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484B1 -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484B1
KR101208484B1 KR1020100029822A KR20100029822A KR101208484B1 KR 101208484 B1 KR101208484 B1 KR 101208484B1 KR 1020100029822 A KR1020100029822 A KR 1020100029822A KR 20100029822 A KR20100029822 A KR 20100029822A KR 101208484 B1 KR101208484 B1 KR 10120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battery
coupling
battery cas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478A (ko
Inventor
송강영
Original Assignee
송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강영 filed Critical 송강영
Priority to KR102010002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48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케이스(100)와; 상기 배터리케이스(1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를 전기자전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300)와; 상기 전기자전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부재(300)와 결합되는 결합장착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1000)를 본 발명은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bike}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전거는 모터의 힘을 이용하며 모터의 전원으로서 배터리가 장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터리를 자전거에 장착하는 일반적인 장착구조는 자전거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이 일체화된 배터리내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자전거에는 상기 장착수단에 대응한 대응장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케이스는 장착수단으로서 안내블록을 가지고 자전거 프레임에는 대응장착수단으로서 상기 안내블록에 대응한 결함홈이 형성된 베이스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안내블록이 상기 베이스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배터리가 자전거에 장착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장착구조는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배터리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그 형상과 크기가 다양한데, 종래의 것은 장착수단이 일체화된 것으로서 관련 금형이 복잡하고 형상과 크기가 변하면 금형을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관련비용은 크게 증가하여, 이들 배터리의 크기와 형상에 모두 대응한 배터리케이스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은 비용 상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한정된 형상과 크기에 따른 배터리케이스만을 제공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있으며 이들을 전기자전거에 사용하고 싶은 욕구가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 가능한 배터리장착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배터리케이스와 장착수단이 분리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서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경우 단지 배터리케이스만을 교체하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배터리케이스도 매우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서,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이 바뀌는 경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적합한 배터리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이 변화하여도 제작비용의 증가가 크지 않은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의 배터리장착구조로서,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케이스와; 상기 배터리케이스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를 상기 전기자전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와; 상기 전기자전거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장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천,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 배터리가 안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잠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가방이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장착부재는 상호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바닥면에는 바닥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가 놓이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하면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접면하고 이들은 나사에 의하여 풀림가능하게 결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배터리연결접촉단자를 가지며, 상기 결합장착부재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모터연결접촉단자를 가져, 이들 장착부재와 결합장착부재가 상호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연결접촉단자와 상기 모터연결접촉단자는 상호간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배터리를 전기자전거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가 자전거의 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를 전기자전거용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7과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착부재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와 결합장착부재의 상호간의 결합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가 자전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다른 형태의 배터리케이스가 적용된 경우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1000)가 자전거의 프레임(80)에 설치된 것을 보인다.
자전거프레임(80)에 모터(10)가 설치되고 모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자전거프레임(8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1000)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케이스(100)와 상기 배터리케이스(1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재(300)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1000)는 전기자전거에 설치되는 결합장착부재(500)를 가진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를 상기 전기자전거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1000)를 전기자전거용 프레임(80)에서 분리하여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케이스(100)에 이와 탈착가능한 장착부재(300)가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재(300)에 상기 전기자전거에 설치되는 결합장착부재(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재(300)의 하면에는 배터리의 충전부(53)가 설치되고 또한 배터리의 온/오프 스위치(51)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의 하면에는 자전거프레임(80)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공간부(508)가 형성되어 자전거프레임(80)에 쉽게 설치가 되도록 하고 있으며, 락킹(locking)장치(55)가 설치되어 제3자가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1000)를 훔쳐갈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는 매우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는 그 재질이 천,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그 내부에 배터리(1)가 안착되는 공간부(188)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잠금부(18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는 가방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부(180)는 가방의 공간부(188)를 열고 닫는 덮개부가 된다. 잠금부(180)는 전술한 덮개부에 대하여 이중적으로 지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른 경우 지퍼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과 4를 참고로, 천,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배터리케이스(100)의 내부의 바닥면에는 바닥판부재(15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천, 가죽,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배터리케이스(100)가 강성을 가지게 되어 하부의 장착부재(3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천,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배터리케이스(100)의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판부재(150)는 상기 장착부재(3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바닥판부재(150)와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바닥판부재(150)가 놓이는 상기 배터리케이스(100)의 하면(105)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접면하고 있으며, 이들 바닥판부재(150)와 장착부재(300)는 나사(9)에 의하여 결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나사(9)를 풀면 상기 바닥판부재(150)와 상기 장착부재(300)는 그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를 상기 장착부재(30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케이스(100)의 하면(105)에는 배터리의 전선이 인출되는 인출공(17)(18)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배터리선이 인출된다.
