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961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961B1
KR101206961B1 KR1020120070757A KR20120070757A KR101206961B1 KR 101206961 B1 KR101206961 B1 KR 101206961B1 KR 1020120070757 A KR1020120070757 A KR 1020120070757A KR 20120070757 A KR20120070757 A KR 20120070757A KR 101206961 B1 KR101206961 B1 KR 10120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unit
protocol type
stored
mai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886A (ko
Inventor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9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와;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기 설정된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당해 인쇄데이터가 선택적으로 화상형성부에 전달되도록 데이터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프로토콜타입에 따라 수신되는 인쇄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TERFACE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화상형성장치의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화상형성장치의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시스템 등과 같은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는 CPU(도시 안됨), RAM(도시 안됨), MAC(Media Access Control)컨트롤러(도시 안됨), 화상처리부(도시 안됨), 프린팅부(도시 안됨) 등을 포함한다. MAC컨트롤러는 호스트장치로부터 패킷 형태의 인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여 RAM에 저장한 다음, CPU에 인터럽트를 건다. CPU는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 TCP/IP 등 당해 패킷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데이터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상처리부는 처리된 인쇄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처리를 수행하여 인쇄이미지를 생성하며, 프린팅부는 생성된 인쇄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린팅을 수행한다.
그런데, MAC컨트롤러는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CPU, 시스템버스(도시 안됨) 등의 시스템 자원을 사용해야 하므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패킷 처리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MAC컨트롤러는 목적지 MAC주소가 자신이 아닌 유니캐스트(unicast) 패킷을 필터링하거나, 멀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패킷을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목적지 MAC주소가 자신인 유니캐스트 패킷을 수신한 경우라도, 패킷을 분석한 결과 자신이 필요로 하는 패킷이 아닌 경우가 있고, 멀티캐스트나 브로드캐스트 패킷도 상위 프로토콜타입에 따라 수신 여부가 결정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패킷만을 적절히 필터링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05189호에 의하면, IP/ARP 패킷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추가한 MAC컨트롤러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IP/ARP라는 특정 프로토콜타입에 대하여만 적용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33982호에서는, 패킷 폭주 상황을 감지하여 특정 상황에서 패킷 수신을 제한하여 시스템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 의하더라도 불필요한 프로토콜타입의 패킷이 완전히 필터링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토콜타입에 따라 수신되는 인쇄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기 설정된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당해 인쇄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데이터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데이터수신부에 의해 전달된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메모리와; 상기 메인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프린팅 제어를 수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부는,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읽어내어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하는 DMA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DMA부의 인쇄데이터 전송 전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쇄데이터 중 상기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이 아닌 인쇄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당해 전송되는 인쇄데이터의 프로토콜타입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DMA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은 OSI모델에 의거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제어부는 일체의 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인쇄데이터의 프로토콜타입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프로토콜타입이 기 설정된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당해 인쇄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터페이스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수신되는 인쇄데이터가 기 설정된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당해 인쇄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토콜타입에 따라 수신되는 인쇄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CPU에 의한 선별이 아니라, MAC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프로토콜타입의 패킷의 전달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CPU나 시스템버스 등 시스템의 동작 부하를 감소시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MAC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신디스크립터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네트워크 프린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시스템 등과 같은 호스트장치(도시 안됨)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쇄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MAC컨트롤러(110), ROM(120), RAM(130), CPU(140) 및 프린팅부(150)를 포함한다. MAC컨트롤러(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한다. MAC컨트롤러(110)는 수신된 인쇄데이터의 프로토콜타입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수신이 허용된 프로토콜타입(이하,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이라 한다)이 아닌 인쇄데이터의 전달을 차단한다.
ROM(120)에는 CPU(140)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및 설정데이터가 저장된다. RAM(130)은 메인메모리로서 CPU(140)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 로딩되며, CPU(140)의 동작 수행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RAM(130)에는 MAC컨트롤러(110)에 의해 전달된 인쇄데이터가 저장된다. CPU(140)는 RAM(130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린팅 제어를 수행한다. 프린팅부(150)는 CPU(140)의 제어에 따라 RAM(130)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ROM(120), RAM(130), CPU(140) 및 프린팅부(150)의 조합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부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MAC컨트롤러(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MAC컨트롤러(110)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111), MAC기능부(112), 메모리부(113), 프로토콜타입설정부(114), DMA부(Direct Memory Access unit, 115) 및 제어부(116)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111), MAC기능부(112), 메모리부(113) 및 DMA부(Direct Memory Access unit, 115)의 조합은 본 발명의 데이터수신부의 일례이다. MAC컨트롤러(110)는 SOC(System-on-a-chip)의 형태로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MAC컨트롤러(110)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인터페이스장치의 일례이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111)는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형태의 인쇄데이터를 수신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OSI모델(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PHY칩(physical layer interface chip, 도시 안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111)는 PHY칩과 통신을 수행하여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111)는 100Mbps를 위한 MII, 1Gbps를 위한 GMII/RGMII 등의 방식을 가질 수 있다.
