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025B1 -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025B1
KR100947025B1 KR1020090074390A KR20090074390A KR100947025B1 KR 100947025 B1 KR100947025 B1 KR 100947025B1 KR 1020090074390 A KR1020090074390 A KR 1020090074390A KR 20090074390 A KR20090074390 A KR 20090074390A KR 100947025 B1 KR100947025 B1 KR 10094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ement
soil
soft ground
led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상
Original Assignee
(주)명성지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지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명성지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7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01C15/08Plumbing or registering staffs or markers over ground ma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을 매칭시켜 성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자동계측 표시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현장단말과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을 계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의 개량 성토구역 내의 부동 지반층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계측장치들이 체결 가능하도록 일정한 길이 및 규격을 갖는 지지용 강관과; 상기 지지용 강관을 중심으로 상기 연약지반의 개량성토 구역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사전에 매칭시킨 후, 계측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인 교신을 통해 연약지반의 개량 토층의 침하량을 검출하는 침하량 센싱부와; 상기 침하량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LED램프 점등 및 문자, 숫자로 표시하는 LED/문자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지지용 강관의 중간부분에 체결되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기설정된 계측 시간마다 상기 침하량 센싱부로부터 검출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산정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LED/문자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간에는 현장사정을 고려한 측량에 의해 초기 위치값이 설정되며,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는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에 의해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로 검출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기설정된 초기 위치값의 차이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계측시간마다 자동으로 계측(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 토층 침하량을 동시다발적으로 정밀하게 자동계측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 토층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단말 또는 원격관리 서버를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추가성토량의 예측과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계측 근무자의 현장 상주 및 출장과 같은 계측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약지반, 계측, 연약층 변위계측장치, LED/문자 디스플레이부, 지표 침하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현장단말, 원격관리 서버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layer settlement of soft ground}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을 매칭(matching)시켜 성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자동계측 표시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현장단말과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분야에서의 성토란 종전의 지반 위에 다시 흙을 북돋아 쌓는 것을 말한다. 성토는 도로성토, 철도성토, 하천제방, 공항, 플랜트, 택지조성 및 대규모 사력댐 축조 공사 등에서 주로 실시되고 있다. 성토 조성 시에는 성토 본체의 품질관리와 성토로 인한 주변지반의 영향 등이 주요 계측관리 항목이 되며, 성토구조물이 축조되는 원지반의 상태에 따라서도 계측관리 항목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연약지반일 경우 이를 강화 개량하고자 여러 가지 개량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으나, 대체적으로 선행하중(Pre-Load) 또는 상재하중을 이용하여 인 위적인 침하를 유발하는 성토 구조물의 축조가 여전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성토 구조물(혹은, 성토체)의 축조방법은 성토체(10) 중량에 따른 측방유동(11) 현상이 일어나 성토체를 중심으로 지반 내의 응력(12)이 증가하게 되는데, 사절토로 이루어진 지반에서는 전단 파괴나 변형의 정도가 매우 작은 반면에, 연약지반의 경우 시간이라는 변수와 함께 지반 내 응력의 증가에 따른 점성토질의 압밀침하(13)가 상당히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되기 때문에 성토체의 중량이나 연약지반의 층후(두께), 그리고 수량이나 지하수의 유동 등 여러 가지 상관인자에 따라 압밀침하의 정도가 예상보다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압밀침하량은 공기 단축을 실현하기 위해서 그동안 수많은 실험을 통해서 이론적인 계산 방법과 그에 따른 침하량이 지금까지 발표되고 제안되어 왔으나, 압밀이 완전히 끝나는 시기는 물론 전체 침하량의 실측치와 이론치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성토진행 및 시간경과에 따른 계측관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연약지반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견고한 지반을 선정하는 것이 좋지만, 도로, 철로 등의 공사에서 견고한 지반만으로 노선을 선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일이다. 연약지반의 토질은 지역에 따라 변화가 심하고, 예견할 수 없는 연약층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사전에 조사하기 위하여 대표지반에 대한 시추 및 실내시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시험결과로부터 지반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연약지반에 성토하는 경우는 침하관리 및 전단파괴 방지와 대책 공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계측관리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에서 개량 공법이 진행될 때 시행되어야 할 계측 항목으로는, 지표 침하판에 의한 토층침하 측정, 지중경사계에 의한 지중수평변위 측정, 층별 침하계에 의한 지중층별침하 측정, 간극수압계에 의한 간극수압 측정, 토압계에 의한 토압측정 및 지하수위계에 의한 지하수위 측정이 공개되어 있다.
