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347B1 -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347B1
KR101207347B1 KR1020100064346A KR20100064346A KR101207347B1 KR 101207347 B1 KR101207347 B1 KR 101207347B1 KR 1020100064346 A KR1020100064346 A KR 1020100064346A KR 20100064346 A KR20100064346 A KR 20100064346A KR 101207347 B1 KR101207347 B1 KR 10120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s
wooden
revetment
low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633A (ko
Inventor
이동흡
유기진
황원중
김외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6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3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은, 사각형의 전방프레임(10)과 후방프레임(20)의 상,하부가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연결 결합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A)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은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면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어지고,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고 우측에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어지되, 좌측에는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의 외측으로 내밀어져 내민부(111)(111')(211)(211')가 형성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상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하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며, 우측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맞대어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WOOD BANK CRIB,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변에는 유수에 의한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과 같은 제방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호안 제방공사를 위한 공법으로는 덮기공, 섶단공, 나무말뚝공, 돌망태공, 돌바구니공, 사석공, 야자섬유 두루마리공, 돌붙임 돌쌓기공, 갈대매트공, 환경블럭공, 사각방틀공 등을 이용한 공법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공법을 이용한 호안 조성공사를 하는 경우, 그 구조 및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제방을 전면 축조하거나 파쇄석이나 강자갈 등의 고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따라서, 공사 후 식생의 활착이 불가능하여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경관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하천의 호안을 콘크리트 블록으로 조성하게 될 경우 식물 뿌리내림의 생육공간이 부족해짐과 더불어 강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천변 식생의 기반을 잃게 되어 식물 종의 개체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쇄적으로 어류, 조류 및 수서 곤충류 등의 서식 기반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천의 호안에 구축된 콘트리트 블록은 하천수 또는 빗물이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므로 천변 식생을 황폐화시키면서 이에 의하여 제공되는 그늘이 사라짐으로써 수온이 높아져 수중 저서 생물,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목재는 50%가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목재 내에 축적하고 있다. 또한 목재 내에 축적되어진 탄소는 목재로서 수명을 다할 때까지 그대로 저장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목재가 썩거나 불에 타면, 목재에 포함된 탄소가 대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로 변환되기 때문에, 탄소저장의 효과를 상실하게 되고, 온실가스의 원인인 이산화탄소(CO2)로 변환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된다.
한편, 물속에서는 목재를 썩히는 균의 생육에 반드시 필요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목재가 썩지 않고 장기간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간벌재를 이용한 목재호안방틀을 물과 접하는 하천 등에 시공하게 되면, 목재 내에 축적된 탄소의 저장기간이 수목이 자라서 목재를 생산하는 기간 내에 탄소를 흡수하는 양보다 길어져 지구 상에 축적되는 탄소의 량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지구온난화 방지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좋은 목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가지치기와 간벌과 같은 무육 작업은 필수적이며, 이때 간벌재로 생산되는 목재는 채산성이 맞지 않고, 별다른 용도가 없어 숲 속에 방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버려지는 간벌재를 목재호안방틀로 유효하게 이용한다면, 임업 생산자의 중간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숲도 건강하게 좋은 목재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다. 한편, 목재호안방틀로 이용할 수 있는 간벌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25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연료로 태우거나, 종이로 만들면 목재로서의 사용기간이 몇 시간에서 수주일정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탄소의 저장기간도 단축되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없지만, 목재호안방틀로 제작하여 100년에서 300년 동안 사용하면, 목재를 생산한 땅에서는 다시 목재가 4~12차례 정도 생산을 할 수 있고, 다시 생산된 것을 계속해서 물속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갈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림에서 수확한 간벌재를 토목구조물로 이용하기 위하여 간단하게 원목의 2면 또는 4면을 두께가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제재한 바닥, 전면, 횡면 및 후면의 벽체 부재를 현장에 반입하기 이전에 패널 식으로 조립한 후, 현장에서는 벽체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간소화된 공정으로 목재호안방틀을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현장에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가공작업 없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나아가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생력화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을 지면에서 10cm 내지 15cm정도 높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그 공간을 수서생물의 대피장소 또는 이동통로로 이용하게 할 수 있고, 추후 부분적으로 교체가 필요할 때 지게차의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를 자연석으로 채워 공극이 충분한 다공질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역간 접촉되도록 하여 하천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연석으로부터 방출되는 규사와 목재에서 나오는 후민질에 의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이 촉진되어 먹거리를 풍부하게 제공하여 수서생물의 보금자리, 대피소 및 산란장소로 이용할 수 있는 생태계와 조화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호안환경을 재생할 수 있는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를 