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07B1 - 봉제 장갑 - Google Patents

봉제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07B1
KR101204807B1 KR1020107022431A KR20107022431A KR101204807B1 KR 101204807 B1 KR101204807 B1 KR 101204807B1 KR 1020107022431 A KR1020107022431 A KR 1020107022431A KR 20107022431 A KR20107022431 A KR 20107022431A KR 101204807 B1 KR101204807 B1 KR 10120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ewing
pocket
bottom memb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428A (ko
Inventor
고지 마쓰오카
Original Assignee
마쓰오카 데부쿠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오카 데부쿠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오카 데부쿠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2Arrangements for cutting-out, or shapes of, glove blanks

Abstract

본 발명은 위화감 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손가락을 크게(깊게) 굽힐 수 있는 봉제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손가락의 등면을 피복하는 손가락 등 부재와, 손가락의 바닥면 및 좌우 측면을 각각 피복하는 폭을 가진 손가락 바닥 부재를 봉제하여 손가락 포켓으로 만들고,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봉제 장갑으로서, 손가락 바닥 부재(12)를,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로 분할하고, 이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의 분할부 에지를 손가락의 좌측면과 손가락의 바닥면과 손가락의 우측면에 걸쳐서,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시킨 손가락의 바닥면의 직선부 둘레(15a2, 15b2)의 좌우에 경사 직선부 둘레(15a1, 15a3, 15b1, 15b3)가 이어지는 커팅 둘레(15a, 15b)로 만들고,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를 커팅 둘레(15a, 15b)를 따라 봉합함으로써, 손가락 등 부재를 포함하는 손가락 포켓 전체를 손바닥측을 향하여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제 장갑{SEWN GLOVE}
본 발명은, 손가락 포켓(finger pocket)을 미리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상태로 봉제한 봉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키용이나 오토바이용 등 비교적 두꺼운 장갑에 있어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손가락 포켓(204)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켜 두면, 스키의 스톡(stock)이나 오토바이의 핸들 그립 등을 쥘 때 손가락의 굽히는 힘이 작아도 되므로, 그립핑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미리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손가락 포켓(204)은, 주로 소지(little finger)부터 검지(index finger)까지의 4개이지만, 엄지(thumb) 포켓도 손바닥 측으로 굴곡시킨 것도 있다.
그런데, 도 21에 나타낸 봉제 장갑에 있어서는, 손가락 포켓(소지부터 검지까지의 4개의 손가락 포켓)(204)을 미리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키는 데 있어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좌우 측면을 피복하는 매치 부재(match member)(205, 205)를 사용하여 각 손가락 포켓(204)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즉, 각 손가락 포켓(엄지 포켓을 제외함)(204)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finger-palm member)(212)와, 손가락 등 부재(finger-back member)(222)와, 좌우 2장의 매치 부재(205)를 사용하고, 각 부재(212, 222, 205)의 폭 방향 에지끼리를 봉합함으로써,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 형태로 봉제되지만, 매치 부재(205, 205)로서 만곡 형상으로 재단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각 손가락 포켓(엄지 포켓을 제외함)(204)을 도 21과 같이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도 21에 나타낸 봉제 장갑에서는, 소지로부터 검지까지의 각 손가락 포켓(204)을 각각 미리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키고 있지만, 매치 부재(205, 205)를 사용한 것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212)의 좌우 에지와 매치 부재(205, 205)의 일단의 둘레를 봉합한 봉합부(봉합선) L, L이 손가락 포켓(20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 봉합부 L, L은, 각 부재(212, 205)의 에지를 내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그 에지끼리를 실로 봉합한 것이므로, 휨 저항이 커지고, 손가락 포켓(204) 내의 손가락 바닥 부재(212)의 양측에 각각 볼록 힘줄부(tendon portion)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1~도 23에 나타내는 봉제 장갑은, 매치 부재(205, 205)를 사용함으로써, 미리 손가락 포켓(204)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켜 둘 수 있지만, 손가락 바닥 부재(212)의 양측에 봉합부 L, L이 형성되므로, 이 봉제 장갑을 장착하여 물품(그립)을 쥘 때 손가락 바닥 부재(212)의 양쪽의 봉합부 L, L이 손가락과 물품(그립) 사이에 개재되어 위화감을 느끼고, 봉합부 L, L이 휨 저항이 되어 각 손가락 포켓(204)을 구부리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치 부재(205)를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 포켓(204)을 크게 구부리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매치 부재(205)의 소재를 부드럽고 얇게 하여 손가락 포켓(204)을 크게 구부릴 수 있게 하면, 매치 부재(205)가 부드럽고 얇기 때문에, 매치 부재(205)가 늘어나고, 뒤틀리고, 비틀려서 의도한 입체적 형상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손가락의 2개의 관절[제1 관절(손가락끝 측의 관절)과 제2 관절(손가락 아래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의 좌우 양쪽 둘레의 각각의 일부(0.5mm~1mm 정도)를 남겨서 대략 타원 구멍(315)을 펀칭으로 형성한 손가락 바닥 부재(312)로 만든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도 24의 (a)는 손가락 바닥 부재(312)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손가락 바닥 부재(312)에는 손가락의 평평한 면 피복부(313)와 그 좌우에 손가락의 측면 피복부(314, 314)가 일체로 재단되어 있다. 이 전개 상태로부터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312)를 폭 방향으로 U자형으로 만곡시키고, 대략 타원 구멍(315, 315)의 대향하는 오목한 호형 에지(315a, 315b)끼리를 오목한 호형 에지(315a, 315b)를 따라 서로 봉합한다. 그리고, 오목한 호형 에지(315a, 315b)는, 각각 손가락 포켓 내를 향하여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그 선단부끼리를 봉합한다. 이와 같이 대략 타원 구멍(315)의 오목한 호형 에지(315a, 315b)끼리를 봉합하면, 대략 타원 구멍(315) 부분이 끌려 모이는 것에 의해, 오목한 호형 에지(315a, 315b)의 봉합부 M, M에서 손가락 바닥 부재(312)가 손바닥측(손가락 바닥측)으로 굴곡된다.