한편, 토목 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반 침하량 측정방법으로는, 철판이나 자석링(Magnetic Ring)으로 만든 침하판(75)을 지하에 매설하고 침하판 가운데에 플라스틱관 혹은 알류미늄관(74)을 묻고 그 관 속으로 줄자(77)에 의해 연결된 침하판 탐지봉(76)을 집어넣고, 리드아웃기(71)의 메타 눈금이 정중앙에 오면 탐지봉(76)이 침하판(75)의 매설위치까지 내려간 신호이므로 줄자 보관드럼(73)에서 줄자를 푸는 것을 중단하고, 탐지봉에 연결된 줄자(77)의 눈금을 읽어서 침하판(75)의 깊이를 재는 방법이다(도 2 참조).
그러나 이 방법은 사용자가 줄자(77)를 직접 손으로 알루미늄관(74) 속으로 주입하므로 계측 시간이 많이 걸리고, 줄자가 관 속에서 계측할 때마다 좌우로 움직이므로 계측 오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16988호(출원일: 1997년 05월 02일)의 "엔코더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할 지하에 지반과 같이 침하하도록 매설된 침하판(30)과, 상기 침하판으로부터 피아노 강선(21)을 통하여 연결되어 침하판의 침하에 따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측정바퀴(42)와, 상기 측정바퀴의 회전에 연동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엔코더(53)와, 상기 엔코더로부터 발생된 펄스신호를 카 운트하여 지반 침하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어수단(62)을 구성하여 지반이 침하되는 물리적인 변화량을 전기적인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카운트함으로써 지반의 침하량을 계측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도 3 참조).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지반 침하량 자동측정장치 자체가 연약지반에 설치되므로, 지반 침하와 함께 장치가 침하하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21973호(출원일: 2000년 04월 25일)의 "연약지반 자동 계측시스템"에는, 자동화서버(91), 데이터로거(92) 등을 구성하여 관리자가 현장에 상주하지 아니하더라도 실시간으로 연약지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고, 전국 어디에서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현장의 자료를 확인 할 수 있는 연약지반 자동 계측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도 4 참조).
그러나 이 선행기술의 경우는 공개된 계측 항목인 지중경사계에 의한 지중수평변위 측정, 층별침하계에 의한 지중층별침하 측정, 간극수압계에 의한 간극수압 측정, 토압계에 의한 토압측정 및 지하수위계에 의한 지하수위 측정 등은 모두 센서 자체만으로도 자동계측이 가능하지만, 연약지반 성토와 같은 지표 침하판에 의한 토층침하 측정은 보다 복잡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단순한 센서 기능만으로는 정밀한 자동계측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을 매칭시켜 계측된 성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LED/문자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현장단말과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 토층 침하량을 자동으로 정밀 계측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 토층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단말 또는 원격관리 서버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을 계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의 개량 성토구역 내의 부동 지반층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계측장치들이 체결 가능하도록 일정한 길이 및 규격을 갖는 지지용 강관과; 상기 지지용 강관을 중심으로 상기 연약지반의 개량성토 구역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사전에 매칭시킨 후, 계측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인 교신을 통해 연약지반의 개량 토층의 침하량을 검출하는 침하량 센싱부와; 상기 침하량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LED램프 점등 및 문자, 숫자로 표시하는 LED/문자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지지용 강관의 중간부분에 체결되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되, 기설정된 계측 시간마다 상기 침하량 센싱부로부터 검출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산정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LED/문자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는,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 간의 현장사정을 고려한 측량에 의해 결정된 초기 위치값을 입력하고, 계측시간 간격 및 최종 계측시간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은 상기 침하량 센싱부에서 송출되는 RF, 레이저, 적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받아 상기 침하량 센싱부로 피드백시키며, 상기 침하량 센싱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값 설정부의 초기 위치값과 감산 처리하여 기설정값과 매칭시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산정하는 침하량 산정부와; 상기 입력된 초기 위치값, 상기 설정된 계측시간 간격과 최종 계측시간 및 상기 토층 침하량의 변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LED/문자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문자 표시구동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기준값 설정부, 상기 침하량 센싱부, 상기 침하량 산정부, 상기 메모리, 상기 LED/문자 표시구동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계측시간마다 자동으로 계측(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하량 센싱부는,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으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360° 써클(circle)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장치(IrDA) 및 UWB(Ultra-wideband)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으로 계측되는 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현장단말과; 상기 현장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계측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는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문자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지용 강관의 상부측에 2개의 지지용 가로쇠와 1개의 버팀줄 고리에 의해 체결되며, 한쪽에는 LED디스플레이부를, 타측에는 문자디스플레이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디스플레이부는, 다수개의 LED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LED램프의 상부 일단에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상기 지표 침하판 간의 초기 위치값인 녹색(G)으로 점등되고, 상기 상부 일단 이후부터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가 계측한 토층 침하량인 빨간색(R)으로 점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문자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표 침하판 설치 개수만큼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디스플레이부(270)는, 통상적인 LCD, PDP, LED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디스플레이부에는 계측일자, 현재일자, 성토표고, 침하표고, 현재표고를 문자와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을 매칭시켜 계측된 성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LED/문자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현장단말과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1)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 토층 침하량을 동시다발적으로 정밀하게 자동계측이 가능하다.