토사로 채워 자연식생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여 도로변의 목재옹벽으로 설치가 가능한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방향 비탈면뿐만 아니라 양방향 비탈면의 방틀로 사용하여 홍수나 장마철 등과 같이 수량이 풍부할 때는 물속에 잠기면서, 평소에는 목재호안방틀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하여 생태탐방로로 이용하게 할 수 있는 생태연못 등의 탐방로로 사용가능한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호안방틀의 내부를 돌로 채우고 있기 때문에, 통로 때문에 수생태계가 차단되지 않고, 수서생태계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줄 수 있는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은, 사각형의 전방프레임(10)과 후방프레임(20)의 상,하부가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연결 결합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A)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은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면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어지고,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고 우측에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어지되, 좌측에는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의 외측으로 내밀어져 내민부(111)(111')(211)(211')가 형성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상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하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며, 우측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맞대어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세로부재(220)(220')의 상,하부는 상기 상부 연결부재(310)(310') 및 하부 연결부재(320)(320')의 상,하부로 내밀어지고, 상기 좌측 하부연결부재(320)와 우측 하부연결부재(320') 사이에는 보강수평부재(15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310)(310') 보다 하부연결부재(320)(320')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의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바닥부(4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세로살대(42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살대(43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에 사용되어지는 목재는 원목을 2면 또는 4면 제재하여 형성되는 간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한가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는, 목재호안방틀(A)의 일측에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이 연결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은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방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가 각각 결합되어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이 구성되어지고,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는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며, 우측에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구비되어 바닥부(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세로살대(420)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살대(4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20)(3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 상,하부연결부재(320)(320')에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가 얹혀져 단턱이음으로 연결되어 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바닥부(40)는 지면에서 10㎝ 내지 15cm 높게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하나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의 시공방법은, 하천 호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A)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하상을 평탄하게 정지(整地)하는 하상정지단계(S100); (b)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방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를 각각 결합하여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을 형성하되,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의 외측으로 내밀어져 내민부(111)(111')(211)(211')가 형성되어지도록 결합하는 프레임형성단계(S200); (c)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를 결합하고, 우측에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를 결합하되, 상기 전,후방 상부 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내민부(111)(211)에 상기 좌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얹혀지도록 결합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하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좌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얹혀지도록 결합하는 상,하부연결부재결합단계(S300); (d)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구비되어 바닥부(40)를 형성하는 바닥부형성단계(S400); (e)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세로살대(420)를 결합하는 세로살대결합단계(S500); 및 (f)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 다수개의 가로살대(430)를 결합하는 가로살대결합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g)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우측 상,하부연결부재(320)(320)에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가 얹혀져 단턱이음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는 목재호안방틀연결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상기 목재 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하나가 채워지는 자연석메움시공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20)(3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바닥부(40)는 지면에서 10㎝ 내지 15cm 높게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에서 수확한 간벌재를 토목구조물로 이용하기 위하여 간단하게 원목의 2면 또는 4면을 두께가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제재한 바닥, 전면, 횡면 및 후면의 벽체 부재를 현장에 반입하기 이전에 패널 식으로 조립한 후, 현장에서는 벽체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간소화된 공정으로 목재호안방틀을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현장에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가공작업 없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나아가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생력화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을 지면에서 10cm 내지 15cm정도 