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191B1 -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191B1
KR101197191B1 KR1020100035939A KR20100035939A KR101197191B1 KR 101197191 B1 KR101197191 B1 KR 101197191B1 KR 1020100035939 A KR1020100035939 A KR 1020100035939A KR 20100035939 A KR20100035939 A KR 20100035939A KR 101197191 B1 KR101197191 B1 KR 10119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e
condenser
turbine
organic rankine
rankine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493A (ko
Inventor
강석훈
정대헌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3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02Arrangement of sensing elements
    • F01D17/08Arrangement of sensing elements responsive to condition of working-fluid, e.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중 유기랭킨사이클은 증발기(10), 터빈(20), 응축기(30) 및 펌프(40)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되고, 이 중 증발기(10)의 전, 후방에 각각 예열기(11)와 과열기(12)가 마련되며, 응축기(30) 후방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탱크(35)가 구비된 유기랭킨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30)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터빈 후단과 응축탱크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응축기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의 전단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랭킨사이클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사이클을 운영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Cycle controlling method for considering pressure drop of condenser of organic rankine cycle}
본 발명은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 후단과 응축탱크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응축기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의 전단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랭킨사이클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사이클을 운영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RC(유기랭킨사이클, Organic Rankine Cycle) 터보발전 시스템 구조는 그림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증발기(10), 터빈(20), 응축기(30) 및 펌프(40)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되고, 이 중 증발기(10)의 전, 후방에 각각 예열기(11)와 과열기(12)가 마련되며, 응축기(30) 후방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탱크(3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응축탱크(35)를 지난 액체 상태의 냉매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유량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ORC(Organic Rankine Cycle, 유기랭킨사이클)는 유기매체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랭킨사이클(Rankin Cycle)로서 비교적 저온의 온도 범위 (60 ~ 200℃)의 열원을 회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저온에서 고압의 기체를 생산하여 터빈을 구동하여야 하는 ORC 시스템 특성상, 작동유체로는 비등점이 낮고, 증발압력이 높은 프레온 계열의 냉매를 사용한다.
한편, 증기 동력 사이클의 이상적인 사이클이라고 하는 랭킨사이클에 대해 첨부된 도 2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1-2 과정이 압축 과정이고, 여기서는 펌프에서 등엔트로피 압축이 이루어지며, 포화 액체 상태에서 보일러 작동압력까지 압축이 일어난다.
그리고, 2-3 과정이 가열 과정이고, 여기서는 보일러에서 정압 가열이 이루어지며, 압축 액체 상태로 보일러로 들어가 과열 증기 상태가 되며, 곡선 아래의 영역이 열전달 양을 나타낸다.
그리고, 3-4 과정이 팽창 과정이고, 여기서는 터빈에서 발전기의 축을 회전시켜 일을 생산하며, 증기의 압력과 온도는 낮아져서 4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4-1 과정이 응축 과정이고, 여기서는 나머지 열을 호수나 강 또는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응축된 후 다시 펌프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4-1 아래의 면적은 방출된 열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랭킨사이클의 열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응축기의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증기를 고온으로 과열시키거나, 또는,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보일러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상 재열 랭킨사이클이라고 하는데, 이 방법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증기의 수분 함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터빈으로 들어가기 전의 증기를 매우 높은 온도까지 과열시키고, 터빈에 있는 증기를 두 단계로 팽창, 즉 재열 과정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단의 수가 증가하면 등온과정으로 접근하게 되므로 두 개 이상의 재열 과정은 비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유기랭킨사이클에서 터빈(20) 후단의 작동유체는 열교환기인 응축기(30)를 통해 응축되어 응축탱크(35)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유기랭킨사이클에서는 응축 과정에서 작동유체의 유량이 응축기 크기에 비해 클 경우 압력강하가 발생하여 터빈 후단 압력이 증가하여 터빈 효율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이클 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빈 후단과 응축탱크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응축기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의 전단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랭킨사이클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사이클을 운영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랭킨사이클 증발기, 터빈, 응축기 및 펌프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되고, 이 중 증발기의 전, 후방에 각각 예열기와 과열기가 마련되며, 응축기 후방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탱크가 구비된 유기랭킨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의 전단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랭킨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터빈 후단과 응축탱크에 설치되어 이들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압력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은 증발기, 터빈, 응축기 및 펌프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되고, 이 중 증발기의 전, 후방에 각각 예열기와 과열기가 마련되며, 응축기 후방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탱크가 구비된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상기 응축기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의 전단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터빈 후단과 응축탱크에 설치되어 이들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압력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은 터빈 후단과 응축탱크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응축기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의 전단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랭킨사이클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사이클을 운영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유기랭킨사이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랭킨사이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일반적인 랭킨사이클에서 열효율을 증대시키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랭킨사이클에서 재열 과정을 증가시켰을 경우 등온과정으로 접근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랭킨사이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랭킨사이클은 증발기(10), 터빈(20), 응축기(30) 및 펌프(40)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되고, 이 중 증발기(10)의 전, 후방에 각각 예열기(11)와 과열기(12)가 마련되며, 응축기(30) 후방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탱크(35)가 구비된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상기 응축기(30)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은 터빈(20) 후단과 응축탱크(35)에 설치되어 이들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압력센서(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은 터빈(20) 후단과 응축탱크(35)에 각각 압력센서(50)를 설치하여 압력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응축기(30)에서 압력강하가 발행하지 않으면 터빈(20) 후단과 응축탱크(35)에서의 압력은 동일하게 된다.
만약, 터빈(20) 전단의 압력이 증가할 경우 작동유체 유량이 증가하고, 일정 수준에서 응축기(30)에 압력 강하가 발생하게 되면 당연히 사이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 강하 등에 대비하여,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서 응축기(30) 압력상승으로 인해 사이클 효율이 적정 수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떨어뜨린다.
이렇게,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떨어뜨리면 터빈(20)의 전, 후단 압력차가 감소하므로 유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응축기(30)의 압력 강하가 감소되며 결과적으로 터빈(20) 후단 압력이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터빈(20)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떨어뜨리면 터빈(20)에서의 엔탈피 낙차가 감소하게 되므로 터빈(20) 효율을 이상적이라고 가정한 아이센트로픽 사이클 효율은 감소하게 되다.
따라서, 응축기(30)의 압력 강하와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를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주합 적용한 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단순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증발기 11 : 예열기
12 : 과열기 20 : 터빈
30 : 응축기 35 : 응축탱크
40 : 펌프 50 : 압력센서

