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976B1 -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976B1
KR101204976B1 KR1020100131690A KR20100131690A KR101204976B1 KR 101204976 B1 KR101204976 B1 KR 101204976B1 KR 1020100131690 A KR1020100131690 A KR 1020100131690A KR 20100131690 A KR20100131690 A KR 20100131690A KR 101204976 B1 KR101204976 B1 KR 10120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pe
turbine generator
pedestal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222A (ko
Inventor
류순철
허정재
이선대
홍현택
한준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9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8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8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10Metals, alloys or intermetall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페데스탈과 배출구에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터빈을 지지하는 페데스탈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배출구로 배출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유입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에 유입된 오일을 상기 배출구로 전송하며,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배출구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되며 배출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휨성을 가지는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페데스탈과 배출구에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휨성을 가지는 파이프는 종래 강관에 비하여 매우 가벼우므로 작업자가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Apparatus of oil emmision for turbine generator}
본 발명은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페데스탈과 배출구에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빈은 발전소의 핵심설비 중의 하나로,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에는 스팀터빈(Steam turbine)이 주로 사용된다. 스팀터빈은 스팀의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회전동력기관으로, 고온고압의 증기를 노즐 또는 고정된 날개로부터 분출?팽창시켜 나온 스팀을 회전하는 터빈 날개에 부딪쳐서 그 충동작용 또는 반동작용에 의하여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스팀터빈은 페데스탈에 의해 지지되며, 스팀터빈은 상당한 중량과 길이를 가지므로 하나 이상의 페데스탈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스팀터빈은 페데스탈의 상부에서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스팀터빈과 페데스탈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마찰력에 의하여 스팀터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터빈과 페데스탈의 사이에 지속적으로 오일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때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오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폐오일은 배출하여야 한다. 도 3에 의하면, 종래에는 폐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 페데스탈(200)에 오일 배출용 강관(300)을 결합하고, 상기 강관(300)과 배출구(400)를 결합하여 페데스탈에서 발생되는 페오일을 외부로 배출하였다. 이러한 강관(300)은 상당한 중량과 크기를 가지며 매우 협소한 장소에서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강관(300)을 결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페데스탈(200)에 결합된 강관(300)과 배출구(400)는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강관(300)과 배출구(400)를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음부(500)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이음부(500)도 매우 협소한 공간 내에서 결합되므로 이음부(500)를 결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음부(500)는 강관(300)과 배출구(400)에 밀착 결합되지 않으므로, 누유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강관을 설치하는 작업중에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페데스탈과 배출구에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배출구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합하기 위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배출구에 밀착 결합하여 누유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는, 터빈을 지지하는 페데스탈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배출구로 배출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유입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에 유입된 오일을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며,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배출구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되며 배출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복수의 위치로 오일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40)와 상기 배출구(400)는 퀵 커플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페데스탈과 배출구에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플렉시블 파이프는 종래 강관에 비하여 매우 가벼우므로 작업자가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 내에서 무거운 강관으로 형성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와 배출구는 퀵 커플러를 통해 결합되므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퀵 커플러에 의해 결합부와 배출구가 밀착 결합되므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오일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본 발명은, 터빈(100)을 지지하는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배출구(400)로 배출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유입되는 분배기(20); 상기 분배기(20)에 유입된 오일을 상기 배출구(400)로 전송하며,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분배기(20)와 상기 배출구(400)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파이프(30); 및 상기 파이프(30)의 일단에 구비되며 배출구(400)에 결합되는 결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기(20)는 페데스탈(200)의 일면에 고정결합되어,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유입된다. 