그리고, 도 24의 (b) 상태로부터 도 2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312)의 좌우 에지와 손가락 등 부재(322)의 좌우 에지를 봉합함(봉합부 N, N)으로써, 손가락 포켓(304) 형상으로 봉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봉합부 M, N은, 각 소재의 배면에서 봉합한다. 또한, 손바닥 부재와 손등 부재의 그외의 부분 및 엄지 포켓 부재는, 각각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상법(常法)에 의해 봉합하여,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갑으로 봉제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도 24에 나타낸 손가락 포켓(304)을 가진 봉제 장갑은, 손가락 바닥 부재(312)의 양측에 봉합부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 봉제 장갑을 장착하여 물품(그립)을 쥘 때 손가락과 물품 사이에 봉합부가 개재하지 않게 되고, 손가락 포켓(304)의 휨 저항이 작아져서 각 손가락 포켓(304)이 굽혀지기 쉬워진다. 또한, 봉합부 M은, 굽혀진 손가락의 관절 부분에 매몰되므로, 신경쓰이지 않게 된다.
도 24에 나타낸 손가락 포켓(304)의 경우, 작업성을 고려하여 손가락 바닥 부재(312)를 대략 타원 구멍(15)의 좌우 부분에서 3개로 분할하여 봉합하거나, 통솔(French seam), 겹침식 피케(pique) 꿰맴 등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22530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9-30216호 공보
도 24에 나타내는 봉제 장갑은 각 손가락 포켓(304)의 휨 저항이 적어져서 각 손가락 포켓(304)을 용이하게 굽힐 수 있지만, 손가락 포켓(304)을 미리 손바닥측에 좀 더 크게 굴곡시켜 두어, 손가락을 좀 더 크고 용이하게 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이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도 24에서의 대략 타원 구멍(315)의 깊이를 크게(깊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4에서의 대략 타원 구멍(315)의 깊이를 크게 할 경우, 손가락 포켓(304)을 미리 손바닥측으로 크게 굴곡시켜 둘 수 있지만, 대략 타원 구멍(315)의 오목한 호형 에지(315a, 315b)끼리를 봉합한 봉합부 M, M이 손가락의 관절을 따르지 않게 되어 손가락의 관절과 봉합부 M, M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거나, 재봉틀에 의한 봉제가 곤란하며, 손가락 포켓(304)에 뒤틀림, 비틀림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봉합부 M, M이 손가락의 관절을 따르지 않거나, 손가락 포켓(304)에 뒤틀림, 비틀림이 발생하면, 장착 시에 봉합부 M, M이 손가락의 관절의 좌우로 부딪혀, 장착하기 곤란하고, 또한, 사용(파지) 시에 봉합부 M, M이 손가락의 관절을 따르지 않아 위화감을 느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위화감 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손가락을 크게 굽힐 수 있는 봉제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가락의 등면(dorsal surface)을 피복하는 손가락 등 부재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 및 좌우 측면을 각각 피복하는 폭을 가진 손가락 바닥 부재를 봉제하여 손가락 포켓으로 만들고, 상기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봉제 장갑이다.
상기 손가락 바닥 부재를, 상기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로 분할한다.
상기 각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의 분할부 에지를, 상기 손가락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좌측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우측면 피복부에 걸쳐서, 상기 손가락의 관절과 평행한 상기 평평한 면 피복부의 직선부 둘레의 좌우에 경사 직선부 둘레가 이어지는 오목형 커팅 둘레로 만든다.
그리고, 전술한 각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를 상기 커팅 둘레를 따라 서로 봉합함으로써, 상기 손가락 등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손가락 포켓 전체를 상기 손바닥측을 향하도록 굴곡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의 등면을 피복하는 손가락 등 부재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 및 좌우 측면을 각각 피복하는 폭을 가진 손가락 바닥 부재를 봉제하여 손가락 포켓으로 만들고, 상기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봉제 장갑이다.
상기 손가락 바닥 부재의 상기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손가락 바닥 부재의 좌우 양쪽 둘레의 각각의 일부를 남겨 상기 손가락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좌측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우측면 피복부에 걸쳐서, 상기 손가락의 관절과 평행한 상기 평평한 면 피복부의 직선부의 좌우에 경사 직선부가 이어지는 곡선이 대향 배치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멍의 대향하는 대향 둘레끼리를 그 대향 둘레를 따라서 서로 봉합함으로써, 상기 손가락 등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손가락 포켓 전체를 상기 손바닥측을 향하여 굴곡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를 커팅 둘레를 따라 서로 봉합함으로써, 손가락 등 부재를 포함하는 손가락 포켓 전체를 손바닥측을 향하여 굴곡시켰으므로, 또한, 구멍의 대향하는 대향 둘레끼리를 그 대향 둘레를 따라 서로 봉합함으로써, 손가락 등 부재를 포함하는 손가락 포켓 전체를 손바닥측을 향하여 굴곡시켰으므로, 손가락 포켓의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하는 부분의 공간이 좌우의 경사 직선부 둘레 또는 경사 직선부의 둘레에 의해 급격하게 올라가고, 손가락의 삽입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공간적인 넓이(길이)를 직선부 둘레 또는 직선부의 둘레에 의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봉합부가 손가락의 관절의 좌우에 닿지 않게 되어 위화감 없이 장착할 수 있고, 사용 시에 봉합부가 손가락의 관절을 따라 손가락의 관절과 봉합부 사이의 간극이 작아져서, 봉합부가 절곡된 손가락의 관절 부분에 매몰됨으로써, 위화감 없이 손가락을 크게(깊게) 굽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을 엄지 포켓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가락 포켓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손가락 포켓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 사용하는 손바닥 부재 및 엄지 포켓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 사용하는 손바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커팅 둘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손가락 포켓 부분의 봉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의 봉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손가락의 굽힘 과정 및 굽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바늘땀 및 실(絲)의 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봉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다른 봉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또 다른 봉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낸 봉합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봉제 장갑의 손가락 포켓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 사용하는 손바닥 부재 및 손등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커팅 둘레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에서의 커팅 둘레 형상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오토바이용 장갑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21은 종래의 봉제 장갑의 일례를 엄지 포켓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봉제 장갑의 손가락 포켓 부분에 사용되는 손가락 포켓 재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XXIII-XXI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봉제 장갑의 다른 예의 손가락 포켓 부분에서의 봉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바닥 부재(1)와, 손등 부재(2)와, 엄지 포켓 부재(3)로 봉제되어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손바닥 부재(1)와, 손등 부재(2)와, 엄지 포켓 부재(3)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되어 있다.
