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671B1 -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671B1
KR101207671B1 KR1020110087323A KR20110087323A KR101207671B1 KR 101207671 B1 KR101207671 B1 KR 101207671B1 KR 1020110087323 A KR1020110087323 A KR 1020110087323A KR 20110087323 A KR20110087323 A KR 20110087323A KR 101207671 B1 KR101207671 B1 KR 101207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light source
fil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1008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01H2013/026Light-emitting indicator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 ligh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push button switch that illuminate separate zones of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16Selective e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파장 영역의 복수개의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사용자의 시인성을 확보함은 물론, 부품수를 절감하고 내부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Switch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작동 노브를 가지는 하나의 스위치 어셈블리 내에서, 각 작동 노브의 작동마다 각기 다른 색채로 작동 여부를 심볼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를 장착한 차량에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버튼부의 조작에 따른 각종 기능 동작부의 작동 상태 등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표시부에 다양하게 표현하여야 할 필요성에 의하여 시인성 확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 마운팅부(3)와,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3)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3)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 커버부(5)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공간에는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접점부와 접점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작동 노브(10~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상기 작동 노브(10~50)에 상기 작동 노브(10~50)의 조작에 따른 각종 기능 동작부의 작동상태를 외부로부터 관찰되도록 표시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동 노브(10~50)를 포함하는 스위치 어셈블리(1)의 한 구성이 되어 실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1)의 주 기능인 물리적인 버튼 조작 기능 외에 시인성 기능이 추가되어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1)의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각 작동 노브(10~50)마다 동일한 색채로 시인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 다른 작동 노브(10~50)의 작동상태와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보다 자세하게 관찰하여야 정확한 작동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수의 독립된 심볼 패턴을 한정된 공간에 무제한 디스플레이 할 수 없음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동일한 위치에서의 2이상의 다양한 심볼 패턴을 표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작동 노브를 가지는 하나의 스위치 어셈블리 내에서, 각 작동 노브의 작동마다 각기 다른 색채로 작동 여부를 심볼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는, 차량의 운전석 사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마운팅부와,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각각 다른 영역의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광원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에 결합된 스위치 커버부와, 상기 스위치 커버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한 움직임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접점부와 각각 접점되는 복수개의 작동 노브와, 상기 스위치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접점부와의 접점에 따라 미리 형상화된 복수개의 심볼 패턴 중 어느 하나의 심볼 패턴을 색채를 달리하여 동일 위치에 표시하는 패턴 형상화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턴 형상화부는, 상기 작동 노브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사용자가 직접 접촉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작동 노브의 내부에 복수개의 패턴 필터가 적층 배치되는 패턴 필터군과, 상기 패턴 필터군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클리어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패턴 필터군과 확산판 및 상기 클리어 필터부가 외부로부터 관찰되지 않는 광투과율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는 LE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에는, 조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한정하는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필터군은, 투명 폴리머 또는 유리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PVD 방식에 의하여 다층막 구조로 제작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커버 윈도우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복수개의 심볼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볼 패턴은 리소그래피 방식 또는 화학적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애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필터군은, 애칭되어 형성된 상기 심볼 패턴 부분은 어떤 파장 영역의 빛이라도 모두 통과시키는 영역이고, 애칭되어 있지 않은 상기 심볼 패턴 이외의 부분은 특정 패턴 필터의 해당 파장 영역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필터군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의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가 2개 이상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개의 패턴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에 의하여 조사된 빛의 혼합 파장 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상기 심볼 패턴 이외의 부분에서 반사시키는 패턴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는, 하나의 스위치 어셈블리 내에서 복수개의 작동 노브의 작동마다 각각 다른 색채로 작동 여부를 심볼 패턴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일 위치에서 다양한 심볼 패턴을 표시하기 때문에 종래 복잡한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패턴 필터군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궝 중 복수개의 필터군을 통과하는 빛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패턴 필터군의 빛의 투과 원리 및 심볼 패턴의 형상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적어도 2개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패턴 필터군의 빛의 투과 원리 및 심볼 패턴의 형상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복수개의 광원부의 작동에 따른 혼합 색채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패턴 필터군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궝 중 복수개의 필터군을 통과하는 빛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패턴 필터군의 빛의 투과 원리 및 심볼 패턴의 형상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적어도 2개의 광원부를 이용하여 패턴 필터군의 빛의 투과 원리 및 심볼 패턴의 형상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복수개의 광원부의 작동에 따른 혼합 색채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서 채용했던 도 1의 도면과 동일한 부호 및 용어는 본 발명과 중첩되는 한도에서 동일하게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차량의 운전석 사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마운팅부(3)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3)는, 내부에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 공간에 인쇄회로기판(Plastic Circuit Board : 이하, 'PCB(7)'라 약칭함)이 배치된다. 상기 PCB(7)는 후술하는 복수개의 광원부(101~401)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형태의 회로도를 포함한다.
