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04B1 - Elevator hoist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hois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04B1
KR101208904B1 KR1020117005013A KR20117005013A KR101208904B1 KR 101208904 B1 KR101208904 B1 KR 101208904B1 KR 1020117005013 A KR1020117005013 A KR 1020117005013A KR 20117005013 A KR20117005013 A KR 20117005013A KR 101208904 B1 KR101208904 B1 KR 10120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wire rope
sieve
shaft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9486A (en
Inventor
마사유키 카와구치
케이이치 코로키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3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Abstract

종래의 캔티레버식 권상 장치는 시이브의 폭과 시이브 하중이 클 때 지름이 큰 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1)는 프레임(2)의 내주에 고정자 코어(3)을 부착한 고정자(4)와 프레임(2) 상의 제 1브라켓(9)과 제 2브라켓(10)에 연결된 제 1베어링(7)과 제 2베어링(8)으로 축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자 코어와 함께 지지하도록 한 회전자(11), 그리고 제 1베어링(7)의 외측으로 돌출된 축(6)의 돌출단부에 설치된 시이브(12)를 포함한다. 시이브(12)는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13)을 가지며, 시이브(12)의 외주에 있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14)을 포함한다. 시이브(12)는 또한 와이어 로프 권취면(14)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제 1베어링(7)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베어링 삽입부(15)를 갖는다. 제 1베어링(7)은 베어링 삽입부(15)에 삽입된다.
Conventional cantilever hoisting devices require a large diameter shaft when the width of the sheave and the sheave load are large.
The elevator hois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tator 4 having the stator core 3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2 and the first bracket 9 and the second bracket 10 on the frame 2. Of the rotor 11 which supports the shaft together with the rotor core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first bearing 7 and the second bearing 8, and the shaft 6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bearing 7. And a sieve 12 provided at the protruding end. The sieve 12 has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13 arranged in a row and includes a wire rope winding surface 14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eve 12. The sieve 12 also has a bearing insert 15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14 to insert the first bearing 7. The first bearing 7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 15.

Figure R1020117005013
Figure R1020117005013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Elevator hoist device}Elevator hoist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상하이동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 특히 캔티레버식으로 시이브가 축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oisting apparatus used in shanghai dong of a car in an elevator, in particular an elevator hoisting apparatus supported by a shaft in a cantilever manner.

도 6은 시이브가 캔티레버식으로 축상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권상장치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101)는 고정자(104)와 회전자(111)를 포함한다. 고정자(104)는 프레임(102)의 내주부에 달린 고정자 코어(103)를 포함한다. 회전자(111)는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에 각각 달린 제 1베어링(107)(이하에서 시이브 측 베어링이라 칭함)과 제 2 베어링(108)(이하에서 반 시이브 측 베어링이라 칭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106)에 달린 회전자 코어(105)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는 또한 시이브 측 베어링(107) 외부로 돌출된 축(106)의 돌출단부에 설치된 시이브(112)를 포함한다.Fig. 6 shows an elevator hoisting device whose sheaves are supported on the shaft in a cantilever manner. The elevator hoisting apparatus 101 includes the stator 104 and the rotor 111. The stator 104 includes a stator core 103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102. The rotor 111 has a first bearing 107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eve side bearing) and a second bearing 1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lf-sieve side bearing)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mounted on the frame. Rotor core 105 attached to a shaft 106,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hoist also includes a sieve 112 installed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shaft 106 that projects out of the sieve side bearing 107.

