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359B1 - Floa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Floa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359B1
KR101205359B1 KR20100059081A KR20100059081A KR101205359B1 KR 101205359 B1 KR101205359 B1 KR 101205359B1 KR 20100059081 A KR20100059081 A KR 20100059081A KR 20100059081 A KR20100059081 A KR 20100059081A KR 101205359 B1 KR101205359 B1 KR 10120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ill floor
hole
gripping
gripp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9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8905A (en
Inventor
박유흠
노석환
송찬이
조형욱
최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5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359B1/en
Publication of KR2011013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35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의하면, 파이프를 빠르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추 공정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pes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rapid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time required for the drilling process can be reduced.

Figure R1020100059081
Figure R1020100059081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해저에 위치한 유정 또는 가스정으로부터 원유 또는 가스를 얻기 위해서는 유정 또는 가스정까지 연장되는 구멍을 뚫는 시추 작업이 필요하다. To obtain crude oil or gas from an oil well or gas well located on the seabed, drilling is required to drill holes extending into the well or gas well.

해상에서의 시추 작업은 드릴 파이프, 라이저 파이프 등의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데릭 등의 시추 설비가 장착된 부유식 구조물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Offshore drilling can be done by floating structures equipped with drilling facilities, such as derricks, for installing pipes such as drill pipes, riser pipes, and the like.

예를 들면, 파이프는 소정의 이송 장치에 의해 드릴 플로어로 이송되어 순차적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ipe may be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pipe is transferred to the drill floor by a predetermined transfer device and subsequently connected to the pipes which are already installed.

상세히, 파이프를 크레인 등의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이송 장치로부터 들어올린 후, 파이프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의 상측, 즉 시추 지점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시킨 파이프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와 정렬한 후,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에 결합한다.In detail, the pipe is lifted from the transfer device by using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and then the pipe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isting pipe, that is, the drilling point. Then, the moved pipe is aligned with the existing pipe, and then coupled to the existing pip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파이프를 이송 장치로부터 시추 지점까지 이동시키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와 정렬하는 데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바, 수백 내지 수천 개의 파이프 연결 작업이 필요한 일반적인 시추 공정의 작업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It takes a long time to move a pipe from a transfer device to a drilling point and to align it with an existing pipe, which increases the working time of a general drilling process requiring hundreds to thousands of pipe connection operations.

특히, 파이프의 이동 및 정렬 작업은 안정성 및 정확성이 요구되므로, 고속으로 진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movement and alignment of pipes requires stability and accuracy, it is difficult to proceed at high spe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추 공정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working time of the drill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는,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문풀; 상기 문풀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이프가 통과되는 홀을 포함하는 드릴 플로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파이프 저장부; 상기 파이프 저장부로부터 상기 드릴 플로어까지 파이프를 이송하는 파이프 이송부; 상기 드릴 플로어에 제공되며, 상기 홀에 파이프를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 및 상기 홀에 정렬된 파이프와 기설치된 파이프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 이송부로부터 상기 정렬 장치로 파이프를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가 포함된다.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apable of maintaining a floating state; Moon pull penetrating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ill floor disposed above the door pool and including a hole through which the pipe passes; A pipe storage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pipe conveying part which conveys a pipe from the pipe storage part to the drill floor; An alignment device provided on the drill floor to align the pipe in the hole; And a lifting device for moving the pipe from the pipe conveying part to the alignment device while the pipe aligned in the hole and the pre-installed pipe are connected.

또한, 상기 정렬 장치에는, 상기 드릴 플로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lignment device, the base installed on the drill floor;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And at least two or more rotation parts are installed, and a gripping part capable of selectively gripping a pipe.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rotation.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릴 플로어와 평행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이프를 상기 드릴 플로어와 수직하게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part may be rotat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drill floor, and the gripping part may grip the pipe perpendicularly to the drill floor.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는, 파이프의 일측을 들어올려 파이프를 세울 수 있는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ne that can lift the pipe by lifting one side of the pipe.