높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공간을 수서생물의 대피장소 또는 이동통로로 이용하게 할 수 있고, 추후 부분적으로 교체가 필요할 때 지게차의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자연석으로 채워 공극이 충분한 다공질 구조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역간 접촉되도록 하여 하천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연석으로부터 방출되는 규사와 목재에서 나오는 후민질에 의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이 촉진되어 먹거리를 풍부하게 제공하여 수서생물의 보금자리, 대피소 및 산란장소로 이용할 수 있는 생태계와 조화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호안환경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토사로 채워 자연식생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여 도로변의 목재옹벽으로 설치가 가능한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방향 비탈면뿐만 아니라 양방향 비탈면의 방틀로 사용하여 홍수나 장마철 등과 같이 수량이 풍부할 때는 물속에 잠기면서, 평소에는 목재호안방틀이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하여 생태탐방로로 이용하게 할 수 있는 생태연못 등의 탐방로로 사용가능한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호안방틀의 내부를 돌로 채우고 있기 때문에, 통로 때문에 수생태계가 차단되지 않고, 수서생태계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호안방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양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호안방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호안방틀은, 사각형의 전방프레임(10)과 후방프레임(20)의 상,하부가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연결 결합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A)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은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면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고 우측에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는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의 외측으로 내밀어져 내민부(111)(111')(211)(211')가 형성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상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하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우측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맞대어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진다.
상기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세로부재(220)(220')의 상,하부는 상기 상부 연결부재(310)(310') 및 하부 연결부재(320)(320')의 상,하부로 내밀어지고, 상기 좌측 하부연결부재(320)와 우측 하부연결부재(320') 사이에는 보강수평부재(150)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연결부재(310)(310') 보다 하부연결부재(320)(320')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의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바닥부(40)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살대(410)는 후술하는 세로살대(420) 및 가로살대(430)보다 외부로부터 충격을 적게 받기 때문에, 그 두께가 세로살대(420) 및 가로살대(430)보다 좁은 목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40)는 목재호안방틀(A)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돌이 하부로 침하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채움돌이 모두 별도의 수직하중에 의하여 이동되지 않게 동시에 수직하중을 받도록 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반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바닥부(40)는 지면으로부터 10㎝ 내지 15cm의 높이(H)를 가지도록 설치되어있다. 바닥부(40)를 높게 설치하여 수서생물의 대피장소 또는 이동통로로 사용할 수 있고, 추후 부분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지게차의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세로살대(42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세로살대(420)는 내부에 돌을 채운 목재호안방틀(A)이 중력구조체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살대(43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에 사용되어지는 목재는 간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벌재는, 국내에서 간벌재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중 어느 하나를 2면 또는 4면 제재하여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간벌재의 종류로서 낙엽송,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재호안방틀의 생산에 적당한 크기의 다른 원목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호안방틀(A)에 사용되어지는 각 목재는 공장에서 4분할한 공장제품으로 현장에서 가공작업없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재를 이용하여 본 목재호안방틀(A)을 시공시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목재를 이용하여 호안방틀을 설계하고 있기 때문에, 목재에서 나오는 후민질(후르보산, 후민산 등)을 오랜 기간 방출할 수 있고, 나아가 갯녹음(즉,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천의 자정능력을 향상시켜 건강성을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재호안방틀(A)에 사용되어지는 목재 간의 결합부위는 간단하게 직결나사못이나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건축 폐자재인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한가지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덩어리는 건설 현장의 부산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A)은 구조적으로 매우 튼튼하고 안정율이 높게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치수기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의 구조를 시공하는 각 단계를 도 2a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의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도 및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을 설치하기 위하여 하상을 평탄하게 정지(整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100).
그런 다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방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를 각각 결합하여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을 형성한다(S200).
그런 다음,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를 결합하고, 우측에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를 결합한다(S300). 여기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310)(310') 보다 하부연결부재(320)(320')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의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진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좌측 하부연결부재(320)와 우측 하부연결부재(320') 사이에는 보강수평부재(150)가 구비되어진다.