(2)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 토층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단말 또는 원격관리 서버를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추가성토량의 예측과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계측 근무자의 현장 상주 및 출장과 같은 계측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3) 종래의 기술은 부동지반과 연약지반을 달리하여 계측장비와 지표 침하판을 설치함으로써 계측장비의 설치가 번거롭고 측정 오차율이 높은 반면에, 본 발명은 연약지반 성토구역에 계측장비와 지표 침하판을 직접 설치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상의 연약지반에서의 성토에 따른 측방유동에 의한 침하 및 융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반 침하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의 연약지반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의 엔코더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자동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을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에 설치된 다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대한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의 핵심 기술적 구성은, 기본적으로 지지용 강관(100),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 현장단말(400), 원격관리 서버(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용 강관(100)은,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들을 체결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성토구역(10)내의 부동 지반층(14)까지 매설되어 지상에서 성토되는 토층의 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확장가능 하도록 일정한 길이 및 규격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용 강관(100)은, 상기 연약지반 상에 추가로 성토될 경우, 상기 지지용 강관(100)은 커넥터(connector) 혹은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수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간의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 내의 토층 침하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용 강관(100)의 중간부분에 체결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를 중심으로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이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에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의 침하량 센싱부(230)에서 송출되는 신호들(예를 들어, RF, 레이저, 적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을 수신하여 피드백시키는 반사판(310)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310)은 상기 다수개의 침하판(300)의 상부면에 장착(도 5 참조)되거나 일정한 높이의 수직파이프 상에 장착(도 6 참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간의 초기 위치값(h1=a1)은, 사용자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을 1:1로 매칭시켜 측량한 값으로 높이(a1)와 거리(b1)에 대한 빗변의 길이(r1)를 갖는다.
또한, 설정된 계측시간 동안의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 내의 검출된 토층 침하량의 변위값(h2=a1')은, 높이(a1')와 거리(b1')에 대한 빗변의 길이(r1')을 갖는다.
즉, r12 = a12+b12 및 r1'2 = a1'2+b1'2 로 하는 수학식이 성립되고, 상기 수학식으로부터 a1=h1 및 a1'=h2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학식에 의한 연약지반의 토층 침하량 변위값 측정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간에는 90° 각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도 5의 A 참조)처럼 부동지반과 연약지반을 달리하여 변위계측장치와 지표 침하판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지표 침하판을 함께 연약지반 성토구역 내에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로 실제 침하된 토층의 침하량 자동계측을 위하여 상기 산출된 값에 근거한 RF, 레이저, 적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고 이용하여 계측하며, 후술하는 기술적 구성수단들에 의해 자동계측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는, 연약지반 및 연약지반 개량 토층의 침하량 변위를 자동으로 계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부(210), 기준값 설정부(220), 침하량 센싱부(230), 침하량 산정부(240), 메모리(250), LED/문자 표시구동부(26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 및 무선 안테나(281), 배터리(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는, 상기 지지용 강관(100)의 중간부분에 체결되어 본 발명의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기설정된 계측 시간마다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토층의 침하로 인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산정하고, 분석 저장된 데이터를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간에는 현장사정을 고려한 측량에 의해 초기 위치값이 설정되며,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는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에 의해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로 검출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기설정된 초기 위치값의 차이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계측시간마다 자동으로 계측(산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현장사정이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의 설치에 따른 자체 중량 및 크기와 이들 상호간의 매칭에 따른 초기 위치값의 측량 오차율 등을 말하며, 오차율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연약지반 및 성토체에 대한 다양한 실험데이터를 사전에 확보하여 둔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기준값 설정부(220)의 기준값 설정, 상기 침하량 센싱부의 연약지반의 개량 토층 침하량 검출, 상기 침하량 산정부(240)의 침하량 산정, 상기 메모리(250)의 데이터 저장, 상기 LED/문자 표시구동부(260)의 구동신호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 및 무선 안테나(281)로 계측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각각 제어명령을 하달한다.