시이브(112)의 외주에는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113)을 가지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114)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eve 112 is a wire rope winding surface 114 having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113 arranged in a row.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 53-5963 U 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3-5963 U

상기의 캔티레버 시이브 지지 구조를 가진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서는 축(106)의 오버행 크기 또는 길이 D가 와이어 로프 권취면(114)의 시이브 측 베어링(107) 쪽 끝에서 시이브 축 하중 중심(와이어 로프 권취면(114)의 중심)까지의 길이 A, 시이브 측 베어링(107)의 측단부면으로부터 시이브 측 베어링(107)의 중심까지의 길이 B, 시이브 측 베어링(107)의 측단부면으로부터 와이어 로프 권취면(114)의 시이브 측 베어링(107) 쪽 끝 까지의 거리 또는 간격 C에 의해 다음 식 1로 표현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hoisting apparatus having the cantilever sieve supporting structure, the overhang size or length D of the shaft 106 is the center of the load of the sieve shaft load at the end of the sieve side bearing 107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114. Length A to the center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114, length B from the side end surface of the sieve side bearing 107 to the center of the sieve side bearing 107, and the side end surface of the sieve side bearing 107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by the distance or distance C from the end of the sieve side bearing 107 to the end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114.

D = A+B+C ········식 1D = A + B + C Equation 1

다음의 식 2와 3은 시이브 측 베어링(107)의 중심과 반 시이브 측 베어링(108)의 중심 사이의 거리 E, 시이브 축 하중 W에 의해 시이브 측 베어링(107)에 가해지는 힘 L1과 반 시이브 측 베어링(108)에 가해지는 힘 L2로부터 얻어진다.Equations 2 and 3 below show the force applied to the sieve side bearing 107 by the distance E between the center of the sieve side bearing 107 and the center of the half sieve side bearing 108 and the sieve axial load W. It is obtained from the force L2 applied to L1 and the half sieve side bearing 108.

L1 = W·(D+E)/E = W·(A+B+C+E)/E·······식 2L1 = W (D + E) / E = W (A + B + C + E) / E Equation 2

L2 = W·D/E = W·(A+B+C)/E··········식 3L2 = W D / E = W (A + B + C) / E ... 3

식 2와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권상 장치의 구조에서는, 폭이 긴 시이브(12)가 요구될 때, 길이 A가 길어지고, 오버행 길이 D가 길어지며, 힘 L1과 L2가 증가된다. 그 결과, 권상 장치는 큰 사이즈의 베어링, 축, 프레임을 필요로 하게 되며, 권상 장치의 무게와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생긴다.As shown in Equations 2 and 3,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hoisting device, when a long sheave 12 is required, the length A becomes longer, the overhang length D becomes longer, and the forces L1 and L2 are increased. . As a result, the hoisting apparatus requires a large size bearing, shaft, and frame,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hoisting apparatus.

시이브의 폭이 증가하더라도, 도 6의 길이 D의 증가에 비례하게 길이 E를 증가시킬 수 있고, 더 큰 베어링과 축의 필요를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길이 E의 증가에 따라 프레임과 축의 길이가 증가한다. 그 결과, 권상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와 설치 공간이 증가하고, 권상 장치의 무게와 제조비용 증가라는 문제가 발생한다.Even if the width of the sieve increases, the length E can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length D of FIG. 6,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larger bearings and shafts. However, in this case, as the length E increases, the lengths of the frames and axes increase. As a result, the overall size and installation space of the hoisting apparatus increases, and the problem that the weight of a hois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 arises.

나아가, 시이브 축 하중 W으로 인해 축이 굽힘 모멘트 M을 받는다.Furthermore, the shaft receives the bending moment M due to the sheave axial load W.

M = W·D = W·(A+B+C)········식 4M = W D = W (A + B + C) Equation 4

시이브의 폭이 넓은 경우, 길이 A가 더 길어지고, 식 4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굽힘 모멘트 M이 증가한다. 따라서, 시이브 축 하중 W에 의한 축의 굴절로 인한 시이브의 경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상 장치는 지름이 큰 굵은 축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되고, 그로 인해 무게와 제조비용 증가의 단점이 생긴다.If the sheave is wide, the length A becomes longer, and the bending moment M increases, as shown in equation (4). Thu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clination of the sieve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shaft due to the sieve shaft load W, the hoisting device requires the use of a coarse shaft with a large diameter, which results in the disadvantage of an increase in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시이브 폭과 시이브 하중이 클 때, 종래의 시스템은 도 7에서와 같이 시이브(124)가 두 베어링(122, 123) 사이에 있는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권상 장치(120)를 채용한다. 그러나, 양쪽에서 시이브를 지탱하는 이 구조는 권상 장치의 조립 이후에 시이브의 설치와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When the sieve width and the sieve load are large, the conventional system employs a hoisting device 120 having a double support structure in which the sieve 124 is between two bearings 122 and 123 as shown in FIG. However, this structure, which supports the sheaves on both side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sheaves after assembly of the hoisting device are difficult.

