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465B1 -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465B1
KR101204465B1 KR1020100068438A KR20100068438A KR101204465B1 KR 101204465 B1 KR101204465 B1 KR 101204465B1 KR 1020100068438 A KR1020100068438 A KR 1020100068438A KR 20100068438 A KR20100068438 A KR 20100068438A KR 101204465 B1 KR101204465 B1 KR 10120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il car
ring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751A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6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4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2Screens or other safety members moving in synchronism with members which move to and f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일카플래트 사이로 이동되는 코일카에 고정되며, 방향전환레일홈이 구비되는 방향전환브라켓과; 방향전환브라켓의 방향전환레일홈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코일카 이동시 위치가 조정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가 일측에 고정되고 축링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방향전환하우징과,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작동부와; 상기 방향전환작동부의 연결축의 단부에 구비된 축링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축브라켓과, 상기 축브라켓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축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링으로 구성되는 회전작동부; 및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축링 상부측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코일카플래트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안전플래트;로 구성되는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코일카 전,후진 작동시 이와 연동되어 안전플래트가 회전 작동되므로 자동으로 안전플래트가 코일카플래트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AFETYPLATE FOR COILCAR MOVEMENT}
본 발명은 코일카 이동시 코일카플래트상에서 안전플래트를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카플래트 사이로 이동되는 코일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안전플래트가 코일카플래트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압연공정에서는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카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일카가 설치된 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와 같이, 코일(30)을 페이오프릴(20)에 장입하거나 혹은 코일(30)을 텐션릴에서 인출하여 포장라인으로 이송하는 등의 목적으로 코일카(40)가 구비되며, 이 코일카(40)는 코일카 구동휠(43)에 의하여 코일카플래트(50) 사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카(40)를 이용한 코일 이동시 작업자는 코일이 코일카(40)의 헤드(44)상에 정확히 안착되는지 여부나 기타 작업 이상 확인을 위하여 코일카플래트(50)상에서 점검을 하고 있으며, 수시로 코일카플래트(50) 사이로 통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코일(30)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확보를 위하여 코일카(40)는 어느 정도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으며, 이로 인해 코일카플래트(50) 사이의 거리는 멀어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코일카플래트(50) 사이의 거리가 멀어 작업자가 코일카플래트(50) 사이로 건너가는 과정에서 코일카플래트(50)사이의 공간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에어 실린더를 오픈(open)하거나 클로즈(close) 작동시키고, 코일카플래트(50)의 사이에 놓여지게 되는 안전발판플래트(미도시)의 상부로 작업자가 통행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작업자가 항시 수동으로 판넬을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에어 실린더(41)가 고장되거나 코일카(40)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의 고장과 같은 여러 요인들로 인해 안전발판플래트가 부적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코일카(40)와 접촉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발판플래트 상부로 통행하는 중에 에어 실린더가 오동작되는 경우 작업자가 코일카플래트(50) 사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었으며, 따라서 작업자는 항상 불안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후진 이동되는 코일카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어 안전플래트가 오픈(open), 클로즈(close)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코일카플래트의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시키도록 하는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는 코일카플래트 사이로 이동되는 코일카에 고정되며, 방향전환레일홈이 구비되는 방향전환브라켓과; 방향전환브라켓의 방향전환레일홈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코일카 이동시 위치가 조정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가 일측에 고정되고 축링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방향전환하우징과,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작동부와; 상기 방향전환작동부의 연결축의 단부에 구비된 축링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축브라켓과, 상기 축브라켓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축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링으로 구성되는 회전작동부; 및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축링 