이들 소재[손바닥 부재(1), 손등 부재(2), 엄지 포켓 부재(3)]에는, 주로 피혁 또는 합성 피혁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봉제 장갑은, 주로 스키용이나 오토바이용 등의 비교적 두꺼우며, 또한 사용 시에 그립을 파지하기에 적합하지만, 골프용이나 배팅용 등의 비교적 얇은 것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는, 손바닥 부재(1)와 손등 부재(2)와 엄지 포켓 부재(3)에서의 재단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손바닥 부재(1)는, 손바닥부(11)와, 검지용의 손가락 바닥 부재(12)(12A)와, 중지용의 손가락 바닥 부재(12)(12B)와, 약지용의 손가락 바닥 부재(12)(12C)와, 소지용의 손가락 바닥 부재(12)(12D)를 따로따로 재단하고 있다. 또한, 손등 부재(2)는, 손바닥부(21)에 소지로부터 검지까지의 4개의 손가락 등 부재(22)를 일체로 재단하고 있다.
4개의 손가락 바닥 부재(12)는, 도 7에 나타내는 중지용 손가락 바닥 부재(12)(12B)와 같이, 각각 손가락의 평평한 면과 좌우 각 측면을 피복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있다. 즉, 각 손가락 바닥 부재(12)는,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13)의 좌우에 각각 손가락의 좌우면에 대응하는 측면 피복부(14, 14)를 가지는 폭으로 재단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손가락 바닥 부재(12)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관절(제1 관절 및 제2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말절용(末節用)(제1 관절보다 손가락끝용), 중절용(中節用)(제1 관절과 제2 관절 사이용), 기절용(基節用)(제2 관절보다 손바닥측용)의 3개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의 분할부 에지는, 손가락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좌측의 측면 피복부(14)와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13)와, 손가락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우측의 측면 피복부(14)에 걸쳐서, 손가락의 관절과 평행한 평평한 면 피복부(13)의 직선부 둘레(15a2)(15b2)의 좌우에 경사 직선부 둘레(15a1, 15a3)(15b1, 15b3)가 이어지는 오목형의 커팅 둘레(15a)(15b)로 되고, 경사 직선부 둘레(15a1, 15b1)끼리가 대향하고, 직선부 둘레(15a2, 15b2)가 서로 대항하고, 경사 직선부 둘레 (15a3, 15b3)끼리가 대향하고 있다. 즉, 각 커팅 둘레(15a, 15b)는, 3직선에 의해 등변 사다리꼴(밑변은 개방되어 있음)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의 각각의 손가락 바닥 부재(12)의 평평한 면 피복부(13), 측면 피복부(14), 커팅 둘레(15a, 15b), 경사 직선부 둘레(15a1, 15a3, 15b1, 15b3), 직선부 둘레(15a2, 15b2)는, 도 7에서의 부호의 부여 방법과 마찬가지이므로, 부호의 부기는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각 관절 부분에 대응하는 각각의 커팅 둘레(15a, 15b)의 깊이(높이) d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를 편 상태[도 10의 (a)]로부터 검지를 절곡한[도 10의 (b)] 후, 다시 검지를 편 상태[도 10의 (c)]로 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관절 부분은 90°를 조금 초과하는 곳까지 구부러지고, 제2 관절 부분은 90°를 초과하여 120° 정도까지 구부러지므로, 손가락 아래쪽의 커팅 둘레(15a, 15b)(제2 관절 부분)의 깊이 d의 합계(d3 + d4)(도 7 참조)가, 손가락끝 측의 커팅 둘레(15a, 15b)(제1 관절 부분)의 깊이 d의 합계(d1 + d2)(도 7 참조)보다 커져 있다.
또한, 대향하는 커팅 둘레(15a)의 깊이(높이) d와 커팅 둘레(15b)의 깊이(높이) d는, 피케 꿰맴의 경우, 중첩될 때 위쪽(표면측)이 되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의 커팅 둘레의 길이 쪽이 아래쪽(배면측)이 되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의 커팅 둘레의 길이보다 길어지므로, 위쪽에 중첩되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의 커팅 둘레의 깊이 d가 깊어져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에서의 커팅 둘레(15a)의 깊이 d1은,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커팅 둘레(15b)의 깊이 d2보다 얕아져 있다. 또한,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커팅 둘레(15a)의 깊이 d3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Z)에서의 커팅 둘레(15b)의 깊이 d4보다 얕아져 있다.
또한, 내측 꿰맴의 경우, 대향하는 커팅 둘레(15a)의 깊이 d와 커팅 둘레(15b)의 깊이 d는 같아진다.
그리고, 골프, 스키,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스포츠에 따라 손가락의 움직임이 상이하므로, 목적하는 스포츠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커브를 손가락 포켓(4)에 커팅 둘레(15a, 15b)로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부와 본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함으로 인해 가능하게 된다.
이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손가락 포켓(4) 부분을 도 8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한다.
먼저,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의 2개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를, 도 9의 (a)에 나타내낸 바와 같이,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에서의 좌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a)[경사 직선부 둘레(15a1)]의 위에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좌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b)[경사 직선부 둘레(15b1)]를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경사 직선부 둘레(15a1, 15b1)를 따라, 예를 들면, 직선형으로 서로 봉합한다.
다음으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에서의 평평한 면 피복부(13)의 커팅 둘레(15a)[직선부 둘레(15a2)]의 위에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평평한 면 피복부(13)의 커팅 둘레(15b)[직선부 둘레(15b2)]를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직선부 둘레(15a2, 15b2)를 따라 직선형으로 서로 봉합한다.
또한,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에서의 우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a)[경사 직선부 둘레(15a3)]의 위에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우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b)[경사 직선부 둘레(15b3)]를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경사 직선부 둘레(15a3, 15b3)를 따라 직선형으로 서로 봉합한다[피케 꿰맴: 도 3의 (a) 참조]. 그리고, 도 9의 (a)~(c)에서의 파선 L1은, 봉합사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좌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a)[경사 직선부 둘레(15a1)]의 위에 기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Z)에서의 좌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b)[경사 직선부 둘레(15b1)]를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경사 직선부 둘레(15a1, 15b1)를 따라 서로 봉합한다.
다음으로,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평평한 면 피복부(13)의 커팅 둘레(15a)[직선부 둘레(15a2)]의 위에 기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Z)에서의 평평한 면 피복부(13)의 커팅 둘레(15b)[직선부 둘레(15b2)]를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직선부 둘레(15a2, 15b2)를 따라 서로 봉합한다.
또한,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서의 우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a)[경사 직선부 둘레(15a3)]의 위에 기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Z)에서의 우측의 측면 피복부(14)의 커팅 둘레(15b)[경사 직선부 둘레(15b3)]를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경사 직선부 둘레(15a3, 15b3)를 따라 서로 봉합한다(피케 꿰맴).