본 발명의 목적은 더 큰 시이브 폭과 시이브 하중에 적합한 캔티레버 구조의 권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ntilever structure hoisting device suitable for larger sheave widths and sheave loads.

프레임 내주에 부착된 고정자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자, 내부 레이스(race) 측에 축을 수용하고 프레임 상의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을 외부 레이스(race) 측에 수용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에 부착된 회전자 코어를 포함하는 회전자, 및 상기 제 1 베어링 외부로 돌출된 축의 돌출단부에 장착된 시이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시이브가 상기 시이브 외주부에 형성되고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을 갖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 내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베어링의 폭방향 중심이 상기 와이어로프 권취면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회전자 측인,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베어링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측상 와이어 로프 권취면 단부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 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ator comprising a stator core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rame, by means of a first bearing and a second bearing which accommodates a shaft on the inner race side and accommodates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on the frame on the outer race side An elevator hoisting device comprising: a rotor comprising a rotor core attached to a rotatably supported shaft; and a sheave mounted to a protruding end of the shaf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bearing. A sheav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eve and has a plurality of wire rope windings arranged in a row,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for receiving the first bearing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 Including a bearing insert, wherein the widthwise center of the first bearing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 is the axis of the sieve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Located at the inside of the sheave shaft load center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which is the rotor side of the center, the end face of the first bearing opposite to the second bear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end on the roto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axial load center side.

프레임 내주에 부착된 고정자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자, 내부 레이스 측에 축을 수용하고 외부 레이스 측에 상기 프레임 상의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을 수용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에 부착된 회전자 코어를 포함하는 회전자, 및 상기 제 1 베어링 외부로 돌출된 축의 돌출단부에 장착된 시이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2의 발명은 시이브가 상기 시이브 외주부에 형성되고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을 갖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 내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베어링의 폭방향의 중심이 시이브 축 하중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베어링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측상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 단부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 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ator comprising a stator core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rame, rotatably supported by a first bearing and a second bearing receiving a shaft on the inner race side and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on the frame on the outer race side; An elevator hoisting device comprising a rotor comprising a rotor core attached to a shaft, and a sheave mounted to a protruding end of a shaf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bearing. A wire rope winding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ce and arranged in a row, and a bearing insertion portion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bearing formed in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inner circumference and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A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earing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ad axis of the sieve, and the first bezel is opposed to the second bearing. The end face of a 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osition of the rotor center side eve axial load during the wire rope winding end side.

프레임 내주에 부착된 고정자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자, 내부 레이스 측에 축을 수용하고 외부 레이스 측에 상기 프레임 상의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을 수용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에 부착된 회전자 코어를 포함하는 회전자, 및 상기 제 1 베어링 외부로 돌출된 축의 돌출단부에 장착된 시이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3의 발명은 시이브가 상기 시이브 외주부에 형성되고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을 갖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 내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베어링의 폭방향의 중심이 상기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반-회전자 측인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베어링과 대향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 측 와이어 로프 권취면 단부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 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ator comprising a stator core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rame, rotatably supported by a first bearing and a second bearing receiving a shaft on the inner race side and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on the frame on the outer race side; An elevator hoisting device comprising: a rotor comprising a rotor core attached to a shaft; and a sheave mounted to a protruding end of a shaf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bearing; A wire rope winding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ce and arranged in a row, and a bearing insertion portion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bearing formed in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inner circumference and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earing is outside of the sieve shaft load center which is the half-rotator side of the sieve shaft load center. Value and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face of the first bearing that faces the second bearing is located outside the rotor center side electronic wire eve axial load upon the rope winding end side.