Claims (4)

  1. 증발기(10), 터빈(20), 응축기(30) 및 펌프(40)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되고, 이 중 증발기(10)의 전, 후방에 각각 예열기(11)와 과열기(12)가 마련되며, 응축기(30) 후방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탱크(35)가 구비된 유기랭킨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30)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터빈(20) 후단과 응축탱크(35)에 설치되어 이들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압력센서(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랭킨사이클.
  2. 삭제
  3. 증발기(10), 터빈(20), 응축기(30) 및 펌프(40)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되고, 이 중 증발기(10)의 전, 후방에 각각 예열기(11)와 과열기(12)가 마련되며, 응축기 후방(30)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탱크(35)가 구비된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상기 응축기(30)의 압력 강하 및 사이클 효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정 수치가 유지되도록 터빈(20)의 전단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터빈(20) 후단과 응축탱크(35)에 설치되어 이들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압력센서(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4. 삭제
KR1020100035939A 2010-04-19 2010-04-19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KR10119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939A KR101197191B1 (ko) 2010-04-19 2010-04-19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939A KR101197191B1 (ko) 2010-04-19 2010-04-19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93A KR20110116493A (ko) 2011-10-26
KR101197191B1 true KR101197191B1 (ko) 2012-11-02

Family

ID=4503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939A KR101197191B1 (ko) 2010-04-19 2010-04-19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060B1 (ko) * 2017-09-27 2022-02-23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Hvac&r 시스템을 위한 방출 캐니스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9203A2 (en) 2007-12-14 2009-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pansion system
JP2009287433A (ja) * 2008-05-28 2009-12-10 Sanden Corp 内燃機関の廃熱利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9203A2 (en) 2007-12-14 2009-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pansion system
JP2009287433A (ja) * 2008-05-28 2009-12-10 Sanden Corp 内燃機関の廃熱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93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798B1 (ko) 열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35686B1 (ko) Orc시스템 유량계 제어방법
US20100170218A1 (en) Method for expanding compressor discharge bleed air
JP6660095B2 (ja) ランキンサイクルに従って作動する閉ループを制御する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WO2013051265A1 (ja) バイナリー発電システム
JP2009537774A5 (ko)
WO2012050788A2 (en) Process for producing superheated steam from a concentrating solar power plant
CN102691537A (zh) 二氧化碳回收型火力发电系统及其运转方法
KR101135685B1 (ko) Orc시스템 펌프 제어방법
JP4794229B2 (ja) 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及び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システム
JP2015200306A (ja) 熱電併給システム
KR101199525B1 (ko) Orc시스템
RU2425987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KR101152254B1 (ko) 펌프의 캐비테이션을 방지할 수 있는 orc 시스템
KR101135682B1 (ko) Orc시스템 과열도 제어방법
JP2010038160A (ja) 複合又はランキン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で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84715B1 (ko) 랭킨사이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125300A1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これを備えている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及び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の運転方法
KR101197191B1 (ko)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 유기랭킨사이클의 응축기 압력강하를 고려한 사이클 제어방법
JP2011149434A (ja) 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システム
JP2019506563A (ja) 熱回収システムおよび熱回収システムを用いて熱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方法
JP2015031268A (ja) 廃熱回収装置
CN102606238A (zh) 利用螺杆膨胀机回收余热的两级动力系统
JPS6157446B2 (ko)
RU2561776C2 (ru) Пар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