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117B1 -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 Google Patents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117B1
KR101204117B1 KR1020050066344A KR20050066344A KR101204117B1 KR 101204117 B1 KR101204117 B1 KR 101204117B1 KR 1020050066344 A KR1020050066344 A KR 1020050066344A KR 20050066344 A KR20050066344 A KR 20050066344A KR 101204117 B1 KR101204117 B1 KR 10120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osture
hub
stat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6542A (en
Inventor
가즈마 쇼다
이찌로 마에다
미끼오 오모리
찌하루 우에끼따
요시따네 미야노
다쯔야 기따노
도시오 도미나가
유사꾸 요시다
히로시 이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4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770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2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12387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12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2630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04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5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1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0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blade pi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04D29/36Blade mounting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팬(22)의 회전에 의해 엔진(19)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41)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4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77)가 설치되고, 이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허브 및 기풍익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50066344

팬, 회전 축심, 허브, 기풍익, 조작 기구, 제진망, 슈라우드

An engine cooling apparatus of a work vehicle configured to allow cooling of the engine 19 by the rotation of the fan 22, wherein the fan is provided with a hub 41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P1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In the case provided with the wind turbine blade 42, the operation mechanism 77 which changes a posture into a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takes place, and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takes place is provided, and this posture change is carried out by the said operation mechanism to change the said hub and a wind blade.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displacement operation in the said rotation axis direction.

Figure R1020050066344

Fan, rotary shaft, hub, wind vane, operating mechanism, vibration damper, shroud

Description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도1은 작업차(예취 작업차)의 일예인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1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jabal-type combine that is one example of a work vehicle (cutting work vehicle);

도2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Fig. 2 is an overall plan view of the self-deleting combine.

도3은 원동부의 일부 종단 배면도.3 is a partial longitudinal rear view of the motor unit;

도4는 원동부의 종단 측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prime mover.

도5는 냉각 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rear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fan.

도6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 및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일부 종단 배면도.6 is a partial longitudinal rear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and a stat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도7은 기풍익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및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of a wind vane occurs and a posture of a backwind;

도8은 냉각 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ling fan.

도9는 조작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operation mechanism.

도10은 냉각 팬의 중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 종단 측면도.Fig. 10 is an enlarged vertical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oling fan.

도11은 슈라우드와 기풍익의 포갬량의 변경으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을 커지도록 구성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in another embodiment configured to increase wind speed in a state in which reverse wind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shroud and wind blades;

도12는 제어 블럭도.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도13은 냉각 팬의 통풍 상태 변화와 제어 장치의 작동 모드와의 관계를 나타 내는 도면.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hange in ventilation state of a cooling fan and an operation mode of a control device.

도14는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14 is a flowchart of a control program executed by a control device.

도15는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Fig. 15 is a flowchart of a control program executed by the control device.

도16은 제어 장치의 동작 주기마다의 작동 모드가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Fig. 16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the operation mode for each operation cycle of the control device.

도17은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순풍 유지 처리의 흐름도.Fig. 17 is a flowchart of pure wind upkeeping processing executed by a control device.

도18은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역풍 출력 처리의 흐름도.18 is a flowchart of a reverse wind output process performed by a control device.

도19는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역풍 유지 처리의 흐름도.Fig. 19 is a flowchart of a counterwind maintenance process executed by a control device.

도20은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순풍 출력 처리의 흐름도.20 is a flowchart of pure wind output processing executed by a control device.

도21의 (a)는 순풍 운전 처리에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1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1A is a diagram showing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in the forward wind driving process, and FIG. 21B is a diagram showing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in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도22의 (a)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완료 후에 비작업 상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2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FIG. 22A shows a change in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when the non-working state is switched after comple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nd FIG. 22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The figure which shows the change of the ventilation state of a cooling fan when a non-work state is switched during execution of a reverse wind mode.

도23은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 절환된 후, 역풍 금지용 설치 시간을 경과한 후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Fig. 23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when switching from the working state to the non-working state and then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after elapse of the installation time for preventing the counter-wind;

도24의 (a)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순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가 전회 실행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4의 (c)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그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되기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Fig. 24A shows the cooling fan when the non-working state is switch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orward wind mode i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nd when the reverse wind mode is executed the previous time and the state of the cooling fan is switched back to the working state before the set time for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has elapsed. FIG. 24B shows a change in the ventilation state, and the working state is switched to the non-work stat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nd again after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s completed, before the set time for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is elapsed. Fig. 24C shows a change in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in the case of switching to the non-working state during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nd before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s completed. The figure which shows the change of the ventilation state of a cooling fan at the time of switching to a working state again.

도25는 사용하는 기풍 작용면의 설정 변경으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을 크게 하도록 구성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주요부의 평면도.Fig. 25 is a plan view of an essential part in another embodiment configured to increase the wind speed in a stat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setting of the wind action surface to be used.