상기 기준값 설정부(220)는, 현장사정을 고려한 측량에 의해 결정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지표 침하판(300)간의 초기 위치값을 입력하고, 상기 계측시간 간격 및 최종 계측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 위치값은, 공지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지표 침하판(10)을 이용한 수준 측량에 의해서 초기 위치값을 획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보된 전자장치인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측량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는,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 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으로부터 토층의 침하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과 사전에 매칭시킨 후, 계측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인 교신을 통해 연약지반의 개량 토층의 침하량을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는, 상기 지표 침하판(300)에 RF, 레이저, 적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지표 침하판(300)으로 송출하며, 이때 상기 지표 침하판(300)은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의 신호를 받아 반사판(310)을 통해 피드백시킴으로써 설정된 계측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교신하여 침하량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으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360° 써클(circle)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하량 산정부(240)는, 연약지반의 토층 침하량을 산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값 설정부(220)의 초기 위치값과 감산 처리하여 기설정값과 매칭시켜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내의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연산 처리하는 수단이다.
상기 메모리(250)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에 입력된 기준값 및 초기 위치값, 상기 설정된 계측시간 간격과 최종 계측시간 및 상기 토층 침하량의 변위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250)는, 연약지반 상에 추가로 성토될 경우, 상기 지지용 강관(100)은 커넥터 혹은 커플링에 의해 수직으로 확장되며, 상기 확장된 지지용 강관(100)의 변동된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설정 한다.
상기 LED/문자 표시구동부(260)는,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LED/문자디스플레이부(2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어부(210)의 명령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 및 무선 안테나(281)는,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된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단말(400) 및 원격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장치(IrDA) 및 UWB(Ultra-wideband)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을 사용하는데, 종래의 기 술에 따른 GPS의 경우, 측정 오차가 크기 때문에 연약지반에서 요구되는 허용오차를 만족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GPS를 이용할 경우, 수 m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연약지반에서 요구되는 허용오차는 mm 단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허용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대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인 지그비 모듈의 특징 및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지그비 모듈의 특징, 첫째, 블루투스가 주파수 도약 스펙트럼 확산 방식(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을 사용하여 720kbps의 망 접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지그비는 128kbps의 망 접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점, 둘째, 8비트 연산용 컨트롤러에서 32KB 미만의 메모리 리소스를 차지하는 간단한 통신 스택을 처리하는 점, 셋째, 신속하게 연결되어 간단한 스택 통신을 처리한 후 절전모드로 복귀될 수 있으므로 베터리 수명이 길게 유지될 수 있는 점, 넷째, 수천 개의 클라이언트 및 수만 개의 노드를 구성할 수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지그비 기술은 수십 m 내지 최대 수 km의 통신 거리상에서 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형성하여 수만 개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이 작다는 특징(참고로, AA 알카라인 건전지 2개로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사용할 수 있음)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지그비 모듈(280)의 기술적 구성은, 무선 안테나(281), RF 수신 부(282), 위상동기회로(PLL; Phase Locked Loop)(283), 전력제어회로(284), RF 송신부(285), MAC 처리부(286) 및 모듈 제어부(287)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인 지그비 모듈(280)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신 시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통신해야 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상위 시스템인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 또는 현장단말(400) 및 원격관리 서버(5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RF 수신부(282)와 RF 송신부(285)는, 증폭기, 필터 등을 구비하여 해당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데, 위상동기회로(283)는 RF 수신부(282)와 RF 송신부(285)가 중간 주파수 신호를 합성하도록 기준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고, 전력제어회로(284)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판별하여 송신 전력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IEEE 802.15.4 표준은 2가지 종류(2.4 GHz, 866/915 MHz)의 PHY 계층을 정의하며, 2.4 GHz 대역에는 16채널, 902 MHz 내지 928 MHz 대역에서는 10채널, 868 MHz 내지 870 MHz 대역에는 1개 채널이 할당된다.