도 5와 도 6을 참고로, 상기 배터리케이스(1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재(300)는 그 앞부분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뒷부분은 공동부(398)가 형성되고 하부는 돌출된 돌출부(3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390)에는 전술한 충전부(53)와 스위치(51)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재(300)의 판형상부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1)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안내되는 전선안내홈(317)(318)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안내된 전선은 접촉단자(33)(33)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단자(33)(33)는 상기 장착부재(300)의 하면(305)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300)의 하면(305)에는 결합블록(340)(340)이 설치되는데 상기 결합블록(340)(340)은 내측으로 결합공간부(348)(348)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300)의 돌출부(390)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의 하면의 오목공간부(508)와 연결되는 오목공간부(30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300)의 판형상부의 하면의 양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함홈(310)(310)이 형성된다.
도 7과 도 8을 참고로, 상기 결합장착부재(500)는 그 상면에 안착부(508)가 형성되고 여기에 양측에 결합날개부(548)(548)가 형성된 결합블록(54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블록(540)의 결합날개부(548)(548)는 상기 장착부재(300)의 결합블록(340)(340)의 결합공간부(348)(348)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블록(540)에는 모터(10)의 컨트롤러(14)의 전선이 인출되어 연결된 접촉단자(3)(3)가 관통공(543)(543)에 놓여 그 상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접촉단자(3)(3)는 하부에 스프링(13)이 놓여 상하로 유격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의 양측에는 결합레일(510)(510)이 형성된다. 이들은 상기 장착부재(300)의 하면의 양측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함홈(310)(310)과 결합된다.
상기 장착부재(300)와 상기 장착결합부재(500)가 상호간에 결합되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접촉단자(33)(33)와 상기 모터와 연결된 접촉단자(3)(3)는 상호간에 접촉을 이루고 배터리(1)의 전력이 모터(1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9와 도 10을 참고로, 상기 결합장착부재(500)는 그 하면의 오목공간부(508)를 자전거프레임(80)에 안착시키고 나사로 결합되어 자전거에 설치된다.
도 11은 다른 형태의 배터리케이스(100)가 적용된 경우를 보인다.
이후 배터리케이스(100)와 결합된 장착부재(300)를 상기 자전거에 설치된 결합장착부재(50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장착부재(300)의 결합홈(310)(310)과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의 결합레일(510)(510)을 상호간에 대응시키고 또한 상기 장착부재(300)의 결합블록(340)의 결합공간부(348)(348)를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의 결합날개부(548)(548)에 대응시키고 상기 장착부재(300)를 밀면, 상기 장착부재(300)의 결합홈(310)(310)과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의 결합레일(510)(510)이 결합되고 또한 상기 장착부재(300)의 결합블록(340)의 결합공간부(348)(348)와 상기 결합장착부재(500)의 결합날개부(548)(548)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접촉단자(33)(33)와 상기 모터와 연결된 접촉단자(3)(3)는 상호간에 접촉을 이루고 배터리(1)의 전력이 모터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장착부재(300)와 결합장착부재(500)는 배터리의 형상이나 크기 변화가 있어도 그 변화가 필요 없는 것이며,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 배터리케이스(100)만을 분리하여 적당한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특별히 상기 배터리케이스(100)는 그 바닥면에 바닥판부재(150)가 설치되어 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서 천, 가죽, 합성수지로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다. 한편, 도 9 및 10 등에서 예시적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결합장착부재(500)는 상기 장착부재(300)와 결합되지 않고도 자체 독립적으로 상기 전기자전거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변화에 대응하는 경우 비용의 증가가 너무 커 한정된 배터리에 대해서만 배터리장착케이스를 제공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 또는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배터리를 전기자전거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0: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100: 배터리케이스 가방
300: 장착부재
500: 결합장착부재
80: 자전거프레임
150: 바닥판부재
3: 배터리연결접촉단자
33: 모터연결접촉단자

Claims (7)

  1. 모터를 가져 상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자전거의 배터리장착구조로서,
    (a)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케이스와;