도26은 풀 와이어를 채용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와 시프트 포크 사이에 허브 압박용 압축 스프링을 개재 장착한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Fig. 2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ull wire is used and a compression spring for hub compression is mounted between a support member and a shift fork;

도27의 (a)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순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가 전회 실행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7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7의 (c)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그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되기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Fig. 27A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non-work state is switch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orward wind mode i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nd the state is switched back to the work state after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 time elapses after the reverse wind mode is executed last time. 27B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in FIG. 27, the non-work state is switch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nd the setting for inhibiting the reverse wi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s completed. Fig. 27 (c)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in the case where it is switched back to the working state before the elapse of time; And a change in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cooling fan in another embodiment when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again before the execution of the counterwind mode is completed. Drawing drawing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7A : 슈라우드7A: Shroud

19 : 엔진19: engine

22 : 팬22: fan

26 : 제진망26: Damping network

41 : 허브41: hub

42 : 기풍익42: Windbreak

42A : 고기풍 작용면42A: Meat-like action surface

42B : 저기풍 작용면42B: There is an air surface

46 : 회전체46: rotating body

47 : 지지축47: support shaft

55 : 연동축55: linkage shaft

67 : 이동 부재67: moving member

77 : 조작 기구 77: operating mechanism

L1 :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포갬량L1: The amount of foaming in the posture where a backwind occurs

L2 :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포갬량 L2: The amount of foaming in the posture where pure wind occurs

P1 : 회전 축심 P1: rotation axis

P2 : 길이 축심P2: length axis

θa :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기풍익의 기풍 각도θa: The wind angle of the wind blade in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θb :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기풍익의 기풍 각도θb: Wind angle of wind blade in posture where pure wind occurs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52243호 공보[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5-52243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581호 공보[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4-211581

[문헌 3] 한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57980호[Document 3]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57980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3063호 공보[Document 4]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263063

본 발명은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의 회전에 의해 엔진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起風翼)을 구비한 것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cooling apparatus of a work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is an engine cooling device of a work vehicle configured to enable engine cooling by rotation of a fan, wherein the fan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nd a wind turbine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It relates to having a.

상기한 바와 같은 엔진 냉각 장치로서는, 종래 일본 특허 공개 평5-5224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이 공지이다. 이 장치에서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워터 펌프나 발전기 등에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 기구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냉각 팬과의 사이에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풍 상태 절환 기구는 전동 실린더의 작동으로, 벨트식 전동 기구에 있어서의 전동 벨트의 내주측에 정회전 풀리를 압접하여 냉각 팬을 정회전 구동하는 상태와, 외주측에 역회전 풀리를 압접하여 냉각 팬을 역회전 구동하는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 팬의 정회전 구동 상태에서는 외기를 엔진 본 네트의 흡기구로부터 엔진 본네트 내로 취입하여 엔진 등을 냉각하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냉각 팬의 역회전 구동 상태에서는, 외기 취입시에 엔진 본네트의 방진망에 부착한 먼지 등을 기기 밖으로 불어 날려버려 방진망으로부터 제거하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가 된다. As an engine cooling apparatus as mentioned above, the structure as previously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52243 is well-known. In this apparatus, a belt-type wind state switch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a belt-type electric 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from an engine to a water pump, a generator, and the like, and a cooling fan driven by power from the engine. This wind state switching mechanism is operated by an electric cylinder, and presses the forward rotation pulle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ransmission belt in the belt-type transmission mechanism to drive the cooling fan forward rotation, and presses the reverse rotation pulley to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It is comprised so that a cooling fan may be switched to the state which reversely drives. In the forward rotational driving state of the cooling fan, fresh air is blown into the engine bonnet from the inlet port of the engine bonnet and cool air is gene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reverse rotation drive state of the cooling fan, when the outside air is blown in, the dust or the like adhering to the dustproof network of the engine bonnet is blown out of the apparatus to remove the dust from the dustproof network.

상기한 종래 구성에서는,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에 의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방진망의 막힘에 기인한 냉각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 없이 엔진 등의 냉각을 행할 수 있는 점에서는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그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벨트식 전동 기구와 냉각 팬 사이에 배치하므로, 기풍 상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체 구조가 대형화된다. 이 대형화를 억제하면,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벨트식 전동 기구와 냉각 팬 사이에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조립 부착성이 나빠진다.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engine can be cooled without causing a decrease in the cooling capacity due to the blockage of the dustproof network by switching between the state of the forward wind and the state of the reverse wind by the belt type wind state switching mechanism. It is useful in that respect. However, since the belt type wind state switching mechanism is disposed between the belt type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e cooling fan, the overall structure for enabling the switching of the wind state is enlarged. By suppressing this enlargement,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belt-type electric mechanism and the cooling fan for disposing the belt-type wind state switching mechanism, and thus the assembly adhesion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한 종래 구성에서는 벨트식 전동 기구의 전동 벨트에 대해 정회전 풀리 또는 역회전 풀리를 압접하여 이 전동 벨트의 회전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냉각 팬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절환하므로, 그 절환 조작시에 전동 벨트의 슬립에 기인한 이음(異音)의 발생이나 전동 벨트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forward rotation pulley or the reverse rotation pulley is pressed against the transmission belt of the belt-type transmission mechanism to switc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belt, so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oling fan is in either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In this case, the switching operation results in the occurrence of noise or deterioration of the transmission belt due to slippage of the transmission belt.

