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687B1 - 아동용스쿠터 - Google Patents

아동용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687B1
KR101205687B1 KR1020100135054A KR20100135054A KR101205687B1 KR 101205687 B1 KR101205687 B1 KR 101205687B1 KR 1020100135054 A KR1020100135054 A KR 1020100135054A KR 20100135054 A KR20100135054 A KR 20100135054A KR 101205687 B1 KR101205687 B1 KR 10120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fixing
rear wheel
whe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829A (ko
Inventor
박두현
Original Assignee
박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현 filed Critical 박두현
Priority to KR102010013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6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6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연령으로부터 취학전 연령의 아동까지 주로 사용하는 3륜 형태의 아동용스쿠터 즉, 싱싱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동용스쿠터{A}
본 발명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연령으로부터 취학전 연령의 아동까지 주로 사용하는 아동용스쿠터 즉, 싱싱카에 대한 것이다.
아동용스쿠터는 아직 균형감각이 덜 발달된 매우 어린 아동이 주로 사용하므로 균형잡기가 용이하도록 3륜의 형태를 취하며 스피드보다는 안전을 목표한다. 이러한 것은 어느정도 성장한 아이 또는 성인이 탑승하여서 스피드를 위주로 하는 2륜의 일반 킥보드와는 다른 점이다.
배경기술에는 출원 제2020000029114호; 출원 제2020000034741호; 출원 제2020010038006호; 등이 있다.
도 1 A의 예시와 같이 아동용스쿠터는,
상부에 핸들; 하부에 전륜;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를 포함하는 전륜부(1)와,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후륜(3a, 3b) 및 선택적으로 후륜덮개를 포함하는 후륜부(3)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를 피벗결합시켜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 중간에 아동이 한 발 또는 양 발로 딛고 탑승할 수 있는 발판; 후방에 상기 후륜부를 주행 가능케 결합하는 후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보드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B의 예시를 통하여 성인용 2륜 킥보드의 추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탑승자는 핸들을 그립한 후 한쪽 발을 발판에 얹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추진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후륜이 하나이므로 차지하는 폭이 좁아서 탑승자의 다리(발목 또는 종아리)는 후륜(3`)과 충돌하지 않고 지나가거나(leg) 회수되는(le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 A의 예시와 같이 3륜의 아동용스쿠터의 경우에는 발목, 종아리와 같은 다리 부위가 지나는 길목에 폭넓게 병렬로 배치된 후륜이 자리하고 있어서 아동의 발이 지면을 박차고 지나거나(leg) 회수되는(leg`) 동작시에 후륜의 상단과 충돌하여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바 특히 매우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것일 때에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동용스쿠터는,
상부에 핸들; 하부에 전륜;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를 포함하는 전륜부와,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네가티브캠버를 주어서 구성되는 복수의 후륜을 포함하는 후륜부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를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 중간에 발판; 후방에 상기 후륜부를 고정하는 후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보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3의 도시와 같이 후륜부(30)에 네가티브캠버(np / negative camber)를 주어서 복수의 후륜을 장착하므로써,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부 상단의 폭(w)을 좁힐 수 있는 바 도 2 B처럼 발로 지면을 구를 때 다리가 지나거나(leg) 회수되는(leg`)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후륜부의 상단과 충돌을 면할 수 있다. 또한 후륜부의 높이(h)를 낮출 수 있어서 발 구름없는 일반 주행시에 후륜부(30)에 발을 올려 놓기 편하다.
본 발명의 의하면,
아동용스쿠터를 추진시키기 위하여 발로 지면을 차고 구르는 동작에 있어서, 균형유지를 위하여 복수의 후륜(30a, 30b)에 좌우 폭을 주어 병렬로 배치하더라도 아동의 다리가 지면을 지나가거나(leg) 특히 다리를 회수하는(leg`) 동작에 있어서 후륜부의 상단과 충돌을 면할 수 있어서 아동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기존의 것으로서 A 3륜의 아동용스쿠터; B 2륜의 성인용 킥보드
이하, 본원
도 2 A 전방에서 본 사시도; B 다른 예시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 후륜부(30)와 그 관련 구성을 배면에서 보인 확대도
도 4 후륜부와 그 관련 구성의 주행동작을 보인 A 전단면도; B 평면도
