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371B1 -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371B1
KR101208371B1 KR1020100120488A KR20100120488A KR101208371B1 KR 101208371 B1 KR101208371 B1 KR 101208371B1 KR 1020100120488 A KR1020100120488 A KR 1020100120488A KR 20100120488 A KR20100120488 A KR 20100120488A KR 101208371 B1 KR101208371 B1 KR 10120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disparity
measuring device
coordinat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948A (ko
Inventor
유윤식
김현태
박장식
주용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3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3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 공사시 터널 내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장비의 좌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시스템은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은 독립 좌표 정보를 갖는 기준측정 장치와, 상기 기준측정 장치의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좌표를 결정한 후, 피측정체의 변위 여부를 측정하는 변이측정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하는 경우, 터널 등의 굴착 공사, 발파 작업 등으로 지반이 흔들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이 측정 장치의 위치에 변동에도 불구하고 기준 측정부의 GPS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변이 측정 장치 자체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A displacemen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ground using reference location measurement}
본 발명은 굴착 공사시 터널 내부의 상태(예컨대, 여굴/미굴 또는 침하 상태등)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장비의 좌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파 공사 등에 의하여 지반이 흔들림으로 인하여 계측 장비를 이동시키거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도 자체 위치 좌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굴착 공사 진행 상황이 최초의 터널 단면 설계자료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적인 공간 개발을 위하여 구조물의 지하화에 따른 지하 공간의 개발에서 굴착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건설현장에서 굴착으로 인하여 지반의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지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매우 많고, 미리 예측하기 힘들고, 현장의 시공성에도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반의 거동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굴착 구조물 뿐만아니라 인접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사진행과 함께 현장계측이 필수적이며, 계측을 통하여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물 및 인접 구조물의 지반 거동을 미리 예측하여 이에 상응하는 대책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수동계측에 의존하는 건설현장에서는 위급상황 발생시 대처 능력이 저하되어 붕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측정 단면 또한 제한적이어서 정확한 지반 거동 해석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지반 거동측정은 광섬유 길이의 변화에 따라 광섬유 관경이 변화되도록 제작되어 관경의 변화에 따라 빛의 통과량을 측정하여 길이 변화를 알아 낼 수 있는 방법으로 전체 라이닝(lining)의 길이 변화를 추정할 수 있으나, 라이닝의 형상 변화를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BSC시스템은 긴 길이의 바(bar)와 짧은 길이의 바(bar)에 각각 각도 센서를 부착하여 2개의 각도로 라이닝이 변화된 좌표를 측정한다. 그런데, 2개의 질점으로 인하여 열차 또는 자동차의 진동으로 인한 좌표값이 안정하지 않을 요소가 많은 점과 설치 점용 공간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레이저 계측 방식은 일반적으로 광파기를 원용한 것이므로 시공이 레이저 목표만 부착하면 측정이 가능하므로 매우 간단하지만, 굴착에 의하여 계측용 레이저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계측이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경우에는 터널 등의 굴착 공사시, 발파 등에 의하여 지반의 거동이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터널이 설계치대로 착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 또는 계측하는 변이 측정장치(레이저 발생기 또는 영상 촬영 장치 부착)를 발파시에 이동하였다가 발파 작업 후 다시 정위시키거나, 발파에 의하여 변이 측정 장치의 위치의 변동이 발생하게 되면, 변이 측정장치의 상대적 위치 변동에 의하여 터널 내부 공사를 위한 정확한 좌표 정보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경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굴착 대상인 터널 등에 대하여 최초 설계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터널 전방 또는 터널 내부에 위치하는 "레이저 발생장치 또는 영상 촬영 장치가 부착된 계측 장비"인 변이 측정장치의 위치 좌표 정보를 자동적으로 정확히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GPS 좌표 정보를 2개 이상의 기준 측정부와 변이 측정 장치를 연동시켜 변이 측정장치의 자체 좌표 위치를 정확히 계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인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은 독립 좌표 정보를 갖는 기준측정 장치와, 상기 기준측정 장치의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좌표를 결정한 후, 피측정체의 변위 여부를 측정하는 변이측정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기준측정 장치는 최소한 2개의 기준 측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준 측정부 각각은 자체의 독립 좌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단말부와 상기 각각의 독립 좌표 정보를 상기 변이측정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변이측정 장치와 기준 측정부 각각은 상호 인식을 위한 초음파 송수신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통신부의 통신 신호는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변이측정 장치는 피측정체의 변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부를 더 구비하며, 측정부는 피측정체에 대한 레이저 조사 또는 영상촬영을 수행하여 상기 피측정체의 변이를 측정 또는 계측한다.