본 발명의 목적은,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장비하는 것에 기인한 전체 구조의 대형화나 조립 부착성의 저하를 회피하여, 그 기구의 구성에 기인한 조작시에 있어서의 이음의 발생이나 기구의 열화도 방지하고, 또한 콤팩트하고 조작성이 우수한 엔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void the enlargement of the overall structur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assembly adhes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wind state switching mechanism,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and deterioration of the mechanism during opera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mechanism.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ngine cooling device that is compact and has excellent oper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풍익의「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라 함은, 엔진 등의 원동부를 냉각하는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세를 말하고,「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는 이 반대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자세를 말한다. 단, 기풍익은 양 자세 이외의 자세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posture in which a pure wind arises" of a wind blade refers to the attitude | position for generating the wind of the direction which cools a moving part, such as an engine, and the "reverse wind attitude" refers to the wind of this opposite direction. Say the posture to generat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posture other than both posture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의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가 설치되고, 이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를 거쳐서 상기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가 설치되고, 이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기풍익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냉각하는 일방향의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기풍익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외기 흡기구에 설치된 제진망을 향하는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기풍익으로부터 상기 제진망까지의 간격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간격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an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into a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occurs and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This is performed by displacing the wind bla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via an operating mechanism.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con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an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into a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occurs and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When the wind vane is switch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the wind in one direction is generated to cool the engine, and when the wind vane is switch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wind toward the damping net installed in the outside air intake is generated. The interval from the wind blade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when the wind is chang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s set to be narrower than the interval when the post wind is chang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가 설치되고, 이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기풍익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냉각하는 일방향의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기풍익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외기 흡기구에 걸쳐진 제진망(除塵網)을 향하는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를 거쳐서 상기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고, 또한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기풍익으로부터 상기 제진망까지의 간격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간격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hir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an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into a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occurs and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When the wind vane is switch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the wind in one direction is generated to cool the engine. When the wind vane is switch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spans the outside air intake port. Wind is generated, the posture change is performed by displacing the wind bla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via the operating mechanism, and the gap from the wind blade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when the wind is changed to a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t is set narrower than the said space | interval when it is changed to the posture which the said pure wind takes place It is.

상기 각 구성에 따르면, 기풍 상태의 절환이 팬의 기풍익의 자세 변경에 의해서만 가능해지므로,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및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 중 어떠한 자세에 있어도,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공통의 일방향이 된다. 따라서,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절환이 불필요해지므로,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벨트식 기풍 자세 절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전체 구조(특히 기풍 자세 절환 기구)를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보다 콤팩트하게, 또한 조립 부착도 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이음이 저감되는 등의 면에서 조작성도 우수한 엔진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s, since the switching of the wind state is possible only by the change of the attitude of the fan blades, the fan rotation direction becomes a common one in any of the postures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and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Therefore, switching is unnecessary abou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belt type wind attitude change mechanism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refore, the whole structure (particularly, the air-winding posture switching mechanism) can be made more compact and easy to assem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and can provide an engine cooling device with excellent operability in terms of reduced joint noise. Can be.

또한, 이 구성에서는 어떠한 자세에 있어서도 풍량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기풍익의 회전 구동에 관계없이 기풍을 하지 않는 비기풍 상태도 나타낼 수 있다. 이들 구성을, 예를 들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기풍익을 허브와 함께 회전체의 회전 축심 주위에 일체 회전시키는 데 채용하고, 엔진의 부하에 따라서 기풍익의 자세를 변경하여 기풍에 의한 부하를 조절하도록 하면, 과부하에 기인한 뜻밖의 엔진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air volume can be adjusted in any posture, and a non-air wind state without air flow can be exhibited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drive of the wind blade. These configurations are adopted to rotate the wind vane integrally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body together with the hub, for example, by the power from the engine, and to adjust the load caused by the wind by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wind vane in accordance with the load of the engine. This can avoid an unexpected engine stop due to overload.