상부측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코일카플래트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안전플래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레일홈은 'S' 자로 휘어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플랜지의 관통홀에는 고정축링이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는 상기 고정축링과 연결된 롤라링축에 고정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돌출플랜지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홈이 형성된 클램핑하우징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핑홈에 접촉가능하도록 롤라가 일단에 고정되는 클램핑푸싱하우징이 고정브라켓의 축링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클램핑푸싱하우징의 타단은 스프링이 끼워진 스프링축이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축링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링의 상단부는 코일카플래트를 관통하여 링가이딩브라켓에 체결되어 설치되고, 링가이딩브라켓은 코일카플래트에 볼팅 체결되며, 회전축링에는 플래트연결링과 안전플래트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카 전,후진 작동시 이와 연동되어 안전플래트가 회전 작동되므로 자동으로 안전플래트가 코일카플래트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작동됨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신규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일카가 설치된 설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의 상세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의 (a)는 코일카가 홈 위치일 때 안전플래트(400)가 클로즈 회전되어 작업자가 안전플래트(400) 상부로 안전하게 통행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측면도, 도 6의 (c)는 코일카가 전,후로 이동될 때 안전플래트(400)가 오픈 회전되어 코일카의 이송 작업이 원활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의 (d)는 도 6의 (c)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의 상세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부의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는 크게 코일카(40)에 설치되는 방향전환브라켓(100)과, 코일카(40)의 이동에 따라 방향전환되는 방향전환작동부(200)와, 방향전환작동부(200)의 작동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회전작동부(300), 회전작동부(300)에 의하여 코일카플래트(50)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안전플래트(400)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브라켓(100)은 코일카플래트(50) 사이로 이동되는 코일카(40)의 리프트실린더(41)가 설치된 코일카몸체(42) 측면에 고정되도록 조립 연결된다. 방향전환브라켓(100)에는 방향전환레일홈(110)이 구비되는데, 이 방향전환레일홈(110)은 대략 'S'자형으로 만곡지도록 휘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향전환작동부(200)는 로울러(210)와, 방향전환하우징(220)과 연결축(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로울러(210)는 방향전환브라켓(100)의 방향전환레일홈(110)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코일카(40) 이동시 그 위치가 조정된다. 방향전환하우징(220)은 상기 로울러(210)가 일측에 고정되고 축링(227)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축(230)은 상기 방향전환하우징(22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로울러(210)는 코일카(40)에 고정된 방향전환레일홈(110)에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 코일카 전,후진시 방향전환레일홈의 'S'자 형태를 따라 이동된다. 로울러(210)는 로울러축(214)에 끼워져 연결 조립되며, 로울러축(214)은 롤라링축(211)과 고정 연결되어 있다. 롤라링축(211)은 고정축링(213)과 연결되며 고정축링(213)은 방향전환하우징(220)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플랜지(221)의 관통홀에 볼트(212)로 조립 체결된다.
방향전환하우징(220)의 중간부에 형성된 홀에는 축링(227)이 관통되어 볼트(228)로 조립 연결된다. 방향전환하우징(220)의 축링(227)은 프레임(225)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프레임(225)은 메인프레임(500)에 고정된 프레임브라켓(226)에 연결되어 있다.
방향전환하우징(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홈(241a,b)이 형성된 클램핑하우징(240)이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클램핑하우징(240)에는 그 하부측단부와 상부측단부에 각각 클램핑홀(241a,b)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홀(241a,b)에는 롤라(251)가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롤라(251)는 클램핑푸싱하우징(250)의 일단에 축링(255)으로 끼워져 연결된다.
클램핑푸싱하우징(250)의 중심부에는 하우징축링(25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축링(256)은 축브라켓(252)에 베어링(미도시)으로 지지되어 연결되어 클램핑푸싱하우징(250)은 하우징축링(256)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다. 축브라켓(252)은 메인프레임(500)에 고정된 브라켓(253)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푸싱하우징(250)의 타단에도 축연결링(2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연결링(257)은 커플링(254)으로 스프링축(260)과 연결되고, 스프링축(260)은 스프링(261)이 끼워진 상태에서 메인프레임(500)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 축링브라켓(270)의 중간부 홀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262)으로 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방향전환하우징(22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돌출플랜지(222)의 단부에는 연결축(230)이 연결된다. 즉, 방향전환하우징(220)의 상부에는 돌출플랜지(22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돌출플랜지(222)에는 축브라켓(224)이 고정 연결된다. 축브라켓(224)의 중간부 홀에는 축회전링(223)이 관통되며 축회전링(223)은 링브라켓(232)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된다. 링브라켓(232)은 링브라켓커플링(233)을 매개로 하여 연결축(230)과 연결된다.
