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558B1 -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558B1
KR101205558B1 KR20100112001A KR20100112001A KR101205558B1 KR 101205558 B1 KR101205558 B1 KR 101205558B1 KR 20100112001 A KR20100112001 A KR 20100112001A KR 20100112001 A KR20100112001 A KR 20100112001A KR 101205558 B1 KR101205558 B1 KR 10120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reduction
vehicle speed
frequency
stee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644A (ko
Inventor
박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0011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5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55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진동을 줄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IN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내 진동을 줄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장치에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진동 또는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의 편마모 등으로 인한 타이어 불균형은 조향장치에 포함된 조향 휠에 작은 떨림(즉, 진동)이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진동 또는 떨림 현상은 차량 실내의 정숙도를 떨어뜨리거나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감을 저하시키고 운전자의 운전에도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진동 저감 제어가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진동 저감 제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진동 주파수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를 결정하고, 입력된 토크신호를 상기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하는 차속가변필터; 상기 필터링 된 토크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하는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진동 저감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여 모터제어를 수행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진동 저감 제어 장치가 제공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진동 주파수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를 결정하는 단계; 입력된 토크신호를 상기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된 토크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진동 저감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여 모터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진동 저감 제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가 저감시키고자 하는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가 저감시키고자 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에 위한 진동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에 위한 진동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켜 주기 위하여, 조향장치(특히, 조향휠)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진동 저감 제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본 명세서에서 "진동(Vibration)"은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조향휠의 떨림(Shake) 현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는, 입력된 차속(차량의 속도이고, 차속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음)에 근거하여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고, 이렇게 추정된 진동 주파수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를 결정하고, 토크센서에 의해 입력된 토크신호를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하는 차속가변필터(110)와, 차속가변필터(110)에서 필터링 된 토크신호를 이용하여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하는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120)와,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진동 저감 전류를 모터(10)에 공급하여 모터제어를 수행하는 모터 제어부(14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차속가변필터(110)는, 차속에 따라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고 이 추정된 진동 주파수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를 결정하여 이에 따라 필터링 함으로써, 저감시키고하는 진동 성분을 입력된 토크신호로부터 제거하고 진동 성분이 제거된 토크신호만을 필터링하여 통과시킨다.
전술한 차속가변필터(110)는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차속에 따른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할 수 있다.
차량 내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는 차속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위에서 언급한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는, 차속 및 진동 주파수가 비례하는 관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차량 내 발생하는 진동은, 특정 진동 주파수의 영역에서 크게 발생하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칼럼(Column) 공진 주파수의 영역에서 가장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가령, 칼럼 공진 주파수가 15Hz이고,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에 따라, 15Hz의 진동 주파수에 대응되는 차속이 60MPH라면, 칼럼 공진 주파수인 15Hz 근방에서 가장 큰 진동이 발생한다. 이는, 진동 주파수가 15Hz이고 차속이 60MPH인 영역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가 가장 중점적으로 작동해야하는 영역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속가변필터(110)가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기 위해 입력받는 차속은,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에 따르면 진동 주파수로서 칼럼(Column) 공진 주파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차속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차속가변필터(110)는, 일 예로서,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영역만을 통과시키는 하이패스 필터(HPF: High Pass Filter)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저감 수준에 대한 게인(Gain)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차속에 따라 진동 저감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진동 저감 수준에 대한 정보를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120)로 출력하는 진동 저감 수준 결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120)는, 차속가변필터(110)에서 필터링 된 토크신호에 따른 전류값을 진동 저감 수준 결정부(150)에서 결정된 진동 저감 수준에 따라 조절하고, 이렇게 조절된 전류값을 갖는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120)는 진동 저감 수준 결정부(150)에 의해 결정된 진동 저감 수준에 따라 진동 저감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정의된 최대 전류값에 근거하여,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진동 저감 전류를 클리핑(Clipping) 하여 모터(10)에 공급되게 하는 클리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에서 저감시키고자 하는 "진동"은, 차량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진동('떨림' 또는 '가진'이라고도 함)일 수 있는데, 특히, 평탄한 노면 조건에서 타이어의 편마모 등에 의해 발생하는 타이어 불균형(Tire Imbalance)에 의한 횡 방향 힘이 조향 휠(핸들)로 전달되는 진동일 수도 있다. 여기서, 타이어 불균형에 의한 횡 방향 힘이 조향 휠(핸들)로 전달되는 진동을 "SRS(Smooth Road Shake, 이하 'SRS'라 칭함)" 또는 "시미(Shimmy)"라고도 한다.