또한, 팬의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시켜(즉, 기풍익으로부터 송풍 대상물까지의 원근 간격도 변화시켜) 기풍익의 자세 변경을 행하므로, 각 기풍익이 그 길이 축심 방향으로 회전만 하는 것이고, 회전 축심 방향으로는 변위할 수 없는 구성(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581호 공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한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57980호 참조)에 비해, 송풍 대상물에 대한 바람의 강약을 만들 수 있는 점에서 보다 유리한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작업 중의 먼지 발생량이 큰 콤바인 등의 예취 작업기에 채용한 경우에는, 방진망에 먼지 등이 부착 퇴적된 경우에는 기풍익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함으로써 엔진측의 열기가 방진망을 거쳐서 기기 밖으로 배출되게 되고, 이 배기에 의해 방진망에 부착한 먼지 등이 기기 밖으로 불어내어져 방진망으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그 때에는, 냉각 효율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 순풍이 일어나는 시간을 수분 정도로 설정하고, 역풍이 일어나는 시간을 수초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기풍익으로부터 제진망까지의 간격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간격보다도 좁게 설정하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는 풍속이 보다 커지고, 제진망으로부터의 먼지 등의 제거량이 보다 많아진다. 이에 의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라도 제진망으로부터의 외기 취입이 보다 효율적이 되므로, 엔진 등에 대한 냉각 효율도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fan blades are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ie, the distance between the fan blades and the object to be blown is also changed)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fan blades, each fan blade only rotates in its longitudinal axis direction. Compared to a configuration that cannot be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11581 or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No. 2004-57980 corresponding thereto). It is more advantageous in that the strength and weakness can be made. For examp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in harvesting machines such as combines with a large amount of dust generated during operation, when the dust or the like adheres to the dustproof network, the wind blades are switched to a position in which reverse wind is generated to prevent the heat from the engine side. It is discharged out of the apparatus through the exhaust, and the dust and the like attached to the dustproof network are blown out of the apparatus and removed from the dustproof network. In this case, in order to avoid a decrease in the cooling efficiency, it is common to set the time when the pure wind occurs to about a few minutes and to set the time when the reverse wind occurs to about a few seconds. If it is set narrower than the said space | interval in the postur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a wind speed will become larger and the removal amount of dust etc. from a damping net will become larger in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As a result, even in a posture in which pure wind occurs, the intake of outside air from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becomes more efficient, and thus the cooling efficiency for the engine or the like is also improved.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허브의 중심부에 이 허브와 상기 회전 축심 주위에 일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허브 및 회전체를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와 기풍익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허브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기풍익을 그 길이 방향 주위에 자세 변경하는 연계 기구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hub of the said hub is provided with the rotating body which integrally rotates around this hub and the said rotating shaft center, and the support shaft which supports the said hub and the rotating body so that relative displacement is possible to the said rotating shaft center direction, An interlock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wind blad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around its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hub is relatively displaced from the rotating body.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해 허브와 회전체와 회전 중심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으로써, 그 상대 변위량이 연계 기구에 의해 허브에 대한 각 기풍익의 회전 조작량으로 변환되고, 각 기풍익의 허브에 대한 자세가 일제히 변경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the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hub and the rotating body by the operation mechanism, the relative displacement amount is converted into the rotational operation amount of each wind blade relative to the hub by the linkage mechanism, to the hub of each wind blade Attitude changes in unison.

