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72B1 -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72B1
KR101208972B1 KR1020040049793A KR20040049793A KR101208972B1 KR 101208972 B1 KR101208972 B1 KR 101208972B1 KR 1020040049793 A KR1020040049793 A KR 1020040049793A KR 20040049793 A KR20040049793 A KR 20040049793A KR 101208972 B1 KR101208972 B1 KR 10120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forming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821A (ko
Inventor
권오남
조흥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97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1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having a patterned commo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 G02F1/134354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the sub-pixels being capacitively coup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화소는 한 방향으로 이웃하는 화소와는 데이타라인을 인접배치하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 이웃하는 화소와는 금속층의 공통전극을 공유하여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그 제조방법은 제1기판상에 게이트전극 및 복수의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기판상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절연층 위에 반도체층,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기판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 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횡전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횡전계모드, 3마스크, 리프트오프, 데이타라인, 공통전극, 공유, 개구율

Description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IN 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도 1(a)는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I-I'선 단면도.
도 2(a)~도 2(e)는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라인과 최외곽 공통전극이 오버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 104' : 데이타라인 105 : 공통전극
107 : 화소전극 116 : 공통라인
105a, 105b, 105' : 최외곽 공통전극 118 : 화소전극라인
본 발명은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형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소자(LCD)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는 액정분자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표시모드가 존재하지만, 현재에는 흑백표시가 용이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구동전압이 낮다는 장점 때문에 주로 TN모드의 액정표시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TN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기판과 수평하게 배향된 액정분자가 전압이 인가될 때 기판과 거의 수직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액정분자의 굴절율 이방성(refractive anisotropy)에 의해 전압의 인가시 시야각이 좁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시야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 광시야각특성(wid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을 갖는 각종 모드의 액정표시소자가 제안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횡전계모드(In Plane Switching Mode)의 액정표시소자가 실제 양산에 적용되어 생 산되고 있다. 상기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는 화소내에 평행으로 배열된 적어도 한쌍의 전극을 형성하여 기판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횡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액정분자를 평면상으로 배향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1)의 화소는 종횡으로 배치된 게이트라인(3) 및 데이타라인(4)에 의해 정의된다. 도면에는 비록 (n,m)번째의 화소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액정패널(1)에는 상기한 게이트라인(3)과 데이타라인(4)이 각각 n개 및 m개 배치되어 액정패널(1) 전체에 걸쳐서 n×m개의 화소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내의 게이트라인(3)과 데이타라인(4)의 교차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라인(3)으로부터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전극(11)과, 상기 게이트전극(11) 위에 형성되어 주사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채널층을 형성하는 반도체층(12)과, 상기 반도체층(12) 위에 형성되어 데이타라인(4)을 통해 화상신호가 인가되는 소스전극(13) 및 드레인전극(14)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액정층에 인가한다.
화소내에는 데이타라인(4)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공통전극(5)과 화소전극(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소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공통전극(5)과 접속되는 공통라인(16)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통라인(16) 위에는 화소전극(7)과 접속되는 화소전극라인(18)이 배치되어 상기 공통라인(16)과 오버랩되어 있다. 상기 공통라인(16)과 화소전극라인(18)의 오버랩에 의해 횡전계모드 액 정표시소자에는 축적용량(storage capacitance)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 액정분자는 공통전극(5) 및 화소전극(7)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10)가 작동하여 화소전극(7)에 신호가 인가되면, 공통전극(5)과 화소전극(7) 사이에는 액정패널(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횡전계가 발생하게 된다. 액정분자는 상기 횡전계를 따라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액정분자의 굴절율 이방성에 의한 계조반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도 1(b)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20) 위에는 게이트전극(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판(20) 전체에 걸쳐 게이트절연층(22)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절연층(22) 위에는 반도체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소스전극(13) 및 드레인전극(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20) 전체에 걸쳐 보호층(passivation layer;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20) 위에는 복수의 공통전극(5)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절연층(22) 위에는 화소전극(7) 및 데이타라인(4)이 형성되어, 상기 공통전극(5)과 화소전극(7) 사이에 횡전계(E)가 발생한다.
