용 단자
JP2009524905A (ja) 電球ソケット
JP5745921B2 (ja) インサート成形コネクタ
CN219067320U (zh) 一种电源线/充电端子通用安装结构及清洁装置
JP3810761B2 (ja) 圧縮機用モータ保護装置のクラスタブロック
CN220189945U (zh) 一种可拆装的灯具接头
JP2016046101A (ja) コネクタ、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CN220963192U (zh) 一种漏电断路器
KR200451170Y1 (ko) 다공 콘센트의 단자 접속구조
KR102093068B1 (ko) 직착등 장착용 마운팅 부재
JP6748975B2 (ja) 配線器具
JP7410873B2 (ja) 電子ユニット
JP4106312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8055846A (ja) ライティングダクト用コンセント
CN211088548U (zh) 插座的接线端子连接结构
CN208764684U (zh) 一种led灯
KR100804265B1 (ko) 부품집적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