또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파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리프팅 장치로부터 파이프를 전달받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is stopped, any one of the gripping portion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hole, the other of the gripping portion is located in a position to receive the pipe from the lifting device It is don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의하면, 파이프를 빠르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추 공정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ipes rapidly and continuously, thereby reducing the work time required for the drill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 1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 2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 3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show a first state in which a pipe is connected in the floating structure of FIG.
3a and 3b show a second state in which the pipe is connected in the floating structure of FIG.
4A and 4B show a third state in which pipes are connected in the floating structure of FIG.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은,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문풀(moon pool, 11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파이프 저장부(120),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제공되는 드릴 플로어(210)를 지지하는 지지부(140), 상기 파이프 저장부(120)로부터 상기 드릴 플로어(210)까지 파이프를 이송하는 파이프 이송부(130), 상기 드릴 플로어(210) 상에 설치되는 데릭(220), 파이프를 시추 지점에 위치시키는 정렬 장치(300), 및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로부터 상기 정렬 장치(300)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2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loa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capable of maintaining a floating state and a moon pool 110 penetrating the main body 10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ipe storage unit 1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support unit 140 supporting the drill floor 21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ipe storage unit 120 from the Pipe conveying unit 130 for transporting the pipe to the drill floor 210, the derrick 220 is installed on the drill floor 210, the alignment device 300 for positioning the pipe at the drilling point, and the pipe to the pipe conveying unit It may include a lifting device 240 to move from 130 to the alignment device (300).

상기 본체(100)는 물에 뜬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체이며, 원유/가스 시추 플랜트, 원유/가스 시추선,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PSO),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LNG FPSO) 등일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an object capable of maintaining a floating state floating in water, crude oil / gas drilling plant, crude oil / gas drilling vessel, floating crude oil production storage facility (FPSO), 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crude oil Production storage facilities (LNG FPSO).

상기 문풀(110)은 상기 본체(10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드릴 파이프 및 라이저 파이프 등의 파이프(400)는 상기 문풀(110)을 통과해 수중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파이프(400)는 다수 개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정/가스정 또는 해저까지 이어질 수 있다.The door pool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formed in the body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Pipes 400, such as drill pipes and riser pipes, may extend underwater through the door pool 110. In detail, the pipe 400 may be connected to the oil well / gas well or the sea floor by moving downward while continuous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상기 파이프 저장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 측면, 내부 등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시추 및 채취에 필요한 상기 파이프(400)를 저장한다. 상기 파이프 저장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파이프(400)를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로 옮기는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The pipe storage unit 12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uch as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and stores the pipe 400 required for drilling and sampling. Equipment for moving the pipe 400 to the pipe transfer unit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pipe storage unit 120.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는 상기 파이프 저장부(120)로부터 상기 드릴 플로어(210)로 연장되며, 상기 파이프(400)를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 설치된 상기 리프팅 장치(240)까지 이송한다.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는 벨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등일 수 있으며, 와이어에 연결된 후크 등으로 상기 파이프(400)를 끌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일 수 있다. The pipe transfer unit 130 extends from the pipe storage unit 120 to the drill floor 210, and transfers the pipe 400 to the lifting device 240 installed in the drill floor 210. The pipe conveying unit 130 may be a belt conveyor, a chain conveyor, or the like, and may be a crane capable of pulling up the pipe 400 with a hook connected to a wire.

상기 드릴 플로어(210)는 상기 지지부(140)에 의해 상기 본체(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문풀(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서는 상기 파이프(400)를 상기 문풀(110)을 통해 해저로 내리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drill floor 21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0 by the support part 140,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door pool 110. In the drill floor 210, the work of lowering the pipe 400 to the seabed through the door pool 11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는 상기 파이프(400)가 통과할 수 있는 홀(도 2a, 211)이 형성된다. The drill floor 210 is provided with holes (FIGS. 2A and 211) through which the pipe 400 can pass.