상기 PCB(7)에는 각종 접점부가 일면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복수개의 작동 노브(10~50)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각종 접점부(미도시)의 접점 또는 그 접점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상기 PCB(7)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10~5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각종 접점부 중 어느 하나가 접점될 때 조사되되, 각각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부(101~4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101~401)는, LED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101~4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101~401)에는, 단색성을 높이기 위하여, 즉 상기 광원부(101~401)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파장의 폭이 좁도록 특수 제작된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패스필터는 각각의 광원부(101~401)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상기 PCB(7) 및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101~401)를 보호하도록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3)에 결합되는 스위치 커버부(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커버부(5)에는, 후술하는 복수개의 작동 노브(10~50)가 관통되어 상기 PCB(7)의 복수개의 접점부에 각각 접점되면서도 작동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도록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장착 홈부(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 홈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10~50)가 관통되어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에 접점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상기 스위치 커버부(5)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10~50)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10~5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접점부와의 접점에 따라 미리 형상화된 복수개의 심볼 패턴(도 1의 "A,B,C,D,E" 참조) 중 어느 하나의 심볼 패턴을 색채를 달리하여 동일 위치에 표시하는 패턴 형상화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턴 형상화부(100)는, 상기 작동 노브(도 2의 도면부호 1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사용자가 직접 접촉되는 커버 윈도우(110)와, 상기 작동 노브(120)의 내부에 복수개의 패턴 필터(130A~130D)가 적층 배치되는 패턴 필터군(130)과, 상기 패턴 필터군(130)과 상기 커버 윈도우(110) 사이에 배치되는 확산판(140)과, 상기 확산판(140)과 상기 커버 윈도우(110) 사이에 배치되는 클리어 필터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 윈도우(11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노브(12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작동 노브(1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폴리머 계열의 기하학적 구조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작동 노브(120)의 내부면 즉, 상기 작동 노브(120)의 내부에 배치된 구조물(예컨대, 패턴 필터군(130), 확산판(140) 및 클리어 필터부(150) 등)의 형상이 투영되어 외부로부터 관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투과율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윈도우(110)는, 상기 PCB(7)의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101~401)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심볼 패턴에 의하여 형상화된 패턴을 외부면으로 최종적으로 투사되어 사용자가 상기 심볼 패턴을 관찰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 윈도우(11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바, 상기 작동 노브(120)의 물리적, 기후적 변동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패턴 필터군(130)은, 일종의 마이너스 필터로써, 투명 폴리머 또는 유리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턴 필터군(130)은, PVD(Physical Vapour Deposition) 방식에 의하여 다층막 구조로 제작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커버 윈도우(110)를 통하여 표시되는 복수개의 심볼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VD 방식이라 함은 최소 2가지 이상의 고분자 물질의 분자배열구조의 코팅 물질을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진공상태에서 증착시키는 방식이다.
상기 심볼 패턴은 리소그래피 방식 또는 화학적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애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심볼 패턴은 조사되는 빛 중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고분자 분자배열구조를 상기 심볼 패턴 형상에 대응되도록 파괴하여 삭제하는 것으로써, 상기 리소그래피 방식 또는 화학적 방식으로 애칭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패턴 필터군(130)은, 복수개의 패턴 필터(130A~130D) 각각이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되, 차단된 파장 영역의 빛 이외의 모든 파장 영역의 빛은 투과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적어도 상기 심볼 패턴이 형성된 애칭 부분은 모든 파장 영역의 빛이 투과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패턴 필터군(130)에서 애칭된 심볼 패턴 형상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반투명의 형태로 제작될 경우 빛의 확산효과를 유발시켜 상기 심볼 패턴의 형상을 고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산판(140)은 폴리머 또는 유리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단면 또는 양면에 특정 패턴을 형성 제작할 수 있으며, 재질 내부에 반사소재를 첨가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어 필터부(150)는, 상기 패턴 필터군(130)을 투과한 빛 중 제거하지 못했던 잡광 또는 상기 심볼 패턴의 주변광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커버 윈도우(110)를 통과하는 심볼 패턴의 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리어 필터부(150)는, 일종의 ND 필터로써 폴리머 또는 유리재질의 필터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유리재질의 필터는 다시 흡수형 ND 필터와 진공증착에 의한 다층막 구조의 ND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의 심볼 패턴 출력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PCB(7)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광원부(101~401)는 각각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101~401)로부터 조사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은 각각 해당 파장 영역(특정 파장 영역)의 빛에 대해서는 반사시키고 애칭되어 형성된 심볼 패턴 형상 부분에서는 모든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시키도록 상기 패턴 필터군(130)에 복수개의 패턴 필터(130A~130D)가 적층 배치된다.