상기 RF 수신부(282)와 RF 송신부(285)는,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를 이용하며, 2.4 GHz 대역의 경우, 32 PN 코드 길이의 O-QPSK(Offset-Quadrature Phase-Shift Keying) 변조 방식이 사용되고, 1 GHz 이하 대역의 경우 15 PN 코드 길이의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변조 방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가 처리되면, 상기 RF 수신부(282)와 RF 송신부(285)는 베이스밴드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데, RF 수신부(282)의 경우 디지털 신호의 동기화(Synchronization), 역확산(Despreading), 복조(Demodulation), 디지털 필터링 등을 처리하고, RF 송신부(285)의 경우 확산, 신호 정형(Pulse Shaping) 등을 처리한다. 이때, BPSK 변조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RF 수신부(282)와 RF 송신부(285)가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처리 경로(Path)는 하나로 통합 구현가능 하다.
상기 MAC(Media Access Controller) 처리부(286)는, PHY 계층의 디지털 처리가 끝나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해석하여 프레임을 승인하고, 에러를 감지하여 (Error Detection; CRC 또는 Checksum을 통하여 감지함)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며, 패킷 라우팅을 처리한다.
즉, 상기 MAC 처리부(286)는 초기의 하드웨어적 네트워크 연결을 처리하는 구성부로서, 시간 동기를 위한 비콘 및 GTS(Guaranteed Time Slot; 충돌/지연 방지를 가능케 함)와 관련된 부가적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으로 채널 접속을 처리한다.
상기 모듈 제어부(287)는, 나머지 MAC 계층의 기능(상기 MAC 처리부(Hardware-MAC)와 대응하여 "Software-MAC"이라 함),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프레임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응용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모듈(280)은, 유/무선 통신모듈(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하여 현장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의 최초 위치 정보 입력 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비 모듈(280)은, 자가진단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무선통신 모듈의 상태를 점검하여 현장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안테나(281)는 다이폴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대한 LED/문자 디스플레이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따른 상기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는,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에 의해 검출된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 근무자가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LED램프 점등 및 문자, 숫자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또한,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는, 상기 지지용 강관(100)의 상부측에 2개의 지지용 가로쇠와 1개의 버팀줄 고리에 의해 체결되며, 한쪽에는 LED디스플레이부(270a)를, 타측에는 문자디스플레이부(270b)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는, 다수개의 LED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LED램프의 상부 일단에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상기 지표 침 하판(300)간의 초기 위치값이 녹색(G)으로 점등되고 상기 상부 일단 이후부터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에 의한 토층 침하량을 빨간색(R)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ED램프는 다수개의 열과 행으로 구성하며, 하나의 열은 계측된 연약지반의 토층 침하량 변위가 1mm ~ 1cm 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는, 통상적인 LCD, PDP, LED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계측일자, 현재일자, 성토표고, 침하표고, 현재표고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는,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성토구역 내의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에 대한 토층 침하량 변위를 나타낼 경우 상기 지표 침하판(300) 설치 개수만큼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600)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의 전자소자와 상기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지표 침하판(300)은,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와 연동하는 일종의 센서수단으로, 상기 지지용 강관(100)을 중심으로 상기 연약지반의 개량성토 구역상에 하나 또는 다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부터 송출된 RF, 레이저, 적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반사판(310)을 통해 피드백시킴으로써 상기 침하량 센싱부(230)가 토층의 침하량을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대한 현장단말(400) 및 원격관리 서버(500)를 설명한다.
