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99B1 -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99B1
KR101204899B1 KR1020110001084A KR20110001084A KR101204899B1 KR 101204899 B1 KR101204899 B1 KR 101204899B1 KR 1020110001084 A KR1020110001084 A KR 1020110001084A KR 20110001084 A KR20110001084 A KR 20110001084A KR 101204899 B1 KR101204899 B1 KR 10120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assage
cooler
cooling passag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731A (ko
Inventor
이규홍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8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having a single U-b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각기는, 서로 이격되게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제1냉각 유로와,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과 열 교환할 수 있는 제2냉각 유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압축 시스템은 인터쿨러로서 상기의 냉각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Cooler and compress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기에 관련된 것이다.
냉각기는 유체 등을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냉각기의 사용처의 일례로서, 인터쿨러(intercooler)가 있다.
인터쿨러는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면서 온도가 상승한 유체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 냉각기로써, 다단의 압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압축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최근에는 압축기의 설치 및 조립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인터쿨러에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입부와 유출부를 인터쿨러의 동일 측에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즉 인터쿨러의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는 U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터쿨러의 유로의 외측에는 냉각 핀이 결합되어 열 교환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터쿨러의 유로 내부를 지나는 냉각수는 압축된 유체와 열 교환을 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냉각수의 유출부 측의 온도는 유입부 측의 온도보다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인터쿨러의 유로의 유출부 측은 압축 유체를 냉각시키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부 측면은, 설치 및 조립성이 우수하며, 냉각 효율 측면에서도 유리한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러한 냉각기를 구비하여 압축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 유리한 압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각기는, 서로 이격되게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제1냉각 유로와,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과 열 교환할 수 있는 제2냉각 유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압축 시스템은, 제1압축기 및 제2압축기와, 상기 제1압축기의 유출구와 상기 제2압축기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와, 상기 연결 유로 내의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인터쿨러를 구비하되, 상기 인터쿨러는 서로 이격되게 상기 연결 유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 유로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연결 유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과 열 교환할 수 있는 제2냉각 유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따른 냉각기는 설치 및 조립성이 우수하며, 냉각 효율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측면에 따른 압축 시스템은 상기의 냉각기를 구비함으로써 압축 성능이 우수하며 소형화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기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냉각기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1)는 제1냉각 유로(100), 냉각 핀(300) 및 제2냉각 유로(200)를 구비한다.
제1냉각 유로(100)는 내부로 냉매(C)가 흐를 수 있는 U자 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냉각 유로(100)는 서로 일체로서 연결된 제1부분(110), 제2부분(120) 및 제3부분(130)을 구비한다. 냉매(C)로는 다양한 유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냉각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부분(110)은 제1냉각 유로(100)에 있어서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를 일측(Pa)에서 타측(Pb)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부분(120)은 제1냉각 유로(100)에 있어서 제1부분(110)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부분(110)과는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부분(120)은 제1부분(110)과 평행되게 배치되며,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를 타측(Pb)에서 일측(Pa)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3부분(130)은 제1부분(110)과 제2부분(12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제1부분(110)과 제2부분(120)을 연결한다. 제3부분(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냉각 핀(30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각 냉각 핀(30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냉각 유로(100)의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의 외측에 고정 결합된다. 냉각 핀(300)은 평판 형으로 형성되어 표면적이 크므로, 제1냉각 유로(100)의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과 피 냉각 유체(F) 사이의 열 교환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냉각 핀(300)은 열 전도성이 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냉각 유로(200)는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냉각 유로(200)로 내부로도 냉매(C)가 흐를 수 있으며, 그 냉매(C)가 제2냉각 유로(200)를 흐르면서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과 열 교환함으로써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이 냉각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냉각 유로(200)는 냉각 블록(210)과, 관로(220)를 구비한다.
냉각 블록(210)은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외부에 배치되며, 내부로 냉매(C)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 공간(211)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 블록(210)의 내부 공간(211)에는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이 삽입되는데, 냉각 블록(210)과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이 접촉하는 부분은 냉매(C)가 유출되지 않도록 TIG 용접(Tungsten inert gas welding) 또는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서 용접되어 밀봉된다.
관로(220)는 냉각 블록(210)의 내부 공간(211)으로 냉매(C)가 흐를 수 있도록, 냉매(C)를 냉각 블록(210)으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관로(220)는 피 냉각 유체(F)와 열 교환을 하지 않도록,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냉각 유로(100)와 제2냉각 유로(200)는 단일의 유로(400)로부터 분기된다. 즉 단일의 유로(400)를 흐르는 냉매가 제1냉각 유로(100) 및 제2냉각 유로(200)로 분류된 후, 다시 단일의 유로(400)로 합류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1)의 동작 과정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1냉각 유로(100)의 제1부분(110), 제2부분(120) 및 냉각 핀(300)을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내부에 배치하고,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은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외부에 배치한다. 또한 제2냉각 유로(200)의 냉각 블록(210) 및 관로(220)도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외부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냉각기(1)를 설치한 다음, 제1냉각 유로(100)와 제2냉각 유로(200)로 냉매(C)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단일 유로(400)로 냉매(C)를 주입한다. 그러면 냉매(C) 중의 일부는 제1냉각 유로(100)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는 제2냉각 유로(200)로 유입된다. 제1냉각 유로(100)로 유입된 냉매(C)는 냉각 핀(300)을 통해서 피 냉각 유체(F)와 열 교환을 하면서, 피 냉각 유체(F)를 냉각시키고 자신은 가열된다.