이 연계 기구는 허브의 외주부에 장비되는 기풍익과 허브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회전체 사이에 형성된 허브의 직경 방향의 간극을 유효 이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허브에 대해 회전체나 연계 기구 등이 회전 축심 방향에 포개어져 배치되게 된다. 즉, 연계 기구 등을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콤팩트화에 의해, 연계 기구 등을 배치하는 공간에 여유도 생겨 조립 부착할 때의 작업성도 향상된다. This linkage mechanism is effectively utilized by utilizing the gap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b formed between the wind blade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and the rotating body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ub. Therefore, the rotating body, the linkage mechanism, and the like are superposed on the hub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That is, the linkage mechanism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more compactly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Due to the compactness, a space is provided in the space in which the linking mechanism and the like are arranged, and workability at the time of assembling and attachment is also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은 콤팩트화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허브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compactness as described above, 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rotating body is arrang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hub.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기구가 시프트 포크와, 이 시프트 포크에 의해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의 외주부가 이 이동 부재에, 상기 회전 축심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허브는 그 중심부가 지지축에 의해, 그 외주부가 이동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된 안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허브의 중심부만을 지지축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비교하여, 지지축에 대한 허브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허브 및 기풍익을 지지축에 대한 적절한 자세로 회전 축심 주위로 원활하게 일체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operation mechanism includes a shift fork and a moving member supported by the shift fork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ub is provided around the rotational axis around the moving member. It is supported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ub is in a stable st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the movable member, respectively.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the center of the hub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it is possible to prevent twisting of the hub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and the hub and the wind vane are smoothly integrated and driven about the rotation axis in a proper postur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You can.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허브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의 상대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이 회전 축심 주위에 상기 허브 를 상기 회전체에 연동 회전시키기 위한 연동축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직경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회전 축심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허브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이 회전 축심 주위에 허브와 회전체를 연동시키는 연동축이 개별로 설치된다. 따라서, 허브의 이동 조작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팬의 조작성이 한층 향상된다. 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support shaft is configured to allow relative sliding of the hub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relative to the rotational body, and at the same time, interlocking a shaft for interlocking the hub to the rotational body around the rotational axis. 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side of the diamet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hub so as to b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an interlocking shaft for interlocking the hub and the rotating body around the rotation axis are separately provided. Therefore, the increase in the movement operation resistance of the hub can be suppressed, and the operability of the fan is further improved.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가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는, 상기 팬에는 상기 허브 및 기풍익을 덮는 슈라우드가 설치되고,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혹은, 상기 기풍익에는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과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이 설치되고, 상기 고기풍 작용면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고, 상기 저기풍 작용면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어 있다. 이들 어느 쪽의 구성에 의해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지므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콤바인 등의 예취 작업기에 채용한 경우에는 제진망으로부터의 먼지 등의 제거량이 보다 많아지는 점에서 한층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blowing angle of the said wind blade in the attitude | position in which the said back wind occurs is set larger than the blowing angle of the said wind blade in the posture in which the said pure wind occurs. Alternatively, the fan is provided with a shroud covering the hub and the wind blades, and the amount of foaming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wind blades and the shroud in a posture in which the counterwind occurs and the wind blades in a postur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It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larger than the amount of foaming in the said rotation axis center direction with the shroud. Alternatively, the wind blades are provided with a high wind action surface having a high wind efficiency and a low wind action surface having a low wind efficiency, and the high wind action surface is set at an action surface in a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The working surface is set to the working surface in the postur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ure wind occurs. In either of these configurations, since the wind speed in the posture of the reverse wind is larger than the wind speed of the posture of the forward wind, for examp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in a mowing machine such as a combine, dust from a vibration damping network, or the like. It can be made more excellent at the point which removes more.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풍익을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순풍 모드를 순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과, 이 기풍익을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역풍 모드를 역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을 반복하는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통풍 제어 수단이 마련되고, 이 통풍 제어 수단이 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비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순풍 모드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a)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Tini)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또한 (b)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b1)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거나, 또는, (b2)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역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형태로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통풍 운전 처리로서 상기 역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역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작업 상태로서, 상기 엔진이 설정 회전 속도 이상의 회전 상태이고, 또한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인 것을 검출하도록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허브의 외주부에, 이 허브의 주위 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복수의 제1 지지부가 정렬 형성되고, 상기 각 제1 지지부에 상기 기풍익의 지지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1 지지부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의 이동 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제1 지지부보다도 상기 허브의 직경 방향 내측에 설치하고 있다.
엔진 냉각 장치로서는, 작업 상태가 비작업 상태에 관계없이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통풍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3063호 공보 참조). 그러나, 노상 주행이나 예취 작업을 행하기 전 등의 부진의 발생이 적은 비작업 상태에서는 먼지가 제진망에 부착한다고 해도 그 양은 근소하며, 냉각 풍량의 확보는 역풍 운전을 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점에 비추어, 본 구성에서는 작업 상태와 비작업 상태 사이에서 운전 처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다 합리적으로 어느 쪽의 상태에 있어도 양호한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orward wind setting time for setting the wind vane as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is performed for the forward wind setting time and the reverse wind setting time for the reverse wind setting in which the wind vane is in the posture at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s repeated. Ventilation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is provided, and when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detects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 vehicle,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is performed; when the non-working state is detected, the forward wind operation process of continuously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is performed. It is configured to carry out. This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in the following points.
In one suitable embodiment, when (a) the elapsed time after the last wind-winding mode is executed the previous time when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ing state to the work state is detected exceeds the set time Tres for the counterwind prohibition. And after the reverse wind mode is executed for the starting set time Tini, the elapsed time whe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and (b)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is detected. If the time does not exceed the counter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b1) after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counterwind prohibit set time Tres, the counterwind After the mode is executed for the set time for startup,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or (b2) the elapsed time is the reverse wind gold. Until it exceeds the setting for the time (Tres)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ventilation operating handle in the form of performing the after running the downwind mode, the ventilation operation, first processing mode from the headwind.
In one suitable embodiment, when the reverse wind mode is executed as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when the switching from the work state to the non-work state is detected, the forward wind drive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s completed.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perform.
In one suitable embodiment, when the counterwind mode is executed when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is detected,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after the execution of the counterwind mode is completed.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perform.
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detect, as the working state, that the engine is in a rotational state at a set rotation speed or higher and that a working clutch for intermittent power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is on. .
In one suitable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are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and the support shaft portions of the wind blades are rotatable in eac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s. It is supported so that it is, and between each said 1st support part in the said hub, the 2nd support part which supports the moving member of the said operation mechanism is formed.
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said 2nd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radial inside of the said hub rather than the said 1st support part.
As an engine cooling apparatus, what provided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which performs a pure wind operation process irrespective of a non-work state is known (for example, refer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263063). However, even when dust adheres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in a non-working state where there is little occurrence of sluggishness such as before moving on roads or performing mowing operations, the amount is small, and the amount of cooling air flow may not be reversed. In view of this point, in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on process is divided between the working state and the non-working state. Thereby, it is possible to ensure good cooling performance even more reasonably in either state.

