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879B1 - 수족관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879B1
KR101206879B1 KR1020100135043A KR20100135043A KR101206879B1 KR 101206879 B1 KR101206879 B1 KR 101206879B1 KR 1020100135043 A KR1020100135043 A KR 1020100135043A KR 20100135043 A KR20100135043 A KR 20100135043A KR 101206879 B1 KR101206879 B1 KR 10120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ump
water
case
fil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058A (ko
KR101206879B9 (ko
Inventor
황영철
Original Assignee
황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철 filed Critical 황영철
Priority to KR102010013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8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879B1/ko
Publication of KR1012068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87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여과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수족관의 물을 흡입시켜서 배출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처리하는 필터부와; 물의 흐름을 인지하여 배관이 막힌 경우,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족관의 여과장치는 펌프에 물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장착함으로써, 필터가 막히거나 배출관이 막혀서 펌프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펌프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족관의 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OF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배관이 막히는 경우에도 펌프의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서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족관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관상목적이나 인테리어 측면에서 수족관을 주로 설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족관은 어류 등과 같은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수중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청소를 해야한다.
이러한 청소는 매번 수조 내에 담긴 물을 완전히 갈아야 하므로 번거롭고 물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수족관에는 여과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수족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함으로써 자동으로 정수시킨다.
상기 여과장치는 수족관의 일측에 수중펌프를 배치하고, 이 수중펌프와 수족관을 흡입관으로 연결한다. 또한, 흡입관에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수중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수족관의 물이 흡입관을 통하여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물이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정수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족관 여과장치에 있어서, 수족관의 필터가 막힘으로써 물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물이 수족관으로 복귀하는 배관이 막힌 경우 펌프는 지속적으로 구동하려고 하나 펌프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어려우므로 펌프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구조가 비효율적이므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족관의 필터가 막히거나 배출관이 막혀서 펌프의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족관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를 2개 배치하고, 각 필터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족관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수족관의 물을 흡입시켜서 배출시키는 펌프와;
내부 용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터케이스를 배치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순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필터부와;
물의 흐름을 인지하여 배관이 막힌 경우,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수족관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여과장치는 펌프에 물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장착함으로써, 필터가 막히거나 배출관이 막혀서 펌프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펌프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여과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족관 여과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펌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여과필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감지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감지부의 측면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감지부의 연결단자와 전극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여과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여과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에 도시된 수족관 여과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여과장치(1)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수족관(11)의 물을 흡입시키는 펌프(13)와; 상기 펌프(13)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처리하는 필터부(5,7)와; 물의 흐름을 인지하여 펌프(13)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감지부(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13)는 수족관(11)으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필터부(5,7)로 펌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펌프(13)는 입구에 수족관(11)에 연결되는 제1배관(L1)이 연결됨으로써 수족관(11)의 물이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13)는 흡입된 물을 모터(15)에 연결된 임펠러(I)의 회전에 의하여 출구로 배출한다.
이때, 펌프(13)의 출구에는 제 2배관(L2)이 필터부(5,7)에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제 2배관(L2)을 통하여 필터부(5,7)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7)는 케이스(3)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필터 케이스(21)와; 제 1필터 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되며 펌프(13)로부터 공급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제 1필터부재(5)와; 제 1필터 케이스(2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필터 케이스(29)와; 제 2필터 케이스(29)의 내부에 배치되며 물을 2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제 2필터부재(7)와; 제 1 및 제 2필터 케이스(21,29)를 연결하여 물의 통로가 되는 연결관(L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필터부에 있어서, 상기 제 1필터 케이스(21)는 원통형상이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필터 케이스(21)의 상부는 커버가 볼트 등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 1필터 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된 제 1필터부재(5)를 교체하는 경우, 커버의 볼트만을 분리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필터 케이스(29)의 높이가 제 1필터 케이스(2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제 2필터 케이스(29)의 내부 용량이 제 1필터 케이스(21)의 내부 용량보다 크므로 저장되는 물의 양도 제 1 필터 케이스(21) 보다 제 2필터 케이스(29)가 더 많다.
