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650B1 -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 - Google Patents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650B1
KR101207650B1 KR1020110124682A KR20110124682A KR101207650B1 KR 101207650 B1 KR101207650 B1 KR 101207650B1 KR 1020110124682 A KR1020110124682 A KR 1020110124682A KR 20110124682 A KR20110124682 A KR 20110124682A KR 101207650 B1 KR101207650 B1 KR 10120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lc
coating
probe
electrical conductiv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020A (ko
Inventor
김성완
김상권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65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프로우브 등과 같은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내마모성 전도체를 DLC 코팅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우브 등의 기재에 Au 와 같이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을 도금 등으로 코팅하고 DLC 박막을 5 내지 10 nm로 코팅하여 DLC 박막의 점착성을 확보하면서도 Au의 전기전도도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여 내구성 있는 프로우브를 간편하고도 생산성 높은 공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 플레이팅 방법에 의한 DLC 코팅을 실행하며, DLC 박막의 두께 제어는, 그라파이트 타겟으로부터 이온을 발생시키는 단위시간당 이온 방출 횟수와 코팅 시간을 제어하는 식으로 구현하였다.

Description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An Abrasion Resistance Conductor And An Abrasion Resistance Probe By DLC Coating}
본 발명은 프로우브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내마모성 및 전도성을 모두 구비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프로우브와 같이 빈번하게 전기 접촉을 필요로 하여 내마모성과 전도성을 모두 필요로 하는 기재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DLC 코팅으로 프로우브 등의 기재 단부를 처리하여 제조하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전도체 기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도성이 있으면서도 접촉 등에 따른 내마모성이 우수해야 하는 경우가 산업 상 요구될 수 있으며, 구리, 은, 금 등의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들의 경우, 비교적 무른 금속으로 내마모성이 그다지 좋지 못하다. 또한, 다이아먼드와 같이 내마모성에서 최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비금속의 경우는 전기전도성이 없다. 따라서 양자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경우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다.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이 모두 구비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프로우브(probe)를 예로 들 수 있다.
프로우브(probe)는 여러 가지 검사장비에 사용되고 있음은 익히 알려진 바이고, 특히 화소(pixel) 검사에 사용되는 프로우브는 측정 빈도가 높아 쉽게 마모되어 새것으로 자주 교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프로우브의 단부는 Cu로 코팅되어 있으며, 이는 프로우브의 특성상 전기전도성이 높아야 하기 때문에 전도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인한 선택이나, Cu는 쉽게 마모되기 때문에 프로우브의 수명이 짧다는 단점을 지닌다.
또한, 프로우브와 같은 공구의 단부에 코팅할 경우 PVD, CVD, PECVD 등의 여러 가지 코팅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내마모성을 위한 코팅으로 DLC(Dimond-Like-Carbon) 코팅이 있다.
DLC는 다이아먼드 및 흑연과 달리 정해진 결정 구조를 갖지 않는 비정질 물질로 sp1, sp2, sp3 혼성 결합이 섞여있는 구조로 아몰퍼스(amorphous) 구조이나 경도,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다이아먼드와 비슷해 DLC(Dimond-Like-Carbon)라 불리운다. 이러한 DLC 코팅은 비정질의 탄소계 신소재로 플라즈마 중의 탄소 이온이나 활성화된 탄화수소 분자를 전기적으로 가속하여 높은 운동에너지로 충돌시킴으로써 박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PECVD,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레이저 연마(ablation), FVA(Filtered Vacuum Arc)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나열한 각각의 DLC 코팅 방법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나타내고 있다.