도 5 각각 후륜부와 그 관련 구성의 다른 예시의 배면도로서, A 후륜덮개(24)가 하나인 것; B 후륜(30a, 30b)의 인에지(ie) 대비 아웃에지(oe)의 직경이 다른 것; C 후륜의 후륜회전축(31)이 후륜덮개로 부터 축받이 되는 것
도 6 A 역삼각형의 쐐기형 브레이크(b)를 예시한 후륜부의 배면도; B 그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아동용스쿠터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부에 손으로 쥐고 조향조작을 하는 핸들(11); 하부에 회전 가능케 축받이 고정된 전륜(13);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12);를 포함하는 전륜부(10)와,
병렬로 이격되고 주행 가능케 축받이 고정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후륜(30a, 30b)을 포함하는 후륜부(30)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10)를 조향 가능케 피벗(pivot)시켜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21); 상기 전륜부고정부(2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간의 발판(22); 상기 발판(22)의 후방에 상기 후륜부(30)를 고정하는 후륜부고정부(23);를 포함하는 보드부(20)를 기초로 하여,
도 3에 도시된 실시와 같이,
상기 복수의 후륜(30a, 30b)은 바퀴의 위쪽이 서로 모아지는 네가티브캠버(nc)를 주어서 구성한다. 여기서 네가티브캠버는 10°이상, 170°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네가티브캠버(nc)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후륜부고정부(23)의 저부에 역삼각형상의 후륜고정프레임(33)이 하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후륜(30a, 30b)의 회전축(31`) 및 상기 회전축의 축받이(31``)와 함께 구성되는 회전축부(31)는 상기 역삼각형의 후륜고정프레임(33) 양 빗변에 각각 고정(32)되어 네가티브캠버(nc)를 제공한다. 도 3은 네가티브캠버를 구성하는 하나의 예시를 보인 것이다.
상기 네가티브캠버(nc)를 통하여 도 2 A의 예시와 같이 후륜부(30)의 위쪽은 폭(w)이 좁은 협폭으로 제공되고, 또한 높이(h)도 낮출 수 있어서, 도 2 B의 도시처럼 아동의 발이 지면을 구를시에 발목 및 다리는 후륜부(30)의 상부에 대하여 충돌없이 스쳐 지나고(leg) 또 회수될(leg`)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A의 예시처럼 후륜덮개(24)가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면으로부터 높이(h)가 낮아서 아동이 발을 스쿠터에 얹은 상태로 주행시에 상기 후륜덮개(24)에 발을 얹어 두기 편리하다. 이러한 경우 도 5 A의 실시와 같이 상기 후륜덮개(24)는 한 개의 몸체로 제공되고 또 상부는 평평한 것이 더욱 편리하다.
도 5 B의 예시에 있어서,
복수의 후륜(30a, 30b) 상호간의 상부 폭(w)을 더욱 좁히거나 지면으로부터 높이(h)를 더욱 낮출 수 있도록, 바퀴의 아웃에지(oe) 보다 인에지(ie)의 직경이 적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또 하나의 잇점은 지면과 접촉면(f)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도 4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네가티브캠버(nc)가 주어져 구성되는 후륜(30a, 30b) 바퀴는 캠버(camber)에 의해 기우는 측으로 진행방향(-p)이 휘게 되므로, 도 4 B의 예시와 같이 복수의 후륜(30a, 30b)에 상기 휘는 것을 상쇄시킬 토우아웃(toe out)을 부여하여서 상기 휘는 진행방향(-p)을 상쇄시킬 다른 진행방향(+p)을 제공하므로써 종국에는 바른 진행방향(p)를 얻을 수 있다.
아동을 대상으로하는 스쿠터에 있어서 속도가 중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토우아웃은 생략될 수 있지만, 내구성을 고려할 때 스쿠터 및 바퀴의 진행방향이 일치된 바른 진행방향(p)을 보유하여 지면과 마찰을 줄여서 마모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복수의 후륜(30a, 30b) 회전축부(31)의 상부 측이 상기 후륜부고정부(23)로부터 직접 축받이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바 도 5 C의 실시에서는,
후륜(30a, 30b)의 회전축부(31) 위쪽이 상기 후륜고정부의 후륜덮개(24)로부터 직접 축받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지면으로부터 후륜부(30)의 높이(h)를 극도로 낮출 수 있고, 후륜부고정부(23) 또는 후륜덮개(24)가 복수의 후륜(30a, 30b) 모두를 가리는 구조를 취해서 아동의 발이 회전하는 후륜(30a, 30b)에 접촉할 우려를 극소화 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는 제동(braking)을 위한 일 실시로서,
복수의 후륜(30a, 30b) 사이로, 탄성 있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의 후륜덮개(24) 저면에 상단(b1)이 고정된 역삼각형상의 쐐기형 브레이크패드(b)가 개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제동을 시행하기 위하여 후륜덮개(24)를 발로 밟으면 후륜덮개(24)가 일정부분 아래로 휘면서 상기 브레이크패드(b)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이 때 상기 브레이크패드(b)의 쐐기형상 양 빗면(b2, b3)이 마이너스캠버(nc)로 좁혀진 양 후륜의 사이를 파고 들면서 제동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역삼각형상의 브레이크패드(b)가 복수의 후륜(30a, 30b) 상부로부터 쐐기작용으로 파고 들어 제동력을 발휘하므로 아동의 적은 힘으로도 뛰어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서 ‘구비’는 연장, 형성, 결합, 고정 등을 통하여 구성, 구비함을 말하고 ‘고정’은 용접, 리벳팅, 나사, 끼움, 체결, 피벗, 힌지 등을 통하여 결합, 고정함을 말한다.
전륜부(10); 보드부(20); 후륜부(30)