회전작동부(300)는 축브라켓(310)과 회전축링(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축브라켓(310)은 상기 방향전환작동부(200)의 연결축(230)의 단부에 구비된 축링(231)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회전축링(320)은 상기 축브라켓(310)이 고정되며 연결축(230)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연결축(230)은 링브라켓(234)과 연결되며, 링브라켓(234)은 축브라켓(310) 양측 플래트의 중간부 홀에 끼워져 연결된 축링(231)에 관통되도록 접촉 연결되며 축브라켓(310)은 이와 일체로 고정된 연결플래트(330)가 회전축링(320)에 고정된 브라켓(340)에 볼트 체결되어 연결된다.
회전축링(320) 하부는 베어링블록(321)에 끼워져 연결되며 회전축링(320) 상부는 코일카플래트(50)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링가이딩브라켓(322)으로 끼워져 연결된다. 링가이딩브라켓(322)은 코일카플래트(50)의 상부면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회전축링(320)에는 플래트연결링(323)과 안전플래트(400)가 용접 고정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안전플래트(400)는 회전작동부(300)의 회전축링(320) 상부측에 고정 연결되어 코일카플래트(50)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작동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철소 압연공정의 입, 출측 공정에서 작동되는 코일카(40)가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안전플래트(400)가 코일카플래트(40) 사이에 배치된 상태이다. 코일카(40)가 코일을 싣고 홈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안전플래트(400)가 코일카플래트(50) 측으로 회전 작동하여 코일카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코일카몸체(42)의 측면에 설치된 방향전환브라켓(100)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S"자 형태로 방향전환레일홈(11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코일카(40)가 이동하면 방향전환레일홈(110)에 로울러(210)가 접촉되면서 물려져 작동하게 되면서 로울러(210)가 하향된다. 이러한 접촉 동작에 의해 코일카(40)의 이동시 방향전환하우징(220)은 축링(2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연결축(230)이 전진 작동된다. 연결축(230)의 전진(도 6에서 왼쪽을 향하는 방향) 작동에 따라서 회전축링(32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링(320)의 상부에 연결된 안전플래트(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안전플래트(400)가 코일카플래트(50)사이를 자동으로 폐쇄(클로즈)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플래트(400)를 통해 코일카플래트(50) 사이를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클램핑하우징(240)의 하부측단부에 설치된 클램핑홀(241b)에 롤라가 끼워져 지지되므로, 안전플래트(400)가 안정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코일카(40)가 후진(도 6에서 오른쪽을 향하는 방향) 작동될 때에는 상기와 반대작용이 일어나는데, 코일카몸체(42)의 측면에 설치된 방향전환브라켓(100)에 "S"자 형태로 구비된 방향전환레일홈(110)에 로울러(210)가 접촉되면서 물려져 작동하면서 상향된다. 이러한 접촉 동작에 의해 코일카(40)의 이동시 방향전환하우징(220)은 축링(22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연결축(230)이 후진 작동된다. 이러한 연결축(230)의 후진 작동에 따라서 축링(231), 연결플래트(330), 브라켓(340)의 푸싱작용으로 회전축링(32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링(320)의 상부에 연결된 안전플래트(400)가 자동으로 회전 작동되므로 코일카플래트(50)사이를 오픈(open)시키게 된다. 따라서 안전플래트(400)가 코일카플래트(50) 아래로 숨겨지게 되므로 코일카(4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클램핑하우징(240)의 상부측단부에 설치된 클램핑홀(241a)에 롤라가 끼워져 지지되므로, 안전플래트(400)가 안정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는 코일카(40)의 전,후진 이동과 연동되어 방향전환작동부(200)와, 회전작동부(300)가 작동되어 안전플래트(400)가 자동으로 오픈, 클로즈 작동되므로 작업자는 수동으로 에어 실린더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이와 같은 작용은 기계구조의 결합에 의해 연동되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에어 실린더나 기타 전자 기기의 오작동이나 에어 실린더의 작동 실수로 인해 안전플래트가 잘못 개방됨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 강판 20: 페이오프릴 30: 코일
40: 코일카 41: 리프트실린더 42: 코일카 몸체
50: 코일카플래트 60: 트랜스포카 100: 방향전환브라켓
110: 방향전환레일홈 200: 방향전환작동부 210: 로울러
211: 롤라링축 213: 고정축링 214: 로울러축
220: 방향전환하우징 221: 고정플랜지 222: 돌출플랜지
223: 축회전링 224: 축브라켓 225: 프레임
226: 프레임브라켓 227: 축링 230: 연결축
231: 축링 232: 링브라켓 233: 링브라켓커플링
240: 클램핑하우징 241a,b: 클램핑홈 251: 롤라
250: 클램핑푸싱하우징 252: 축브라켓 253: 브라켓
254: 커플링 255: 축링 256: 하우징축링
257: 축연결링 260: 스프링축 261: 스프링
262: 고정브라켓 270: 축링브라켓 300: 회전작동부
310: 축브라켓 320: 회전축링 321: 베어링블록
322: 링가이딩브라켓 323: 플래트연결링 330: 연결플래트
340: 브라켓 400: 안전플래트 500: 메인프레임

Claims (4)

  1. 코일카플래트 사이로 이동되는 코일카에 고정되며, 방향전환레일홈이 구비되는 방향전환브라켓과;
    방향전환브라켓의 방향전환레일홈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코일카 이동시 위치가 조정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가 일측에 고정되고 축링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방향전환하우징과,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작동부와;