제2기판(30)에는 블랙매트릭스(32)와 컬러필터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32)는 액정분자가 동작하지 않는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10) 영역 및 화소와 화소 사이(즉, 게이트라인 및 데이타라인 영역)에 주로 형성된다. 컬러필터층(34)은 R(Red), B(Blue), G(Green)로 구성되어 실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기판(20) 및 제2기판(30) 사이에는 액정층(40)이 형성되어 액정패널(1)이 완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기판(20)과 게이트절연층(22)에 각각 형성된 공통전극(5)과 화소전극(7)에 의해 액정층(40) 내부에 횡전계(E)가 발생하여 액정층(40) 내부의 액정분자를 구동한다.
도 2(a)~도 2(e)는 상기 구조의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기판을 화소가 형성되어 실제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과 패드 및 구동소자가 형성되어 표시영역에 신호를 인가하는 패드영역으로 분할하였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20)위에 금속을 적층한 후 제1마스크를 이용하여 표시영역에 게이트전극(11)과 공통전극(5)을 형성하고 패드영역에 게이트패드(52)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20) 전체에 걸쳐 게이트절연층(22)을 형성한 후, 반도체를 적층하고 제2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절연층(22) 위에 반도체층(12)을 형성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층(12)위에는 오믹컨택층(ohmic contact layer)이 형성된다.
그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을 적층하고 제3마스크를 이용해 금속을 식각하여 반도체층(12) 위에 소스전극(13) 및 드레인전극(14)을 형성하고 게이트절연층(22) 위에 화소전극(7)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20) 전체에 걸쳐 보호층(passivation layer;24)을 형성한 후 제4마스크를 이용하여 패드영역의 보호층(24) 및 게이트절연층(22)을 식각하여 게이트패드(52)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24) 위에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5마스크를 이용하여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패드(52) 위에 투명도전층(54)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도전층(54)을 형성하는 이유는 공정시 게이트패드(52)가 산소중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판(30)에 화상비표시영역으로 투과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32)와 실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층(34)을 형성한 후, 상기 제1기판(20) 및 제2기판(30)을 합착하고 제1기판(20) 및 제2기판(30) 사이에 액정층(40)을 형성하여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에서는 게이트전극 및 공통전극 형성용 마스크, 반도체층 형성용 마스크, 소스/드레인전극 및 화소전극 형성용 마스크, 보호층 식각용 마스크, 투명도전층 형성용 마스크 등 총 5개의 마스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공정에서는 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설치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웃하는 두 화소의 데이타라인을 인접배치시켜 개구율과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타라인과, 각각의 화소내에 배치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내에 배치되어 횡전계를 형성하며 적어도 한쌍의 투명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은 제1기판상에 게이트전극 및 복수의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기판상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절연층 위에 반도체층,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기판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 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횡전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시 사용되는 마스크의 숫자를 최소화함으로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한다.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5개의 마스크가 필요했던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3개의 마스크만을 필요로하며, 그에 따라 사진식각공정이 감소되고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일방향으로 이웃한 두 화소가 데이타라인을 인접하게 형성하고,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화소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최외곽 공통전극을 공유하게 만듦으로써, 액정표시소자의 휘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개구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 좌우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P1,P2,P3,P4)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라인(103)과 데이타라인(104,104')의 교차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110)가 형성되어 있고, 기판상에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105)과 화소전극(107)은 화소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횡전계를 형성한다.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공통라인(116)과 최외곽 공통전극(105a,105b)은 화소의 외곽영역을 따라 형성되어, 투명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전극(10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화소의 상부영역에는 화소전극라인(118)이 공통라인(116)의 상부에 오버랩되어 배치된다. 상기 공통라인(116)과 최외곽 공통전극(105a,105b)은 박막트랜지스터(110)의 게이트전극(111)의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고, 화소전극라인(118)은 박막트랜지스터(110)의 소스전극(113) 및 드레인전극(114)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통라인(116)과 화소전극라인(118)은 게이트절연 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축적용량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통라인(116)과 화소전극라인(118)은 각각 리프트오프공정에 의해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과 접속되고, 상기 화소전극(107)은 화소의 하부에 위치한 드레인전극(113)상에 일부영역이 오버랩되어 신호를 인가받는다.