그런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구비되어 바닥부(40)를 형성하게 된다(S400). 여기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바닥부(40)는 지면에서 10㎝ 내지 15cm 높게 설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바닥면이 경사를 이루는 경우에는 목재호안방틀(A)의 바닥부(40)를 바닥면의 경사에 맞추어서 시공하여 조립체결하면 된다.
그런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세로살대(420)를 결합하게 된다(S500).
그런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 다수개의 가로살대(430)를 결합하게 된다(S600).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시공된 목재호안방틀(A)의 우측 상,하부연결부재(310')(320')에는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얹혀져 단턱이음으로 연결되어 시공되게 된다(S700). 즉, 목재호안방틀(A)과 이에 인접하는 목재호안방틀(A)의 연결을 위하여 목재호안방틀(A)의 우측 상,하부연결부재(310')(320')에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얹혀지도록 그 높이를 2종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조절하면서 조립체결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목재 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하나가 채워지게 된다(S800).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 자연석과 같은 공극이 충분한 다공질 구조체로 채워지게 되면, 수서생물의 보금자리, 대피소 및 산란장소로 이용될 수 있어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면서 아름다운 호안환경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재 호안방틀(A) 내부에 채워진 자갈의 역간 접촉에 의해 하천의 자정능력이 향상되고 수질정화에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자연석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름 15~20cm 정도의 잡석이나 파쇄석 또는 주변의 자연석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석을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 차곡차곡 채운 다음 그 표면에 사용되는 누름돌은 30kg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목재호안방틀은 하천의 경관보전 및 생태환경보전에 매우 유리한 공법으로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나 어린이들이 자연학습장을 겸한 친수활동의 장소를 설계할 때 유용하다. 구체적으로는,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 또는 그 보존이 중요한 장소인 국립공원이나 자연공원내 하천, 자연산책로를 겸한 하천 둔치 등에 적합하다. 또한, 본 목재호안방틀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특징에 의하여 수압 및 토압에 의한 저항성이 뛰어나고, 공간이 많은 구조이기 때문에 하천을 막지 않고도 시공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고령의 작업자도 손쉽게 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지하수가 흐르는 비탈면의 끝단에 설치된 이면채움공(50)과, 비탈면의 경사를 조정하는 호안공(55)과, 이면채움공(50)과 호안공(55) 사이에 채워진 토사(56)가 구비된 비탈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A)을 설치하여 비탈면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호안공(55)은 비탈명의 경사를 1:0~1:3정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호안공(55)은 공석이 이용되고, 이면채움공(50)은 폐재콘크리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토사의 퇴적으로 하상이 높아지면 준설해야 하고, 이러한 준설로 인하여 제방의 구조물이 침하 또는 붕괴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호안의 파도 등에 의하여 구조물에 손상이 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토압 또는 파도 등에 의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상구조물인 하상방틀(B)의 설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하상방틀(B)은, 연약지반인 경우에 바닥으로 침하되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채움돌에 비하여, 바구니와 같이 채움돌을 넣은 매트리스 역할을 하여, 바닥으로 침하하려는 반발면적을 넓혀주므로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상방틀(B)은, 하상이 콘크리트로 된 보 또는 하구언의 경우에 낙차지점 또는 콘크리트가 끝나는 지점이 유속에 의해 세굴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목재호안방틀(A)의 하단 부위에는 별도의 하상방틀(B)을 연약지반에 설치하여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상방틀(B)의 상부 및 목재호안방틀(A)의 전면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된 빈 공간에는 자연석(40)으로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재호안방틀(A) 및 하상방틀(B)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채워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의 끝단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A)과의 사이에 개비온(gabion)(60)을 구비하여 비탈면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생태연못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생태연못의 물이 빠지게 되면 탐방도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비온(60)을 통하여 비탈면의 낙석 등으로부터 목재호안방틀(A)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채워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의 경사진 편방향 비탈면에서는 그 다단중 중간단의 평평한 부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A)을 설치하고, 또한 목재호안방틀(A)의 전방프레임측에는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편방향 비탈면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채워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편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하천 또는 호안이 형성되어 있는 편방향 비탈면의 경사부위에 설치된 블록매트공(70)과, 블록매트공(70)과 이격되고 하천중앙부위에 목재호안방틀(A-A'-A)을 설치하여 블록매트공(70)이 설치된 비탈면과 목재호안방틀(A-A'-A) 사이에 생태연못을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의 목재호안방틀(A-A'-A)은, 사각방틀(A')의 전후면에 두 개의 목재호안방틀(A)의 각각의 후방프레임이 맞닿도록 조립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목재호안방틀(A-A'-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채워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이 양방향 비탈면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비탈면의 경사부위에 설치된 블록매트공(70)과, 블록매트공(70)의 끝단에 그 후방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호안방틀(A)을 설치하여, 양방향 비탈면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생태연못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생태연못의 평균저수위(LWL; Low Water Level)가 목재호안방틀(A)보다 높으면 잠겨 생태연못이 형성되지만, 이보다 빠지면 탐방도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목재호안방틀(A)은 하천의 호안 뿐만이 아니라, 도로변의 목재옹벽으로 설치될 수 있는 바, 이때에는 그 내부에 토사를 채워 자연식생의 도입도 가능하여 벽면녹화의 공법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사각형의 전방프레임(10)과 후방프레임(20)의 상,하부가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연결 결합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A)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은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면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어지고,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고 우측에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어지되,