제1냉각 유로(100)로 유입된 냉매(C)는 제1냉각 유로(100)의 제1부분(110)에서 제2부분(120)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며, 온도가 높아진 냉매(C)는 제3부분(130)으로 유입된다.
한편,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밖에 위치하는 관로(220)를 통해 냉각 블록(210)으로 유입된 냉매(C)는 피 냉각 유체(F)와 열 교환을 하지 않으므로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의 냉매(C)보다 온도가 낮다. 따라서 냉각 블록(210)에 삽입된 제3부분(130) 및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C)는 냉각된다.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냉각된 냉매(C)는 제2부분(120)으로 이동되어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내부를 지나간다. 즉 냉매(C)는 제2부분(120)으로 유입되기 전에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피 냉각 유체(F)와 열 교환을 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피 냉각 유체(F)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냉각 유로(100)의 유입구(102)로 유입된 냉매(C)는 유출구(104)로 빠져나가기 전에 제3부분(130)에서 냉각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제1냉각 유로(100)의 유입구(102)와 유출구(104) 사이의 온도차가 감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1)는 유체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각기(1)에 의하면 별도의 제1냉각 유로(100)의 증설 또는 제1냉각 유로(100)의 유량의 증가없이도 피 냉각 유체(F)의 냉각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 유로(100)의 증설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곤란한 경우에도 냉각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1)의 제1냉각 유로(100)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유입구(102) 및 유출구(104)가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동일한 일측에 배치되므로 유입구(102)와 유출구(104)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냉각 유로(100)를 다른 유로에 연결시키는 경우에 그 연결을 위한 배관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1)는 설치가 용이하며 조립성이 우수하다. 특히, 냉각기(1)가 압축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쿨러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설치 공간의 제약이 많은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1)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2)도 도 1의 냉각기(1)와 마찬가지로 제1냉각 유로(101), 제2냉각 유로(200) 및 냉각 핀(300)을 구비한다.
제1냉각 유로(101)도 제1부분(110), 제2부분(120) 및 제3부분(130)을 구비한다.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은 제1냉각 유로(101)에 있어서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 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써,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제3부분(130)은 제1냉각 유로(101)에 있어서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하나의 제1냉각 유로(101)에 대해서 복수 개가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냉각기(2)는 도 1의 냉각기(1)와는 달리 하나의 제1냉각 유로(101)가 복수 개의 제3부분(130)을 구비한다.
제2냉각 유로(200)는 피 냉각 유체(F)의 유로(P)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냉각 유로(101)의 복수의 제3부분(130) 중에서 일부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 핀(300)은 도 1의 냉각기(1)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2)의 경우도 도 1의 냉각기(1)와 마찬가지로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냉각 효율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단일의 제1냉각 유로(101)에 복수의 제1 내지 제3부분(110,120,130)이 마련되므로, 제1냉각 유로(101)의 수가 감소될 수 있어 배관이 더욱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3)도 제1냉각 유로(100), 제2냉각 유로(200) 및 냉각 핀(300)을 구비한다. 제1냉각 유로(100) 및 냉각 핀(300)은 도 1의 냉각기(1)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2냉각 유로(200)는 내부에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이 삽입되는 냉각 블록을 구비하지 않는다. 즉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은 제2냉각 유로(200)에 삽입되지 않으며, 제3부분(130)의 외측으로 제2냉각 유로(200)의 냉매(C)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냉각 유로(200)를 흐르는 냉매(C)는, 제1냉각 유로(100)의 제3부분(130)에 인접한 제2냉각 유로(200)의 일부분(211)의 외벽을 통해서 제1냉각 유로(100)의 냉매(C)와 열 교환하면서 제1냉각 유로(100)의 냉매(C)를 냉각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3)의 경우도 도 1의 냉각기(1)와 마찬가지로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냉각 효율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1냉각 유로(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냉각 블록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냉각기를 인터쿨러로써 사용하는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 시스템(4)은 다단으로 연결되는 제1압축기(510), 제2압축기(520), 연결 유로(530) 및 인터쿨러(2)를 구비한다.
제1압축기(510) 및 제2압축기(520)는 유체(F)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원심식 또는 축류식 압축기일 수 있다.
연결 유로(530)는 제1압축기(510)에서 유출된 압축 유체(F)가 제2압축기(5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압축기(510)의 유출구와 제2압축기(520)의 유입구를 연결한다. 즉 제1압축기(510)와 제2압축기(520)는 다단으로 연결되어 유체(F)를 단계적으로 압축시킨다.