삭제delete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되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features will be apparent from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작업차(예취 작업차)의 일예인 자탈형 콤바인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자탈형 콤바인」이라 함은, 탈곡 피드 체인에 의해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하면서 말단측을 탈곡 장치로 탈곡 하는 타입의 콤바인으로, 예취 곡간의 전간을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는 타입의「보통형 콤바인」또는「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라 칭해지는 콤바인에 대한 명칭이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self-talling combine which is an example of a work vehicle (cutting work vehicle),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zatal type combine" is a type of combine which threshes the end side with a threshing apparatus, while pinching and conveying the stem bottom side of a harvest grain by a threshing feed chain, and a type which threshing process by inputting the whole span of the harvest grain. It is a name for a combine called "common type combine" or "full time input combine".

도1에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이, 도2에는 그 전체 평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고, 이 콤바인은 각 파이프재 등에 의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기기 부재 프레임(1), 이 기기 부재 프레임(1)의 하부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2), 주행에 수반하여 식립 곡간을 예취하여 좌우 방향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좌측 후방을 향해 반송하도록 기기 부재 프레임(1)의 전방부에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 반송부(3), 예취 반송부(3)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수취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를 실시하도록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예취 반송부(3)의 후방 부위에 탑재된 탈곡 장치(4), 이 탈곡 장치(4)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도록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4)의 우측 부위에 배치된 곡립 탱크(5) 및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예취 반송부(3)의 우측 부위에 형성된 탑승 운전부(6)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In Fig. 1, the entire right side surface of the self-detached combine is shown in Fig. 2, and the entire plane thereof is shown in Fig. 2, and the combine is composed of a device member frame 1 formed in a frame shape by each pipe member or the like. A pair of left and right crawler-type traveling devices 2 arranged at the bottom, lifting and swinging in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member frame 1 so as to lift the mounting grain stem along with the running and convey it toward the left rear while changing the posture to the left and right posture. Mounted in the rear part of the harvesting | reaping conveyance part 3 in the apparatus member frame 1 so that the harvesting | reaping grain culm from the harvesting | reaping conveyance part 3 and the harvesting conveyance part 3 which were connected so as to receive threshing and sor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e grain threshing apparatus 4 and the apparatus member frame 1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part of the threshing apparatus 4 in the apparatus member frame 1 so that the threshing apparatus 4 of this invention, the grain from this threshing apparatus 4, may be stored. In Is taken and the like on board operation portion 6 formed in the right portion of the transfer section (3).

곡립 탱크(5)는 그 내부에 저류한 곡립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류식 배출 기구(7)를 구비하는 동시에,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5)의 후방 부위에 수직 설치한 배출 기구(7)의 양송 스크류(8)를 지지점으로 하여, 탈곡 장치(4)에 인접하여 탈곡 장치(4)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는 작업 위치와, 탈곡 장치(4)로부터 이격하여 탈곡 장치(4)의 우측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쳐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grain tank 5 has a screw-type discharge mechanism 7 for discharging the grains stored therein out of the apparatus, and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grain tank 5 in the apparatus member frame 1. Working position for storing the grain from the threshing apparatus 4 adjacent to the threshing apparatus 4, and the threshing apparatus spaced apart from the threshing apparatus 4 with the feeding screw 8 of the one discharge mechanism 7 as a support point. It is comprised so that rocking displacement is possible to the left-right direction over the maintenance position which opens the right side of (4).