먼저, 현장단말(400)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현장 근무자가 수신하여 분석하는 수단으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의 I/O 인터페이스(미도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동으로 계측되는 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무실 근무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가 토층 침하량을 분석할 수 있지만, 연약지반 현장단말(400)이 토층 침하량을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관리 서버(500)는, 무선모뎀 등을 사용하여 상기 현장단말(4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계측데이터를 원격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토층 침하량을 자동 계측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침하량 센싱부(230)로부터 실시간으로 검출된 침하량 데이터를 자동 계측함으로써, 원격 관리가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은,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성토구역(10)내의 부동 지반층(14)까지 매설되는 일정한 길이 및 규격을 갖는 지지용 강관(100)을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용 강관(100)에 체결된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 및 LED/문자 디스플레이부(270)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와 매칭되는 상기 성토구역(10)내의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300)과,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200)에 의해 자동 계측된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80)에 의해 전송되고 이를 수신하는 현장단말(400) 및 원격관리 서버(500)를 구성함으로써,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별 토층 침하량을 자동으로 계측하여 현장 또는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연약지반에서의 성토에 따른 측방유동에 의한 침하 및 융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반 침하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의 연약지반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의 엔코더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자동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을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연약지반 및 상기 연약지반 개량 성토구역에 설치된 다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에 대한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지지용 강관 200 : 연약층 변위계측장치
210 : 제어부 220 : 기준값 설정부
230 : 침하량 센싱부 240 : 침하량 산정부
250 : 메모리 260 : LED/문자 표시구동부
270 : LED/문자 디스플레이브 270a : LED 디스플레이부
270b : 문자 디스플레이부 271 : 초기 설정값
272 : 침하량 변위값 280 :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281 : 무선 안테나 282 : RF수신부
283 : 위상동기회로 284 : 전력제어회로
285 : RF송신부 286 : MAC처리부
287 : 모듈제어부 300 : 지표 침하판
310 : 반사판 400 : 현장단말 500 : 원격관리 서버 600 : 배터리

Claims (12)

  1.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을 계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의 개량 성토구역 내의 부동 지반층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계측장치들이 체결 가능하도록 일정한 길이 및 규격을 갖는 지지용 강관과;
    상기 지지용 강관을 중심으로 상기 연약지반의 개량성토 구역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사전에 매칭시킨 후, 계측 설정시간 동안 주기적인 교신을 통해 연약지반의 개량 토층의 침하량을 검출하는 침하량 센싱부와;
    상기 침하량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침하량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LED램프 점등 및 문자, 숫자로 표시하는 LED/문자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지지용 강관의 중간부분에 체결되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되, 기설정된 계측 시간마다 상기 침하량 센싱부로부터 검출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산정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LED/문자 디스플레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는,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과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 간의 현장사정을 고려한 측량에 의해 결정된 초기 위치값을 입력하고, 계측시간 간격 및 최종 계측시간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와;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은 상기 침하량 센싱부에서 송출되는 RF, 레이저, 적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받아 상기 침하량 센싱부로 피드백시키며,
    상기 침하량 센싱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값 설정부의 초기 위치값과 감산 처리하여 기설정값과 매칭시켜 토층 침하량의 변위를 산정하는 침하량 산정부와;
    상기 입력된 초기 위치값, 상기 설정된 계측시간 간격과 최종 계측시간 및 상기 토층 침하량의 변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LED/문자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문자 표시구동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기준값 설정부, 상기 침하량 센싱부, 상기 침하량 산정부, 상기 메모리, 상기 LED/문자 표시구동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계측시간마다 자동으로 계측(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량 센싱부는, 상기 다수개의 지표 침하판으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360° 써클(circle)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장치(IrDA) 및 UWB(Ultra-wideband)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으로 계측되는 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현장단말과;