만약,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가 "SRS(Smooth Road Shake)" 또는 "시미(Shimmy)"라고도 불리는 진동을 저감 시키는 경우, 차속가변필터(110)는, 입력된 토크신호를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 함으로써, 차량에서의 타이어 불균형에 의한 횡 방향 힘이 조향 휠로 전달되는 진동과, 입력된 토크신호의 위상을 맞추어 준다. 이로 인해, "SRS" 또는 "시미(Shimmy)"라고도 불리는 진동이 저감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가 저감시키고자 하는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가 저감시키고자 하는 진동이 "SRS" 또는 "시미(Shimmy)"라고도 불리는 진동이라면, 이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편마모 등으로 인해 타이어 불균형이 발생하고, 발생한 타이어 불균형에 의해서 횡 방향 힘이 발생하여 조향 휠(핸들)로 전달된다.
도 2의 (a)에서 M은 타이어 불균형에 해당하는 무게이다. M은, 실험적으로, 임의로 타이어 불균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정상적인 타이어에 임의의 추를 달아서 타이어 불균형을 발생시킬 때 달아준 추의 무게이다. V는 타이어 불균형에 해당하는 무게를 발생시키는 추의 접선 방향의 속도에 해당한다.
이때, 타이어에 발생하는 타이어 불균형은, 타이어가 1 회전할 때마다 1 회의 힘의 불균형을 발생시키고 차속에 따라 그 주파수가 가변된다. 도 2의 (b)는 타이어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횡 방향 힘(M×V2)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타이어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횡 방향 힘이 조향 휠로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 불균형에 의해 횡 방향 힘 Ftire가 발생하여 토크 Ttire를 발생시키고, 이 토크 Ttire는 랙 바(Rack Bar)에 힘 Frack 이 작용하게 하여 피니온(Pinion)에서 토크 Tpinion 을 발생시킨다. 이 토크 Tpinion 로 인해 조향 칼럼에서도 동일한 토크 Tcolumn이 발생하여 조향 휠로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Ftire, Ttire, Frack , Tpinion, Tcolumn 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73625570-pat0000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가 저감시키고자 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차속가변필터(110)는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차속에 따른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게 되는데, 도 4의 그래프와 같이, 차량 내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는 차속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는, 차속 및 진동 주파수가 비례하는 관계 정보이다.
또한, 차량 내 발생하는 진동은, 특정 진동 주파수의 영역에서 크게 발생하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칼럼(Column) 공진 주파수의 영역에서 가장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가령, 칼럼 공진 주파수가 15Hz이고,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에 따라, 15Hz의 진동 주파수에 대응되는 차속이 60MPH라면, 칼럼 공진 주파수인 15Hz 근방에서 가장 큰 진동이 발생한다. 이는, 진동 주파수가 15Hz이고 차속이 60MPH인 영역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가 가장 중점적으로 작동해야하는 영역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속가변필터(110)가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기 위해 입력받는 차속은,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에 따르면 진동 주파수로서 칼럼(Column) 공진 주파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차속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아날로그 토크 신호(Analog Torque Signal, 410), 토크 차이 신호(Torque Differential, 520), 차속가변필터(110)인 HPF를 통해 하이패스 필터링 된 토크 신호(High Pass Filtered Torque, 530) 및 휠 가속 신호(Acceleration, 5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토크 신호(Analog Torque Signal, 410)가 HPF를 통과하여 하이패스 필터링 된 토크 신호(High Pass Filtered Torque, 530)는 휠 가속 신호(Acceleration, 540)와 유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왼쪽 앞타이어에서 3oz 무게(M)에 해당하는 타이어 불균형이 발생하고 차속이 100kph인 실험 조건으로 하고, 이러한 실험 조건에서,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에 의해 진동 저감 제어가 작동(ON)하는 경우와, 진동 저감 제어가 미작동(OFF)하는 경우 각각에서, 토크 신호 및 진동 저감 전류를 측정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저감 제어가 미작동(OFF)한 경우의 토크 신호를 보면 토크값이 대략 10.8kgf.cm이 되고, 진동 저감 제어가 작동(ON)하여 제어된 토크 신호를 보면 토크값이 대략 6.6kgf.cm가 된다. 따라서, 진동 저감 제어가 작동하여 토크 신호의 토크값이 대략 4.2kgf.cm 정도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조향 휠로 전달되는 진동의 저감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에 의한 진동 저감 제어가 작동(ON)한 경우에는, 진동 저감 전류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전술한 토크값의 감소, 즉 진동의 저감은 발생된 진동 저감 전류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가 제공하는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제어 장치(100)가 제공하는 진동 저감 제어 방법은,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조향장치(특히, 조향휠)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는 단계(S700)와, 추정된 진동 주파수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S702)와, 입력된 토크신호를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하는 단계(S704)와, 필터링 된 토크신호를 이용하여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S706)와, 생성된 진동 저감 전류를 모터(10)에 공급하여 모터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708)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진동 저감 제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진동 주파수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를 결정하며, 입력된 토크신호를 상기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하는 차속가변필터;