FVA의 경우 비교적 우수한 점착성을 보이나 잔류 응력이 높다는 단점이 있고, 그외 방법으로 DLC로 다층막을 코팅할 경우,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DLC 코팅으로 막을 입힐 경우, 벗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DLC와 친화력이 있는 버퍼층을 추가하는 등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버퍼층을 추가하는 경우, DLC의 밀착력은 향상될 수 있으나, 코팅층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프로우브와 같이 전기전도성을 유지하여야 하는 공구에의 코팅에서는 전기전도성을 나쁘게 하는 또 다른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들은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을 모두 구비한 프로우브 등의 내마모성 전도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을 모두 갖춘 내마모성 전도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프로우브 등에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 단부에 Au, Ag 또는 Pt를 코팅하여 Au, Ag 또는 Pt를 포함하는 전도성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5 내지 10 nm의 DLC 층을 적층 하여 상기 전도성 도금층과 DLC층 전체가 전도성을 나타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전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우브 단부에 Au, Ag 또는 Pt를 코팅하여 Au, Ag 또는 Pt를 포함하는 전도성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5 내지 10 nm의 DLC 층을 적층 하여 상기 전도성 도금층과 DLC층 전체가 전도성을 나타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프로우브프로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이 모두 우수한 내마모성 전도체를 간편하고 저렴한 생산비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프로우브와 같이 전기 접촉이 잦은 제품에 응용되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여 소모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DLC 코팅에서 DLC 층의 박막 두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도체 위에 입힌 DLC 코팅의 점착성이 유지되면서 전도성이 소실되지 않는 DLC 박막 두께를 간편하게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될 수 있는 내마모성 전도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DLC 층(300)을 프로우브 등의 목적물에 코팅하는 장치의 개략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팅 장치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될 수 있는 내마모성 전도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을 모두 구비하게 하려는 기재(100)의 단부를 Au로 도금하여 Au 층으로 된 전도성 도금막(200)을 형성하고 Au 층 위에 내마모성이 뛰어나면서도 Au 층의 전도성을 소실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두께의 DLC 층(300)을 코팅한 구성을 나타낸다.
프로우브 등의 기재(100)에 코팅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는 Au 뿐만 아니라 Ag, Pt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귀금속에 속해 값이 비싸므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예를 들면, 10 내지 50 nm)로 코팅하고 코팅 방법도 제한이 없으며 가장 저렴한 도금 방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DLC층(300)의 코팅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온 건을 이용한 이온 플레이팅을 변형한 것으로 DLC 층(300)의 박막의 점착성을 우수하게 하려면 어느 정도 막 두께가 두꺼워야 하나 너무 두꺼우면 전기전도성 도금층인 Au 층의 전도성 도금막(200)과 피접촉물로부터 상당 간격을 두게 되어 전기전도성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전기전도성과 DLC 층(300)의 점착성 간의 양립을 위해 막 두께를 최적화하려는 노력을 거듭한 끝에 DLC 층(300)의 두께를 5 내지 10 nm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따라서,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을 모두 구비해야 하는 프로우브의 단부는 Au 와 같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도금층 위에 5 내지 10 nm 의 DLC 층을 코팅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DLC 층(300)을 프로우브 등의 목적물에 코팅하는 장치의 개략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그에 대한 사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목적물에는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Au, Ag, Pt 등의 금속이 도금되어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DLC 코팅 방법은, 10-3 torr 내외의 저 진공의 챔버 내에서 그라파이트 타겟에 수천 암페어의 고 전류를 흘려 그라파이트 타겟으로부터 이온을 방출시키고 방출된 이온 플럭스(ion flux)를 목적물에 도달하도록 이온 플럭스의 경로를 유도하는 양극을 배치하여 목적물에 DLC 층(300)을 코팅하는 것으로, 이온 건을 사용한 이온 플레이팅 방법의 일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DLC층(300)의 두께 제어가 원하는 특성인 전기전도성과 점착성 내지는 내마모성을 모두 구비하게 하는 지를 좌우하므로 본 실시예의 DLC 코팅 방법 및 그에 따른 구현 장치는 DLC 층의 두께 제어를 간편하고도 정밀하게 하도록 설계하였다.
이온 건(500) 내부에 그라파이트 타겟(550)을 위치시키고 이를 음극(555)으로 하여 전원(900)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한다. 상기 음극(555)에 전압 인가를 위한 전기 접촉부를 스위치(600)로 나타내었고, 전기 접촉을 단위 시간당 소정의 횟수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구동 수단(650)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기 접촉부를 모터 회전으로 제어하였다.