(1) 청구항 1의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폭방향 중심이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내부, 즉,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상기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회전자 측에 위치하고, 동시에 제 2 베어링에 대향하는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 측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 단부의 상기 시이브축 하중 중심 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 2 베어링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 측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단부와 상기 시이브 축 하중 중심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종래의 권상 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오버행 크기 D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시이브 측 베어링(7)에 가해지는 힘 L1과 반 시이브 측 베어링(8)에 작용하는 힘 L2의 크기가 줄고, 베어링과 축, 프레임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시이브 축 하중 W에 의한 굽힘 모멘트 M이 줄어든다. 따라서, 좀더 가는 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시이브 축 하중 W에 의한 축의 굴절을 줄이고, 시이브의 경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1) The elevator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wise center of the first bearing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is inside the sheave axial load center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that is,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The second bearing is positioned on the rotor side of the sieve shaft load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face of the first bearing facing the second bearing is located on the sieve shaft load center side of the rotor rope winding surface end; An end face of the first bearing opposite the bearing is located between the end of the rotor-side wire rope winding surface and the sheave axial load cen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hang size 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oisting apparatu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magnitude of the force L1 applied to the sieve side bearing 7 and the force L2 acting on the half sieve side bearing 8 are reduced,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bearing, shaft and frame,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possible. Further, the bending moment M due to the sieve axial load W decreases. Therefore, even when using a thinner shaf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lection of the shaft due to the sieve shaft load W and to reduce the inclination of the sieve.

(2) 청구항 2의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시이브 측 베어링의 폭방향의 중심이 시이브 축 하중 중심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버행 크기 D를 0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힘 L1이 시이브 축 하중 W와 같아져, 청구항 1의 구조와 비교했을 때 시이브 측 베어링에 가해지는 방사상 하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반 시이브 측 베어링에 작용하는 힘 L2가 0이 되어, 청구항 1의 구조와 비교했을 때 베어링의 크기를 더욱 줄이는 것이 가능해 진다. 더욱이, 시이브 축 하중 W에 의한 굽힘 모멘트 M이 소멸되고, 축의 굴절이 없어져, 축의 굴절로 인한 시이브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축의 굵기는 더 가늘게, 무게는 더 가볍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2) In the elevator hoisting apparatus of claim 2,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eve bearing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eve shaft load.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hang size D to zero. As a result, the force L1 becomes equal to the sieve axial load W,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radial load applied to the sieve bearing when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claim 1. Furthermore, the force L2 acting on the half-sieve side bearing becomes zero, which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bearing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claim 1. Moreover, the bending moment M by the sieve shaft load W disappears, the deflection of the shaft disappears, and the inclination of the sheave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shaf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shaft thinner and the weight lighter.

(3) 청구항 3의 권상 장치에 있어서, 시이브 축 하중 W가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 사이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이 권상 장치는 축의 굴절을 방지할 수 있고, 시이브의 경사를 제거하고, 도 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중 지지 구조의 권상 장치와 같이 안정되게 시이브를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권상 장치는 캔티레버식 권상 장치의 우수한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3) In the hoisting apparatus of claim 3, the sheave shaft load W is supported between the first bearing and the second bearing. Therefore, this hoisting apparatus can prevent the deflection of the shaft, eliminate the inclination of the sieve, and can stably support the sheave like the hoisting apparatus of the double support structure as shown in FIG. Furthermore, this hoisting apparatus can maintain the excellent efficiency of a cantilever hoisting apparatus.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권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권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권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축과 시이브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축과 시이브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종래의 캔티레버식 권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이중 지지 구조의 권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측면도이다.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side view.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side view.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ide view.
4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the shaft and the sieve.
5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the shaft and the sieve.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conventional cantilever hoisting apparatus. 6B is a side view.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hoist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double support structure. 7B is a side view.