    상기 필터링 된 토크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하는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진동 저감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여 모터제어를 수행하는 모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가변필터는,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차속에 따른 상기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는 차속 및 진동 주파수가 비례하는 관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차속은,
    상기 차속 대비 진동 주파수 관계 정보에 따르면, 진동 주파수로서 칼럼(Column) 공진 주파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차속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가변필터는 상기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영역만을 통과시키는 하이패스 필터(HPF: High Pass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차속 대비 진동 저감 수준에 대한 게인(Gain)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차속에 따라 진동 저감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진동 저감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로 출력하는 진동 저감 수준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는,
    상기 필터링 된 토크신호에 따른 전류값을 상기 결정된 진동 저감 수준에 따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전류값을 갖는 상기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최대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진동 저감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동 저감 전류를 클리핑(Clipping) 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되게 하는 클리퍼를 더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가변필터는,
    상기 입력된 토크신호를 상기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 함으로써, 차량에서의 타이어 불균형에 의한 횡 방향 힘이 조향 휠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과, 상기 입력된 토크신호의 위상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장치.
  9. 진동 저감 제어 장치가 제공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조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진동 주파수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를 결정하는 단계;
    입력된 토크신호를 상기 결정된 컷오프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된 토크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진동 저감 전류를 모터에 공급하여 모터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KR20100112001A 2010-11-11 2010-11-11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20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2001A KR101205558B1 (ko) 2010-11-11 2010-11-11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2001A KR101205558B1 (ko) 2010-11-11 2010-11-11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44A KR20120050644A (ko) 2012-05-21
KR101205558B1 true KR101205558B1 (ko) 2012-11-27

Family

ID=4626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2001A KR101205558B1 (ko) 2010-11-11 2010-11-11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485B1 (ko) * 2015-12-29 2021-11-09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장치 및 조향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54A (ja) 2001-02-06 2002-08-20 Toyoda Mach Works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221978A (ja) 2007-03-12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54A (ja) 2001-02-06 2002-08-20 Toyoda Mach Works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221978A (ja) 2007-03-12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44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437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16822B1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제어 장치
JP5456576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3534130B (zh) 对用于回收由制动机动车辆所产生的能量的装置进行控制的方法
JP4227133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CN104554434A (zh) 车辆用警报装置
JP4776656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639452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制御装置
EP3342633A1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2007084006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20064445A (ko) 전동식 조향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EP3360724B1 (en)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ontrol method
KR20170069061A (ko) 조향 제어 장치 및 조향 제어 방법
JP639451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制御装置
KR20130036926A (ko) 조향휠 떨림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CN110809547B (zh) 用于产生触觉反馈的方法
KR101205558B1 (ko) 조향장치의 진동 저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5348963B2 (ja) 操舵装置
JP429067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US2015014903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teering apparatus of a motor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mechanical steering-assistance device
JP573439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5003550A (ja) 電動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DE102015224722A1 (de) Fortbewegungsmittel,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akustischen Erscheinung eines Fortbewegungsmittels
KR20210157506A (ko) 전동식 조향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1885303A (zh) 机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