이러한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즉,
V2=r2 2*π*H2>V1=r1 2*π*H1 --------------- 식1
(V2 :제2필터케이스의 용량, r2 :제2필터케이스의 내측 반지름, H2 :제2필터케이스의 높이, V1 :제1필터케이스의 용량, r1:제1필터케이스의 내측 반지름, H1:제1필터케이스의 높이)
따라서, 상기 펌프(13)가 구동하여 제 1 및 제 2필터 케이스(21,29)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선 작은 용량의 제 1필터 케이스(21)를 채운 후, 제 2필터 케이스(29)를 채우게 되므로 용량이 작은 제 1필터부재(5)가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제 2필터부재(7)에 의하여 잔여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결국, 제 2필터 케이스(29) 및 제 2필터부재(7)의 용량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여과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필터부재(5)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측필터(23)와; 외측필터(23)의 내저부에 배치되는 하부필터(27)와; 하부필터(27)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필터(2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필터부재에 있어서, 상기 외측필터(23)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부는 개방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개방구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어 상부필터(25) 및 하부필터(27)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필터(23)는 직물재질로 제조됨으로써 물이 외측필터(23)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필터(25)와 하부필터(27)는 동일한 형상으로서 사방이 밀폐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직물재질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부필터(25) 및 하부필터(27)는 내부에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성분들이 채워진다. 이때, 상기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성분은 숯, 맥반석, 옥돌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터(25)와 하부필터(27)는 외측필터(23)의 내부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 2배관(L2)을 통하여 제 1필터 케이스(21)에 물이 공급되면, 물은 제 1필터 케이스(21)를 채우게 되고, 이 과정에서 물이 외측필터(23)와, 상부필터(25)와, 하부필터(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이때, 제 1필터부재(5)는 3단계의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효과가 있음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여과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필터부재(5)는 외측필터(23)의 내부에 상부필터(25) 및 하부필터(27)를 단순히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음으로 보수 혹은 교체가 용이하다.
그리고, 제 1필터부재(5)를 통과한 물은 제 3배관(L3)을 통하여 상기 제 2필터 케이스(29)로 공급되어 2차적으로 여과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필터 케이스(29)는 제 1필터 케이스(21)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제 2필터 케이스(29)는 원통형상이며, 상부에는 커버가 볼트 등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 2필터 케이스(29)의 높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필터 케이스(2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13)가 구동하여 제 1 및 제 2필터 케이스(21,29)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 작은 용량의 제 1필터 케이스(21)를 채운 후, 제 2필터 케이스(29)를 채우게 되므로 용량이 작은 제 1필터부재(5)가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제 2필터부재(7)에 의하여 잔여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결국, 제 2필터 케이스(29) 및 제 2필터부재(7)의 용량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여과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필터부재(7)는 제 1필터부재(5)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제 2필터부재(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측필터(23)와; 외측필터(23)의 내저부에 배치되는 하부필터(27)와; 하부필터(27)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필터(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필터(23)는 개방구가 형성된 원통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필터(25)와 하부필터(27)는 동일한 형상으로서 사방이 밀폐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직물재질로 제조된다.
따라서, 제 3배관(L3)을 통하여 제 2필터 케이스(29)에 물이 공급되면, 물은 제 2필터 케이스(29)를 채우게 되고, 이 과정에서 물이 외측필터(23)와, 상부필터(25)와, 하부필터(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이때, 제 2필터부재(7)는 3단계의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효과가 있음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여과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필터부재(7)를 통과한 물은 제 4배관(L4)을 통하여 상기 수족관(11)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4배관(L4)에는 차단밸브(V)가 장착됨으로써 수족관등을 청소하는 경우, 물이 수족관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밸브(V)가 닫힌 상태에서, 펌프(13)를 구동시키는 경우, 펌프(13)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여 펌프(13)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부(9)가 배치된다.