이와 같이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를 봉합하면, 오목형의 커팅 부분이 끌어 모아짐으로써,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부 M2, M2로 손가락 바닥 부재(12)가 손바닥측(손가락 바닥측)으로 굴곡되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b) 상태로부터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12)의 좌우 각 에지와 손가락 등 부재(22)의 좌우 각 에지를 봉합(봉합부 N2, N2)함으로써, 손가락 포켓(4)의 형상으로 봉제할 수 있다. 그리고, 봉합부 N2는, 각 소재의 배면측으로부터 봉합한다(내측 꿰맴). 또한, 손바닥 부재와 손등 부재의 그 외의 부분 및 엄지 포켓 부재는, 각각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상법에 의해 봉합하여, 봉제 장갑으로 만든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손가락 포켓(4)을 가진 봉제 장갑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12)의 양측에 봉합부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 봉제 장갑을 장착하여 물품(그립)을 쥐었을 때 손가락 F와 물품 사이에 봉합부가 개재하지 않게 되고, 손가락 포켓(4)의 휨 저항이 적어져서 각 손가락 포켓(4)이 굽히기 쉬워지고, 휘는 힘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손가락 포켓(4)의 손가락 F의 관절 Fa에 대응하는 부분의 공간이 좌우의 경사 직선부 둘레(15a1, 15a3, 15b1, 15b3)에 의해 급격하게 올라가고, 손가락 F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공간적인 넓이(길이)를 직선부 둘레(15a2, 15b2)에 의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봉합부 M2가 손가락 F의 관절 Fa의 좌우에 닿지 않게 되어 위화감 없이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 봉합부 M2가 손가락 F의 관절 Fa와 봉합부 M2와의 사이에 간극이 작아져, 봉합부 M2가 절곡된 손가락 F의 관절 Fa의 부분에 매몰함으로써, 위화감 없이 손가락 F를 크게(깊게) 굽힐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의 원호형의 오목부를 사용하여,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미리 굴곡시킨 봉제 장갑(상태(常態)에서, 즉 어떤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로, 손가락 포켓이 손바닥측으로 굴곡되어 있는 봉제 장갑)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굴곡의 정도를 크게 하고자 하면, 타원의 원호형의 오목부의 깊이를 깊게 해야만 한다.
타원의 원호형의 오목부의 깊이를 깊게 하여, 각 손가락 바닥 부재의 각 오목부를 서로 봉합한 봉제 장갑을 형성하고, 이 봉제 장갑을 장착하면, 손가락의 관절 부분과 각 오목부 사이에 큰 간극이 벌여져, 장착자가 위화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한, 미리 굴곡되어 있는 손가락 포켓을 직선형으로 뻗게 하고자 해도 충분히 뻗게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봉제 장갑에서는,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손가락 바닥 부재의 오목부가 등변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고, 각 손가락 바닥 부재의 등변 사다리꼴의 각 오목부끼리 봉합하여 봉제 장갑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봉합된, 각 손가락 바닥 부재의 등변 사다리꼴의 각 오목부에서의 상저(上底)끼리의 부위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을 굽혔을 때, 손가락의 배면의 관절부는 거의 직선형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봉제 장갑을 장착자가 장착한 경우, 등변 사다리꼴의 상저가 손가락의 배면의 관절부에 대향하고, 등변 사다리꼴의 각 빗변이 손가락 측부의 관절부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봉합된 각 상저끼리의 부위와, 손가락을 굽혔을 때의 손가락 배면의 관절부와의 형태가, 종래의 봉제 장갑의 경우보다 서로 근접하므로, 본 발명의 봉제 장갑을 장착자가 장착했을 때, 손가락의 관절 부분과 각 오목부에서의 봉제부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착자가 위화감을 느낄 우려를 회피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리 굴곡되어 있는 손가락 포켓을 직선형으로 뻗게 하고자 할 때, 손가락 포켓을 충분히 뻗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커팅 둘레(15a, 15b)가 3직선에 의해 형성되거나, 각 커팅 둘레(15a, 15b)가 등변 사다리꼴이므로, 커팅 둘레(15a, 15b)의 모서리를 표시로 삼아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의 둘레를 중첩시킬 수 있으며, 커팅 둘레(15a, 15b)의 봉합 부분이 직선형으로 되므로, 커팅 둘레(15a, 15b)의 봉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품질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불량품을 감소시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끼리의 봉합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손가락 포켓(4)을 손가락 바닥 측으로부터 보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위에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를 중첩시킴으로써 구성된 중첩부 K를 포함하는 영역이, 실 S에 의해 톱니와 같은 지그재그형으로 봉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a)는 손가락끝에 존재하는 중첩부 K 만을, 도 12의 (b)는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와 중첩부 K를, 도 12의 (c)는 중첩부 K와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를, 도 12의 (d)는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와 중첩부 K와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를, 실 S에 의해 톱니와 같은 지그재그형으로 봉합한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바늘땀의 수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으며, 봉제 장갑의 용도에 사용되는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도 11의 (a)는 실 S를 봉합함으로써 구성된 평행 운동 기구의, 예를 들면, 경사 부분 S1의 바늘땀이 2개인 경우, 도 11의 (b)는 동일한 경우에 바늘땀이 3개인 경우, 도 11의 (c)는 동일한 경우에 바늘땀이 4개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실 S의 개수는, 예를 들면, 도 1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실 S 뿐만 아니라, 2개의 실 S를 사용하고, 이로써, 실 S로 봉합할 수 있는 중첩부 K를 포함하는 영역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도 3의 (b)에 나타낸 손가락 포켓(4)을 손바닥측에서 본 도면이며,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의 위에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를 중첩시킴으로써 구성된 중첩부 K를 포함하는 영역이, 실 S에 의해 톱니와 같은 지그재그형으로 봉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3의 (a)는 중첩부 K만을, 도 13의 (b)는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와 중첩부 K를, 도 13의 (c)는 중첩부 K와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를, 도 13의 (d)는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와 중첩부 K와 중추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를, 실 S에 의해 톱니와 같은 지그재그형으로 봉합한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도 13의 경우도, 바늘땀의 수는, 마찬가지로 일정하지 않고(도 11), 본 발명의 봉제 장갑이 어느 용도에 사용되는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도 11의 (a)~도 11의 (c)], 봉합하는 실 S의 개수도 2개이며[도 11의 (d)], 실 S로 봉합하는 중첩부 K를 포함하는 영역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b), 도 12의 (d), 도 13의 (c), 및 도 13의 (d)와 같이 봉합하면, 위쪽(표면측)이 되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의 둘레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봉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지그재그형이 봉합 방식이 파형이라면, 도 14의 (a)는 사다리꼴이며, 도 14의 (b)는 직사각형이다.