분배기(20)와 페데스탈(200)이 고정결합되는 부분은 누유(漏油)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하여 결합되며, 누유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페데스탈(200)에 분배기(20)를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퀵 커플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분배기(20)에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30)가 결합되며, 분배기(20)와 파이프(30)가 결합되는 부분은 누유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하여 결합한다. 즉 분배기(20)에 하나 이상의 파이프(30)를 결합함으로써,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된 오일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분배기(20)와 파이프(30)는 퀵 커플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배기(20)와 파이프(30)가 일체로 형성되어 누유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분배기(20)에 결합되는 파이프(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기(20)에 파이프(3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미도시)가 3개 구비되어 있고 2개의 파이프(30)가 필요한 경우, 2개의 결합구(미도시)에 파이프(30)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의 결합구(미도시)는 오일이 유출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즉 필요에 따라 분배기(20)에 결합되는 파이프(3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인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10)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파이프(30)는 분배기(20)에 고정결합되어, 분배기(20)에 유입된 오일을 외부에 위치한 배출구(400)로 배출한다. 또한 파이프(30)는 협소한 공간 내에서 설치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진다. 즉 플렉시블한 특성에 의하여 파이프(30)를 쉽게 구부릴 수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파이프(3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30)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프(30)는 이격되어 위치하는 페데스탈(200)과 배출구(4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누유현상를 방지하지 위하여 파이프(30)는 분배기(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휨성을 가지는 파이프(3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는 협소한 장소에서도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1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강관을 사용하였고, 강관의 특성상 휘어지지 않으므로 협소한 장소에서 강관을 설치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웠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렉시블 파이프(30)를 사용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3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복수의 위치로 오일을 배출한다. 즉 복수개 구비된 파이프(30)를 이용하여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서로 다른 배출구(40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오일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30)가 복수개 구비되므로, 페데스탈(200)에서 많은 양의 오일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파이프(30)를 이용하여 오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파이프(30)가 막히거나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파이프(30)를 사용하여 오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파이프(30)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분배기(20)에 파이프(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분배기(20)와 파이프(30)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배기(20)와 파이프(30)를 밀착하여 고정결합하고 패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40)는 파이프(30)의 일단에 구비되고, 결합부(40)에 의해 파이프(30)가 배출구(400)에 결합된다. 또한 결합된 결합부(40)와 배출구(400)의 사이에서 누유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부(40)와 배출구(400)를 밀착하여 고정결합하고 패킹을 사용하여 누유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40)는 배출구(400)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퀵 커플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퀵 커플러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결합부(40)를 퀵 커플러의 플러그로 형성하고 배출구(400)를 상기 결합부(40)에 대응하는 퀵 커플러의 소켓으로 형성하여, 결합부(40)를 신속 간단하게 배출구(4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기밀성이 높은 퀵 커플러를 사용하여 결합부(40)와 배출구(400)의 사이에서 누유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양로 개폐형 구조의 퀵 커플러를 사용하여, 결합부(40)와 배출구(400)가 분리된 경우에도 결합부(40)를 통해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40)로 퀵 커플러를 사용함으로써,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합부(40)를 배출구(4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된 결합부(40)와 배출구(400)의 사이에서 누유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인 플렉시블 파이프가 구비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인 플렉시블 파이프가 구비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10)는 터빈(100)을 지지하는 페데스탈(200)과 배출구(400)에 결합되어,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배출구(400)로 배출시킨다. 먼저,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10)의 분배기(20)를 페데스탈(200)에 결합하며, 결합된 분배기(20)와 페데스탈(200)의 사이에서 누유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하여 결합한다. 또한 누유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배기(20)와 페데스탈(200)이 결합하는 부분에 패킹을 삽입할 수도 있다.
분배기(20)를 페데스탈(200)에 결합한 후, 결합부(40)를 이용하여 파이프(30)를 배출구(400)에 결합한다. 이때 사용되는 파이프(30)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므로 작업자는 파이프(30)를 배출구(4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종래 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강관과 달리 유연하고 가벼우므로, 작업자는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10)를 용이하게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이프(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30)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40)를 배출구(400)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부(40)와 배출구(400)를 퀵 커플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즉 결합부(40)를 퀵 커플러의 플러그로 형성하고 배출구(400)를 퀵 커플러의 소켓으로 형성하여, 결합부(40)를 배출구(400)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합한다.