상기 데릭(220)은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4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rrick 220 may be installed on the drill floor 210, and may include a drive (not shown) for moving the pipe 400 downward.

상기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에 의해 상기 드릴 플로어(210)로 이송되어 온 파이프를 들어올려 상기 정렬 장치(300)로 운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프팅 장치(240)로 걸이부(도 2a, 242), 윈치(도 2a, 244) 등을 포함하는 크레인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데릭(220)에 설치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The lifting device 240 lifts a pipe transferred to the drill floor 210 by the pipe transporter 130 and transports the pipe to the alignment device 300.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a crane including a hook (Fig. 2a, 242), winch (Fig. 2a, 244) and the like is used as the lifting device 240. In addition, the lifting device 240 may have a structure installed in the derrick 220.

상기 정렬 장치(300)는 상기 리프팅 장치(240)로부터 전달받은 파이프를 시추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파이프를 정확한 시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추 위치는 상기 홀(211)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시추 위치는, 파이프가 상기 홀(211)을 통과하여 기설치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설치된 파이프의 직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이며,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추하고자 하는 해저의 특정 지점의 직 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정렬 장치(300)는 파이프가 상기 홀(211)을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파이프와 상기 홀(211)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 alignment device 300 may move the pipe received from the lifting device 240 to the drilling position and align the pipe to the correct drilling position. Here, the drilling position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hole 211. In detail, the drilling position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directly above the installed pipe when the pipe is already installed through the hole 211, and a specific point of the seabed to be drilled when the pipe is not installed. It may b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directly above. In other words, the alignment device 300 may align the pipe and the hole 211 so that the pipe may vertically pass through the hole 211.

상기 정렬 장치(300)는 상기 리프팅 장치(240)로부터 전달받은 파이프가 연속적으로 기설치된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동되며, 상기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어 온 파이프를 상기 정렬 장치(300)로 연속적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정렬 장치(300)에 의해 정렬된 파이프와 기설치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과, 상기 이송부(130)로부터 상기 정렬 장치(300)에 파이프를 전달하는 작업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The alignment device 300 is driven so that the pipe received from the lifting device 240 can be connected to the pipes that are continuously installed, and the lifting device 240 receives the pipes transferred by the pipe transfer unit 130. Continuously delivered to the alignment device (300).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pipes arranged by the alignment device 300 and the pre-installed pipes and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pipes from the transfer unit 130 to the alignment device 300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에서 파이프 연결이 이뤄지는 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the process of the pipe connection is made in the floa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홀(211)을 통과하여 해저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설치된 파이프를 기설치 파이프(410)라 하고, 상기 정렬 장치(300)에 의해 이동 중인 파이프를 예비 파이프(420)라 하며,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 중인 파이프를 이송 파이프(430)라고 하겠다.In addition, hereinafter, a pre-installed pipe extending through the hole 211 and extending in the seabed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pre-installed pipe 410, and the pipe being moved by the alignment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below. Called 420, the pipe being transferred by the pipe transfer unit 130 will be referred to as a transfer pipe 430.

또한,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연결된 후 하방으로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제 1 상태라 하고, 상기 정렬 장치(300)에 의해 다음 차례의 상기 예비 파이프(420)가 상기 홀(211)에 정렬된 상태를 제 2 상태라 하며, 상기 다음 차례의 상기 예비 파이프(420)가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연결된 상태를 제 3 상태라고 하겠다. In additio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is completed after the one pipe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pipe 410 is completed as the first state, and the preliminary pipe 420 next to the hole by the alignment device 300 is the hole ( A state aligned to 211 is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and a state in which the next preliminary pipe 420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pipe 410 is called a third state.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 1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a는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 설치된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도 1의 A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2A and 2B are views illustrating a first state in which a pipe is connected in the floating structure of FIG. 1, and FIG. 2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rill floor 210, and is shown in area A of FIG. 1. A corresponding part, FIG. 2B, is a plan view of FIG. 2A.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는 파이프가 통과하여 해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파이프 통과 홀(21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 홀(211)은 해저에 위치하는 시추하고자 하는 특정 지점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스러스터(미도시)가 제공되어 해상에서의 상기 홀(211)의 위치, 즉 시추할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2A and 2B, a pipe passage hole 211 is formed in the drill floor 210 to allow the pipe to pass and extend in the seabed direction. The through hole 211 may be located directly above a specific point to be drilled located on the sea floor.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thruster (not show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le 211, that is, the position to be drilled at sea.