(실시예)(Example)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1)를 나타낸다.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1)는 고정자(4)와 회전자(1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4)는 프레임(2)의 내주에 고정자 코어(3)를 고정하여 형성된다. 상기 회전자(11)는 프레임(2)에 설치된 제 1 브라켓(9)과 제 2 브라켓(10) 상에 제 1 베어링(7)(이하에서 시이브 측 베어링이라 칭함)과 제 2 베어링(8)(이하에서 반 시이브 측 베어링이라 칭함)에 의해 상기 회전자 코어(5)가 부착 고정된 축(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형성된다.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1)는 또한 시이브 베어링(7)의 외측으로 돌출된 축(6)의 돌출단부에 장착된 시이브(12)(로프가 감기는 홈을 가진 휘일)를 포함한다.1 shows an elevator hoi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elevator hoisting apparatus 1 includes a stator 4 and a rotor 11. The stator 4 is formed by fixing the stator core 3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2. The rotor 11 has a first bearing 7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eve side bearing) and a second bearing 8 on the first bracket 9 and the second bracket 10 installed in the frame 2. Is formed by rotatably supporting the shaft 6 to which the rotor core 5 is attached and fixed by means 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lf-sieve side bearing). The elevator hoisting device 1 also includes a sheave 12 (wheel with grooves in which the rope is wound) mounted on the protruding end of the shaft 6 protruding outward of the sheave bearing 7.

시이브(12)는 상기 시이브(12)의 외주에 있고,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13)을 갖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14)을 포함한다.The sheave 12 includes a wire rope winding surface 14 which i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eave 12 and has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13 arranged in a row.

시이브(12)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14)의 내주부 또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14)으로 둘러싸인 방사상 내부에 있어, 시이브 측 베어링(7)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베어링 삽입부(15)를 포함한다. 즉, 시이브 측 베어링(7)이 베어링 삽입부(15)에 삽입된다.The sieve 12 is locat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14 or in a radial interior surrounded by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14 to insert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15 into which the sheave side bearing 7 is to be inserted. Include. That is, the sieve side bearing 7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part 15.

제 1 실시예에서, 시이브 측 베어링(7)은 베어링 삽입부(15) 안에 삽입되어 완전히 쌓여지는 위치로부터 시이브 측 베어링(7)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 방향을 바라보는 단부면이 시이브 축 하중 중심에 있게 되는 위치 사이에 있다. 시이브 측 베어링(7)의 위치와 시이브(12)의 위치 사이의 관계는 다음 수학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2B < C < A.In the first embodiment, the sieve side bearing 7 has an end face facing the sieve axial load center direction of the sieve side bearing 7 from a position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 15 and completely stacked. Between the positions to be at the center of the axial lo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ieve side bearing 7 and the position of the sieve 12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B <C <A.

시이브 측 베어링(7)을 베어링 삽입부(15) 내에 위와 같이 위치하게 함으로써, 도 6의 종래의 권상 장치와 비교했을 때 오버행 크기 D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시이브 측 베어링(7)에 작용하는 힘 L1과 반 시이브 측 베어링(8)에 작용하는 힘 L2의 크기가 줄어들어, 베어링과 축, 프레임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시이브 축 하중 W에 의한 굽힘 모멘트 M도 줄어든다. 따라서, 가는 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시이브 축 하중 W에 따른 축의 굴절을 줄일 수 있고, 시이브의 경사를 줄일 수 있다. By positioning the sieve side bearing 7 in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15 as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hang size 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oisting apparatus of FIG. 6. As a result, the magnitude of the force L1 acting on the sieve side bearing 7 and the force L2 acting on the half sieve side bearing 8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bearing, shaft and fram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Furthermore, the bending moment M by the sieve axial load W also reduces. Therefore, even when a thin shaft is used, the deflection of the shaft according to the sieve shaft load W can be reduc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sheave can be reduced.