    (b) 상기 배터리케이스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를 상기 전기자전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와;
    (c) 상기 전기자전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장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d1)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결합장착부재가 상기 전기자전거에 설치된 후 상기 결합장착부재에 장착되며,
    (d2)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천,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 배터리가 안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잠금부가 형성되는 가방이고,
    (d3) 상기 가방인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바닥면에는 바닥판부재가 설치되고,
    (d4)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가 놓이는 상기 가방인 배터리케이스의 하면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접면하여 결합되고, 그리고,
    (d5)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배터리연결접촉단자를 가지며 상기 결합장착부재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모터연결접촉단자를 가져 이들 장착부재와 결합장착부재가 상호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연결접촉단자와 상기 모터연결접촉단자는 상호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장착부재는 나사에 의하여 풀림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7. 삭제
KR1020100029822A 2010-04-01 2010-04-01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KR10120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822A KR101208484B1 (ko) 2010-04-01 2010-04-01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822A KR101208484B1 (ko) 2010-04-01 2010-04-01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78A KR20110110478A (ko) 2011-10-07
KR101208484B1 true KR101208484B1 (ko) 2012-12-05

Family

ID=4502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822A KR101208484B1 (ko) 2010-04-01 2010-04-01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633B1 (ko) 2021-05-20 2021-12-14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탈부착 안전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59B1 (ko) * 2019-08-22 2021-02-26 (주)겟투겟닷컴 배터리케이스의 장착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기자전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30Y1 (ko) 2002-08-28 2002-11-18 장영주 전동식 겸용 자전거
KR200302797Y1 (ko) * 2002-11-06 2003-02-05 피샹 머시너리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구동 차량의 전원 체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30Y1 (ko) 2002-08-28 2002-11-18 장영주 전동식 겸용 자전거
KR200302797Y1 (ko) * 2002-11-06 2003-02-05 피샹 머시너리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구동 차량의 전원 체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633B1 (ko) 2021-05-20 2021-12-14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탈부착 안전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78A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3894B2 (ja) 電動の乗り物に脱着されるバッテリパックとこのバッテリパックを備える電動の乗り物
JP2008258573A (ja) 電子装置用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6473507B2 (ja) 電動車両
PL2214225T3 (pl) Urządzenie elektrycznego układu zasilania dla pojazdu
KR101208484B1 (ko) 전기자전거용 배터리장착구조
JP2007144813A (ja) 電動工具の製造用金型
CN103344078A (zh) 冰箱
US20180049606A1 (en) Sanitary washing apparatus
JP6423192B2 (ja) ブースターケーブル保持構造
WO2011121739A1 (ja) 電力共有装置及びモータ駆動システム
TW201446211A (zh) 吸塵器
CN208797059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辅助件
CN201167105Y (zh) 电池模块标准箱体
JP2008247332A5 (ko)
CN203530713U (zh) 洗衣机
JP2009143216A (ja) 肘掛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る肘掛
JP2010228661A (ja) 電動二輪車用バッテリ搭載構造
JP2015143035A (ja) 電動自転車用バッテリ装置
CN205609630U (zh) 电池盒和电动车
CN208698507U (zh) 汽车副仪表板及汽车
US6366052B1 (en) Battery saving electron flow blocking system
TWM529646U (zh) 電動自行車的電池組安裝結構
JP3162908U (ja) スイッチソケット
KR100729809B1 (ko) 브러시 홀더
CN101688734A (zh) 用于制冷装置的缆馈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