상기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241), 파이프를 걸어서 들어올려 파이프를 세울 수 있는 걸이부(242), 상기 걸이부(242)를 지탱하는 와이어(243), 상기 와이어(243)를 권선함으로써 상기 걸이부(242)의 수직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윈치(244), 상기 윈치(244)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2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245)는 슬롯일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2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ipe conveying unit 130, and supports the frame 241, a hooking unit 242 that can lift the pipe by lifting the pipe, and a hooking unit 242. A wire 243, a winch 244 capable of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ook part 242 by winding the wire 243, and a guide 245 for guiding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winch 244. It may include. The guide 245 may be a slot.

상기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와이어(243)의 권선량 및 상기 윈치(244)의 상기 가이드(245) 내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걸이부(242)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이부(242)에 걸린 파이프를 상기 정렬 장치(300)까지 운반 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240 adjusts the winding amount of the wire 243 and the position in the guide 245 of the winch 244, thereby moving the hook portion 242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so that the hook portion The pipe hung on 242 may be carried to the alignment device 300.

이와 같은 상기 리프팅 장치(24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이송 파이프(430)를 들어올려 상기 정렬 장치(300)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Such a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device 240 is only one example, and various known means for lifting the transfer pipe 430 to the alignment device 300 may be used.

한편, 상기 정렬 장치(300)에는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 설치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320), 상기 회전부(320)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30)가 포함된다.Meanwhile, at least two or more bases 310 installed on the drill floor 210, rotating parts 320 installed rotatably on the base 310, and the rotating parts 320 are installed on the alignment device 300. And a gripping portion 330 for selectively gripping the pipe.

상기 베이스(310) 내부에는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 장치가 제공되어 상기 회전부(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base 310 to rotate the rotating part 320.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베이스(310)에 안착되어 상기 드릴 플로어(210)와 수평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20)에는 상기 파지부(330)를 작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 피니언 기어(미도시), 랙 기어(미도시) 등의 구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The rotating part 320 may be seated on the base 310 to rotate horizontally with the drill floor 210. The rotating part 320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not shown), a pinion gear (not shown), a rack gear (not shown) for operating the holding part 330.

또한,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와 상기 홀(211)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회전되더라도 상기 파지부(330)가 일정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평면이 원형 또는 정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320 is formed in a size rotatable between the pipe transfer part 130 and the hole 211, the plane is a circular or regular polygon so that the holding part 330 is in a constant position even if it is rotated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상기 파지부(330)는 상기 회전부(320)에 회전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30)는 상기 회전부(320)에 제공된 구동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330)는 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도록 파지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330 may be installed in a shape that protrudes in the rotational radial direction on the rotating part 320, and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320. The gripping part 330 may selectively grip the pipe by a driving device provided in the rotating part 320. At this time, the gripping portion 330 may grip the pipe so that it is loca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파지부(330) 중 하나는 상기 회전부(320)가 회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예비 파이프(420)를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홀(2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이송 파이프(430)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를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부(330)에 의해 상기 예비 파이프(420)가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상측에 정렬될 수 있다.One of the gripping parts 33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hole 211 so that the preliminary pipe 420 may be connected to the pre-installed pipe 410 while the rotating part 320 stops rotating. The other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pipe transfer unit 130 to receive the transfer pipe 430. That is, the preliminary pipe 420 may be aligned above the pre-installed pipe 410 by the gripper 330.

