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536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536B1
KR101208536B1 KR1020060079521A KR20060079521A KR101208536B1 KR 101208536 B1 KR101208536 B1 KR 101208536B1 KR 1020060079521 A KR1020060079521 A KR 1020060079521A KR 20060079521 A KR20060079521 A KR 20060079521A KR 101208536 B1 KR101208536 B1 KR 101208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device
tuning
bluetooth
cal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711A (ko
Inventor
최영익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5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블루투스 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블루투스 장치의 고유정보(Identification: ID)를 인식하는 과정과; 접속된 블루투스 장치 ID에 상응하는 자동 이득 조절 값(auto gain control: AGC)을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세팅하는 과정과; 접속된 블루투스 장치 ID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 노이즈 및 음질에 영향을 주는 사용자 조절 값을 사용하고, 조절된 튜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블루투스, 음질, ID, 튜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A method of tuning a bluetooth device using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 설정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 설정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 튜닝방법의 적용 실시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블루투스 장치의 음질 튜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부가 통신 모듈을 구비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통신모듈(IrDa),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등이 있다.
그 중 블루투스는 2.4㎓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소정 거리(약 10m) 내의 다양한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모듈이다. 최근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어 유선 이어폰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에는 키입력부(111), 제어부(112) 및 RF 송수신부(113)가 구비된다. 블루투스 장치(120)는 블루투스 모듈(121), 오디오 처리부(122)와 스피커(123) 및 마이크(124)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 설정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가 통신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를 하기 전에 각 장치(핸드셋, 헤드셋, 카 키트, 블루투스 등)에 대한 자동 이득 조절(Auto Gain Control) 튜닝 값을 불러와 세팅한다. 블루투스 장치가 접속되면(S201), 블루투스에 설정된 튜닝값을 읽어 들여 적용한다(S202).
이때, 각 장치별로 하나의 튜닝 값을 갖는다. 블루투스 장치의 제조회사별, 모델별 통화 품질에 서로 차이가 있다. 하나의 튜닝값으로 모든 블루투스 장치의 통화 품질을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노이즈 및 음 단절 현상 등을 개선하고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튜닝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된 블루투스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시 최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블루투스 튜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블루투스 장치에 동일한 튜닝 값을 적용함으로 인해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은 블루투스 장치의 ID를 확인하고, 해당 ID의 세팅 정보를 읽어들이거나 새로운 ID인 경우 음질을 튜닝하고 해당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의 다른 특징은 블루투스 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블루투스 장치의 고유정보(Identification: ID)를 인식하는 과정과; 접속된 블루투스 장치 ID에 상응하는 자동 이득 조절 값(auto gain control: AGC)을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세팅하는 과정과; 접속된 블루투스 장치 ID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 잡음 및 음질에 영향을 주는 사용자 조절 값을 사용하고, 조절된 튜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의 다른 특징은 접속된 블루투스 장치 ID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자동 이득 조절 값의 튜닝 의사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의 형태로 저장되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단말기(210)에는 키입력부(211), 제어부(212), RF 송수신부(213) 및 튜닝정보가 저장될 메모리(214)가 구비된다. 블루투스 장치(220)는 블루투스 모듈(221), 오디오 처리부(222)와 스피커(223) 및 마이크(224)로 이루어진다.
블루투스 모듈(221)은 단말기(210)의 RF 송수신부(213)와 오디오 처리부(222) 사이에서 무선 접속을 수행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21)은 RF 송수신부(213)와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고주파수 변환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수행한다.
오디오처리부(222)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21)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증폭하여 스피커(223)로 출력하고, 마이크(224)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221)로 전달한다.
키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을 선택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212)로 출력한다.
제어부(212)는 키입력부(211)로부터 블루투스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RF 송수신부(213)로 설정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블루투스 해제신호를 입력받으면, RF 송수신부(213)로 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RF 송수신부(213)는 상기 제어부(212)로부터 설정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221)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12)로부터 설정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12)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RF 송수신부(213)에는 RF 외에도 단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포함되어야함은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 설정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 튜닝방법의 적용 실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의 (a)는 호(call)가 수신되거나 혹은 통화를 시도할 때의 화면 예시도이다.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S401), 블루투스 장치의 ID를 인식한다(S402).