도 2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1)를 나타낸다. 제 2실시예에서, 베어링 삽입부(15)에 삽입된 시이브 측 베어링(7)은 폭의 중심이 시이브 축 하중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 시이브 측 베어링(7)의 위치와 시이브(12)의 위치 사이의 관계는 다음 수학 식으로 표현된다. C = A + B. 다른 부분에서는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같으며,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2 shows an elevator hoi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ieve side bearing 7 inserted in the bearing insert 15 is design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widt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eve shaft lo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ieve side bearing 7 and the position of the sieve 12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C = A + B. In other parts,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시이브 측 베어링(7)의 폭의 중심을 상기된 바와 같이 시이브 축 하중 중심에 위치시킴으로써, 오버행 크기 D를 0으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힘 L1의 크기가 시이브 축 하중 W와 같아지고, 청구항 1의 구조와 비교했을 때, 시이브 측 베어링(7)에 가해지는 방사상 하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반 시이브 측 베어링(8)에 가해지는 힘 L2가 0이 되어, 청구항 1의 구조에서보다 베어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이브 축 하중 W에 의한 굽힘 모멘트 M이 제거되어, 축의 굴절이 없어지고, 축의 굴절에 의한 시이브의 경사를 없앨 수 있다. 추가로, 축의 크기를 가늘게하고 무게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By positioning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ieve side bearing 7 at the center of the sieve shaft load as described above, the overhang size D can be reduced to zero. As a result, the magnitude | size of the force L1 becomes equal to the sieve axial load W, and when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Claim 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adial load applied to the sieve side bearing 7. Furthermore, the force L2 applied to the half-siive side bearing 8 becomes zero, so that the size of the bearing can be reduced than in the structure of claim 1. Further, the bending moment M due to the sieve shaft load W is eliminated, and the deflection of the shaft is eliminat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sheave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shaft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hin the shaft and reduce its weight.

도 3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1)를 나타낸다. 제 3실시예에서, 시이브 측 베어링(7)은 폭의 중심이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외부(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반대쪽, 반 시이브 측 베어링(8)의 반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 시이브 측 베어링(7)의 위치와 시이브(12)의 위치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 식으로 표현된다. 0<D.3 shows an elevator hoi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ieve side bearing 7 is design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width is located outside the center of the sieve shaft load (opposite the center of the sieve shaft load, opposite the half sieve side bearing 8). It beca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ieve side bearing 7 and the position of the sieve 12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0 <D.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이브 축 하중 W는 시이브 측 베어링(7)과 반 시이브 측 베어링(8) 사이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이 구조는 축의 굴절을 방지할 수 있고, 시이브의 경사를 제거하고, 도 7에서 보여지는 이중 지지 구조의 권상 장치와 같이 안정되게 시이브를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권상 장치는 캔티레버식 권상 장치의 최고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eve axial load W is supported between the sieve side bearing 7 and the half sieve side bearing 8. Therefore, this structure can prevent the deflection of the shaft, eliminate the inclination of the sheave, and can stably support the sheave like the hoisting device of the dual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Furthermore, this hoisting apparatus can maintain the highest efficiency of a cantilever hoisting apparatus.

도 1~3에서 나타난 제 1 내지 3의 실시예에서, 시이브(12)는 축(6)의 단부에 열박음(Shrink fitting)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도 4와 5의 방식을 적용하는 방법도 있다. 도 4와 5의 방식에서는 축(6)의 단부가 시이브(12) 안의 축 삽입부(16)에 삽입되어, 너트(17)나 볼트(18)에 의해 시이브(12)에 고정된다. 이 방식은 시이브의 교체와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shown in FIGS. 1-3, the sheave 12 is secured by shrink fitting at the end of the shaft 6. However, there is a method of applying the schemes of Figs. In the manner of FIGS. 4 and 5, the end of the shaft 6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 16 in the sheave 12 and fixed to the sheave 12 by means of a nut 17 or a bolt 18. This approach can facilitate tasks such as replacement of the sieves.