MAC기능부(112)는 통상적인 MAC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으로서, 수신되는 인쇄데이터의 패킷에 대하여 프리엠블(Preamble)/SDF 검출, CRC체크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13)에는 MAC기능부(112)에 의해 처리된 인쇄데이터의 패킷이 임시 저장된다. 메모리부(113)는 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토콜타입설정부(114)에는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이 설정된다. 즉, 프로토콜타입설정부(114)에는 어떠한 프로토콜타입의 패킷은 수신을 허용하고 어떠한 프로토콜타입의 패킷은 수신을 차단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DMA부(115)는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패킷을 읽어내어 시스템버스를 통해 RAM(130)에 전송한다. DMA부(115)는 RAM(130)에 패킷을 전송한 경우 CPU(140)에 인터럽트를 발생한다. 또한, DMA부(115)는 RAM(130)에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당해 패킷의 프로토콜타입에 관한 정보(이하, "프로토콜타입정보"라고 한다)도 함께 전송한다.
제어부(116)는 프로토콜타입설정부(114)를 참조하여 수신되는 인쇄데이터의 패킷을 분석하여 당해 패킷이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당해 패킷이 선별적으로 RAM(130)에 전송되도록 DMA부(115)를 제어한다.
이에 대하여, CPU(140)는 RAM(130)에 전달된 인쇄데이터의 패킷에 대하여 이른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스택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데이터의 패킷을 CPU(140)에 전달하기 전에, MAC컨트롤러(110)에서 불필요한 프로토콜 타입의 패킷을 미리 차단함으로써, CPU(140)와 시스템버스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111)는 PHY칩으로부터 인쇄데이터의 패킷을 수신한다(S101). 수신된 패킷은 MAC기능부(112)에 의해 MAC기능이 수행되어 메모리부(113)에 임시 저장된다(S102).
다음으로, 제어부(116)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프로토콜타입을 확인한다(S103). 또한, 제어부(116)는 확인된 프로토콜타입이 프로토콜타입설정부(114)에 설정된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4). [표 1]은 본 실시예의 패킷의 프로토콜타입의 예를 나타낸 도표이다.
Figure 112012052162171-pat00001
[표 1]에서, 프로토콜타입식별자(protocol type identifier)는 프로토콜 타입을 구분해 주는 값이다. 제어부(116)는 수신된 패킷에 있어서 레이어 2의 프레임 헤더와 레이어 3 헤더를 분석함으로써 당해 패킷의 프로토콜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토콜타입설정부(114)는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필터설정레지스터(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표 2]는 프로토콜필터설정레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비트(bit number) 비트이름(bit name) 설명(description)
[15:0] 수신허용여부 1: 수신허용
0: 수신제한
[31:16] 프로토콜타입식별자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프로토콜필터설정레지스터의 상위 16비트에는 프로토콜타입식별자, 하위 16비트에는 수신여부가 저장되도록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프로토콜필터설정레지스터의 값이 0x50000001이면 IPv6패킷에 대하여는 수신을 허용하겠다는 의미가 된다.
만일, 단계S104에서 당해 패킷이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16)는 당해 패킷 및 그 프로토콜타입정보를 RAM(130)에 전송하도록 DMA(115)를 제어한다(S105). 반면, 단계S104에서 당해 패킷이 수신허용 프로토콜타입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16)는 당해 패킷을 메모리부(113)에서 삭제하여 DMA(115)가 이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한다(S106). 단계S105 또는 단계S106이 수행되면 단계S101로 되돌아간다.