이온 건(500) 내부에, 그라파이트 타겟(550)의 윗 쪽으로 제1 양극(560)을 설치하고 전원(900)의 플러스(+) 단자에 연결한다. 또한, 제1 양극(560)과 음극(555) 사이에 정전 용량이 큰 제1 커패시터(700)를 게재한다. 정전 용량은 50 μF 정도의 커패시터를 사용하였다.
제1 양극(560)은 고리형으로 그라파이트 타겟(550)을 둘러쌀 수 있는 정도이거나 그와 비슷한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1 양극(560)보다 더 윗 쪽으로, 즉, 이온 건(500)의 거의 단부에 제2 양극(570)을 설치하고 전원의 + 단자에 연결한다. 제2 양극(570)과 음극(555) 사이에는 제2 커패시터(750)를 게재하며, 제2 커패시터(750)는 제1 커패시터(700)에 비해 훨씬 큰 정전용량을 갖도록 구성한다. 즉, 거의 200 배 큰 정전용량을 갖도록 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50 μF의 커패시터를 200 개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제2 양극(570)도 제1 양극(560)과 마찬가지로 고리형을 사용하며, 그 직경은 제1 양극(560)보다 조금 더 크게 구성하였다.
상기 이온 건(500)으로부터 더 윗 쪽으로 이격 된 지점에 DLC 코팅을 하고자하는 목적물(800)을 설치하며, 상기 목적물(800)의 지지대에 회전축과 회전 구동 수단을 설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목적물(800)에도 전원의 + 극에 연결하여 코팅 공정에서 바이어스를 걸어 코팅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한다.
상술한 장치 구성에 대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라파이트 타겟(550)으로부터 탄소 이온을 방출하게 하려면 매우 높은 전류를 흘려주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이러한 전원 장치를 구비하기 어려우므로 수백 볼트 수준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사용하고 정전용량이 큰 커패시터를 게재하여 전기를 축적하였다가 일시에 방전시켜 원하는 수준의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충전과 방전 동작은, 커패시터에 전기를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정도의 충전 시간이 지나면 바로 방전시키고 다시 충전/방전을 반복하는 식으로 실행되어 그라파이트 타겟(550)의 이온 방출에 필요한 에너지를 지속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충전/방전 동작을 음극(555)의 전기 접촉의 접촉/탈접촉 동작으로 하기 위해 스위치(600)와 그 구동 수단(650)으로 구성하였다. 좀 더 상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1 회전마다 1회 전기 접촉을 하도록 스위치(600)를 구성하여, 3 내지 20 Hz의 전기 접촉을 만들었다. 이는 마치 3 내지 20 Hz의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부터 그라파이트 타겟(550)과 제1 양극(560) 사이에 걸리는 전압은 250 내지 600 V, 전류는 200 A 내외가 되어 그라파이트 타겟(550)으로부터 이온이 방출되어 타겟 면의 윗 쪽으로 이격 되어 있는 제1 양극(560) 쪽으로 이온 플럭스가 형성된다. 이온 플럭스를 DLC 코팅하고자 하는 목적물(800) 쪽으로 유도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 제2 양극(570)이며, 제2 양극에는 정전용량이 매우 크도록 제2 커패시터(750)를 구성하였으므로, 2000 A 내외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1 양극(560) 쪽으로 형성된 이온 플럭스는 강한 전기력을 받아 제2 양극 쪽으로 경로를 잡도록 유도되어 목적물(800)에 DLC 코팅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DLC 코팅의 박막 두께 제어를 정밀하게 하기 위해, 음극(555)의 전기 접촉/탈접촉 횟수를 구동 수단(650)에 의해 제어하고 소정의 전기 접촉/탈접촉 횟수에 대해 코팅 시간을 제어하여 박막 두께를 제어하였다.
즉, 음극(555)의 전기 접촉/탈접촉 횟수를 3 내지 20 Hz로 하여 20 분간 코팅하면 DLC 박막 두께가 100 nm 가 된다는 것을 측정하여, 이를 게이지 삼아 여러 가지 두께로 코팅하고, 그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DLC 박막의 점착성 시험을 하였다.