하나의 화소(P2)는 제일방향으로 이웃하는 화소(P3)와 데이타라인(104, 104')을 인접배치하며,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웃하는 화소(P1)와는 금속층의 최외곽 공통전극(105a)을 공유하는 구조를 취하여,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이 구조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전극(105)과 화소전극(107) 및 데이타라인(104)이 화소내에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은 화소를 복수개의 도메인(domain)으로 분할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 도메인의 액정분자를 인접하는 도메인과 서로 대칭으로 배열시켜 주시야각을 보상함으로써 시야각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화소내에서 공통전극(105)과 화소전극(107)이 1회 절곡되어 2개의 도메인을 형성하지만, 상기 공통전극(105)과 화소전극(107)이 복수회 절곡되어 3개 이상의 도메인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이타라인의 화소구조에서는 좌우로 이웃하여 최외곽 공통전극을 공유하고, 또한 데이타라인을 인접배치하는 네개의 화소(P1,P2,P3,P4)가 각각 네가지 색을 표현하는 일군의 화소그룹으로 정의되어, R(Red)화소, G(Green)화소, B(Blue)화소 및 W(white)화소의 구현을 위한 네가지 색 칼라필터층의 구조 적용에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와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표시영역과 패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120)에 금속층을 적층한 후 제1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표시영역에 게이트전극(111) 및 최외곽 공통전극(105a,105b,105b')을 형성하고 패드영역에 게이트패드(152)를 형성한다. 여기서, 최외곽 공통전극 105a는 화소 P1과 P2의 경계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두 화소에 의해 공유되는 최외곽 공통전극이며, 최외곽 공통전극 105b와 105b'는 각각 데이타라인을 인접배치하는 두 화소 P2와 P3의 구성요소로서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전극(111)과 최외곽 공통전극(105a,105b,105b') 및 게이트패드(152)는 Cu, Cu합금, Al, Al합금, Cr, Mo, Ag, Ta, Ti, MoW 등을 증착(evaporation)이나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적층하고 식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제1기판(120) 전체에 걸쳐 SiNx나 SiOx와 같은 게이트절연층(122)과 실리콘(Si)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12a)을 연속 적층한 후, Ti, Mo, Ta, Cr, Ag, MoW, Al, Al합금, Cu, Cu합금 등을 증착이나 스퍼터링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112a) 위에 적층하여 금속층(113a)을 형성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층(112) 위에는 불순물이 도핑된 불순물반도체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층(113a)위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제2마스크에 의해 현상하여 제1포토레지스트패턴(16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마스크는 회절마스크이다. 즉, 포토레지스트층으로 입사되는 광(예를 들면,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과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단영역과, 일부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회절영역(또는 반투과영역)으로 이루어진 회절마스크이다. 따라서, 포토레지스트층의 현상시, 게이트전극(111) 상부의 포토레지스트층의 일부가 제거된다(이 영역이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층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포토레지스트패턴(162)을 이용하여 금속층(113a)과 반도체층(112)을 식각하여 게이트절연층(122) 위에 반도체층(112)과 금속층(114a) 및 인접하는 두 데이타라인(104,10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포토레지스트패턴(162)을 에싱(ashing)하여 상기 금속층(114a)의 일부 영역(즉,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에싱된 제1포토레지스트패턴(162)을 이용하여 노출된 금속층(114a)을 식각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층(112) 위에 소스전극(113) 및 드레인전극(1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도체층(112) 위에 형성된 불순물반도체층의 일부도 식각되어 오믹컨택층(ohmic contact layer)이 형성된다.
