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273B1 - 트랙터용 작업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273B1
KR101209273B1 KR1020110004212A KR20110004212A KR101209273B1 KR 101209273 B1 KR101209273 B1 KR 101209273B1 KR 1020110004212 A KR1020110004212 A KR 1020110004212A KR 20110004212 A KR20110004212 A KR 20110004212A KR 101209273 B1 KR101209273 B1 KR 10120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inding
forklift
tractor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746A (ko
Inventor
오대석
Original Assignee
(주)송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현 filed Critical (주)송현
Priority to KR102011000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2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9/00Pick-ups for loaders, chaff-cutters, balers, field-threshers, or the like, i.e. attachments for picking-up hay or the like field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01D87/12Loaders for sheaves, stacks or bales
    • A01D87/127Apparatus for handling, loading or unrolling round ba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지게발의 회전에 따른 고정구조가 간단하여 원가절감은 물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트랙터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된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게발과, 상기 지게발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트랙터용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게발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게발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에 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외부압력에 의한 회동이 차단되어져 상기 결속부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게발의 일측 상단에 결속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작업기{WORKING MACHINE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발과 집게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지게발을 회전시킨 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높여줌은 물론 부품의 파손 등 하자발생을 최소화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트랙터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퇴비의 상차, 농자재의 상차, 비료의 상차, 축사의 축분 제거, 가축사료의 운반, 객토시 땅고르기 작업 등을 하는 경우 로더에 버킷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버킷은 밀도가 낮게 분산된 목초를 상차 도는 하차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 블록으로 결속해 놓은 목초나 사일러지 등 사료 자원을 적재시켜 운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849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2414호 등 다수의 기술이 출원되어 사료자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결속된 목초(베일)만을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더에 장착되는 적재장치를 교체한 후 별도의 다른 장치를 장착시켜야 됨으로써 각각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구매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며, 각각의 장치를 구비하였다 할지라도 사용시마다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교체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0613250호에서와 같이, 지게발과 집게를 함께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장치를 개발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등록받은 기술은 지게발의 회전에 따른 고정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부품이 다수 구비됨에 따라 원가상승은 물론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게발의 고정후 예기치 않은 외부압력으로 인해 고정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작업자체를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슬라이더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레버를 체결시켜 고정하고 있으나 고정돌기에 모든 힘이 전달되어져 고정돌기가 손쉽게 휘는 등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였으며, 고정돌기의 휨 발생시 고정력이 해제되어 결국 다른 부품의 파손 및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부의 간단한 회동동작으로 지게발을 고정할 수 있는 등 지게발의 회전에 따른 고정구조가 간단하여 원가 절감은 물론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편의 형성으로 돌기의 휨발생을 미연에 예방함으로써 부품의 파손 등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 수행시 고정력의 해제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어 결속부와 체결부에 의한 1차적인 고정 외에 고정구에 의한 결속으로 인해 지게발의 고정력이 해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에 힌지결합된 지게발을 회동동작시킨 상태로 지게발을 회전시킨 후 고정할 수 있어 지게발의 회전과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트랙터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작업기는 트랙터에 연결된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게발과, 상기 지게발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트랙터용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게발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게발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에 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외부압력에 의한 회동이 차단되어져 상기 결속부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게발의 일측 상단에 결속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체결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측벽에 돌출된 돌기이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져 걸려지게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체결부에 핀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된 결속공이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결속공에 고정핀으로 핀결합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진 상기 돌기의 휨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기의 단부에 연결되게 지지편이 설치된다.