    상기 방향전환작동부의 연결축의 단부에 구비된 축링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축브라켓과, 상기 축브라켓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축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링으로 구성되는 회전작동부; 및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축링 상부측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코일카플래트 사이를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안전플래트;
    로 구성되는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레일홈은 'S' 자로 휘어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플랜지의 관통홀에는 고정축링이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는 상기 고정축링과 연결된 롤라링축에 고정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돌출플랜지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하우징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홈이 형성된 클램핑하우징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핑홈에 접촉가능하도록 롤라가 일단에 고정되는 클램핑푸싱하우징이 고정브라켓의 축링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클램핑푸싱하우징의 타단은 스프링이 끼워진 스프링축이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축링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링의 상단부는 코일카플래트를 관통하여 링가이딩브라켓에 체결되어 설치되고, 링가이딩브라켓은 코일카플래트에 볼팅 체결되며, 회전축링에는 플래트연결링과 안전플래트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KR1020100068438A 2010-07-15 2010-07-15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KR10120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38A KR101204465B1 (ko) 2010-07-15 2010-07-15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38A KR101204465B1 (ko) 2010-07-15 2010-07-15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51A KR20120007751A (ko) 2012-01-25
KR101204465B1 true KR101204465B1 (ko) 2012-11-23

Family

ID=4561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438A KR101204465B1 (ko) 2010-07-15 2010-07-15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56B1 (ko) 2012-01-31 2014-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카 장치
KR20230165478A (ko) 2022-05-27 2023-12-05 한홍 코일카 피트의 작업자 안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080Y1 (ko) 1995-12-23 1999-10-15 이구택 디플렉터롤의 카본 스케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080Y1 (ko) 1995-12-23 1999-10-15 이구택 디플렉터롤의 카본 스케일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56B1 (ko) 2012-01-31 2014-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카 장치
KR20230165478A (ko) 2022-05-27 2023-12-05 한홍 코일카 피트의 작업자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51A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2567A (zh) 电梯的轿厢固定装置
CN107848764B (zh) 具有地坎锁的轿厢门连锁装置
JP5880372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KR102321044B1 (ko) 카 도어 로킹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US10807844B2 (en) Vertically movable workpiece support device
CN103803389A (zh) 改进结构的层门开启保护装置
KR101204465B1 (ko) 코일카 이동시 안전플래트 자동 개폐장치
CN105000446A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装置
KR101569002B1 (ko) 엘리베이터 하부 점검용 안전시스템
CN105540378A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保护系统
WO2017119117A1 (ja) かご移動規制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JP4354175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CN103670041A (zh) 一种地铁站台屏蔽门电动锁闭装置
CN200940074Y (zh) 用于门式起重机滑触线地沟的自动翻板装置
JP656771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JP200901296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204057610U (zh) 一种自定位轿门锁门刀
JP6141461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KR102061198B1 (ko) 항타기 해머용 중간활차
KR200444238Y1 (ko) 캔버스 도어의 승/하강 안내장치
CN112455560B (zh) 行走架及回转作业机械
JP4625511B2 (ja) 工作機械用の旋回式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JP4594853B2 (ja) 架空線吊架移動金具
KR102106641B1 (ko) 푸시-풀 송급형 토치시스템
KR101569171B1 (ko) 파이프용 궤도용접 케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