종래의 봉합 방식이 수평 방향(직선형으로 둘레를 따른 방향, 관절과 평행한 방향)의 직선 부분만의 직선형으로 하면, 도 14의 (a)의 사다리꼴은 수평 방향의 직선 부분 S11~S13과, 이 직선 부분 S11~S13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 부분 S14~S17과의 혼재형 신축 운동 기구를 구성하고, 도 14의 (b)의 직사각형은 수평 방향의 직선 부분 S18~S22와, 이 직선 부분 S18~S22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 방향(관절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부분 S23~S28과의 혼재형 신축 운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신축 운동 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위에 중절용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를 중첩시켜 중첩부 K를 형성하고,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중첩부 K 만을 지그재그형으로 봉합했다.
이로써,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한 실 S의 경사부 S1, S2, S3와 경사부 S4, S5, S6에 의해 신축 운동 기구가 구성되며, 또한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는, 종래와 같이 일반적인 천이나 가죽이며, 가요성이 풍부하므로, 중첩부 K 전체는 휘어지기 쉽다.
그리고, 이와 같은 봉제 장갑을 손에 장착한 경우에, 신축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실 S 전체의 양단의 바늘땀을 작용점 a, b로 하여, 도 15의 좌우 방향의 외력 f1, f2가, 손가락 F로부터 작용한다.
그러면, 실 S의 한가운데의 바늘땀 P를 중심 c로 하여, 신축 연동 기구의 경사 부분 S1, S2, S3가 우측으로, 경사부 S4, S5, S6가 좌측으로 각각 변위한다.
그러므로, 신축 연동기구의 경사부 S1, S2, S3와 경사부 S4, S5, S6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휘어지기 쉬운 중첩부 K의 우측 부분 m1, 좌측 부분 m2도 도 15의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봉제 장갑을 손에 장착한 경우, 손가락 F에 맞게 늘어나고, 또한 만곡됨으로써, 봉제 장갑을 손에 익숙하기 쉽게 하고, 장착감(끼었을 때의 느낌)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끼리의 다른 봉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장갑은, 예를 들면,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표면측의 위에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의 표면측을,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일치시켜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커팅 둘레(15a, 15b)를 따라 봉합한다(봉합부 M3)(내측 꿰맴).
그리고,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와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Z)도 마찬가지로,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의 표면측의 위에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Z)의 표면측을,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일치시켜서 중첩시키고, 커팅 둘레(15a, 15b)끼리를 커팅 둘레(15a.15b)를 따라 봉합한다(봉합부 M3)(내측 꿰맴).
그리고, 손바닥 부재와 손등 부재의 그 외의 부분 및 엄지 포켓 부재는, 각각 종래부터 행해진 상법에 의해 봉합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갑으로 봉제한다.
그리고, 도 4의 경우에도, 바늘땀의 수는, 마찬가지로 일정하지 않으며(도 11), 본 발명의 봉제 장갑이 어느 용도에 사용되는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고[도 11의 (a)~도 11의 (c)], 봉합하는 실 S의 개수도, 예를 들면, 2개이며[도 11의 (d)], 실 S로 봉합하는 중첩부 K를 포함하는 영역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합 방법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지그재그형의 파형이라도 되고, 도 14의 (a)에 나타내는 사다리꼴이라도 되며, 도 14의 (b)에 나타내는 직사각형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 전의 손바닥 부재(112)가 폭 방향의 양 단부에서 약간만 연결됨으로써 각 손가락의 손바닥 부재(112)가 일체로 형성[예를 들면, 검지의 손바닥 부재가 복수개(3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있지 않고, 1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음]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과 거의 동일하게 변형 가능하며, 제1 실시예의 봉제 장갑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바닥 부재(101)와, 손등 부재(102)와, 도시하지 않은 엄지 포켓 부재를 기본 부재로 하여 봉제되어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도 17에 나타내는 손바닥 부재(101)와, 손등 부재(102)와, 도시하지 않은 엄지 포켓 부재로 봉제되어 있다.
이들 소재[손바닥 부재(101), 손등 부재(102), 엄지 포켓 부재]에는, 주로 피혁 또는 합성 피혁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봉제 장갑은, 주로 스키용이나 오토바이용 등의 비교적 두꺼우며, 또한 사용 시에 그립을 쥐는 것에 적용되지만, 골프용이나 배팅용 등의 비교적 얇은 것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 17은, 손바닥 부재(101)와 손등 부재(102)에서의 재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손바닥 부재(101)는, 이른바 건 컷 타입(gunn cut type)으로 재단되며, 손바닥부(111)에 검지용과 소지용의 2개의 손가락 바닥 부재(112)를 일체로 재단하고 있으며, 중지용과 약지용의 2개의 손가락 바닥 부재(112)를 따로따로 재단하고 있다. 또한, 손등 부재(102)는, 손바닥부(121)에 소지로부터 검지까지의 4개의 손가락 등 부재(122)를 일체로 재단하고 있다.
4개의 손가락 바닥 부재(112)는, 각각 손가락의 평평한 면과 좌우 각 측면을 피복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있다. 즉, 각 손가락 바닥 부재(112)는,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113)의 좌우에 각각 손가락의 좌우의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 피복부(114, 114)를 가지는 폭으로 재단되어 있다.
4개의 손가락 바닥 부재(112)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손가락의 2개의 관절[제1 관절(손가락끝 측의 관절)과 제2 관절(손가락 아래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좌우 양쪽 둘레의 각 일부(0.5mm~1mm 정도)를 남기고 육각형 구멍(115, 115)이 2곳씩 펀칭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구멍(115)에는, 각각 대향 둘레(115a, 115b)가 대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각의 구멍(115)은,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좌우 양측 둘레의 각각의 일부를 남긴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손가락 바닥 부재(112)는 1장으로 연속되어 있다. 즉, 각각의 구멍(115)은,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평평한 면 피복부(113) 뿐만 아니라, 평평한 면 피복부(113)의 좌우에 존재하고 있는 각 측면 피복부(114, 114)에 이르기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 각각의 구멍(115)은,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각 손가락 바닥 부재(112)에 각각 구멍(115)을 손가락의 관절(제1 관절 및 제2 관절)의 위치에 2곳씩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오토바이용으로 사용하는 장갑에는, 소지와 약지의 2개의 손가락 포켓만을 손바닥측(손가락 바닥측)으로 굴곡시킨 것이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구멍(115)을 소지 포켓과 약지 포켓의 각 손가락 바닥 부재만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엄지 포켓도 내측으로 굴곡시킬 경우에는, 엄지 포켓의 손가락 바닥 부재에도 엄지의 관절이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115)과 동일한 구멍을 형성한다.