    좌측에는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의 외측으로 내밀어져 내민부(111)(111')(211)(211')가 형성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상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하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좌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얹혀지도록 결합되며,
    우측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맞대어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마구리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우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맞대어져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세로부재(220)(220')의 상,하부는 상기 상부 연결부재(310)(310') 및 하부 연결부재(320)(320')의 상,하부로 내밀어지고, 상기 좌측 하부연결부재(320)와 우측 하부연결부재(320') 사이에는 보강수평부재(15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310)(310') 보다 하부연결부재(320)(320')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의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바닥부(4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세로살대(42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살대(43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에 사용되어지는 목재는 원목을 2면 또는 4면 제재하여 형성되는 간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한가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
  9. 목재호안방틀(A)의 일측에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이 연결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은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방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가 각각 결합되어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이 구성되어지고, 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는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며, 우측에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구비되어 바닥부(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세로살대(420)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살대(4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20)(3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 상,하부연결부재(320)(320')에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가 얹혀져 단턱이음으로 연결되어 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바닥부(40)는 지면에서 10㎝ 내지 15cm 높게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하나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12. 하천 호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지는 목재호안방틀(A)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하상을 평탄하게 정지(整地)하는 하상정지단계(S100);
    (b)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전방 좌,우측에 전방세로부재(120)(120') 및 후방 세로부재(220)(220')를 각각 결합하여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을 형성하되, 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의 외측으로 내밀어져 내민부(111)(111')(211)(211')가 형성되어지도록 결합하는 프레임형성단계(S200);
    (c)상기 전방프레임(10) 및 후방프레임(20)의 좌측에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를 결합하고, 우측에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20')를 결합하되, 상기 전,후방 상부 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내민부(111)(211)에 상기 좌측 상부 연결부재(310)가 얹혀지도록 결합하고, 상기 전,후방 하부수평부재(110')(210')의 전,후방 하부내민부(111')(211')에 상기 좌측 하부 연결부재(320)가 얹혀지도록 결합하는 상,하부연결부재결합단계(S300);
    (d)상기 전방 하부수평부재(110')와 후방 하부수평부재(210')의 상부에 다수개의 바닥살대(410)가 구비되어 바닥부(40)를 형성하는 바닥부 형성단계(S400);
    (e)상기 전방 상,하부 수평부재(110)(110') 및 후방 상,하부 수평부재(210)(2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세로살대(420)를 결합하는 세로살대결합단계(S500); 및
    (f)상기 좌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및 우측 전,후방 세로부재(120')(220') 내측에 다수개의 가로살대(430)를 결합하는 가로살대결합단계(S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호안방틀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g)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우측 상,하부연결부재(320)(320)에 또 다른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가 얹혀져 단턱이음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는 목재호안방틀연결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호안방틀의 시공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h)상기 목재 호안방틀(A)의 내부에는 자연석, 콘크리트 덩어리 중 어느 하나가 채워지는 자연석메움시공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호안방틀의 시공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좌측 상,하부 연결부재(310)(310')는 우측 상,하부 연결부재(320)(3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호안방틀의 시공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호안방틀(A)의 바닥부(40)는 지면에서 10㎝ 내지 15cm 높게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호안방틀의 시공방법.
