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458B1 -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458B1
KR101208458B1 KR1020100107025A KR20100107025A KR101208458B1 KR 101208458 B1 KR101208458 B1 KR 101208458B1 KR 1020100107025 A KR1020100107025 A KR 1020100107025A KR 20100107025 A KR20100107025 A KR 20100107025A KR 101208458 B1 KR101208458 B1 KR 10120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heat exchanger
exchanger type
type evaporator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494A (ko
Inventor
강석훈
정대헌
박병식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7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08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working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종류의 증발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열원에서 보다 높은 효율로 운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기체로 상변화시키는 증발기(10)와;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터빈(20)과; 터빈(20)에서 나온 작동유체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응축기(30)와; 응축기에서 나온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응축탱크(40)와; 응축탱크의 저장된 작동유체를 증발기로 공급하는 펌프(50)를 구비하되, 증발기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이루어지고,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공급되는 열원의 정보를 체크하는 센싱부(70)와, 센싱부(70)를 통해 측정된 열원의 정보를 제공받아 열원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원의 열량이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높은지, 기준 범위 이내인지 또는 기준 범위보다 낮은지를 확인하여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비교부(80)와, 비교부(80)에서 발생된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열원과 작동유체가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Organic Rankine Cycle system with hybrid evaporator}
본 발명은 열원의 열량(온도 및 엔탈피)에 따라 2 종류의 증발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열원에서 보다 높은 효율로 운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랭킨사이클(ORC : Organic Rankine Cycle)은 유기매체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랭킨사이클(Rankin Cycle)로서 비교적 저온의 온도 범위 (60~200℃)의 열원을 회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저온에서 고압의 기체를 생산하여 터빈을 구동하여야하는 ORC 시스템의 특성상 작동유체로는 비등점이 낮고, 증발압력이 높은 프레온 계열의 냉매를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랭킨사이클(ORC : Organic Rankine Cycle)은 증발기(10) 및 터빈(30), 응축기(40), 펌프(60)의 기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증발기(10)는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기체로 상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터빈(30)은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며, 응축기(40)는 터빈(30)에서 나온 저온저압의 작동유체를 액체로 상변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펌프(60)는 응축기(40)에서 나온 저압의 작동유체를 증발기(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출력은 터번에서 수행하는 일(work)과 같다.
이러한 ORC 시스템은 열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랭킨 사이클 효율을 발휘하도록 증발기(10)로서 Shell&tube 타입의 열교환기를 증발기로 사용한다. Shell&tube 타입 열교환기는 작동유체의 증발 압력 그리고 온도 까지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열원을 고려하여 증발 압력을 최대로 높여서 사이클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Shell&tube 열교환기는 열원의 온도 특성이 열교환기 사양에서 크게 벗어날 경우 적절한 증발압력을 발휘하도록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판형열교환기를 증발기로 사용할 경우 열교환기 내의 작동유체의 증발 압력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증발압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작동유체가 T-S 선도 하의 원하는 압력선 상에서 액체와, 기체 상태로 존재하여야 하는데, 이를 판형열교환기 특성상 이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원의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작동유체는 원하는 온도보다 높은 상태로 과열될 것이다. 그러나 증발 시점이 원하는 온도 보다 낮을 수가 있으므로 증발 압력은 원하는 값 보다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사이클 효율을 최대화 하기 위한 제어는 불가능하다. 그러지만 열원의 온도와 엔탈피 변화가 큰 특성을 지닐 경우에도 터빈 구동을 위한 건증기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동성은 Shell&Tube 형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 만을 사용할 경우 보다 높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원의 열량(온도 및 엔탈피)에 따라 2 종류의 증발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열원에서 보다 높은 효율로 운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증발기로 공급되는 열원의 열량을 측정하여 열원에 알맞은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증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은,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기체로 상변화시키는 증발기(10)와;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터빈(20)과; 터빈(20)에서 나온 저온저압의 작동유체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응축기(30)와; 응축기에서 나온 저압의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응축탱크(40)와; 응축탱크의 저장된 작동유체를 증발기로 공급하는 펌프(50)를 구비하되,
상기 증발기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이루어지고,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공급되는 열원의 정보를 체크하는 센싱부(70)와,
센싱부(70)를 통해 측정된 열원의 정보를 제공받아 열원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원의 열량이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높은지, 기준 범위 이내인지 또는 기준 범위보다 낮은지를 확인하여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비교부(80)와,
비교부(80)에서 발생된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열원과 작동유체가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부는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공급되는 열원과 작동유체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1조절밸브(91)와 제2조절밸브(9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비교부(80)는 열원의 열량이 기준 범위의 열량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의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의 작동신호를 제공하며,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높은 경우에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를 동시에 작동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은 작동유체 및 열원의 온도 및 엔탈피에 따라 2 종류의 증발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열원에서 보다 높은 효율로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증발기로 공급되는 열원의 열량을 측정하여 열원에 알맞은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증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ORC 터보발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의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유기랭킨사이클, Organic Rankine Cycle) 시스템은 Shell&Tube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 터빈(30), 응축기(40), 응축탱크(50), 펌프(60), 센싱부(70), 비교부(80) 및 증발기를 선택하는 선택부(90)를 구비한다.
본원발명의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는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기체로 상변화시키고, 터빈(30)은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응축기(40)는 터빈(30)에서 나온 작동유체를 액체로 응축시켜 응축탱크(50)로 제공하며, 펌프(60)는 응축탱크(50)의 작동유체를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공급한다.
한편, 센싱부(70)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공급되는 열원의 정보를 체크한다. 이러한 열원의 정보는 열원의 열량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압력 및 유량 등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정보들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비교부(80)는 열량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열원의 정보를 제공받아 열원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원의 열량이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높은지, 기준 범위 이내인지 또는 기준 범위보다 낮은지를 확인한다.
비교부(80)는 열원의 열량이 기준 범위의 열량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의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의 작동신호를 제공하며,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높은 경우에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를 동시에 작동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기준 범위의 열량은 표준 열량보다 약 ±10%범위 등으로 제한할 수 있다.
선택부(90)는 비교부(80)에서 발생된 작동신호를 제공받아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에서 열원과 작동유체가 열교환되도록 제1조절밸브(91)와 제2조절밸브(92)를 제어한다.
즉, 열원의 열량이 기준 열량의 범위에 해당되어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로 제어하기 적합한 경우 선택부(90)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열원의 흐름을 제1조절밸브(91)로 조절하고,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2조절밸브(92)로 조절하여 최고의 증발압력으로 작동유체를 증발시켜 사이클 효율을 최대한 높인다.
또한, 열원의 열량이 기준 열량의 범위보다 낮은 경우(열원 온도 또는 엔탈피가 매우 낮을 경우) 선택부(90)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1조절밸브(91)와 제2조절밸브(92)를 제어하여 작동유체를 증발시킨다.
한편, 열원의 열량(온도 혹은 엔탈피)이 기준 열량보다 높아 Shell&Tube 열교환기 증발기(10) 사양에 비해 높을 경우에 선택부(90)는 제1조절밸브(91)와 제2조절밸브(92)를 제어하여 열원과 작동유체가 Shell&Tube 열교환기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에 함께 공급되어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Shell&Tube 타입 증발기
20 :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
30 : 터빈 40 : 응축기
50 : 응축탱크 60 : 펌프
70 : 센싱부 80 : 비교부
90 : 선택부 91 : 제1조절밸브
92 : 제2조절밸브