이러한 감지부(9)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3)와 제 5배관(L5)에 의하여 연결되어 펌프(13)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에 따라 전원을 온(On)/오프(Off) 시키는 압력감지센서(19)와; 상기 압력감지센서(19)에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19)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축가스탱크(1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감지부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19)는 제 5배관(L5)상에 돌출된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지렛대(49)와; 상기 지렛대(49)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의 공급량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하는 수축팽창부재(50)와; 상기 지렛대(49)의 타측에 구비되어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축팽창부재(50)의 팽창 혹은 수축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연결단자(47)와; 전원이 인가되는 한 쌍의 전극단자(46)와; 상기 연결단자(47)를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48)을 포함한다.
상기 수축팽창부재(50)는 튜브형상을 갖으며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수축팽창부재(50)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13)에서 펌핑된 물이 제 5배관(L5)을 통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수축팽창부재(50)의 내부에 펌프(13)의 과도한 압력에 의하여 물이 공급되는 경우 수축팽창부재(50)는 팽창하여 상승하게 되며, 물의 공급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수축팽창부재(50)가 수축되어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지렛대(49)는 그 중간부가 감지부(9)에 힌지핀(h)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지렛대(49)의 일측(49a)은 상기 수축팽창부재(50)의 상단이 연결되고, 타측(49b)에는 상기 스프링(48)이 배치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렛대(49)의 일측(49a)이 상승하게 되고, 수축팽창부재(50)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연결단자(47)가 상승하여 한 쌍의 전극단자(4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전극단자(46) 중 일측 단자에는 주 전원에 연결된 제 1케이블(W1)이 연결되고, 타측 단자에는 펌프(13)의 모터(15)에 연결된 제 2케이블(W2)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47)가 한 쌍의 전극단자(46)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주 전원이 모터(15)에 인가되어 펌프(13)가 구동될 수 있다.
반대로, 펌프(13)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수축팽창부재(50)에 공급되는 물의 량이 증가하는 경우, 수축팽창부재(50)는 팽창되어 상승하게 된다.
수축팽창부재(50)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지렛대(49) 반대편에 구비된 연결단자(47)는 하강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전극단자(46)는 서로 단락된다.
따라서, 펌프(13)의 모터(15)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펌프(13)의 구동이 정지되어 펌프(13)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연결단자(47)와 전극단자의 접촉이 온/오프 방식, 즉 연결단자(47)와 전극단자가 일시에 연결되거나 떨어지는 방식이므로 펌프에 과도한 전원이 일시에 인가됨으로써 오작동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47)와 전극단자(46)가 점차적으로 연결되거나 떨어지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연결단자(47)의 접촉부(55)를 쐐기형상으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극단자(46)의 수납부(57)는 역쐐기형상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55)는 연결단자(47)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9)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59)의 내측에는 접촉부(55)의 일측에 연결된 탄성스프링(60)이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단자(47)가 상승하는 경우, 쐐기형상을 갖는 연결단자(47)의 접촉부(55)가 전극단자(46)의 수납부(57)에 접촉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접촉부(55)는 탄성 스프링(60)에 의하여 연결단자(47)의 양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연결단자(47)가 더 상승하였을 경우, 상기 접촉부(55)가 전극단자(46)의 수납부(57)에 접촉함으로써 양측으로 가이드홈(59)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부(55)와 수납부(57)의 접촉면적이 점차 증가함으로써 전원의 인가량도 점차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연결단자(47)와 전극단자(46)의 접촉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펌프(13)에 전원이 급격히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축팽창부재(50)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가스탱크(17)가 배치된다.
상기 압력가스탱크(17)는 제 5배관(L5)상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다이아프램(40)이 구비됨으로써 압력가스탱크(17)의 내부가 가스공간(42) 및 압축공간(44)의 2부분으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스공간(42)에는 압력가스가 충전된 상태이다. 이때, 압력가스로는 다양한 가스가 충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질소가스가 충전된다.
따라서, 물이 제 5배관(L5)을 통하여 상기 감지부(9) 및 상기 압력가스탱크(17)로 주입되고, 이 상태에서 압력가스탱크(17)의 압축공간(44)에 주입된 물이 이 다이아프램(40)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제 5배관(L5)의 내부 및 감지부(9)의 내부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압력가스탱크(17)는 감지부(9)에 공급된 물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감지부(9)에 공급된 물의 압력이 약간의 증감에도 수축팽창부재(50)가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원이 빈번하게 온/오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여과장치는 수족관(11)의 물이 부족한 경우 감지부(9)가 이를 감지하여 펌프(13)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펌프(13)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태에서는 연결단자(47)가 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함으로써 한 쌍의 전극단자(4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이다. 따라서, 전원이 감지부(9)를 통하여 펌프(13)의 모터(15)에 인가됨으로써 펌프(13)가 작동하게 된다.