예컨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PCB(7)에 각각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2개의 광원부가 제1광원부(Ⅰ) 및 제2광원부로 구비되고, 상기 패턴 필터군(130) 역시 상기 제1광원부(Ⅰ)의 파장 영역에 대하여 애칭된 심볼 패턴 형상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반사 또는 차단시키는 제1패턴 필터(130A) 및 상기 제2광원부(Ⅱ)의 파장 영역에 대하여 애칭된 심볼 패턴 형상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반사 또는 차단시키는 제2패턴 필터(130B)가 구비된다고 가정할 경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설명에 앞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Ⅰ,Ⅱ)로부터 조사된 빛이 직선 방향으로 조사된다고 가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1패턴 필터(130A) 및 상기 제2패턴 필터(130B) 중 제2파장 영역을 갖는 상기 제2광원부(Ⅱ)로부터 조사된 빛은 상기 제1패턴 필터(130A)를 투과하고 상기 제2패턴 필터(130B)는 투과되지 않는 구간을 ①구간이라 하고, 상기 제2파장 영역을 갖는 상기 제2광원부(Ⅱ)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제1패턴 필터(130A)를 투과하고 상기 제2패턴 필터(130B)의 애칭된 심볼 패턴 영역을 투과하는 구간을 ②구간이라 하며, 상기 제1파장 영역을 갖는 상기 제1광원부(Ⅰ) 및 상기 제2파장 영역을 갖는 상기 제2광원부(Ⅱ)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제1패턴 필터(130A) 및 상기 제2패턴 필터(130B)의 애칭된 심볼 패턴 영역을 동시에 투과하는 구간을 ③구간이라 하고, 상기 제2파장 영역을 갖는 상기 제2광원부(Ⅱ)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제1패턴 필터(130A)의 애칭된 심볼 패턴 영역은 투과하면서 상기 제2패턴 필터(130B)는 투과되지 않는 구간을 ④구간이라 하며, 상기 제1파장 영역을 갖는 상기 제1광원부(Ⅰ) 및 상기 제2파장 영역을 갖는 상기 제2광원부(Ⅱ)로부터 조사된 모든 빛이 각각 상기 제1패턴 필터(130A) 및 상기 제2패턴 필터(130B)를 투과하지 않는 구간을 ⑤구간이라 한다.
이를 토대로 설명하면, 먼저, ①구간 및 ⑤구간은 제1파장 영역 및 제2파장 영역의 빛 모두 제1패턴 필터(130A) 및 제2패턴 필터(130B)에 의하여 반사 또는 차단되므로 투과되지 못하고 상기 심볼 패턴을 형성하지 못한다.
다음으로, ②구간은 상기 제1패턴 필터(130A)에서 제1파장 영역의 빛은 반사 또는 차단시키고, 제2파장 영역의 빛은 제1패턴 필터(130A)를 투과하면서 상기 제2패턴 필터(130B)에 애칭된 심볼 패턴의 형상 부분으로써 투과된다.
그리고, ③구간은 상기 제1패턴 필터(130A) 및 제2패턴 필터(130B) 모두에 애칭된 심볼 패턴 형상 부분인 바, 제1파장 영역의 빛 및 제2파장 영역의 빛 모두를 투과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④구간은 상기 제1패턴 필터(130A)의 애칭된 심볼 패턴 형상 부분을 제1파장 영역의 빛 및 제2파장 영역의 빛이 모두 투과되고, 제2패턴 필터(130B)에서 제1파장 영역의 빛은 투과되고 제2파장 영역의 빛은 반사 또는 차단되어 제1파장 영역의 빛에 의하여 상기 제1패턴 필터(130A)에 애칭된 심볼 패턴 형상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의 심볼 패턴 출력 과정에 따르면, 광원부(Ⅰ,Ⅱ)를 2개로 하고 패턴 필터군(130)을 2개의 패턴 필터(130A)(130B)로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패턴 필터(130A)(130B)에 형성된 심볼 패턴이 서로 직선 방향으로 겹쳐진 구간(③구간)이 있어 제1파장 영역 및 제2파장 영역 등 특정 파장 영역에 관계없이 모두 투과되게 된다. 상기 ③구간의 경우 혼합 파장 영역이 투과되는 구간인데, 만약 복수개의 패턴 필터(130A~130D)가 구비되고, 각 심볼 패턴의 형상이 겹쳐지지 않도록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혼합 파장 영역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특정 심볼 패턴은 각 패턴 필터(130A~130D)에 형성된 각 심볼 패턴의 형상으로 출력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의 심볼 패턴 출력 과정 중 각 구성의 기능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원부(101)로부터 조사되는 특정 영역의 파장의 빛이 각 구성을 투과하면서 발현되는 각 구성의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광원부(101)가 조사되는 빛이 빨간 색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을 가질 경우, 상기 패턴 필터(130A)의 심볼 패턴이 형성된 "A"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빨간 색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은 모두 반사 또는 차단된다.