한편, 제1압축기(510)에서 유출된 압축 유체(F)는 압축으로 인해서 온도가 상승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온도가 상승된 유체(F)는 부피가 커지므로 압축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압축기(510)에서 유출되어 제2압축기(520)로 유입되는 유체(F)를 냉각시키는 인터쿨러(2)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쿨러(2)로서 도 2에 도시된 냉각기가 사용된다. 즉 본 실시예의 인터쿨러(2)는 제1냉각 유로(101), 제2냉각 유로(200) 및 냉각 핀(300)을 구비하며, 제1냉각 유로(101)의 제1부분(110) 및 제2부분(120)과 냉각 핀(300)은 제1압축기(510)에서 유출된 압축 유체의 유로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압축기(510)에서 유출된 압축 유체는 인터쿨러(2)에 의해서 냉각되어 제2압축기(520)로 유입되어 재차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쿨러(2)로 사용되는 상술한 냉각기는 냉각 효율이 우수하므로, 제1압축기(510)에서 제2압축기(520)로 유입되는 압축 유체(F)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F)의 압축 효율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인터쿨러(2)로서 사용되는 상술한 냉각기는 제1냉각 유로(101)의 증설이 없이도 높은 냉각 효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하다. 따라서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4)도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시스템(4)의 인터쿨러(2)로서 도 2의 냉각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압축 시스템(4)의 인터쿨러로서 도 1 또는 도 3의 냉각기(1,3)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 유로(100,101)의 제1부분(110), 제2부분(120) 및 제3부분(1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부분(110), 제2부분(120) 및 제3부분(130)은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냉각 핀(300)은 평판 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냉각 핀(300)은 제1냉각 유로(100,101)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제1냉각 유로(100,101)의 제3부분(130)에도 제2냉각 유로(200)의 냉매(C)와의 열 교환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냉각 핀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냉각기(1,2,3)가 압축 시스템(4)의 인터쿨러(2)로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1,2,3)는 유체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는 곳에는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2,3 ... 냉각기 4 ... 압축 시스템
100,101 ... 제1냉각 유로 110 ... 제1부분
120 ... 제2부분 130 ... 제3부분
200 ... 제2냉각 유로 210 ... 냉각 블록
300 ... 냉각 핀 510 ... 제1압축기
520 ... 제2압축기 530 ... 연결 유로
F ... 피 냉각 유체 P ... 피 냉각 유체의 유로
C ... 냉매

Claims (9)

  1. 서로 이격되게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제1냉각 유로와,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과 열 교환할 수 있는 제2냉각 유로를 구비하는 냉각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1부분은,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2부분은,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를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관통하는 냉각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1부분, 제2부분 및 제3부분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냉각 유로는,
    상기 복수의 제3부분 중 적어도 일부와 열 교환할 수 있는 냉각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은,
    상기 제2냉각 유로의 내부에 삽입되는 냉각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각 유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이 형성된 냉각 블록과,
    상기 냉각 블록으로 냉매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각블록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냉각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제2냉각 유로는,
    단일의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냉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로에 결합되며,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냉각 핀을 더 구비하는 냉각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유입구 및 유출구는,
    상기 피 냉각 유체의 유로의 동일한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기.
  9. 제1압축기 및 제2압축기와, 상기 제1압축기의 유출구와 상기 제2압축기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와, 상기 연결 유로 내의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인터쿨러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터쿨러는,
    서로 이격되게 상기 연결 유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 유로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연결 유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냉각 유로의 제3부분과 열 교환할 수 있는 제2냉각 유로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KR1020110001084A 2011-01-05 2011-01-05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KR10120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084A KR101204899B1 (ko) 2011-01-05 2011-01-05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084A KR101204899B1 (ko) 2011-01-05 2011-01-05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731A KR20120079731A (ko) 2012-07-13
KR101204899B1 true KR101204899B1 (ko) 2012-11-26

Family

ID=4671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084A KR101204899B1 (ko) 2011-01-05 2011-01-05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8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5618A (ja) 2008-09-11 2010-03-2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用エアクー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5618A (ja) 2008-09-11 2010-03-2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用エアク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731A (ko)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820B2 (en) Evaporator
EP3021067B1 (en) Laminated header, heat exchanger,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plate-shaped body and pipe of laminated header
JP4797998B2 (ja) 熱交換器の配管継手構造及び熱交換器の配管組み付け方法
US10520258B2 (en) Heat exchanger
WO2015178064A1 (ja) 半導体モジュール用冷却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844439B (zh) 热交换器和使用该热交换器的制冷系统
KR101498402B1 (ko)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장치
KR20120044851A (ko) 열교환기
KR20120044849A (ko) 헤더유닛 및 이를 가지는 열교환기
JP2006003071A (ja) 熱交換器
EP2982924A1 (en) Heat exchanger
WO2015045105A1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EP3828490B1 (en) Joint
JP5985387B2 (ja) 複合型熱交換器
KR101204899B1 (ko) 냉각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 시스템
JP2016050718A (ja) 空気調和機
JPWO2017208558A1 (ja) 熱交換器
JP2019113239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49725B1 (ko) 열교환기
JP2005133966A (ja) 熱交換器
CN113654277B (zh) 一种冷凝器
JP2017040382A (ja) 冷媒分流器及び熱交換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H11281287A (ja) 熱交換器
KR100925097B1 (ko) 수랭식 열교환기
JP7393527B2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