KR1020100064346A 2010-07-05 2010-07-05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0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46A KR101207347B1 (ko) 2010-07-05 2010-07-05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46A KR101207347B1 (ko) 2010-07-05 2010-07-05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33A KR20120003633A (ko) 2012-01-11
KR101207347B1 true KR101207347B1 (ko) 2012-12-12

Family

ID=4561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346A KR101207347B1 (ko) 2010-07-05 2010-07-05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9190B (zh) * 2012-03-26 2014-05-07 上海河口海岸科学研究中心 透水框架
MX2017006317A (es) * 2017-05-15 2019-02-08 Javier Preciado Bayardo Francisco Estructura desarrollable rompeolas construida con materiales naturales.
KR102437529B1 (ko) * 2021-12-15 2022-08-26 김병구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791A (ja) 2004-11-04 2006-06-15 Dairyu Sekkei:Kk 木工沈床
KR100636085B1 (ko) 2006-01-26 2006-10-18 (주)리버앤텍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0886736B1 (ko) 2008-06-05 2009-03-04 (주)에코원 식생 적층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791A (ja) 2004-11-04 2006-06-15 Dairyu Sekkei:Kk 木工沈床
KR100636085B1 (ko) 2006-01-26 2006-10-18 (주)리버앤텍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0886736B1 (ko) 2008-06-05 2009-03-04 (주)에코원 식생 적층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33A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0346B (zh) 水库消落带岸坡防护松木桩-石笼网组合植生挡土墙
CN107524116A (zh) 一种河道硬质护岸生态化的方法
KR101207347B1 (ko) 목재호안방틀, 목재호안방틀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108547254A (zh) 一种河道生态护岸及其施工方法
CN114451205A (zh) 滨海潮间带生态修复体系及其构建方法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CN211006526U (zh) 一种适合于生态敏感区的公路土质边坡绿色生态防护结构
CN209741762U (zh) 一种组合式生态护岸结构
CN105756015B (zh) 一种生物多样性动态景观生态复合系统修复的方法
KR102084488B1 (ko) 에너지 저감형 생태방틀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CN207987862U (zh) 一种绿色生态护坡水岸结构
CN203618424U (zh) 一种适用于高陡坡弃渣体坡面植被恢复的结构
CN114182686B (zh) 原木框体与资源化混凝土组合结构生态护坡及其构建方法
JP2001198593A (ja) 植生箱及び該植生箱を使用した水辺地の浄化方法
CN114215003A (zh) 一种入海口地区景观地形营造时水土涵养生态系统的施工方法
CN112144469A (zh) 一种结合生态驳岸的岸坡净水湿地结构
Morgan Achaia
KR100479439B1 (ko) 하천 호안용 삼각 방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06251A (ko) 보강판을 갖는 에너지 저감형 생태방틀
CN220813664U (zh) 人工鱼礁生态框及海堤生态化改造系统
KR101184016B1 (ko) 하상방틀
CN218842992U (zh) 一种用于渠道的生态护坡结构
KR200276459Y1 (ko) 생태 보존형 목재 어초
CN217710560U (zh) 圆环联锁型生态护岸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