탑승 운전부(6)는 기기 부재 프레임(1)의 우측 전방부에 부설된 탑승 스텝 (9),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탑승 스텝(9)의 직전 부위에 수직 설치된 전방 패널(10), 이 전방 패널(10)에 장비된 선회 조작용이고 또한 예취 반송부 승강 조작용 조종 레버(11),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탑승 스텝(9)의 바로 좌측 부위에 수직 설치된 사이드 패널(12), 이 사이드 패널(12)에 장비된 주변속 레버(13)나 부변속 레버(14) 및 탑승 스텝(9)의 후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15)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boarding driver 6 includes a boarding step 9 attached to the right front side of the device member frame 1 and a front panel 10 vertically installed at a por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boarding step 9 in the device member frame 1. Side, which is provided for the swing operation equipped with the front panel 10 and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right-left part of the boarding step 9 in the mowing / carrying unit lifting / lowering operation and the device member frame 1. It is formed by the panel 12, the main gear lever 13 attached to this side panel 12, the sub transmission lever 14, the driver's seat 15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boarding step 9, etc.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5)은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5)의 전방 부위에 배치된 원동부(16)를 덮는 엔진 본네트(17)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driver's seat 15 of the engine bonnet 17 covers the driving portion 16 dispos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grain tank 5 in the machine member frame 1. It is arranged at the top.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에는 양송 스크류(8)를 지지점으로 한 곡립 탱크(5)의 요동 변위를 허용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A gap is allowed between the grain tank 5 and the engine bonnet 17 to allow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grain tank 5 with the feed screw 8 as a supporting point.

원동부(16)는 기기 부재 프레임(1) 상에 출력축(18)이 좌우 방향이 되는 횡방향 자세로 방진 탑재된 수냉식 엔진(19), 이 엔진(19)의 우측 외측방에 수직 설치된 라디에이터(20) 및 벨트식 전동 기구(21)를 거쳐서 전달되는 출력축(18)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에 배치된 냉각 팬(팬에 상당)(2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prime mover 16 is a water-cooled engine 19 which is mounted on the machine member frame 1 in a horizontal posture in which the output shaft 18 is in a left-right direction, and a radiator installed vertically on the right outer side of the engine 19. 20) and a cooling fan (corresponding to a fan) disposed between the engine 19 and the radiator 20 so as to be rotationally drive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power from the output shaft 18 transmitted via the belt-type transmission mechanism 21. ) And the like.

라디에이터(20)에는 냉각 팬(22)을 둘러싸고, 그 냉각 팬(22)에 의한 외기의 취입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한 슈라우드(20A)가 구비되어 있다. The radiator 20 is equipped with a shroud 20A for enclosing the cooling fan 22 and allowing efficient blowing of outside air by the cooling fan 22.

엔진 본네트(17)는 그 우측벽(23)이 도풍 경로(24)를 구비하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그 우측벽(23)의 외면(25)에 제진망(26)이 걸쳐진 흡기구(27)가, 그 우 측벽(23)의 내면(28)에 라디에이터(20)에 대한 연통구(29)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냉각 팬(22)의 흡입 작용에 의해 제진망(26)으로 먼지 등이 여과 제거된 청정한 외기를 냉각용으로서 라디에이터(20)나 엔진(19) 등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engine bonnet 17 has a hollow structure in which the right side wall 23 has a guiding path 24, and an intake port 27 in which a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extends on the outer surface 25 of the right side wall 23. In addition, communication holes 29 for the radiator 2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28 of the right side wall 23, and dust and the like are introduced in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by the suction action of the cooling fan 22. It is comprised so that the clean outside air filtered out may be supplied to the radiator 20, the engine 19, etc. for cooling.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식 전동 기구(21)는 출력축(18)에 장착된 출력 풀리(30), 엔진(19)의 좌측부에 배치된 발전기(31)의 입력축(32)에 장착된 제1 입력 풀리(33), 엔진(19)의 전방 상부에 배치된 워터 펌프(34)의 펌프축(35)에 장착된 제2 입력 풀리(36) 및 그들 각 풀리(30, 33, 36)에 걸쳐진 전동 벨트(3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6, the belt-type transmission mechanism 21 includes an output pulley 30 mounted on the output shaft 18 and an input shaft 32 of the generator 31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engine 19. First input pulley 33 mounted on the second input, the second input pulley 36 mounted on the pump shaft 35 of the water pump 34 disposed above the front of the engine 19 and their respective pulleys 30, 33 And a transmission belt 37 spanning 36.

제2 입력 풀리(36)는 그 중심부(38)에 워터 펌프(34)의 인입을 허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그 중심부(38)가 외측을 향해 원통 형상으로 팽출 형성된 판금제이고, 그 팽출 단부가 펌프축(35)의 돌출단부에 고정 부착된 제1 회전체(39)에 4개의 볼트(40)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워터 펌프(34)의 펌프축(35)에 원반 형상의 제2 입력 풀리(36)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펌프축(35)의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그것들의 배치 길이를 짧게 하면서, 출력축(18)으로부터의 동력을 워터 펌프(34)의 구동력으로 하여 펌프축(35)에 전달할 수 있다. The second input pulley 36 is a sheet metal material whose central portion 38 is swelled in a cylindrical shape outwar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38 has an internal space allowing the water pump 34 to be drawn in. Four bolts 40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39 fixedly attached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pump shaft 35. Thereb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isk-shaped 2nd input pulley 36 is attached to the pump shaft 35 of the water pump 34, those in the direction along the shaft center P1 of the pump shaft 35 The power from the output shaft 18 can be transmitted to the pump shaft 35 as the driving force of the water pump 34 while the arrangement length is shortened.