    상기 현장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층 침하량 변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계측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는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문자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지용 강관의 상부측에 2개의 지지용 가로쇠와 1개의 버팀줄 고리에 의해 체결되며, 한쪽에는 LED 디스플레이부를, 타측에는 문자 디스플레이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부는, 다수개의 LED 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LED 램프의 상부 일단에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와 상기 지표 침하판 간의 초기 위치값인 녹색(G)으로 점등되고, 상기 상부 일단 이후부터는 상기 연약층 변위계측장치가 계측한 토층 침하량인 빨간색(R)으로 점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LED/문자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표 침하판 설치 개수만큼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디스플레이부는, LCD, PDP, LED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디스플레이부에는 계측일자, 현재일자, 성토표고, 침하표고, 현재표고를 문자와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12. 삭제
KR1020090074390A 2009-08-12 2009-08-12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KR10094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390A KR100947025B1 (ko) 2009-08-12 2009-08-12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390A KR100947025B1 (ko) 2009-08-12 2009-08-12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025B1 true KR100947025B1 (ko) 2010-03-10

Family

ID=4218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390A KR100947025B1 (ko) 2009-08-12 2009-08-12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25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4073A (zh) * 2012-09-10 2013-01-02 湖北工业大学 基于位移示踪技术的路堤变形监测模型实验装置及其方法
CN102852129A (zh) * 2012-09-17 2013-01-02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路基长期大变形自动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CN102995615A (zh) * 2012-12-22 2013-03-27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深层土体位移的实时监测方法
CN103088806A (zh) * 2013-02-21 2013-05-08 新疆北新路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填方路基与土石坝变形无线实时监测系统
CN103276754A (zh) * 2013-05-17 2013-09-04 武汉中岩科技有限公司 一种岩土工程现场检测方法及装置
CN103498474A (zh) * 2013-10-11 2014-01-08 广东电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深基坑开挖的施工方法
CN105780827A (zh) * 2016-04-27 2016-07-20 浙江广川工程咨询有限公司 深厚软弱地基闸底板脱空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5804127A (zh) * 2016-04-22 2016-07-27 上海工程技术大学 自动智能基坑测斜系统
CN105887942A (zh) * 2016-04-22 2016-08-2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自动智能基坑测斜方法
CN106759539A (zh) * 2016-12-22 2017-05-31 绍兴文理学院 监测沉井壁位移的方法及监测沉井壁不均匀位移的方法
CN107121954A (zh) * 2017-05-26 2017-09-01 西安航空学院 土木工程基坑施工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10515074A (zh) * 2019-09-30 2019-11-29 符依苓 一种基于无线同步技术的微变形遥测系统及方法
CN111779042A (zh) * 2020-07-20 2020-10-16 杭州市城市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基坑智慧测量方法及其数据智慧管理系统
CN112176977A (zh) * 2020-09-17 2021-01-05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适用于岩土工程施工土层沉降用监测装置
CN112411513A (zh) * 2020-10-26 2021-02-26 机械工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土体分层沉降监测装置及方法
CN112461193A (zh) * 2020-09-30 2021-03-09 北京工业大学 一种钻爆隧道分台阶开挖拱顶沉降自动监测系统
CN113108752A (zh) * 2021-03-18 2021-07-13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含软弱夹层边坡模型及成型变形监测方法
CN113175008A (zh) * 2021-04-21 2021-07-27 重庆中岛工程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房屋基础沉降监测装置
KR20220043516A (ko) * 2020-09-29 2022-04-05 반석기초이앤씨(주) 비젼인식장비를 이용하여 정밀복원 및 제어가 가능한 고압팽창 공장바닥 침하복원공법
KR20230106025A (ko) * 2022-01-05 2023-07-12 (주)성진지오텍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현장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7026927A (zh) * 2023-10-09 2023-11-10 邹城市巨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地基沉降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76B1 (ko) * 2008-03-06 2009-01-22 신상열 매립지의 침하 정도 및 토질측정용 계측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76B1 (ko) * 2008-03-06 2009-01-22 신상열 매립지의 침하 정도 및 토질측정용 계측기기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4073B (zh) * 2012-09-10 2014-09-10 湖北工业大学 基于位移示踪技术的路堤变形监测模型实验装置及其方法