상기 패턴 필터(130A)를 투과한 빛에 의하여 출력되는 심볼 패턴 "A"는 상기 광원부(101)의 특성 및 광축과의 거리에 따라 고르기(Uniformity)가 일정치 않게 되는데, 이는 상기 확산판(140)을 이용하여 광 분포를 평준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판(140)을 투과하면서 광 분포가 평준화된 심볼 패턴 "A"는 상기 클리어 필터부(150)(ND 필터)를 투과하면서 상기 패턴 필터(130A)의 심볼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뚫고 투과된 약 1% 미만의 미세광이 상기 커버 윈도우(110)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상기 클리어 필터부(150)는 조사되는 빛의 에너지 세기를 하향 조절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기 클리어 필터부(150)는 상기 광원부(101)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세기에 따라 차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광원부(Ⅰ,Ⅱ)로부터 조사되는 특정 영역의 파장의 빛이 각 구성을 투과하면서 발현되는 각 구성의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제1광원부(Ⅰ)가 조사되는 빛은 빨간 색을 나타내는 제1파장 영역, 제2광원부(Ⅱ)가 조사되는 빛은 녹색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일 경우, 상기 제1파장 영역의 빛만을 반사 또는 차단시키도록 제1패턴 필터(130A)의 심볼 패턴이 형성된 "A"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빨간 색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은 모두 반사 또는 차단되고, 상기 제2파장 영역의 빛만을 반사 또는 차단시키도록 제2패턴 필터(130B)의 심볼 패턴이 형성된 "B"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녹색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은 모두 반사 또는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제1광원부(Ⅰ) 및 상기 제2광원부(Ⅱ) 중 상기 제1광원부(Ⅰ)로부터만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제1패턴 필터(130A)를 투과한 파장 영역의 빛은 모두 제2패턴 필터(130B)의 특정 파장 영역과는 무관하므로 상기 제2패턴 필터(130B)를 모두 투과하게 되어 결국 상기 심볼 패턴 "A"만이 상기 커버 윈도우(110)의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확산판(140) 및 상기 클리어 필터부(150)의 기능은 도 5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대로, 상기 제1광원부(Ⅰ) 및 상기 제2광원부(Ⅱ) 중 상기 제2광원부(Ⅱ)로부터만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제2광원부(Ⅱ)로부터 조사된 빛은 상기 제1패턴 필터(130A)의 특정 파장 영역과는 무관하므로 모두 투과되고, 상기 제2패턴 필터(130B)에서 결국 상기 심볼 패턴 "B" 부분에서만 투과됨으로써 상기 커버 윈도우(110)의 외부로 "B"만이 출력되게 된다. 이 때에도 역시, 상기 확산판(140) 및 상기 클리어 필터부(150)의 기능은 도 5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각각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부(101~401) 중 어느 하나의 광원부가 작동할 때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심볼 패턴이 색채를 달리하여 동일한 위치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어셈블리(1)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내부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색채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각 기능 동작부의 활성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의 실시예가 상술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는, 복수개의 광원부(101~401) 중 어느 하나의 광원부(101~401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켜 특정 파장 영역의 빛만을 조사하도록 구비되어 특정 심볼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 것이나, 반드시 하나의 광원부만을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이상의 복수개의 광원부(101,301)를 동시에 활성화시켜 두 파장 영역의 혼합 색채(가)를 구성하는 혼합 파장 영역의 빛(가)만을 반사 또는 차단시키는 별도의 패턴 필터(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패턴 필터에 형성된 특정 심볼 패턴 형상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101~401) 중 어느 광원부(101~401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킬지 여부는 작동되는 기능 동작부의 종류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101~401) 중 2 또는 3 이상의 광원부를 활성화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추가되는 별도의 패턴 필터 개수가 결정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예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할 것이다.