펌프(13)가 구동하는 경우, 제1배관(L1)을 통하여 수족관(11)에 저장된 물이 펌프(13)로 흡입되어 제 2배관(L2)을 통하여 제 1필터 케이스(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 1필터 케이스(21)로 공급된 물은 제 1필터부재(5)의 외부필터와, 상부필터(25)와, 하부필터(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 1필터부재(5)를 통과한 물은 제 3배관(L3)을 통하여 제 2필터 케이스(29)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 2필터 케이스(29)로 공급된 물은 제 2필터부재(7)를 통과함으로써 이물질을 2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7)를 통과한 물은 제 4배관(L4)을 통하여 수족관(11)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배관(L4)의 밸브(V)를 오프(Off)시키게 되면, 수족관(11)의 물이 펌프(13)로 흡입되는 반면, 수족관(11)으로는 복귀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결국, 펌프(13)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오작동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펌프(13)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9)의 수축팽창부재(50)에 유입되는 물의 량도 증가하게 됨으로써 수축팽창부재(50)가 팽창하게 된다.
상기 수축팽창부재(50)가 팽창함에 따라, 수축팽창부재(50)가 지렛대(49)의 일측(49a)을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며, 상대적으로 지렛대(49)의 타측(49b)이 하강함으로써 연결단자(47)를 누르게 된다.
연결단자(47)가 눌림으로써 한 쌍의 전극단자(46)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펌프(13)의 모터(15)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펌프(13)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결국, 펌프(13)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9)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펌프(13)의 구동이 정지되어 고장의 위험이 예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가스탱크(17)의 질소가스가 압축공간(44)에 주입된 물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감지부(9)의 수축팽창부재(50)에 주입되는 물의 압력이 급속하게 저하되거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펌프(13)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 4배관(L4)의 밸브를 온(On)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펌프(13)에 의하여 펌핑된 물이 제 4배관(L4)을 통하여 수족관(11)으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3)의 내부 압력이 저하됨으로서 감지부(9)의 수축팽창부재(50)에 주입된 물의 압력도 저하된다.
수축팽창부재(50)의 압력이 저하되면 수축팽창부재(50)가 수축됨으로써 지렛대(49)의 일측(49a)이 하강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지렛대(49)의 타측(49b)이 상승하게 된다.
지렛대(49)의 타측(49b)이 상승하는 경우, 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단자(47)가 상승함으로써 한 쌍의 전극단자(46)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전원이 감지부(9)를 통하여 펌프(13)의 모터(15)에 다시 인가됨으로써 펌프(13)가 다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4배관(L4)이 차단된 경우에도, 펌프(13)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음으로 펌프(13)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1: 여과장치 3: 케이스
5: 제 1필터부재 7: 제 2필터부재
9: 감지부 11: 수족관
19: 압력감지센서 48:스프링
49:지렛대 50:수축팽창부재

Claims (6)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수족관의 물을 흡입시켜서 배출시키는 펌프와;
    내부 용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터케이스를 배치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순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필터부와;
    물의 흐름을 인지하여 배관이 막힌 경우,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펌프와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펌프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에 따라 전원을 온(On)/오프(Off) 시키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축가스탱크를 포함하는 수족관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필터 케이스와; 상기 제 1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제 1필터부재와; 제 1필터 케이스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필터 케이스와; 제 2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물을 2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제 2필터부재와; 제 1 및 제 2필터 케이스를 연결하여 물의 통로가 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필터부재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측필터와; 상기 외측필터의 내저부에 배치되는 하부필터와; 상기 하부필터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필터를 포함하는 수족관 여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필터 케이스는 제 1필터 케이스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제 2필터케이스의 용량이 제 1필터케이스의 용량보다 크게 형성되며, 아래의 수식과 같이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여과장치.