Claims (5)

  1.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기체로 상변화시키는 증발기(10)와;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터빈(20)과; 터빈(20)에서 나온 저온저압의 작동유체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응축기(30)와; 응축기에서 나온 저압의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응축탱크(40)와; 응축탱크의 저장된 작동유체를 증발기로 공급하는 펌프(50)를 구비하되,
    상기 증발기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이루어지고,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공급되는 열원의 정보를 체크하는 센싱부(70)와,
    센싱부(70)를 통해 측정된 열원의 정보를 제공받아 열원의 열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원의 열량이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높은지, 기준 범위 이내인지 또는 기준 범위보다 낮은지를 확인하여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비교부(80)와,
    비교부(80)에서 발생된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열원과 작동유체가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 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로 공급되는 열원과 작동유체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1조절밸브(91)와 제2조절밸브(9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비교부(80)는 열원의 열량이 기준 범위의 열량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의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의 작동신호를 제공하며, 기준 범위의 열량보다 높은 경우에는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와 판형열교환기 타입 증발기(20)를 동시에 작동하도록 작동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범위의 열량은 Shell&Tube 열교환기 타입 증발기(1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표준 열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KR1020100107025A 2009-12-31 2010-10-29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KR101208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5603 2009-12-31
KR1020090135603 2009-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94A KR20110079494A (ko) 2011-07-07
KR101208458B1 true KR101208458B1 (ko) 2012-12-05

Family

ID=4491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025A KR101208458B1 (ko) 2009-12-31 2010-10-29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46A1 (ko) * 2016-04-22 2017-10-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안정화파이프가 구비된 폐열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1865A (zh) * 2012-03-23 2013-09-25 梁锦伟 环保能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85Y1 (ko) 2005-12-28 2006-05-24 주재헌 폐열회수 유기체열기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85Y1 (ko) 2005-12-28 2006-05-24 주재헌 폐열회수 유기체열기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46A1 (ko) * 2016-04-22 2017-10-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안정화파이프가 구비된 폐열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94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686B1 (ko) Orc시스템 유량계 제어방법
US8171733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combined cycle plants
CN102132012A (zh) 用于储存热电能的热电能储存系统和方法
JP4566853B2 (ja) 熱媒供給システム
KR101135685B1 (ko) Orc시스템 펌프 제어방법
KR101152254B1 (ko) 펌프의 캐비테이션을 방지할 수 있는 orc 시스템
JP2013503280A (ja) カリーナサイクル効率を上げ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99525B1 (ko) Orc시스템
KR101208458B1 (ko) 하이브리드 증발기 기반 orc 시스템
KR101135682B1 (ko) Orc시스템 과열도 제어방법
WO2009045117A3 (en) A method of utilising low- and medium-temperature heat sources and media and a system for utilising low- and medium-temperature heat sources and media
JP2015169145A (ja) 熱回収発電システム
KR101315918B1 (ko)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JP2011074897A (ja) 流体機械駆動システム
JP5924980B2 (ja) バイナリ発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155916B2 (ja) 排熱回収システム
KR101488656B1 (ko) 폐열 회수 발전 시스템
JP2019007367A (ja) 熱エネルギー回収装置および熱エネルギー回収方法
KR20130119162A (ko) 태양열을 이용한 직접증발식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 시스템
KR20110116491A (ko) 랭킨사이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U128901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теплосиловая установка (варианты)
KR101197191B1 (ko)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KR101608919B1 (ko)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의 과냉각 흡열량 보상장치
JP5262428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1676757B1 (ko) 유기물 랭킨 사이클을 이용한 폐열 발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