이때, 회절노광 이후의 식각 공정에서 SF3 등 불소를 함유한 가스에 제1기판을 노출시키면,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는 게이트절연층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가스에 의해 식각되며, 박막트랜지스터와 데이타라인 형성 영역을 제외한 전영역에 걸쳐 게이트절연층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소(P2)의 데이타라인(104)과 화소(P3)의 데이타라인(104') 사이의 게이트절연층(122) 역시 일부 식각되어 쇼트의 위험성이 감소되며, 따라서 상기 두 데이타라인(104, 104')의 간격을 더욱 좁혀 블랙매트릭스 형성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기판(120) 전체에 걸쳐 SiNx나 SiOx 등과 같은 무기물이나 BCB(Benzo Cyclo Butene)나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물을 적층하여 보호층(124)을 형성한 후, 상기 보호층(124)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제3마스크를 이용해서 현상하여 제2포토레지스트패턴(16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토레지스트패턴(164)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층(124)과 게이트절연층(122)을 식각하여 홀(17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보호층(124)은 오버식각(over etching)되어 제2포토레지스트패턴(164)의 일부가 언더컷(undercut)된다. 또한, 상기 식각에 의해 제1기판의 일부 영역과 드레인전극 및 게이트패드가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노출된 제1기판상의 영역에 투명도전체로 이루어진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패턴(164)의 상부와 홀(172)내부에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 또는 TO(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투명도전층(174)을 적층한다. 이때, 상기 보호층(124)이 언더컷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투명도전층(174)은 제2포토레지스트패턴(164)의 상부 및 홀(172) 내부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된다.
이어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패턴(164)을 현상(develop)시켜 상기 투명도전층(174)을 리프트오프(lift-off)시킴으로써, 표시영역의 홀(172) 내부에 투명한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107')을 형성하고 패드영역의 홀내부에 도전층(176)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패드(152) 위에 투명한 도전층(176)이 형성되므로, 공정시 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패드의 산화방지용 도전층을 별도의 공정에 의해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패턴(164)을 제거한 후, 제2기판(130)에 Cr/CrOx나 블랙수지(black resin) 등으로 이루어진 블랙매트릭스(132)를 형성한다. 그리고, 컬러필터층(134)을 형성한 후 상기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30)을 합착하고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30) 사이에 액정층(140)을 형성하여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완성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컬러필터층(134) 위에는 컬러필터층(134)을 보호하고 제2기판(130)을 평탄화하기 위한 오버코트층(overcoat layer)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정층(140)은 통상적으로 제1기판(120)과 제2기판(130)을 합착한 후 그 사이에 액정을 진공주입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이러한 액정층(140)을 액정적하방법(liquid crystal dispensing process)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기판(120) 또는 제2기판(130) 상에 액정을 직접 적하(dropping)한 후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30)을 합착하여 압력에 의해 액정을 기판(120,130)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액정층(140)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드영역에는 게이트라인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패드(152)만이 아니라 데이타라인(104,104')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타패드도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이때, 데이타패드는 데이타라인(104,104')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리프트오프에 의해 그 위에 투명도전층이 형성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에서는 게이트전극 및 금속층 형성용 제1마스크와,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형성용 제2마스크와,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 형성용(리프트오프용) 제3마스크가 필요하게 된다. 즉,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총 5개의 마스크가 필요한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총 3개의 마스크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이 대폭 단순화됨을 알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비용을 대폭 감소시킬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g)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107')이 제1기판(120) 위에 ITO나 IZO 또는 TO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107')이 제1기판(120)상에 동일한 층(layer)에 형성되므로, 액정층(140)에는 균일한 횡전계가 인가된다. 또한, 상기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107')이 ITO와 IZO 또는 TO와 같은 투명도전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투명한 금속으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이 형성되던 종래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 비해, 휘도(화이트휘도) 및 개구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일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화소(P2,P3)가 데이타라인(104,104')을 인 접배치시키고, 이와 반대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화소(P1,P2)가 최외곽 공통전극(105a)을 공유함으로써, 금속층 공통전극의 이중 형성을 방지하여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공정에 비하여, 게이트절연층(122)이 일부 식각되는 공정 역시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 향상에 기여한다. 다시 말해, 상기 두 데이타라인(104, 104') 사이의 게이트절연층(122)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쇼트가 발생할 위험성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두 데이타라인(104, 104')의 간격이 최대한 줄어, 개구율과 휘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기판(220)상 게이트절연층(222)위에 배치된 이중의 데이타라인(204,204')과 금속층의 최외곽 공통전극(205b,205b')의 일부영역이 오버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데이타라인과 최외곽 공통전극은 약 2㎛ 정도의 구간에서 오버랩이 가능하며, 이 경우 블랙매트릭스의 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서 개구율 증가에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공통라인(116) 또는 화소전극라인(118)은 ITO나 IZO 또는 TO와 같은 투명도전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의 형성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통전극(205)과 화소전극(207) 및 데이타라인(204)이 모두 절곡되지 않고, 스트라입(stripe) 형태를 이루거나, 공통전극(205) 및 화소전극(207)만이 절곡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특정한 구조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가 개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의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화소내에 특정 갯수의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이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의 갯수가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화소내에 배치되는 공통전극(105) 및 화소전극(107)의 구조 역시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3개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한다. 