또한 복수개의 파이프(30)가 구비된 경우에 각 파이프(30)에 구비된 결합부(40)를 이용하여 파이프(30)를 배출구(400)에 결합한다. 즉 복수개의 파이프(30)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파이프(30)가 막히거나 파손된 경우에도 다른 파이프(30)를 사용하여 오일을 배출할 수 있으며,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의 양이 많은 경우에 복수개의 파이프(30)를 사용하여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일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10…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20… 분배기
30… 파이프
40… 결합부
100… 터빈
200… 페데스탈
300… 강관
400… 배출구
500… 이음부

Claims (4)

  1. 터빈(100)을 지지하는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배출구(400)로 배출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2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유입되는 분배기(20);
    상기 분배기(20)에 유입된 오일을 상기 배출구(400)로 배출하며,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분배기(20)와 상기 배출구(400)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파이프(30); 및
    상기 파이프(30)의 일단에 구비되며 배출구(400)에 결합되는 결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복수의 위치로 오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0)와 상기 배출구(400)는 퀵 커플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KR1020100131690A 2010-12-21 2010-12-21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KR10120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90A KR101204976B1 (ko) 2010-12-21 2010-12-21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90A KR101204976B1 (ko) 2010-12-21 2010-12-21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222A KR20120070222A (ko) 2012-06-29
KR101204976B1 true KR101204976B1 (ko) 2012-11-27

Family

ID=4668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690A KR101204976B1 (ko) 2010-12-21 2010-12-21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9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752B1 (en) 1999-03-31 2001-04-17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Gravity feed resin delivery system for VARTM fabrication
JP2004346900A (ja) 2003-05-26 2004-12-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及び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のオイルドレン装置、並びに建設機械及び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
KR200393535Y1 (ko) 2005-06-08 2005-08-22 주식회사 신이한산업 오일 저장용 탱크의 오일 주입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752B1 (en) 1999-03-31 2001-04-17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Gravity feed resin delivery system for VARTM fabrication
JP2004346900A (ja) 2003-05-26 2004-12-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及び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のオイルドレン装置、並びに建設機械及び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
KR200393535Y1 (ko) 2005-06-08 2005-08-22 주식회사 신이한산업 오일 저장용 탱크의 오일 주입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222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40B1 (ko) 변압기의 외함 파열 방지장치
KR100799294B1 (ko)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JP2008157455A (ja) 音響キャビティ共鳴を軽減するためのスリーブインサート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02168781B (zh) 带压管道止漏方法及管道带压止漏装置
US11002253B2 (en) Wind turbine and cool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JP6173939B2 (ja) ジェットポンプの振動抑制装置およびジェットポンプ
KR101204976B1 (ko) 터빈발전기용 오일 배출 장치
CA2878628C (en) Internal manifold with fuel inlet and leak mitigation
KR101919234B1 (ko)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KR20140001788U (ko) 가연성 배관 연결부의 비산방지 보호커버
CN106246250B (zh) 用于核电厂的蒸汽倾卸装置
KR100552011B1 (ko) 가스터빈의 온도감지장치
TWI540288B (zh) 用於分配石化燃料之總成
CN108317521A (zh) 一种喷枪
CN204267730U (zh) 煤气管道在线冲洗密封装置
CN209997059U (zh) 一种兼备隔声模块与消防模块的Box-in装置
CN111701165A (zh) 一种特高压换流变压器用多介质混合装置及消防系统
KR101085573B1 (ko) 배출 차단 장치
KR101911825B1 (ko) 소화용 오실레이팅 장치
RU21769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корен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и гидро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рокатных изделий
KR20210059140A (ko) 멀티형 플레어 팁 장치
KR101911827B1 (ko) 소화용 오실레이팅 장치
FI83711C (fi) Kaernreaktor.
CN212700165U (zh) 一种特高压换流变压器用多介质混合装置及消防系统
JP2013522616A (ja) 原子炉流体ダクト用、特に蒸気発生器底部排水管用の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