1: 스위치 어셈블리 3: 스위치 마운팅부
5: 스위치 커버부 10~50: 작동 노브
100: 패턴 형상화부 101~401: 광원부
110: 커버 윈도우 120: 작동 노브
130: 패턴 필터군 140: 확산판
150: 클리어 필터부


Claims (9)

  1. 차량의 운전석 사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마운팅부와;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각각 다른 영역의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광원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스위치 마운팅부에 결합된 스위치 커버부와;
    상기 스위치 커버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한 움직임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접점부와 각각 접점되는 복수개의 작동 노브와;
    상기 스위치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 노브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접점부와의 접점에 따라 미리 형상화된 복수개의 심볼 패턴 중 어느 하나의 심볼 패턴을 색채를 달리하여 동일 위치에 표시하는 패턴 형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형상화부는,
    상기 작동 노브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사용자가 직접 접촉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작동 노브의 내부에 복수개의 패턴 필터가 적층 배치되는 패턴 필터군과;
    상기 패턴 필터군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클리어 필터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패턴 필터군과 확산판 및 상기 클리어 필터부가 외부로부터 관찰되지 않는 광투과율을 가지는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는 LED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LED에는, 조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한정하는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가 장착된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 필터군은,
    투명 폴리머 또는 유리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PVD 방식에 의하여 다층막 구조로 제작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커버 윈도우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복수개의 심볼 패턴이 형성된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심볼 패턴은 리소그래피 방식 또는 화학적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애칭되어 형성된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패턴 필터군은,
    애칭되어 형성된 상기 심볼 패턴 부분은 어떤 파장 영역의 빛이라도 모두 통과시키는 영역이고,
    애칭되어 있지 않은 상기 심볼 패턴 이외의 부분은 특정 패턴 필터의 해당 파장 영역의 빛을 반사시키는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 필터군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의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가 2개 이상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개의 패턴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에 의하여 조사된 빛의 혼합 파장 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상기 심볼 패턴 이외의 부분에서 반사시키는 패턴 필터인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0110087323A 2011-08-30 2011-08-30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207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323A KR101207671B1 (ko) 2011-08-30 2011-08-30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323A KR101207671B1 (ko) 2011-08-30 2011-08-30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671B1 true KR101207671B1 (ko) 2012-12-03

Family

ID=4790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323A KR101207671B1 (ko) 2011-08-30 2011-08-30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0904A (zh) * 2014-02-28 2015-09-02 韩国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多重印刷胶片及利用其的车辆用多重照明开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2573A (ja) 2004-02-11 2007-08-09 リュオ、ダヴィド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を使用するキーボード
JP2008009526A (ja) 2006-06-27 2008-01-17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2573A (ja) 2004-02-11 2007-08-09 リュオ、ダヴィド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を使用するキーボード
JP2008009526A (ja) 2006-06-27 2008-01-17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0904A (zh) * 2014-02-28 2015-09-02 韩国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多重印刷胶片及利用其的车辆用多重照明开关
KR20150102456A (ko) * 2014-02-28 2015-09-0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중인쇄필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조명 스위치
KR101602285B1 (ko) * 2014-02-28 2016-03-1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중인쇄필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조명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3580B2 (ja) コントロール装置の入力領域用の2重グラフィックラベル
JP2012163961A (ja) 2つのグラフィックを表示する表示装置
US20100006412A1 (en) Keycap and press key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467552B1 (ko) 자동차 계기판용 글로우 링
JP6026247B2 (ja) 操作パネルの照明構造
JP5000398B2 (ja) 表示デバイス、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KR101207671B1 (ko)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JP2010225480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CZ2016745A3 (cs) Signální svítilna pro motorová vozidla
JP5682549B2 (ja) 車両用計器
JP2012108470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521226A (ja) 切替手段の切替位置を光電式に検出するための装置
CN108428582B (zh) 透光键帽、其制造方法及包含该透光键帽的发光按键
JP6085779B2 (ja) 光学構造体
JP2011180430A (ja) 表示装置
KR101211349B1 (ko)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TWI665702B (zh) 透光鍵帽、其製造方法及包含該透光鍵帽之發光按鍵
JP202015795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061911B1 (ko) 버튼 장치
KR20170006342A (ko) 도광판,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JP2016120835A (ja) ウィンカー付補助灯火装置及び灯火装置
WO2022190487A1 (ja) 照明装置
JP7054804B2 (ja) 表示装置および入力装置
JP7112367B2 (ja) 静電容量タッチスイッチ
JP201215030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