1 :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 (elevator hoist apparatus)
2 : 프레임 (frame)
3 : 고정자 코어 (stator core)
4 : 고정자 (stator)
5 : 회전자 코어 (rotor)
6 : 축 (shaft)
7 : 제 1 베어링(시이브 측 베어링)(first bearing(sheave's side bearing))
8 : 제 2 베어링(반 시이브 측 베어링) (second bearing(anti-sheave side bearing))
9 : 제 1 브라켓 (first bracket)
10 : 제 2 브라켓 (second bracket)
11 : 회전자 (rotor)
12 : 시이브 (로프 휘일) (sheave(wheel for rope))
13 : 와이어 로프 홈 (wire rope groove)
14 : 와이어 로프 권취면 (wire rope wind-up surface)
15 : 베어링 삽입부 (bearing insertion portion)
1: elevator hoist apparatus
2: frame
3: stator core
4: stator
5: rotor core
6: shaft
7: first bearing (sheave's side bearing)
8: second bearing (anti-sheave side bearing)
9: first bracket
10: second bracket
11: rotor
12: sheave (wheel for rope)
13: wire rope groove
14: wire rope wind-up surface
15: bearing insertion portion

Claims (3)

프레임 내주에 부착된 고정자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자; 내부 레이스(race) 측에 축을 수용하고 상기 프레임 상의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을 외부 레이스(race) 측에 수용한 제 1베어링과 제 2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에 부착된 회전자 코어를 포함하는 회전자; 및 상기 제 1베어링 외부로 돌출된 축의 돌출단부에 장착된 시이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브는 상기 시이브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을 갖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내주부에 형성되고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베어링의 폭방향 중심이 상기 회전자 쪽 회전자 측인,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베어링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측상 와이어 로프 권취면 단부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 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장치.
A stator comprising a stator core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Rotor attached to the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bearings that accommodate the shaft on the inner race side and accommodate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on the frame on the outer race side. A rotor comprising a core; And a sieve mounted to a protruding end of a shaf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bearing.
The sheave is a wire rope winding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heave and arranged in a row, the first bearing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and inserted into a bearing insert A bearing insertion portion for receiving, wherein the widthwise center of the first bearing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heave axial load center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the rotor side being the rotor side; The end face of the said 1st bearing facing a 2nd bearing is located in the side of the sieve axial load center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edge part on the said rotor side.
프레임 내주에 부착된 고정자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자; 내부 레이스 측에 축을 수용하고 외부 레이스 측에 상기 프레임 상의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을 수용한 제 1베어링과 제 2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에 부착된 회전자 코어를 포함하는 회전자; 및 상기 제 1베어링 외부로 돌출된 축의 돌출단부에 장착된 시이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브는 외주부에 형성되고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을 갖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내주부에 형성되고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베어링의 폭 방향의 중심이 시이브 축 하중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베어링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측상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 단부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 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
A stator comprising a stator core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 rotor comprising a rotor core attached to an axis rotatably supported by a first bearing and a second bearing on the inner race side and receiving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on the frame on the outer race side; ; And a sieve mounted to a protruding end of a shaf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bearing.
The sheave is inserted into a wire rope winding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ce and arranged in a row, the first bearing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and inserted into a bearing insertion portion. Including wealth,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earing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heave shaft load, and the end face of the first bearing facing the second bearing is the end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on the rotor side. Elevator hoi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ide of the load axis load center.
프레임의 내주에 부착된 고정자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자; 내부 레이스 측에 축을 수용하고 외부 레이스 측에 상기 프레임 상의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을 수용한 제 1베어링과 제 2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에 부착된 회전자 코어를 포함하는 회전자; 및 상기 제 1베어링 외부로 돌출된 축의 돌출단부에 장착된 시이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브는 외주부에 형성되고 일열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 로프 홈을 갖는 와이어 로프 권취면, 상기 와이어 로프 권취면의 내주부에 형성되고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베어링의 폭 방향의 중심이 상기 시이브 축 하중 중심의 외부인, 반-회전자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베어링과 대향하는 상기 제 1 베어링의 단부면이 상기 회전자 측 와이어 로프 권취면 단부의 시이브 축 하중 중심 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 장치.
A stator comprising a stator core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 rotor comprising a rotor core attached to an axis rotatably supported by a first bearing and a second bearing on the inner race side and receiving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on the frame on the outer race side; ; And a sieve mounted to a protruding end of a shaf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bearing.
The sheave is inserted into a wire rope winding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wire rope groov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ce and arranged in a row, the first bearing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re rope winding surface and inserted into a bearing insertion portion. Including wealth,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earing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mi-rotor, which is outside the center of the sieve shaft load, and the end face of the first bearing facing the second bearing is An elevator hoi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heave axis load center side of the rotor side wire rope winding surface end.
KR1020117005013A 2008-08-08 2009-08-07 Elevator hoist device KR1012089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5092 2008-08-08
JP2008205092A JP5347365B2 (en) 2008-08-08 2008-08-08 Elevator hoisting device
PCT/JP2009/064028 WO2010016573A1 (en) 2008-08-08 2009-08-07 Elevator hois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486A KR20110039486A (en) 2011-04-18
KR101208904B1 true KR101208904B1 (en) 2012-12-06