즉, 본 발명 시스템은 복수개의 기준 측정부 각각이 보유하는 독립적인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좌표 위치를 계산하는 변이 측정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변이 측정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 측정부 각각과 초음파 통신을 통하여 상호 인식한 후 상기 각각의 GPS 좌표 정보를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인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방법은 (a)변이측정 장치와 제 1 기준 측정부간의 초음파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상기 제 1 기준 측정부간의 제 1 거리가 측정되는 단계, (b)상기 제 1 기준 측정부의 제 1 좌표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c)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제 2 기준 측정부간의 초음파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상기 제 2 기준 측정부간의 제 2 거리가 측정되는 단계, (d)상기 제 2 기준 측정부의 제 2 좌표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e)상기 제 1 거리, 제 2 거리, 제 1 좌표 정보, 및 제 2 좌표 정보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변이측정장치 자체의 좌표가 결정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좌표 정보와 제 2 좌표 정보는 GPS 좌표 정보이며, 상기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 수단인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통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하는 경우, 터널 등의 굴착 공사, 발파 작업 등으로 지반이 흔들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이 측정 장치의 위치 변동에도 불구하고 기준 측정부의 좌표 정보로부터 변이 측정 장치 자체의 위치 정표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터널 등의 굴착 공사로 인한 지반 요동과 무관하게 자체 위치 정보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으므로 최초 굴착 설계대로 터널이 형성되는지 여부 기타 미굴, 여굴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경우 변이 측정 장치가 터널 내부 등으로 진입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도 터널 외부에 위치하여 GPS 정보를 개별 수신하는 기준 측정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터널 내부 공사 작업시 굴착 설계치에 일치하여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굴착 시공 상태를 최초 설계치와 비교 분석 가능하며, 또한 터널 내부의 여굴/미굴을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이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변이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이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은 터널 내부의 미굴, 여굴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변이 측정 장치(100)와 지리적 좌표 정보를 보유하는 기준측정 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준 측정 장치는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기준 측정부(200, 3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준 측정부(200, 30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도 1에는 2개의 기준 측정부(200, 300)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보다 정밀한 계측을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의 기준 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당연히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변이 측정 장치(100)는 측정부(11)와, 무선통신부(12)와, 초음파 송수신부(13), 제어부(14), 및 표시부(15)를 구비한다.
측정부(11)는 레이저를 발생 장치 또는 영상 촬영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정부(11)의 주기능은 터널 등과 같은 굴착 대상인 피측정체의 미굴, 여굴 여부를 계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2)는 기준 측정부(200, 300)의 무선 통신부(23, 33)와 지그비(Zigbee), 또는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하여 기준 측정부(200, 300)의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초음파 송수신부(13)는 기준 측정부(200, 300)의 초음파 송수신부(21, 31)와 초음파를 수수하며 초음파 송수신부(13)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의 클락 신호에 따라 초음파 송수신부(21, 31)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된다.
제어부(14)는 측정부(11), 무선통신부(12), 초음파송수신부(13), 및 표시부(15)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일반적인 전자기 제품에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메모리 기능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5)는 변이 측정 장치의 구동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의 기준 측정부(200)는 초음파 송수신부(21), GPS 단말기(22), 무선통신부(23),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초음파 송수신부(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변이 측정 장치(100)의 초음파 송수신부(13)와의 초음파 수수를 의하여 상호 호출 및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GPS 단말기(22)는 위성으로부터 기준 측정부(200)의 고도, 위도, 경도 등과 같은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3)은 GPS 단말기(22)로부터 획득한 좌표 정보를 변이 측정 장치(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24)는 초음파 송수신부(21), GPS 단말기(22), 및 무선통신부(23)의 유기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의 기준 측정부(300)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작은 도 1의 기준 측정부(200)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변이 측정 장치(100)가 기준 측정부(200, 300)로부터 기준 측정부(200, 300) 각각의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변이 측정 장치(100) 자체의 좌표를 계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변이 측정 장치(100)는 제 1 초음파 신호(예를들어, 5클락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며 기준 측정부(200)의 초음파 송수신부(21)는 제 1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한 후 제 2 초음파 신호(예를들어, 13클락 초음파 신호)를 발생한다.
변이 측정 장치(100)의 초음파 송수신부(13)은 제 2 초음파 신호를 인식한다.
따라서, 변이 측정 장치(100)는 제 1 초음파 신호의 발생시부터 제 2 초음파 신호의 수신시까지의 시간을 판정하여 변이 측정 장치(100)와 기준 측정부(200)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참고로, 기준 측정부(200)가 제 1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초음파 신호의 발생시까지 소요된 시간이 있는 경우 거리 측정시에 이를 당연히 고려하여야 한다)
다음, 기준 측정부(200)의 무선통신부(23)는 GPS 단말기(22)에 의하여 수집된 좌표 정보(고도, 위도,, 경도 등)를 변위 측정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변위 측정 장치(100)와 기준 측정부(200)간의 정보 수신은 종료된다.