삭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지게발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걸려져 결속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결속편과, 상기 결속편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발의 고정작업이 간단하여 원가절감은 물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고정구를 통해 완벽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게발의 고정력 해제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작업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작업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와 체결부의 고정 및 해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편이 형성된 상태의 슬라이더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와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도 5의 결속부와 체결부의 고정 및 해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에 고정구가 구비된 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 고정구가 지게발에 결속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고정구가 지게발에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상태의 트랙터용 작업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상태의 트랙터용 작업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작업기의 체결부 고정 및 해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집게와 지게발을 함께 보인 트랙터용 작업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용 작업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용 작업기는 농기계용 트랙터의 암(arm)부에 연결되어 적재물을 운반 또는 적재하는 장치로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트랙터에 연결된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의 전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지게발(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게발(30)에는 적재물의 운반 등 용도에 따라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집게(8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속된 상태로 유압실린더(1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왕복이동되어 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하부에 구비된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됨에 따라 관통되거나 끼워진 상태로 결속되어 지면 된다.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지게발(30)이 연결되는데, 상기 지게발(30)은 집게(80)와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거나 집게(80)에 결합하지 않은 채 사용되어 지며, 상기 지게발(30)과 집게(80)의 결합시에는 핀 결합방식이나 레버에 의한 레버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하면 되고, 본 발명에서는 레버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게발(30)은 상기 슬라이더(20)에 대해 회전되게 구비되어 사용용도에 따라 90° 또는 180°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상기 지게발(30)의 회전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이 번거롭고 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작업기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회전동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회전 후 고정작업이 손쉬워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지게발(30)은 상기 슬라이더(20)에 핀결합된 상태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게발(30)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도록 유동제어수단을 통해 회전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동제어수단은,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된 결속부(40)와, 상기 결속부(40)에 결합되어 상기 지게발(30)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게발(30)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에 구비된 체결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50)는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게발(30)의 양측벽에 힌지핀(51)으로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20)가 구비된 방향으로 회동되거나, 도 10과 같이 상기 지게발(30)의 일측에 용접 또는 볼트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50)가 상기 지게발(30)에 대해 회동되게 설치된 경우, 상기 결속부(40)에 결합되는 체결부(50)의 체결방식은 레버방식, 걸림방식, 핀방식, 끼움방식 등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걸림방식과 핀방식을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상기 걸림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40)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측벽에 돌출된 돌기(42)이고, 상기 체결부(50)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42)가 끼워져 걸려지게 걸림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42)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상,하,좌측 또는 우측의 측벽에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지게발(30)의 회전 후 상기 체결부(5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홈(52)에 상기 돌기(42)가 삽입되면서 걸려져 상기 지게발(30)과 슬라이더(2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지게발(30)의 회전이 차단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핀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40)는 상기 체결부(50)에 핀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더(20)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된 결속공(44)이고, 상기 체결부(50)에는 상기 결속공(44)에 고정핀(55)으로 핀결합되게 관통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공(44)은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돌기(42)의 형성위치와 동일하게 상기 슬라이더(20)의 상,하,좌측 또는 우측의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지게발(30)의 회전 후 상기 체결부(5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관통공(54)과 결속공(44)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55)으로 끼움으로써 상기 지게발(30)과 슬라이더(2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지게발(30)의 회전이 차단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핀방식으로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부(50)를 회동되지 않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게발(30)의 일측을 전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에 면접촉되지 않은 채 회전시키도록 한 후 다시 원위치로 회동시킨 다음 핀결합시켜 상기 지게발(3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50)는 상기 지게발(30)의 일측에 회동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게발(30)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20)에 핀방식으로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지게발(30)에 힌지핀(74)으로 힌지결합되게 고정브라켓(70)이 구비되어 진다.
상기 고정브라켓(7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20)를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끼움돌기(7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지게발(30)과 힌지결합되게 힌지핀(74)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70)이 상기 슬라이더(2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게발(30)을 고정브라켓(70)으로부터 힌지회동시킨 후 이 상태로 슬라이더(20)에 대해 회전시키면 되고, 회전 후에는 위 두번째 실시예와 같이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결속부(40)는 상기 체결부(50)에 핀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더(20)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된 결속공(46)이고, 상기 체결부(50)에는 상기 결속공(46)에 고정핀(58)으로 핀결합되게 관통공(5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결속공(46)의 형성위치에 대해 두번째 실시예인 결속공(44)과 같이 상기 슬라이더(20)의 상,하,좌측 또는 우측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가 단시간내에 손쉽게 지게발(30)을 회전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작업중 지게발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걸림방식을 통해 지게발을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홈(52)에 걸려진 돌기(42)의 휨현상을 방지하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상기 돌기(42)의 단부에 연결되게 지지편(2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25)에 의해 상기 돌기(40)가 지지되어져 상기 지게발(30)에 외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돌기(42)의 휨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작업기는 유동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지게발(30)을 슬라이더(20)에 고정시켜 지게발(30)의 회전을 차단하고 있으나, 걸림홈(52)에 돌기(42)가 걸려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압력 등으로 인해 그 고정력이 해제되는 등 예기치못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음으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50)에는 고정구(60)가 더 구비되어 진다.