따라서, 종래 제조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마스크의 갯수가 감소되며, 그 결과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이 대폭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화소가 제일방향으로 이웃하는 화소와 데이타라인을 인접배치하고, 이와 반대방향으로 이웃하는 화소와는 최외곽의 공통전극을 공유하여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과 휘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기판 전체에 걸쳐 제1 금속층을 적층하는 단계;
    제1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공정을 통해 상기 제1 금속층을 식각하여 게이트전극, 게이트라인, 공통라인 및, 일 화소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최외곽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상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절연층 위에 반도체 및 제2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금속층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제2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공정을 통해 제1 포토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패턴을 이용하여 제2 금속층 및 반도체를 식각하여 데이터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포토레지스트패턴을 에싱하여 식각된 제2 금속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식각된 제2 금속층이 노출된 제1 기판을 불소를 함유한 가스에 노출시켜 상기 게이트절연층을 일정두께 식각하고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3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공정을 통해 상기 보호층을 식각하며, 상기 제1 기판상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횡전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교차되어 정의하는 화소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한 화소와 데이터라인이 인접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웃한 화소와는 상기 최외곽 공통전극을 공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를 함유한 가스는 SF3임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 위에 제2포토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전극의 일부 영역과 제1기판상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배치될 영역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패턴의 상부 및 홀내부에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도전층을 리프트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제2기판상에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기판 및 제2기판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20040049793A 2004-06-29 2004-06-29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0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93A KR101208972B1 (ko) 2004-06-29 2004-06-29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93A KR101208972B1 (ko) 2004-06-29 2004-06-29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821A KR20060000821A (ko) 2006-01-06
KR101208972B1 true KR101208972B1 (ko) 2012-12-10

Family

ID=3710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793A KR101208972B1 (ko) 2004-06-29 2004-06-29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584B1 (ko) * 2006-05-02 2013-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7300B1 (ko) * 2007-02-16 2013-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KR101938716B1 (ko) 2012-05-03 2019-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174963B1 (ko) * 2014-07-10 2020-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초고해상도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장치
KR102505578B1 (ko) * 2015-12-24 2023-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821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44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1017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13841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8405788B2 (en) TFT-LCD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7826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628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3373A (ko) 수평 전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9521A (ko)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 및그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20020047017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73379A (ko) 수평 전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18868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101127822B1 (ko) 수평 전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8972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4178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4873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1351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72275A (ko) 수직배향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3378A (ko) 수평 전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6369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7937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197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4629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9402A (ko) 액정 표시 장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3396B1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417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