    V2=r2 2*π*H2>V1=r1 2*π*H1 ---------------
    (V2 :제2필터케이스의 용량, r2 :제2필터케이스의 내측 반지름, H2 :제2필터케이스의 높이, V1 :제1필터케이스의 용량, r1:제1필터케이스의 내측 반지름, H1:제1필터케이스의 높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배관상에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의 공급량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하는 수축팽창부재와; 상기 지렛대의 타측에 구비되어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축팽창부재의 팽창 혹은 수축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연결단자와; 전원이 인가되는 한 쌍의 전극단자와; 상기 연결단자를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족관 여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의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는 쐐기형상의 접촉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상기 접촉부에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전극단자의 양단에는 역쐐기 형상의 수납부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단자가 상승하는 경우, 쐐기형상을 갖는 상기 연결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단자의 수납부에 접촉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펌프에 전원이 급격히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수족관 여과장치.
KR1020100135043A 2010-12-24 2010-12-24 수족관의 여과장치 KR10120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43A KR101206879B1 (ko) 2010-12-24 2010-12-24 수족관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43A KR101206879B1 (ko) 2010-12-24 2010-12-24 수족관의 여과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058A KR20120073058A (ko) 2012-07-04
KR101206879B1 true KR101206879B1 (ko) 2012-11-30
KR101206879B9 KR101206879B9 (ko) 2024-03-15

Family

ID=4670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043A KR101206879B1 (ko) 2010-12-24 2010-12-24 수족관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8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7897A (en) 1976-04-13 1977-10-26 Kato Isao Filtration apparatus for fish culture ponds
JPH10296238A (ja) 1997-04-24 1998-11-10 Yamaha Motor Co Ltd 圧力式循環濾過装置
JPH11266738A (ja) 1998-03-20 1999-10-05 Kaikou Engineer:Kk 魚介類の循環式飼育装置と汚染除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7897A (en) 1976-04-13 1977-10-26 Kato Isao Filtration apparatus for fish culture ponds
JPH10296238A (ja) 1997-04-24 1998-11-10 Yamaha Motor Co Ltd 圧力式循環濾過装置
JPH11266738A (ja) 1998-03-20 1999-10-05 Kaikou Engineer:Kk 魚介類の循環式飼育装置と汚染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058A (ko) 2012-07-04
KR101206879B9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45147B2 (en) Site drainer
KR101098650B1 (ko) 유수분리장치
US20120152866A1 (en) Modular Pump and Filter System and Method
KR100988240B1 (ko) 협잡물 제거용 미세목 스크린
KR101206879B1 (ko) 수족관의 여과장치
CN103445724A (zh) 一种能够自动清除海帕过滤器尘堵的吸尘器
JP5452814B2 (ja) 廃固形分、廃油夾雑物、廃水含有廃油から廃油の選択分離、移送装置
CN212079651U (zh) 一种带有过滤装置的轴流泵
KR101574751B1 (ko)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
KR102006400B1 (ko) 압착필터 장치
RU2525888C1 (ru) Фильтр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CN214118588U (zh) 一种潜水泵
CN211397946U (zh) 一种改进型小型潜水泵
CN114573074A (zh) 一种便于清理的石油生产用污水处理装置
KR102312934B1 (ko) 해마 치어 양식 수조
KR100664495B1 (ko) 액체 저장 탱크의 이동식 다기능 청소기
CN107970651B (zh) 一种滤芯替换方法
KR20110059935A (ko) 파워 버블 클렌징 시스템을 이용한 관정의 세정장치
CN220392154U (zh) 一种黄磷炉渣料仓出料装置
CN216554478U (zh) 一种深井潜水泵防砂逆止阀
KR20170028059A (ko) 제어기 보호용 리프터를 구비한 배수펌프
JP3662301B2 (ja) ポンプ装置用吸水ストレーナ
CN210440205U (zh) 一种活化型水泵
RU129143U1 (ru)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буровой скважины
CN218882494U (zh) 一种多相抽提井内轻相污染物的抽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