Family

ID=4166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013A KR101208904B1 (en) 2008-08-08 2009-08-07 Elevator hoist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22464B1 (en)
JP (1) JP5347365B2 (en)
KR (1) KR101208904B1 (en)
CN (1) CN102112387B (en)
WO (1) WO201001657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0024B2 (en) 2013-11-07 2018-01-17 株式会社明電舎 Elevator hoist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963U (en) 1976-07-01 1978-01-19
JPS62222991A (en) 1986-02-24 1987-09-30 オ−チス エレベ−タ コムパニ− Modular gearless elevator drive
JP2003104666A (en) 2001-09-28 2003-04-09 Meidensha Corp Hoisting machine and elev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5785A (en) * 1981-02-23 1982-10-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ly driven sheave
JPS62111889A (en) * 1985-11-11 1987-05-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Base structure of elevator winding machine
WO2005019085A1 (en) * 2003-08-21 2005-03-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hin hoist for elevator
WO2006064554A1 (en) * 2004-12-15 2006-06-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oist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963U (en) 1976-07-01 1978-01-19
JPS62222991A (en) 1986-02-24 1987-09-30 オ−チス エレベ−タ コムパニ− Modular gearless elevator drive
JP2003104666A (en) 2001-09-28 2003-04-09 Meidensha Corp Hoisting machine and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486A (en) 2011-04-18
JP2010037094A (en) 2010-02-18
WO2010016573A1 (en) 2010-02-11
EP2322464A4 (en) 2014-12-24
CN102112387B (en) 2014-12-03
EP2322464B1 (en) 2017-06-21
JP5347365B2 (en) 2013-11-20
EP2322464A1 (en) 2011-05-18
CN102112387A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390B1 (en) Lifting gear
JP2007015810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KR101168548B1 (en) Wind power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208904B1 (en) Elevator hoist device
JP5776163B2 (en) Hoisting machine
CN100340467C (en) Winch for elevator
JP2010193607A (en) Rotary electric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oist
JP5380837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CN109205443B (en) Hoist and elevator
JP2009268328A (en) Magnet fixing structure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rotating electric machine
TWI527751B (en) Hoist and rotary motor with its
CN109412287B (en) Radial magnetic flux permanent magnet elevator motor
CN102198906B (en) Hoister
JP2003034478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
JP6552731B2 (en) Bearing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2004115141A (en) Winding machine for elevator
EP1947049A1 (en) Elevator gearless traction machine construction
CN110065871A (en) The replacing options of pulley gear and pulley main body
JP4455151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CN102951528B (en) Traction machine and elevator
CN102502380A (e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arless driving machine with freely supported structure
JP7105906B2 (en) Elevator and Compen rope support mechanism
JP5630320B2 (en) Direct drive motor for vehicle and vehicle
CN101229895A (en) Structure of non-gear draw-off equipment for elevators
WO2009154059A1 (en) Flat hoist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