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돌기(42)와 체결부(50)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게발(30)의 일측 상단에 결속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게발(30)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는 걸림턱(61)과, 상기 걸림턱(61)에 걸려져 결속되도록 상기 체결부(50)에 힌지축(64)으로 결합되는 결속편(63)과, 상기 결속편(63)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걸림턱(61)에 걸려지게 하는 스프링(66)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속편(63)의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턱(61)에 걸려진 상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턱(6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50)에는 상기 스프링(66)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지지바(6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66)은 일측이 상기 스프링지지바(67)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결속편(6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결속편(63)을 상기 걸림턱(61)에 걸려지게 탄성력을 부여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60)의 동작상태를 보면, 상기 걸림홈(52)에 돌기(42)를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부(50)를 회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61)에 상기 결속편(63)이 걸려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66)의 탄성력으로 인해 이러한 결속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결속상태의 해제시에는 작업자가 상기 결속편(63)을 회동시켜 상기 걸림턱(61)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체결부(50)를 회동시키면 결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결속편(63)을 편리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속편(63)에는 손잡이(6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속편(63)은 하나만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도 7과 같이 강도를 증가시켜 휨발생을 방지하도록 두개 이상 구비하여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며, 두개 이상 구비한 경우에는 이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손잡이(68)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도 결속부와 지게발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체결부만으로 지게발의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특히 고정구의 설치로 고정력 해제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게발의 회전작업을 보다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압력에 의한 부품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10: 메인프레임 12: 유압실린더
20: 슬라이더 25: 지지편
30: 지게발 40: 결속부
42: 돌기 44, 46: 결속공
50: 체결부 51, 74: 힌지핀
52: 걸림홈 54, 57: 관통공
55, 58: 고정핀 60: 고정구
61: 걸림턱 63: 결속편
63a: 결속턱 64: 힌지축
66: 스프링 67: 스프링지지바
68: 손잡이 70: 고정브라켓
72: 끼움돌기 80: 집게

Claims (9)

  1. 트랙터에 연결된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게발(30)과, 상기 지게발(30)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트랙터용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수단은,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된 결속부(40)와, 상기 결속부(40)에 결합되어 상기 지게발(30)의 회전 후 유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게발(30)의 일측벽 또는 양측벽에 힌지핀(51)으로 힌지결합되는 체결부(5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50)에는 외부압력에 의한 회동이 차단되어져 상기 결속부(40)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게발(30)의 일측 상단에 결속되는 고정구(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40)는 상기 체결부(50)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더(20)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측벽에 돌출된 돌기(42)이고,
    상기 체결부(50)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42)가 끼워져 걸려지게 걸림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상기 걸림홈(52)에 걸려진 상기 돌기(42)의 휨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기(42)의 단부에 연결되게 지지편(2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지게발(30)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는 걸림턱(61)과, 상기 걸림턱(61)에 걸려져 결속되도록 상기 체결부(50)에 힌지축(64)으로 결합되는 결속편(63)과, 상기 결속편(63)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걸림턱(61)에 걸려지게 하는 스프링(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40)는 상기 체결부(50)에 핀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더(20)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된 결속공(44)이고,
    상기 체결부(50)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공(44)에 고정핀(55)으로 핀결합되게 관통공(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04212A 2011-01-14 2011-01-14 트랙터용 작업기 KR10120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12A KR101209273B1 (ko) 2011-01-14 2011-01-14 트랙터용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12A KR101209273B1 (ko) 2011-01-14 2011-01-14 트랙터용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46A KR20120082746A (ko) 2012-07-24
KR101209273B1 true KR101209273B1 (ko) 2012-12-06

Family

ID=4671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212A KR101209273B1 (ko) 2011-01-14 2011-01-14 트랙터용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937B1 (ko) 2013-09-30 2015-10-07 (주)송현 베일집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4963B (zh) * 2020-12-03 2022-11-25 宁夏福长惠宁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锥栗加工用揉搓式破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250B1 (ko) * 2006-02-17 2006-08-22 오대석 트랙터용 다기능 적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250B1 (ko) * 2006-02-17 2006-08-22 오대석 트랙터용 다기능 적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937B1 (ko) 2013-09-30 2015-10-07 (주)송현 베일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46A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814B2 (en) Stabilized pad for vehicles
US8695239B2 (en) Thumb with detachable body
US20100067982A1 (en) Coupler for excavators
US20130160269A1 (en) Quick coupler
CN104093916B (zh) 垫磨片组件
US20130160268A1 (en) Quick coupler
KR101506335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KR101209273B1 (ko) 트랙터용 작업기
KR100613250B1 (ko) 트랙터용 다기능 적재기
US7921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shank within a ripper assembly of a tractor/crawler involving a rotating shank installer
KR101436155B1 (ko) 파손방지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
CN106457609A (zh) 改进的墙壁或地板锯
KR101527222B1 (ko) 시트베이스 슬라이딩 장치
KR200436175Y1 (ko) 트랙터용 적재기
JP2006191835A (ja) 作業機のスライド型スナップヒッチ
KR100906036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1379302B1 (ko)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KR20180003062U (ko)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AU2012201264B2 (en) A safety mechanism for a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US20160289914A1 (en) Coupler assembly for releasably coupling a work machine to work tool and method thereof
KR101365741B1 (ko) 베일집게용 베일 푸셔
KR101254193B1 (ko)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KR101461113B1 (ko) 버켓 각도 조절을 위한 로우더 구조
EP2662500B1 (en) Work tool lock extension
KR102496021B1 (ko)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