메모리(214)에 해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403), 저장된 정보가 있으면 해당 설정값을 적용한다(S410). 만일, 저장된 정보가 없는 새로운 블루투스 장치인 경우, 사용자에게 (b)와 같은 화면을 통해 새로운 블루투스 장치임을 알려준 다. (c)와 같이 튜닝 의사를 묻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403). 사용자가 별도의 오디오 튜닝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블루투스 장치에 디폴트로 적용되는 설정값을 사용하여 통화를 수행한다(S409).
만일, 사용자가 튜닝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S404),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용량을 확인한다 (S406). 예를 들어, 블루투스 장치에 대한 정보는 5개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저장된 장치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다(S408). 이때, 삭제되는 대상 파일은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의 형태로 삭제된다.
오디오 튜닝은 도 5의 (d)와 같이 다양한 항목에 대하여 튜닝이 가능하다. 통화상에서 음의 단절 및 명확성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 장치마다 통화 품질에 영향을 주는 튜닝(Tuning)값이 다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현재 접속된 블루투스 장치에 대하여 적절한 튜닝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운드 튜닝을 마친 사용자가 저장 버튼을 누르면 (e)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설정된 자동 이득 조절(Automatic Gain Control: AGC) 값이 메모리(214)에 저장한다 (S407). 이어, 통화 동작이 계속된다(S411).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닝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연결된 블루투스 장치를 이용한 통화시 최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블루투스 장치에 동일한 튜닝 값을 적용함으로 인해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외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용 음성신호를 전달하여 출력하기 위한 외부 블루투스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블루투스 장치의 고유정보(Identification: ID)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장치의 ID에 해당하는 상기 통화용 음성신호에 대한 자동 이득 조절 값(auto gain control: AGC)을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상기 블루투스 장치의 ID에 해당하는 상기 통화용 음성신호에 대한 AGC가 없으면, 상기 통화용 음성신호의 노이즈 및 통화 음질에 영향을 주는 사용자 조절 값을 사용하고, 조절된 튜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상기 블루투스 장치의 ID에 해당하는 상기 통화용 음성신호에 대한 AGC가 없으면, 사용자에게 AGC의 튜닝 의사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KR1020060079521A 2006-08-22 2006-08-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KR101208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521A KR101208536B1 (ko) 2006-08-22 2006-08-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521A KR101208536B1 (ko) 2006-08-22 2006-08-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711A KR20080020711A (ko) 2008-03-06
KR101208536B1 true KR101208536B1 (ko) 2012-12-05

Family

ID=3939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521A KR101208536B1 (ko) 2006-08-22 2006-08-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5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151A (en) 1994-12-31 1997-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broadcasting channel selection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adopting the same
JP2004260599A (ja) 2003-02-26 2004-09-16 Fujitsu Ltd 特定のグループに属する無線局と通信を行う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151A (en) 1994-12-31 1997-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broadcasting channel selection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adopting the same
JP2004260599A (ja) 2003-02-26 2004-09-16 Fujitsu Ltd 特定のグループに属する無線局と通信を行う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711A (ko)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6885848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ortable telephone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498332B2 (ja) 車載機
US7486972B2 (en) Hands-free telephone apparatus
US20060287000A1 (en) Mobile phone with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US20140058548A1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590154B1 (ko)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통화 시스템
CN107710779A (zh) 通讯耳机
JPWO2008026529A1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および音質調整装置
US7643856B2 (en) Method for reducing apparent latency in linking a call received a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 remote audio processor
KR1012085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튜닝 방법
CN101557650A (zh) 具有同期录制收音机节目功能的移动终端及其录制方法
JP3902997B2 (ja) 電子ボリューム制御装置およびそ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11077950A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の機器選択プログラム
US20070178890A1 (en) Mobile phone with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KR201100611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104184A (ja) 情報記憶装置、情報処理方法
US838583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ound volume control method
KR100689509B1 (ko)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JP3902996B2 (ja) 電子ボリューム装置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EP1737200A1 (en) Mobile phone with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JP3680042B2 (ja) ハンズフリーユニットおよび移動無線端末装置
JPH09200303A (ja) 電話機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