CN102854073A (zh) * 2012-09-10 2013-01-02 湖北工业大学 基于位移示踪技术的路堤变形监测模型实验装置及其方法
CN102852129A (zh) * 2012-09-17 2013-01-02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路基长期大变形自动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CN102995615A (zh) * 2012-12-22 2013-03-27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深层土体位移的实时监测方法
CN102995615B (zh) * 2012-12-22 2016-01-06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深层土体位移的实时监测方法
CN103088806A (zh) * 2013-02-21 2013-05-08 新疆北新路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填方路基与土石坝变形无线实时监测系统
CN103088806B (zh) * 2013-02-21 2016-01-20 新疆北新路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填方路基与土石坝变形无线实时监测系统
CN103276754A (zh) * 2013-05-17 2013-09-04 武汉中岩科技有限公司 一种岩土工程现场检测方法及装置
CN103498474A (zh) * 2013-10-11 2014-01-08 广东电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深基坑开挖的施工方法
CN103498474B (zh) * 2013-10-11 2016-02-17 广东电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深基坑开挖的施工方法
CN105804127A (zh) * 2016-04-22 2016-07-27 上海工程技术大学 自动智能基坑测斜系统
CN105887942A (zh) * 2016-04-22 2016-08-2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自动智能基坑测斜方法
CN105780827A (zh) * 2016-04-27 2016-07-20 浙江广川工程咨询有限公司 深厚软弱地基闸底板脱空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6759539A (zh) * 2016-12-22 2017-05-31 绍兴文理学院 监测沉井壁位移的方法及监测沉井壁不均匀位移的方法
CN106759539B (zh) * 2016-12-22 2019-02-12 绍兴文理学院 一种监测沉井壁位移的方法及监测沉井壁不均匀位移的方法
CN107121954A (zh) * 2017-05-26 2017-09-01 西安航空学院 土木工程基坑施工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10515074B (zh) * 2019-09-30 2024-02-20 符依苓 一种基于无线同步技术的微变形遥测系统及方法
CN110515074A (zh) * 2019-09-30 2019-11-29 符依苓 一种基于无线同步技术的微变形遥测系统及方法
CN111779042A (zh) * 2020-07-20 2020-10-16 杭州市城市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基坑智慧测量方法及其数据智慧管理系统
CN112176977A (zh) * 2020-09-17 2021-01-05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适用于岩土工程施工土层沉降用监测装置
KR20220043516A (ko) * 2020-09-29 2022-04-05 반석기초이앤씨(주) 비젼인식장비를 이용하여 정밀복원 및 제어가 가능한 고압팽창 공장바닥 침하복원공법
KR102433267B1 (ko) * 2020-09-29 2022-08-18 반석기초이앤씨(주) 비젼인식장비를 이용하여 정밀복원 및 제어가 가능한 고압팽창 공장바닥 침하복원공법
CN112461193A (zh) * 2020-09-30 2021-03-09 北京工业大学 一种钻爆隧道分台阶开挖拱顶沉降自动监测系统
CN112411513A (zh) * 2020-10-26 2021-02-26 机械工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土体分层沉降监测装置及方法
CN113108752A (zh) * 2021-03-18 2021-07-13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含软弱夹层边坡模型及成型变形监测方法
CN113175008A (zh) * 2021-04-21 2021-07-27 重庆中岛工程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房屋基础沉降监测装置
CN113175008B (zh) * 2021-04-21 2022-08-26 重庆中岛工程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房屋基础沉降监测装置
KR20230106025A (ko) * 2022-01-05 2023-07-12 (주)성진지오텍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현장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16839B1 (ko) * 2022-01-05 2023-12-27 (주)성진지오텍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현장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7026927A (zh) * 2023-10-09 2023-11-10 邹城市巨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地基沉降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25B1 (ko)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KR100955598B1 (ko)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토층 침하량 자동계측 시스템 및 방법
CN113865551B (zh) 适用于高边坡与河道双台阶的空地结合基坑开挖监测预警系统及其操作方法
CN206054001U (zh) 无线定位便携式隧道施工安全预警系统
CN104296721A (zh) 基于卫星定位与静力水准测量的分层沉降监测系统及方法
CN101629799B (zh) 无通视高陡边坡变形监测方法及其装置
CN108180938A (zh) 一种深基坑实时监测预警系统
CN106706029B (zh) 一种面向地下结构施工的土体性能监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747936B (zh) 一种在线监测地下单独空间地表沉降变形的方法
US20190271796A1 (en) Borehole testing device
CN103727911A (zh) 基于mems阵列的组装式深部位移监测设备及系统
CN108195346B (zh) 一种实时监测地下多层次空间地表沉降变形的方法
CN110608691B (zh) 基于声源定位的滑坡深部位移实时监测系统及方法
CN106959095A (zh) 地质内部位移三维监测系统及其安装埋设方法、测量方法
CN101482621A (zh) 一种滑坡体滑动姿态加速度监测方法
CN205120093U (zh) 一种新型地表沉降测试装置
CN205428142U (zh) 水气压力传感器监测预警预报系统
CN104992533A (zh) 水气压力传感器监测预警预报系统
CN106597526A (zh) 一种水库诱发地震的监控方法
CN105241418B (zh) 一种新型地表沉降测试装置及方法
KR100798473B1 (ko) 지피에스 측량결과의 데이터 편차를 이용하는 지형지물의변경확인시스템
CN112187843A (zh) 一种基于bim深基坑基建风险自动监测的系统和方法
Ricco et al.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tiltmetric monitoring networks of Neapolitan volcanoes
CN101806591A (zh) 一种滑坡体三维位移监测方法
CN104131527A (zh) 河口海岸工程管袋坝信息化施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