각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각 구멍(115)에는 각각의 대향 둘레(115a, 115b)가 배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가락 바닥 부재(112)는, 구멍(115)의 대향 둘레(115a, 115b)끼리를 그 대향 둘레(115a, 115b)를 따라 서로 봉합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측을 향하여 굴곡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구멍(115)의 깊이(손가락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손가락 포켓의 관절 대응 부분을 어느 정도 굴곡 시킬 것인지에 의해 결정되어, 각 구멍(115)의 깊이를 깊게 할수록 손가락 포켓의 관절 부분을 크게 굴곡시킬 수 있다.
대향 둘레(115a)(115b)는, 손가락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좌측의 측면 피복부(114)와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113)와 손가락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우측의 측면 피복부(114)에 걸쳐서, 손가락의 관절과 평행한 평평한 면 피복부(113)의 직선부 둘레(115a2)(115b2)의 좌우에 경사 직선부 둘레(115a1, 115a3)(115b1, 115b3)가 이어지고, 경사 직선부 둘레(115a1, 115b1)끼리가 대향하고, 직선부 둘레(115a2, 115b2)끼리가 대향하며, 경사 직선부 둘레(115a3, 115b3)끼리가 대향하고 있다. 즉, 대향 둘레(115a, 115b)는, 6직선에 의해 형성된 육각형이며, 손가락끝 측의 등변 사다리꼴(밑변이 개방되어 있음)과 손가락 아래쪽의 등변 사다리꼴(밑변이 개방되어 있음)을 접합한 육각형이다. 그리고, 대향하는 대향 둘레(115a, 115b)의 깊이[경사 직선부 둘레(115a1, 115b1)의 접합부와 경사 직선부 둘레(115a3, 115b3)의 접합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직선부 둘레(115a2, 115b2)와의 간격(길이)]는, 내측 꿰맴의 경우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도 17에서의 각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대향 둘레(115a, 115b)를 구성하는 경사 직선부(115a1,115a3, 115b1, 115b3), 직선부 둘레(115a2, 115b2)는,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대향 둘레(115a1, 115b)나,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대향 둘레(115a, 115b)와 마찬가지로, 부호의 부여는 생략하고 있다.
이 제2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도 17에 나타내는 손바닥 부재(101)와, 손등 부재(102)와, 도시하지 않은 엄지 포켓 부재로 봉제되지만, 그 경우, 소지로부터 검지의 각 손가락 포켓(104)은, 도 24의 (a)~(c)와 같이 하여 봉제된다.
즉, 도 17은 손가락 바닥 부재(112)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손가락 바닥 부재(112)에는 손가락의 평평한 면 피복부(113)와 그 좌우에 각 측면 피복부(114, 114)가 일체로 재단되어 있다. 이 전개 상태로부터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112)를 폭 방향으로 U자형으로 만곡시키고, 각 구멍(115)의 대향 둘레(115a1)(115b)끼리를 그 대향 둘레(115a, 115b)를 따라 서로 봉합하거나, 구멍(115) 부분에서 손가락 바닥 부재(112)를 절곡하여 대향 둘레(115a, 115b)끼리를 중첩시키고, 각 구멍(115)의 대향 둘레(115a, 115b)끼리를 그 대향 둘레(115a, 115b)를 따라 서로 봉합한다(내측 꿰맴).
이와 같이 각 구멍(115)의 대향 둘레(115a, 115b)끼리를 봉합하면, 구멍(115) 부분이 끌어 모여짐으로써, 각 대향 둘레(115a, 115b)의 봉합부 M4, M4에서 손가락 바닥 부재(112)가 손가락 바닥측으로 굴곡된다.
그리고, 도 24의 (b)의 상태로부터 도 2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좌우 각각의 에지와 손가락 등 부재(122)의 좌우 각각의 에지를 봉합함으로써, 손가락 포켓(104)의 형상으로 봉제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좌우 각각의 에지와 손가락 등 부재(122)의 좌우 각각의 에지와의 봉합부 N3는, 각 소재의, 예를 들면, 배면측으로부터 봉합한다(표면측으로부터 봉합해도 됨). 또한, 손바닥 부재(101)와 손등 부재(102)의 그 외의 부분 및 엄지 포켓 부재는, 각각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상법에 의해 봉합하여, 봉제 장갑으로 만든다. 또한, 엄지 포켓의 손가락 관절 대응 위치에도 손가락 바닥측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가공[각 대향 둘레(115a, 115b)를 가지는 구멍(115)]을 행해도 된다.
이 제2 실시예의 봉제 장갑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양측에 봉합부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 봉제 장갑을 장착하여 물품(그립)을 쥐었을 때에 손가락 F와 물품 사이에 봉합부가 개재하지 않게 되고, 손가락 포켓(104)의 휨 저항이 적어져서 각 손가락 포켓(104)이 쉽게 휘어지며, 휘게 하는 힘이 적어도 된다.
또한, 손가락 포켓(104)의 손가락 F의 관절 Fa에 대응하는 부분의 공간이 좌우의 경사 직선부 둘레(115a1, 115a3, 115b1, 115b3)에 의해 급격하게 올라가고, 손가락 F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공간적인 넓이(길이)를 직선부 둘레(115a2, 115b2)에 의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봉합부 M4가 손가락 F의 관절 Fa의 좌우에 닿지 않게 되어 위화감이 없이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 봉합부 M4가 손가락 F의 관절 Fa를 따라 손가락 F의 관절 Fa와 봉합부 M4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고, 봉합부 M4가 절곡된 손가락 F의 관절 Fa의 부분에 매몰함으로써, 위화감 없이 손가락 F를 크게(깊게) 굽힐 수 있다.