또한, 상기 파지부(330)는 상기 회전부(32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지부(330)는 상기 예비 파이프(420)를 상기 홀(211)의 상부에서 놓은 후, 상기 예비 파이프(420)와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의 연결 작업 등의 후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320)의 내측으로 함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20)의 내측에는 상기 파지부(330)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등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 part 33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 320. For example, the holding unit 330 after the preliminary pipe 42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e 211, the subsequent work such as the connection work of the preliminary pipe 420 and the installation pipe 410, and the like. It may be recessed into the rotating part 320 so that this can be easily achieved. A solenoid driving device for linearly moving the holding part 3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part 320.

또한, 상기 파지부(330)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33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320)는 평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330)는 4개가 제공되며, 각각 정사각형의 모서리의 중심부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즉, 상기 파지부(330)는 상기 회전부(32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ㅀ의 각거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320)는 매회 90ㅀ씩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정지 시 상기 파지부(3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홀(2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ng part 320 is formed in a planar square shape, four holding parts 330 are provided, each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rner of the square. That is, the gripping portion 330 may be disposed to have an angular distance of 90 ㅀ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tating portion 320. In this case, the rotating part 320 may be rotated by 90 ° every time, and at least one of the holding parts 330 may be driven to be positioned above the hole 211 when the rotation stop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 1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홀(211)의 상측에 위치된 파지부를 제 1 파지부(331)라 하고, 시계 방향으로 순서대로 각각 제 2 파지부(332), 제 3 파지부(333), 제 4 파지부(334)라고 하겠다. 즉, 상기 제 3 파지부(333)는 상기 제 1 파지부(331)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ripping portion located above the hole 211 based on the first state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gripping portion 331, and respectively, in the clockwise order. The second gripping portion 332, the third gripping portion 333, and the fourth gripping portion 334 will be referred to as. That is, the third gripping portion 333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gripping portion 331.

그리고, 상기 회전부(3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And, the rotating unit 3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는 상기 드라이브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이 완료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지부(331)는 상기 홀(211)의 상측에서 파지하고 있던 파이프를 놓은 후 상기 드라이브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회전부(320) 내부로 함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파지부(333)는 상기 리프팅 장치(240)에 의해 전달된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파지부(334)는 상기 예비 파이프(420)를 파지하고 있다. In the first state, the installation pipe 410 is completed to move downward by the drive. The first gripping part 331 may be inserted into the rotating part 320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drive after placing the pipe held by the upper side of the hole 211. In addition, the third gripping portion 333 may grip the pipe transferred by the lifting device 240. The fourth gripping portion 334 holds the preliminary pipe 420.

그리고, 상기 걸이부(242)는 파이프를 상기 제 3 파지부(333)로 전달한 후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이송 파이프(430)의 상측으로 복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ok part 242 may return the pipe to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pipe 430 transferred by the pipe transfer part 130 after transferring the pipe to the third holding part 333.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 2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a는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 설치된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second state in which a pipe is connected in the floating structure of FIG. 1, FIG. 3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rill floor 210, and FIG. 3B is FIG. 3A. Top view of th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90ㅀ회전하여 상기 제 2 상태가 된다. 3A and 3B, the rotation part 320 is rotated 90 ° clockwise in the first state to be in the second state.

이때, 상기 제 4 파지부(334)는 상기 홀(2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의 직 상방에 상기 예비 파이프(420)가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gripping portion 334 may be located above the hole 211. In other words, the preliminary pipe 420 may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pre-installed pipe 410.

아울러, 상기 제 1 파지부(331)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파지부(332)의 위치로 이동되며, 함입된 만큼 다시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gripping portion 331 may mov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gripping portion 332 in the first state, and may protrude again as much as it is embedded.