그 다음, 변위 측정 장치(100)는 기준 측정부(300)와 통신을 수행하며, 그 과정은 위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변위 측정 장치(100)와 기준 측정부(300)간의 상호 인식을 위한 주파수 신호는 전술한 경우와는 상이하다.
기술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변이 측정 장치(100)는 제 3 초음파 신호(예를들어, 7클락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며 기준 측정부(300)의 초음파 송수신부(31)는 제 3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한 후 제 4 초음파 신호(예를들어, 15클락 초음파 신호)를 발생한다.
변이 측정 장치(100)의 초음파 송수신부(13)은 제 4 초음파 신호를 인식한다.
따라서, 변이 측정 장치(100)는 제 3 초음파 신호의 발생시부터 제 4 초음파 신호의 수신시까지의 시간을 판정하여 변이 측정 장치(100)와 기준 측정부(300)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기준 측정부(300)의 무선통신부(33)는 GPS 단말기(32)에 의하여 수집된 좌표 정보(고도, 위도, 경도 등)를 변위 측정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변위 측정 장치(100)와 기준 측정부(300)간의 정보 수신은 종료된다.
본 실시예는 기준 측정부가 2개인 경우를 상정하고 설명되었으나, 3 개 이상인 경우 최종 기준단말기의 좌표 정보를 수집할 때까지 위의 과정은 반복될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변위 측정 장치(100)와 각 기준 측정부(200, 300)간의 정보 송수신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은 변이 측정 장치(100)의 초음파 송수신부(13)로부터 초음파 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발생되는 초음파 신호의 클락 정보는 각 기준 측정부와의 인식을 위한 것으로 각 기준 측정부는 초음파 송수신부(13)에서 발생되는 특정 클락의 초음파에 연동되어 활성화된다.
즉, 기준 측정부(200)와의 연동을 위하여는 5클락의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 측정부(300)와의 연동을 위하여는 7클락의 초음파 신호를 발생한다.
다음, 기준 측정부(200, 300)는 변이 측정 장치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에 응답하고 또 다른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여 변이 측정 장치로 전달한다.
예컨대, 기준 측정부(200)는 13클락의 초음파 신호를, 기준 측정부(300)는 15클락의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켜 변이 측정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음, 각각의 기준 측정부(200, 300)는 GPS 단말부(22, 32)로부터 취득한 좌표 정보를 무선 통신부(23, 33)를 이용하여 변이 측정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2)로 전달한다.
도 2와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 실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각 기준 측정부는 탑재된 각 GPS 단말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고도, 위도, 경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있다고 가정한다(설명의 편의상 기준 측정부(100)와의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변이 측정장치(100)에서 특정한 개수(5개)의 초음파 펄스를 발생하면, 기준 측정장치 중에서 예컨대 하나의 기준 측정부(200)가 특정한 개수(5개)의 초음파 펄스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초음파(13개) 펄스를 발생한 후, 자체 무선통신부(23)를 통하여 기준 측정부 자체의 위치정보(위도, 경도, 고도)를 전송한다.
따라서, 변이 측정장치(100)는 기준 측정부(200)가 발생시킨 초음파(13개) 펄스와 기준 측정부(200)의 위치 좌표 정보 수신한다.
변이 측정장치(100)의 초음파 송수신부(13)는 초음파 펄스의 발생시부터 기준 측정부(200)의 초음파 펄스 수신시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변이 측정 장치(100)와 기준 측정부(200)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변이 측정 장치(100)는 나머지 기준 측정부(300)에 대하여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 변이 측정 장치(100)와 기준 측정부(300)간 거리 및 기준 측정부(300)의 위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변이 측정 장치는 이렇게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측정부(200)와 기준 측정부(300)간의 거리도 계측할 수 있음은 물론, 자체 위치 좌표를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하는 경우, 터널 등의 굴착 공사, 발파 작업 등으로 지반이 흔들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이 측정 장치(100)의 위치에 변동에도 불구하고 기준 측정부(200, 300)의 지원을 받아 변이 측정 장치(100) 자체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터널 등의 굴착 공사로 인한 지반 요동과 무관하게 자체 위치 정보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으므로 최초 굴착 설계대로 터널이 형성되는지 여부 기타 미굴, 여굴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경우 변이 측정 장치(100)가 터널 내부 등으로 진입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도 터널 외부에 위치하여 GPS 정보를 개별 수신하는 기준 측정부(200, 3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터널 내부 공사 작업시 굴착 설계치에 일치하여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굴착 시공 상태를 최초 설계치와 비교 분석 가능하며, 또한 터널 내부의 여굴/미굴을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은 굴착 공사시 사용되는 굴착 대상물의 변이를 계측하는 장비인 변이 측정 장치의 자체 위치를 복수개의 기준 측정부 각각이 갖는 독립된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위치 좌표 정보를 계측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 등으로부터 당업자가 당연히 유추해 낼 수 있는 범위 및 이와 동일 유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형, 수정 등은 본 발명이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적 범주에 당연히 포함된다.