또한, 각 대향 둘레(115a, 115b)가 3직선에 의해 형성된, 각 대향 둘레(115a, 115b)가 등변 사다리꼴이므로, 대향 둘레(115a, 115b)의 모서리를 표시로 삼아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 12Z)의 둘레를 중첩시킬 수 있으며, 대향 둘레(115a, 115b)의 봉합 부분이 직선형으로 되므로, 대향 둘레(115a, 115b)의 봉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품질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불량품을 감소시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바닥 부재(112)의 대향 둘레(115a, 115b)끼리를 봉합하는 경우, 대향 둘레(115a, 115b)를 상하로 중첩시킨 평평한 면 상태로 봉합 가능하므로, 대향 둘레(115a, 115b)끼리의 봉합을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제2 실시예에서는, 대향 둘레(115a, 115b)끼리를 봉합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형, 파형(지그재그형), 사다리꼴, 직사각형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전체 손가락 바닥 부재(112)를, 손바닥부(111)로부터 분리하여 설치해도 되고, 구멍(115)의 좌우 부분에서, 제1 실시예처럼 분할해도 된다.
도 18은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에서의 커팅 둘레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직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원호형부(둥그스름한 부분)(R1)를 설치한 예이다. 즉, 등변 사다리꼴의 오목부에서의 상저와빗변과의 경계가, 급격하게 절곡되지 않고, 원호형부 R1을 사이에 두고 매끈하게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이, 커팅 둘레에 원호형부 R1을 설치하여 둥그스름하게 해도, 3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커팅 둘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육각형의 모서리를 둥그스름하게 해도, 직선의 육각형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9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에서의 커팅 둘레 형상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직선부 및/또는 경사 직선부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금 둥그스름하게 한 예(L31~L36, L41~L46)이다. 이와 같이, 직선부 및/또는 경사 직선부를 둥그스럼하게 하여(L31~L36, L41~L46) 직선부 및/또는 경사 직선부를 타원의 원호형으로 만들어도,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커팅 둘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육각형의 모서리를 둥그스름하게 해도, 직선의 육각형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둥그스럼한 부분(원호형부)(L31~L36, L41~L46)의 조합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오목부의 형상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34, L32, L36)을 가지도록 한 경우에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의 오목부의 형상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41, L45, L4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오목부의 형상으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31, L35, L33)을 가지도록 한 경우에는,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의 오목부의 형상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44, L42, L46)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를 보완하도록[서로 거의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한편이 오목부 측으로부터 오목하고, 다른 쪽이 오목부 측에 볼록하게 되어, 각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 12Y)의 각 오목부가 걸어맞추어 지도록] 오목부의 형태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예를 들면,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에 있어서,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각 측부에서의 오목부의 형태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31, L33)과 같이 볼록형으로 하고,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복부(중앙부)에서의 볼록부의 형태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35)과 같이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하지 않고,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31~L36)을 임의로 조합하여 오목부를 형성하고,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Y)에 있어서도,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12X)의 오목부의 형상을 보완하도록,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둥그스름한 부분(L41~L46)을 임의로 조합하여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부 및/또는 경사 직선부를 둥그스름하게 하거나, 6각형의 모서리를 둥그스름하게 하는 경우, 대향 둘레의 한쪽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으면, 이 대향 둘레와 대향하는 다른 쪽 대향 둘레도 오목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하고, 대향 둘레의 한쪽이 돌출되어 만곡되어 있으면, 이 대향 둘레와 대향하는 다른 쪽 대향 둘레도 돌출되어 만곡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본 발명을 오토바이용의 봉제 장갑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레버의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해 손가락을 크게(깊게) 굽힐 필요가 있는 약지용 및 소지용의 손가락 포켓의 제1 관절과 제2 관절의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또한, 레버를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해 손가락을 크게(깊게) 굽힐 필요가 없는 검지용 및 중지용의 손가락 포켓의 제2 관절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굴곡의 범위에 따라, 본 발명을 적용하는 부분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이 양호한 봉제 장갑을 만들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스키의 스톡, 오토바이의 핸들 그립, 골프 클럽, 야구의 배트 등을 파지하기 쉽게 미리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봉제 장갑에 이용되고, 특히, 봉제 장갑을 손에 장착한 경우, 손가락에 맞게 늘임으로써, 봉제 장갑을 손가락에 익숙하기 쉽게 하고, 장착감을 양호하게 할 때, 매우 유용하다.
110: 손바닥 부재 102: 손등 부재
3: 엄지 포켓 부재 104: 손가락 포켓
11, 111: 손바닥부 12, 112: 손가락 바닥 부재
12A~12D: 손가락 바닥 부재 12X~12Z: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
13, 113: 평평한 면 피복부 14, 114: 측면 피복부
15a, 15b: 커팅 둘레 15a1, 15a3: 경사 직선부 둘레
15a2, 15b2: 직선부 둘레 15b1, 15b3: 경사 직선부 둘레
21, 121: 손바닥부 22, 122: 손가락 등 부재
115: 구멍 115a, 115b: 대향 둘레
115a1, 115a3: 경사 직선부 둘레 115a2, 115b2: 직선부 둘레
115b1, 115b3: 경사 직선부 둘레 F: 손가락
Fa: 관절

Claims (6)

  1. 손가락의 등면(dorsal surface)을 피복하는 손가락 등 부재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 및 좌우 측면을 각각 피복하는 폭을 가진 손가락 바닥 부재를 봉제하여 손가락 포켓으로 만들고, 상기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봉제 장갑으로서,
    상기 손가락 바닥 부재를, 상기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로 분할하고,
    각각의 상기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의 분할부 에지를, 상기 손가락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좌측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우측면 피복부에 걸쳐서, 상기 손가락의 관절에 평행한 상기 평평한 면 피복부의 직선부 둘레의 좌우에 경사 직선부 둘레가 이어지는 오목형의 커팅 둘레로 만들고,
    각각의 상기 분할 손가락 바닥 부재를 상기 커팅 둘레를 따라 서로 봉합함으로써, 상기 손가락 등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손가락 포켓 전체를 상기 손바닥측을 향하여 굴곡시킨,
    봉제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커팅 둘레가 3직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봉제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커팅 둘레가 등변 사다리꼴을 형성하고 있는, 봉제 장갑.
  4. 손가락의 등면을 피복하는 손가락 등 부재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 및 좌우 측면을 각각 피복하는 폭을 가진 손가락 바닥 부재를 봉제하여 손가락 포켓으로 만들고, 상기 손가락 포켓을 손바닥측으로 굴곡시킨 봉제 장갑으로서,
    상기 손가락 바닥 부재의 상기 손가락의 관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손가락 바닥 부재의 좌우 양쪽 둘레의 각각의 일부를 남겨 상기 손가락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좌측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평평한 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면 피복부와 상기 손가락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우측면 피복부에 걸쳐서, 상기 손가락의 관절에 평행한 상기 평평한 면 피복부의 직선부의 좌우에 경사 직선부가 이어지는 곡선이 대향 배치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의 대향하는 대향 둘레끼리를 상기 대향 둘레를 따라 서로 봉합함으로써, 상기 손가락 등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손가락 포켓 전체를 상기 손바닥측을 향하여 굴곡시킨,
    봉제 장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6직선에 의해 형성된 육각형인, 봉제 장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손가락끝 측의 등변 사다리꼴과 손가락 아래쪽의 등변 사다리꼴을 접합한 육각형인, 봉제 장갑.