한편, DMA(115)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은 RAM(130)에 저장될 때, 패킷의 수신 정보를 미리 지정된 어드레스에 디스크립터(descriptor, 이하 "수신디스크립터"라고 한다) 형태로 패킷과 함께 저장하도록 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수신디스크립터(Rx descriptor, 200)의 예를 도시한다. 수신디스크립터(200)는 저장되는 패킷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수신버퍼포인터(Rx buffer pointer, 201)와, CPU(140) 또는 DMA(115)의 주도권을 나타내는 오너십비트(ownership bit, 202)와, 수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상태(Rx status, 203)와, 수신되는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수신길이(Rx length, 204)와, 프로토콜타입식별자(protocol type identifier, 205)를 포함한다. 프로토콜타입식별자(205)에는 DMA(115)에 의해 전송되는 당해 패킷의 프로토콜타입정보가 할당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디스크립터에 당해 패킷의 프로토콜타입까지 함께 RAM(130)에 저장해 둠으로써, CPU(140)가 패킷을 처리할 때 다시 패킷을 분류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CPU(140)의 작업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MAC컨트롤러
120 : ROM 130 : RAM
140 : CPU 150 : 프린팅부
111 :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 112 : MAC기능부
113 : 메모리부 114 : 프로토콜타입설정부
115 : DMA부 116 : 제어부

Claims (3)

  1.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 및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패킷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맥 컨트롤러(MAC controller)와;
    상기 맥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패킷을 저장하는 메인메모리와;
    상기 메인메모리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패킷을 처리하는 CPU와;
    상기 CPU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패킷에 따라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프린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맥 컨트롤러는,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되는 패킷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패킷의 수신허용 프로토콜 타입을 설정하는 프로토콜타입 설정부와;
    상기 저장된 패킷이 상기 프로토콜타입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수신허용 프로토콜 타입에 대응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을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하고, 상기 저장된 패킷이 상기 프로토콜타입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수신허용 프로토콜 타입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을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이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되면, 상기 CPU는 상기 패킷을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린팅부가 상기 생성된 화상데이터에 따라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패킷을 상기 메인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메인메모리에 접속된 상기 CPU의 부하를 저감시키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이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될 때에, 상기 패킷의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상기 패킷과 함께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스크립터는, 상기 패킷의 프로토콜 타입 정보, 상기 패킷의 수신 상태 정보, 상기 패킷의 수신 길이 정보, 상기 패킷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수신 버퍼포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호스트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 및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패킷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맥 컨트롤러와;
    상기 맥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패킷을 저장하는 메인메모리와;
    상기 메인메모리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패킷을 처리하는 CPU와;
    상기 CPU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패킷에 따라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프린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맥 컨트롤러는,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되는 패킷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패킷의 수신허용 프로토콜 타입을 설정하는 프로토콜타입 설정부와;
    상기 저장된 패킷이 상기 프로토콜타입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수신허용 프로토콜 타입에 대응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을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하고, 상기 저장된 패킷이 상기 프로토콜타입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수신허용 프로토콜 타입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을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이 상기 메인메모리에 전송되면, 상기 CPU는 상기 패킷을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린팅부가 상기 생성된 화상데이터에 따라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 컨트롤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패킷을 상기 메인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메인메모리에 접속된 상기 CPU의 부하를 저감시키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이 상기 수신허용 프로토콜 타입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킷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20070757A 2012-06-29 2012-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KR10120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57A KR101206961B1 (ko) 2012-06-29 2012-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57A KR101206961B1 (ko) 2012-06-29 2012-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637A Division KR101207280B1 (ko) 2006-11-28 2006-11-2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86A KR20120090886A (ko) 2012-08-17
KR101206961B1 true KR101206961B1 (ko) 2012-11-29

Family

ID=4688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757A KR101206961B1 (ko) 2012-06-29 2012-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9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86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28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US5636333A (en) Multi-protocol network interface
US7843953B2 (en) Network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860575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700113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ine concentrator, network infro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line concentrator,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12772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omaly detection in a vehicle
KR100611172B1 (ko) 네트워크 프린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수신 제어방법
WO2003069440A2 (en) Network processor with high-speed transceiver
CN110995507A (zh) 一种网络加速控制器及方法
KR10120696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인터페이스장치
US7561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packets within a tunnel
EP12941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ckets in network with monitoring of malicious packets
KR100601874B1 (ko) 네트워크 프린팅 기기의 mac 컨트롤러 및 네트워크프린팅 기기의 버스 대역폭 확장방법
KR101469244B1 (ko) 수신된 데이터에서의 불필요한 패킷 제거 장치 및 방법
US20040267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logging
US109491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determine a transmission source device of a packe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70071023A1 (en) Packet forwa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756738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0013443A (ja) ネットワーク装置
JP2006133965A (ja) 通信装置
JP4608416B2 (ja) 制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858158B1 (ko) 무선 랜 시스템의 메모리 제어 장치와 그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JP2005018638A (ja) パラレル通信制御装置及びパラレル通信制御方法
JP2013090200A (ja) 通信装置におけるメモリ管理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94520A (ja) フレーム振り分け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