이때, 상기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윈치(244)의 위치 및 상기 와이어(243)의 권선량을 조절하여 상기 걸이부(242)를 상기 파이프 이송부(130) 상의 상기 이송 파이프(430)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걸이부(242)에 상기 이송 파이프(430)의 일측 단부를 거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걸이부(242)에 전자석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걸이부(242)를 상기 이송 파이프(430)의 주변에 위치시킨 후 전자석을 구동하여 작업자의 도움 없이 상기 이송 파이프(430)를 들어올릴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lifting device 24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winch 244 and the winding amount of the wire 243 to move the hook portion 242 to the transfer pipe 430 on the pipe transfer portion 130. You can. And, the worker may work to hang one end of the transfer pipe 430 to the hook portion 242. Alternatively, when the hook part 242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the lifting device 240 places the hook part 242 around the transfer pipe 430 and drives the electromagnet without the help of an operator. The transfer pipe 430 may be lifted.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 3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a는 상기 드릴 플로어(210)에 설치된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다.4A and 4B show a third state in which the pipe is connected in the floating structure of FIG. 1, FIG. 4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rill floor 210, and FIG. 4B is FIG. 4A. Top view of the.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 4 파지부(334)에 파지되어 있던 상기 예비 파이프(420)는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각 파이프의 단부에는 암나사 및 수나사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4A and 4B, the preliminary pipe 420 held by the fourth gripper 334 is connected to the pre-installed pipe 410. For example, at the end of each pipe, female and male threads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ing.

이때, 상기 제 4 파지부(334)는 상술한 파이프 연결 작업 및 하방 이동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예비 파이프(420)를 놓고 상기 회전부(320) 내부로 함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gripping part 334 may be embedded in the rotating part 320 with the preliminary pipe 420 so that the above pipe connection work and the downward movement work can be performed smoothly.

한편, 상기 예비 파이프(420)가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연결되어 하방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 2 파지부(332)는 상기 걸이부(242)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이송 파이프(430)를 파지한다. Meanwhile, while the preliminary pipe 420 is moved downward by being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pipe 410, the second gripping portion 332 moves the transfer pipe 430 moved by the hook portion 242. Gripping.

여기서, 상기 제 2 파지부(332)에 의한 상기 이송 파이프(430)의 파지 작업은 상기 예비 파이프(420)가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이동되기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가 상기 드라이브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부(320)가 회전되고 바로 이어서 다음 파이프의 연결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transfer pipe 430 by the second gripping portion 332 may be finished before the preliminary pipe 420 is connected to the pre-installed pipe 410 and moved downward. In this case, when the pipe is moved downward by the drive, the rotating unit 320 is rotated immediately followed by the connection of the next pipe may be performed.

상기 걸이부(242)는 상기 이송 파이프(430)의 상기 제 2 파지부(332)로의 전달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이송 파이프를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제 1 상태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The hook portion 242 may return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tate to lift the next transfer pipe when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transfer pipe 430 to the second grip portion 332 is completed.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연결된 상기 예비 파이프(420)의 하방 이동이 완료되고, 상기 제 2 파지부(332)가 상기 이송 파이프(430)의 파지를 완료하면, 상기 제 1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320)는 다시 시계 방향으로 90ㅀ회전하여 상술한 제 2 상태 및 제 3 상태에서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Whe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reliminary pipe 420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pipe 410 is completed,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332 completes the gripping of the transfer pipe 430, the first pipe is in the first state. In addition, the rotation unit 320 may rotate 90 ° clockwise again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in the second and third state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정렬 장치(300) 및 상기 리프팅 장치(240)에 의해 상기 문풀(110)을 통해 해저로 연장되는 파이프의 연결 작업은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Connection of the pipe extending to the seabed through the door pool 110 by the alignment device 300 and the lifting device 24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made continuously.