KR1020107022431A 2010-04-22 2010-04-22 봉제 장갑 KR101204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7117 WO2011132281A1 (ja) 2010-04-22 2010-04-22 縫製手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28A KR20120008428A (ko) 2012-01-30
KR101204807B1 true KR101204807B1 (ko) 2012-11-26

Family

ID=4481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431A KR101204807B1 (ko) 2010-04-22 2010-04-22 봉제 장갑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05115B2 (ko)
EP (1) EP2471395B1 (ko)
JP (1) JP5140740B2 (ko)
KR (1) KR101204807B1 (ko)
CN (1) CN102316755B (ko)
CA (1) CA2718453C (ko)
RU (1) RU2508034C2 (ko)
WO (1) WO2011132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4306A1 (en) * 2011-01-18 2013-01-17 Christopher Mechling Tactical mixed martial arts glove
KR200473429Y1 (ko) * 2012-01-09 2014-07-04 노경철 골프장갑
ES2733751T3 (es) 2012-12-06 2019-12-02 Exsomed Holding Company Llc Guante quirúrgico ergonómico
US10130438B2 (en) 2013-01-30 2018-11-20 Exsomed International IP, LLC Surgical glove with ergonomic features
US10268269B2 (en) 2013-10-11 2019-04-23 Timothy Chan Glove for use with touch interface devices
USD754929S1 (en) 2013-12-04 2016-04-26 Exsomed International IP, LLC Pair of surgical gloves
USD873500S1 (en) 2013-12-06 2020-01-21 ExsoMed Corporation Medical glove
US9622523B2 (en) 2014-01-06 2017-04-18 Exsomed International IP, LLC Ergonomic work gloves
KR101556762B1 (ko) * 2014-11-19 2015-10-05 (주)현진스포텍 특수용도 장갑
KR101696910B1 (ko) * 2016-05-02 2017-01-18 서도산업 주식회사 피로도 감소용 굴근자극 곡형 장갑
US20190352808A1 (en) * 2018-05-17 2019-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ally functional yarn and texti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0155A (en) * 1918-03-13 1923-03-27 Watson John Warren Glove
US1377338A (en) * 1920-07-31 1921-05-10 Brayton C Grinnell Glove
US2227586A (en) * 1939-05-16 1941-01-07 Johnson Bright Mckemie Glove construction
GB544270A (en) * 1941-04-16 1942-04-03 Jeanne Balls Improvements in gloves
JPS4865420U (ko) * 1971-11-24 1973-08-20
US3918096A (en) * 1974-05-28 1975-11-11 Triple A & 0 Accessories Inc Flexible motorcycle glove
SU1050646A1 (ru) * 1981-09-18 1983-10-30 Kuklev Vladimir V Шаблон перчатки
SE430375B (sv) * 1981-12-30 1983-11-14 Erik Hansson Handske
SU1384311A1 (ru) * 1986-02-24 1988-03-30 В. В. Куклё в Шаблон полуперчатки
JPS6477609A (en) 1987-09-18 1989-03-23 Kushitani Kk Glove for bicycle
JPH03122530A (ja) 1989-10-05 1991-05-24 Mitsubishi Materials Corp 振動センサ
RU2053696C1 (ru) * 1992-06-05 1996-02-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ткрытого типа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тал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чаток для защиты от режущего воздействия
CN2304271Y (zh) * 1997-07-11 1999-01-20 陈义益 指关节处设有固定环的手套
JP2000345411A (ja) * 1999-06-01 2000-12-12 Regan:Kk 横編み手袋をベースにした手袋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って作製された手袋
JP4819217B2 (ja) * 2000-11-20 2011-11-24 廸子 北田 手袋型タワシ
WO2003063625A2 (en) * 2002-02-01 2003-08-07 Danny Gold Pre-curved gunn cut gloves
JP4400334B2 (ja) * 2004-06-18 2010-01-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温水洗浄便座
JP3122530U (ja) 2006-04-04 2006-06-15 松岡手袋株式会社 縫製手袋
JP4608703B2 (ja) * 2007-04-04 2011-01-12 美津濃株式会社 ゴルフ用手袋
JP4742070B2 (ja) * 2007-05-30 2011-08-10 松岡手袋株式会社 縫製手袋
JP5214218B2 (ja) 2007-06-25 2013-06-19 松岡手袋株式会社 縫製手袋及びその生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18453C (en) 2013-07-30
US8505115B2 (en) 2013-08-13
EP2471395A1 (en) 2012-07-04
CA2718453A1 (en) 2011-10-22
KR20120008428A (ko) 2012-01-30
EP2471395A4 (en) 2016-12-14
CN102316755A (zh) 2012-01-11
US20110258751A1 (en) 2011-10-27
CN102316755B (zh) 2013-12-18
EP2471395B1 (en) 2019-03-27
JP5140740B2 (ja) 2013-02-13
WO2011132281A1 (ja) 2011-10-27
JPWO2011132281A1 (ja) 2013-07-18
RU2508034C2 (ru)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07B1 (ko) 봉제 장갑
EP1064971B1 (en) Sports gloves
US8397313B2 (en) Durable athletic glove with enhanced range of motion
JP4608703B2 (ja) ゴルフ用手袋
US7836839B2 (en) Sewn glo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061369A1 (en) Golf glove
EP2289359A1 (en) Soccer glove
KR101147572B1 (ko) 봉제 장갑 및 그 생산 방법
JP5171898B2 (ja) ゴルフ用手袋およびスポーツ用手袋
WO2020226112A1 (ja) スポーツ用手袋
US7065795B2 (en) Goalkeeper's glov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9197364A (ja) スポーツ用手袋
JP3129533U (ja) スポーツ用手袋
JP4397189B2 (ja) スポーツ用縫製手袋
JP2007308861A (ja) スポーツ用リストバンド
JP3155823U (ja) スポーツ用手袋
JP5059451B2 (ja) ゴルフ手袋
JP2009127170A (ja) 作業用手袋
JP2013034566A (ja) ゴルフ用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