100 : 변이 측정 장치
200, 300 : 기준 측정부
11: 측정부
12, 23, 33: 무선 통신부
13, 21, 31: 초음파 송수신부
14, 24, 34: 제어부
15: 표시부
22, 32: GPS 단말기

Claims (9)

  1. 독립 좌표 정보를 갖는 기준측정 장치와,
    상기 기준측정 장치의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좌표를 결정한 후, 피측정체의 변위 여부를 측정하는 변이측정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기준측정 장치는 최소한 2개의 기준 측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준 측정부 각각은 자체의 독립 좌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단말부와 상기 각각의 독립 좌표 정보를 상기 변이측정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상기 기준 측정부 각각은 상호 인식을 위한 초음파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의 통신 신호는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측정 장치는 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상기 각 기준 측정부와의 초음파 송수신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상기 각 기준 측정부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측정 장치는 피측정체의 변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측정부는 피측정체에 대한 레이저 조사 또는 영상촬영을 수행하여 상기 피측정체의 변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7. (a)변이측정 장치와 제 1 기준 측정부간의 초음파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상기 제 1 기준 측정부간의 제 1 거리가 측정되는 단계,
    (b)상기 제 1 기준 측정부의 제 1 좌표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c)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제 2 기준 측정부간의 초음파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 장치와 상기 제 2 기준 측정부간의 제 2 거리가 측정되는 단계,
    (d)상기 제 2 기준 측정부의 제 2 좌표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변이측정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e)상기 제 1 거리, 제 2 거리, 제 1 좌표 정보, 및 제 2 좌표 정보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변이측정장치 자체의 좌표가 결정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좌표 정보와 제 2 좌표 정보는 GPS 좌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은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방법.
KR1020100120488A 2010-11-30 2010-11-30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88A KR101208371B1 (ko) 2010-11-30 2010-11-30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88A KR101208371B1 (ko) 2010-11-30 2010-11-30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48A KR20120058948A (ko) 2012-06-08
KR101208371B1 true KR101208371B1 (ko) 2012-12-10

Family

ID=4661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488A KR101208371B1 (ko) 2010-11-30 2010-11-30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3446B (zh) * 2016-05-24 2020-08-28 爱德森(厦门)电子有限公司 一种在役轨道交通隧道围岩沉降变形声波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48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25B1 (ko)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CN101975571B (zh) 一种巷道变形的自动实时监测方法
CN106224007A (zh) 隧道施工安全监测预警管理系统
CN103760517B (zh) 地下扫描卫星高精度跟踪定位方法及装置
CN108350734A (zh) 钻孔测试装置
CN106950583A (zh) 一种基于gps‑rtk联合的林区公路测量系统及测量方法
WO20180580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geometric change in a subterranean structure
CN108007378B (zh) 一种变形监测综合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60038595A (ko) 지하 상태 모니터링 방법
CN105136134A (zh) 一种掘进机位姿检测调整方法及系统
KR101223184B1 (ko) 등거리 관측을 이용한 수준측량 시스템
CN104155995A (zh) 一种基于无人机的矿区塌陷监测方法
CN101482621A (zh) 一种滑坡体滑动姿态加速度监测方法
CN108222985B (zh) 用于锚杆钻机的数据采集系统
CN116935581B (zh) 基于多传感监测的山体滑坡预警方法及系统
JP2019052467A (ja) 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測方法
CN103760554A (zh) 周边环境的检测方法和装置
CN111999781A (zh) 一种深井巷道全方位围岩结构动态测量分析方法
JP2020197082A (ja) 計測システム、計測方法および間隔決定方法
AU2012101210B4 (en) Drill hole orientation apparatus
KR101208371B1 (ko) 기준위치 측정을 통한 지반 변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840837A (zh) 自动实时监测建筑物、地貌变形的方法及装置
CN105353348A (zh) 一种用于定位煤矿井下移动目标的系统及方法
CN109405686B (zh) 一种采用水电工程智能钻爆系统的钻爆方法
KR102145346B1 (ko) 공간형상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생성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