상세히, 상기 정렬 장치(300)의 일측에서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들과 상기 예비 파이프(420)의 연결 및 하방 이동 작업이 진행됨과 동시에, 타측에서는 상기 이송 파이프(430)를 상기 정렬 장치(300)에 연결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따라서, 하나의 파이프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회전부(320)를 회전시켜 바로 이어서 다음 파이프의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 매우 빠른 속도로 파이프 연결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In detail, at one side of the alignment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pre-installed pipes 410 and the preliminary pipe 420 and the downward movement operation, at the other side, the transfer pipe 430 to the alignment device ( 300) is done. Therefore, when one pipe is connected, the pipe connec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a very high speed as the rotary unit 320 may be rotated to immediately perform the next pipe connecting operation.

이 경우, 상기 파지부(330)가 상기 홀(211)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와 상기 예비 파이프(420)가 정렬되도록 형성되므로, 파이프 연결을 위하여 정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ipping portion 330 is positioned above the hole 211 so that the pre-installed pipe 410 and the preliminary pipe 420 are aligned so that the time required to align for the pipe connection It can be shortened.

더 상세히, 종래에는 상기 드라이브에 의한 파이프 하방 이동 전에 파이프 리프팅 시간(T1), 파이프 정렬 시간(T2), 파이프 연결 시간(T3)이 모두 반복적으로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연결 시간(T3)에 대응될 수 있는 상기 기설치 파이프(410)에 상기 예비 파이프(420)를 연결하는 시간 및 상기 파이프 리프팅 시간(T1)에 대응될 수 있는 상기 이송 파이프(430)를 상기 정렬 장치(300)에 연결하는 시간 중 더 긴 시간과,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에 소요되는 시간만 소요된다.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은 모터 등 소정의 구동 장치에 의해 이뤄지므로 무시 가능할 정도로 빠른 시간에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파이프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ipe lifting time T1, the pipe alignment time T2, and the pipe connection time T3 have all been repeatedly taken before the pipe downward movement by the drive. However, according to the floa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for connecting the preliminary pipe 420 to the pre-installed pipe 410 that may correspond to the pipe connection time (T3) and the Only the longer time for connecting the transfer pipe 430 to the alignment device 300, which may correspond to the pipe lifting time T1,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320 are required. Sinc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320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the rotation part 320 may be made at a time that is negligible as fast as possible. Therefore, the pipe connec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a higher speed than in the prior art.

즉, 상기 파이프 리프팅 시간(T1) 또는 상기 파이프 연결 시간(T3)과, 상기 파이프 정렬 시간(T2)에 대응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시추 공정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pipe lifting time T1 or the pipe connection time T3 and the pipe alignment time T2 can be saved. Thus, the work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drilling process can be greatly reduc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s described above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broadest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idea disclosed herein. d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ield, and can be combined / substituted the disclosed embodiments to implement a pattern of a timeless shape, but this also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부유식 구조물 100 : 본체
110 : 문풀 120 : 파이프 저장부
130 : 파이프 이송부 210 : 드릴 플로어
220 : 데릭 240 : 리프팅 장치
242 : 걸이부 244 : 윈치
300 : 정렬 장치 310 : 베이스
320 : 회전부 330 : 파지부
400 : 파이프 410 : 기설치 파이프
420 : 예비 파이프 430 : 이송 파이프
10: floating structure 100: main body
110: moon pool 120: pipe storage
130: pipe conveying unit 210: drill floor
220: Derrick 240: lifting device
242: hanger 244: winch
300: alignment device 310: base
320: rotating part 330: holding part
400: pipe 410: installation pipe
420: spare pipe 430: feed pipe