Claims (6)

  1. 상부에 핸들; 하부에 전륜;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을 포함하는 전륜부와,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네가티브캠버 및 토우아웃을 주어서 구성되는 복수의 후륜을 포함하는 후륜부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를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 중간에 발판; 후방에 상기 후륜부를 고정하는 후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스쿠터
  2. 상부에 핸들; 하부에 전륜;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을 포함하는 전륜부와,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네가티브캠버를 주어서 구성되는 복수의 후륜을 포함하는 후륜부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를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 중간에 발판; 후방에 상기 후륜부를 고정하는 후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후륜 사이로 역삼각형상의 브레이크패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스쿠터
  3. 상부에 핸들; 하부에 전륜;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을 포함하는 전륜부와,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네가티브캠버를 주어서 구성되는 복수의 후륜을 포함하는 후륜부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를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 중간에 발판; 후방에 상기 후륜부를 고정하는 후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후륜은 아웃에지에 비해 인에지의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스쿠터
  4. 상부에 핸들; 하부에 전륜;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을 포함하는 전륜부와,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네가티브캠버를 주어서 구성되는 복수의 후륜을 포함하는 후륜부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를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 중간에 발판; 후방에 상기 후륜부를 고정하는 후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후륜부고정부의 저부에 역삼각형상의 후륜고정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후륜의 회전축부는 상기 역삼각형의 후륜고정프레임의 저면 양 빗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스쿠터
  5. 상부에 핸들; 하부에 전륜; 상기 핸들과 상기 전륜을 연결하는 스트럿;을 포함하는 전륜부와,
    병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네가티브캠버를 주어서 구성되는 복수의 후륜을 포함하는 후륜부와,
    전방에 상기 전륜부를 고정하는 전륜부고정부; 중간에 발판; 후방에 상기 후륜부를 고정하는 후륜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후륜의 회전축부는 상부 측이 상기 후륜부고정부로부터 축받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스쿠터
  6. 삭제
KR1020100135054A 2010-12-25 2010-12-25 아동용스쿠터 KR10120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54A KR101205687B1 (ko) 2010-12-25 2010-12-25 아동용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54A KR101205687B1 (ko) 2010-12-25 2010-12-25 아동용스쿠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033A Division KR101347019B1 (ko) 2012-10-07 2012-10-07 싱싱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29A KR20110004829A (ko) 2011-01-14
KR101205687B1 true KR101205687B1 (ko) 2012-12-04

Family

ID=4361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054A KR101205687B1 (ko) 2010-12-25 2010-12-25 아동용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1391B1 (de) * 2010-11-29 2015-09-02 Hubert Petutschnig Kickboard
EP3056252A1 (de) * 2015-02-16 2016-08-17 Hubert Petutschnig Kick Scoo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177A (ja) * 2002-01-18 2003-07-30 Aidesu Kk 小型3輪スクータ
US20070205576A1 (en) 2006-03-06 2007-09-06 Purdue Research Foundation Swinging hub for adjusting wheel ca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177A (ja) * 2002-01-18 2003-07-30 Aidesu Kk 小型3輪スクータ
US20070205576A1 (en) 2006-03-06 2007-09-06 Purdue Research Foundation Swinging hub for adjusting wheel c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29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236B2 (en) Infant scooter
CN101678870B (zh) 并骑式脚踏车
RU2348562C2 (ru) Коле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лечений или занятий спортом, приводимое в движение ногой
KR101205687B1 (ko) 아동용스쿠터
US9211937B2 (en) Leg scooter device
US833100A (en) Pedemobile.
KR101347019B1 (ko) 싱싱카
KR101074479B1 (ko) 렌칭 킥스쿠터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CN100581910C (zh) 没有把手的脚推进的轮式运动装置
WO2012104622A2 (en) Foot propelled vehicle
KR100926742B1 (ko) 발판 전개식 트라이크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US1747227A (en) Child's coaster
KR101269824B1 (ko) 운동 기구
KR200427358Y1 (ko) 퀵 보드
US9610997B1 (en) Kneel push cycle apparatus
KR101214739B1 (ko) 킥보드의 발판 조립체
KR101735658B1 (ko)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EP3056253A1 (en) Foot deck-based vehicle with increased potential energy for ollie-type manoeuvers
US1646161A (en) Child's vehicle
KR20120000593A (ko) 이륜 보드
KR200320768Y1 (ko) 바퀴가 부착된 신발
KR102072988B1 (ko) 스쿠터
KR20110007252U (ko) 유아용 씽씽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