그에 따라 5 내지 10 nm 두께의 DLC 박막을 코팅하였을 때, DLC 박막 안쪽에 도금된 Au 등의 전기전도성을 유지하면서도 DLC 박막의 점착력 또한 유지하여 내마모성 전도체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우브의 단부에 Au를 10 내지 50 nm로 도금하고 상기한 DLC 코팅 방법으로 DLC 박막을 5 내지 10 nm 입힌 내마모성 프로우브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우브는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외에도 전기전도성과 내마모성을 모두 구비할 필요가 있는 제품의 제작에 본 발명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00: 기재 200: 전도성 도금막
300: DLC 층 500: 이온 건
550: 그라파이트 타겟 555: 음극
560: 제1 양극 570: 제2 양극
600: 스위치 650: 구동 수단
700: 제1 커패시터 750: 제2 커패시터
800: 목적물 900: 전원

Claims (2)

  1. 기재 단부에 Au, Ag 또는 Pt를 코팅하여 Au, Ag 또는 Pt를 포함하며 나노구조체가 없는 전도성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5 내지 10 nm의 DLC 층을 적층 하여 상기 전도성 도금층과 DLC층 전체가 전도성을 나타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전도체.
  2. 프로우브 단부에 Au, Ag 또는 Pt를 코팅하여 Au, Ag 또는 Pt를 포함하며 나노구조체가 없는 전도성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5 내지 10 nm의 DLC 층을 적층 하여 상기 전도성 도금층과 DLC층 전체가 전도성을 나타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프로우브.
KR1020110124682A 2011-11-26 2011-11-26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 KR10120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682A KR101207650B1 (ko) 2011-11-26 2011-11-26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682A KR101207650B1 (ko) 2011-11-26 2011-11-26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349A Division KR101151252B1 (ko) 2010-03-10 2010-03-10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020A KR20110133020A (ko) 2011-12-09
KR101207650B1 true KR101207650B1 (ko) 2012-12-03

Family

ID=4550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682A KR101207650B1 (ko) 2011-11-26 2011-11-26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703B1 (ko) * 2020-10-12 2022-07-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장수명 프로브카드 니들 탐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020A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755B2 (en) Current insulated bearing components and bearings
CN109943824B (zh) 一种高硬度导电的碳基薄膜的制备方法
JP5898437B2 (ja) 非晶質炭素膜積層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27271A (ja) 導電性硬質炭素皮膜
EP2730677A1 (en) Vacuum film formation device
CN214244588U (zh) 一种纳米涂层探针
KR101207650B1 (ko)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내마모성 프로우브
CN103510034B (zh) 多元电弧喷涂加工多层金属基复合材料的方法及装置
KR101151252B1 (ko) Dlc 코팅에 의한 내마모성 전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5634962B2 (ja) 真空成膜装置
WO2014103318A1 (ja) プラズマcvd法による保護膜の形成方法
CN104730298B (zh) 用于电子测试探针的耐磨导电多层复合薄膜及其工业制备方法
CN108441861B (zh) 一种集束电极电火花沉积加工多层膜的方法及装置
CN109321916B (zh) 一种基于电火花放电的提高涂层结合力的方法
KR20180000598A (ko) 탄소막이 코팅된 반도체 검사 장치용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JP2012021223A (ja)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表面改質方法
KR101501649B1 (ko) Cnt-모재 복합구조를 가지는 전기도금 또는 전해용 양극의 제조방법
JP2012237032A (ja) プラズマ発生装置による絶縁性膜層の成膜方法、プラズマ発生装置による導電性膜層の成膜方法、絶縁性膜層、導電性膜層およびプラズマ発生装置
JP2766755B2 (ja) 基体の被覆方法
JP4202489B2 (ja) パルス放電型dlc成膜装置
JP2003239978A (ja) ベアリング球コーティング方法
KR20120022166A (ko) Dlc 코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9114482A (ja) 電子ビームによる金属表面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6110533B2 (ja) 非晶質炭素膜積層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54293B2 (ja) 放電制御電極一体型帯電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