Claims (6)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문풀;
상기 문풀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이프가 통과되는 홀을 포함하는 드릴 플로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파이프 저장부;
상기 파이프 저장부로부터 상기 드릴 플로어까지 파이프를 이송하는 파이프 이송부;
상기 드릴 플로어에 제공되며, 상기 홀에 파이프를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 및
상기 홀에 정렬된 파이프와 기설치된 파이프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 이송부로부터 상기 정렬 장치로 파이프를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정렬 장치에는,
상기 드릴 플로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파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리프팅 장치로부터 파이프를 전달받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는 부유식 구조물.
A main body capable of maintaining a floating state;
Moon pull penetrating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ill floor disposed above the door pool and including a hole through which the pipe passes;
A pipe storage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pipe conveying part which conveys a pipe from the pipe storage part to the drill floor;
An alignment device provided on the drill floor to align the pipe in the hole; And
A lifting device for moving the pipe from the pipe conveying portion to the alignment device while the pipe aligned in the hole is connected to the pre-installed pipe,
The alignment device,
A base installed on the drill floor;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And
At least two or more installed on the rotating part, and includes a gripping portion for selectively gripping the pipe,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is stopped,
Any one of the gripping portions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hole,
The other of said gripping portions is located in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a pipe from said lifting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pping portion is a floa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rotation.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릴 플로어와 평행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이프를 상기 드릴 플로어와 수직하게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rotary part is rotated in parallel with the drill floor,
And the gripping portion grips the pipe perpendicular to the drill floor.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파이프의 일측을 들어올려 파이프를 세울 수 있는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lifting device,
Floa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ne can lift the one side of the pipe to raise the pipe.
삭제delete
KR20100059081A 2010-06-22 2010-06-22 Floating Structure KR101205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9081A KR101205359B1 (en) 2010-06-22 2010-06-22 Floa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9081A KR101205359B1 (en) 2010-06-22 2010-06-22 Float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05A KR20110138905A (en) 2011-12-28
KR101205359B1 true KR101205359B1 (en) 2012-11-28

Family

ID=4550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9081A KR101205359B1 (en) 2010-06-22 2010-06-22 Floa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3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236B1 (en) * 2012-07-06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and Leg thereof
KR101422233B1 (en) * 2012-07-06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KR101422227B1 (en) * 2012-07-09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KR101399933B1 (en) * 2012-07-27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KR101379429B1 (en) * 2012-11-16 2014-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having movable guide bridge
KR101517440B1 (en) * 2013-11-29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nitoring device for riser and ocean structure with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1518A1 (en) 1997-08-29 1999-03-11 Dsnd Offshore As Apparatus for a mobile installation, especially an offshore vess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1518A1 (en) 1997-08-29 1999-03-11 Dsnd Offshore As Apparatus for a mobile installation, especially an offshore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05A (en)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359B1 (en) Floating Structure
US10760361B2 (en) Wellbore drilling system
US8936424B1 (en) Vertical pipe handler with pivoting arms and smart grip
BRPI0818770B1 (en) pip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a pipe from a horizontal orientation.
RU2746984C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drill pipes
WO2016024859A1 (en) Offshore pipe handling system
US20160208566A1 (en) Vertical pipe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2010529327A5 (en)
US11591863B2 (en) Multifunction handler for handling drilling elements in a drilling rig, drilling rig and related methods for handling drilling elements
KR200492496Y1 (en) A handling system for drill pipe
CA2974077C (en) Positioning arrangement, rod handling device, drill rig and method for positioning of a drill rod
CN109404022B (en) Automatic anchor drilling device for anchor rod machine
US117956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sea wall insertion
KR101594103B1 (en) Drill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apparatus for moving other types pipe
KR20160099325A (en) Riser transferring system, riser withdrawing apparatus, and riser transferring method using the system in drilling offshore structure
KR101503275B1 (en) Subsea Christmas Tree Transporting System and Transporting Method
KR20120007653U (en) Apparatus for carrying bop trolley unit using in drill ship
JP5781112B2 (en) Pile rotary presser direction changing method and pile rotary presser re-installation method
KR20160024177A (en) Rotary type finger board and pipe handling system with the same
KR20200076199A (en) Riser handling system of drillship
KR20160041594A (en) Riser lifting apparatus and riser transport system with the same
KR20160024179A (en) Rotary type finger board and pipe handling system with the same
KR20150004518A (en) Flow controller input device of drill ship
KR20160041593A (en) Riser lifting apparatus and riser transport system with the same
KR20140006486U (en) Transporting Apparatus for Azimuth Thr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