그리고, 이와 같이 벨트식 전동 기구(21)를 개재한 엔진(1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워터 펌프(34)를 구동함으로써, 엔진(19)에 구비한 도면 외의 냉각수 자켓과 라디에이터(20)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 유동시킬 수 있어, 엔진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water pump 34 is driven by the power from the engine 19 via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21 to thereby cool the water between the coolant jacket and the radiator 20 other than the drawings provided in the engine 19. Can be circulated to flow, and the engine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3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팬(22)은 펌프축(35)의 축심(P1)을 회전 축심으로서 펌프축(35)과 함께 회전 구동되는 허브(41)나, 이 허브(41)와의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일체 회전으로 기풍하는 복수(여기서는 7매)의 기풍익(42) 등을 구비하고, 벨트식 전동 기구(21)를 개재한 엔진(1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기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 to 11, the cooling fan 22 is a hub 41 which is driven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ump shaft 35 using the shaft center P1 of the pump shaft 35 as the rotation shaft center, or the hub ( Power from the engine 19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wind blades 42 etc. which wind up by the integral rota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center P1 with 41 (7 sheets here), etc., and the belt-type transmission mechanism 21 was provided. It is configured to blow air by being driven to rotate in a constant direction.

허브(41)는 그 중앙부에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을 갖는 주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는 보스 형상의 복수(여기서는 7개)의 제1 지지부(43)가 주위 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정렬 형성되고, 각 제1 지지부(43)에 기풍익(42)의 지지축부(44)가 메탈 베어링(45)을 거쳐서 회전 축심(P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대응하는 축심(P2) 주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The hub 41 is formed in a main shape having a space concave in its center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is align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oss-shaped plurality (here, seven) first support portions 43 are spaced at a circumferential direction.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shaft center P2 se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shaft center P1 via the metal bearing 45 in each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s 43. Possibly supported.

허브(41)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있어서는, 4개의 볼트(40)에 의해 제1 회전체(39)에 제2 입력 풀리(36)와 함께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전체(회전체의 일예)(46)가 배치되고, 이 제2 회전체(46)의 중심부에는 그 축심을 펌프축(35)의 축심(P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배치되는 단면 원형의 지지축(47)이 제2 회전체(46)와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압입 끼워 맞춤 장비되고, 그 지지축(47)에 허브(41)의 중심부가 덜걱거림에 의한 틸팅이 억제된 끼워 맞춤 정밀도가 높은 상태에서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도록, 컬러(48)를 거쳐서 끼워 맞춤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축(47)이 제2 회전체(46)에 대한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의 미끄럼 이동 변위를 허용하는 미끄럼 이동 안내축이다.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hub 41, the second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39 together with the second input pulley 36 by four bolts 40 so as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econd rotating body (of the rotating body) One example) 46 is disposed, an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rotating body 46, a support shaft 47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center is aligned with the shaft center P1 of the pump shaft 35 is formed. 2 is equipped with a press-fit fitting in a state of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ry body 46, and the rotary shaft center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accuracy in which the tilting of the hub 41 is rattled by the support shaft 47 is suppressed is high ( The fitting is held via the collar 48 so that the relative sliding in the direction along P1) is possible. That is, the support shaft 47 is a sliding guide shaft which allows sliding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center P1 of the hub 41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ody 46.

그리고, 허브(41)의 중심부와 지지축(47) 사이에 있어서의 컬러(48)의 외측 측에 허브(41)의 중심부와 지지축(47) 사이로의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로서의 O링(49)이 끼움 삽입되어 있다. O as a sealing member that prevents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ub 41 and the supporting shaft 47 on the outer side of the color 48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ub 41 and the support shaft 47. The ring 49 is inserted.

허브(41)의 중앙부에는 그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볼트 조작용 4개의 구멍(50)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들 구멍(50)을 폐색하는 동시에 O링(49)을 빠짐 방지하는 덮개 부재(51)가 구비되고, 그 덮개 부재(51)와, 지지축(47)에 볼트 연결되는 스프링 받침구(52) 사이에 그 덮개 부재(51)와 함께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1셋트의 압축 스프링(53)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hub 41, four holes 50 for bolt operation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at the same time, they cover the holes 5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O-ring 49 from falling out. The member 51 is provided, and the hub 41 is pulled together with the lid member 51 between the lid member 51 and the spring support 52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47 with the hub 41. One set of compression springs 53 which are urged toward the (36) side is interposed.

제2 회전체(46)의 외주부에는 4개의 관통 구멍(54)과,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연동축(55)이 설치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54)은 허브(41)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각 연동축(55)은 대응하는 관통 구멍(54)에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는 동시에, 제2 회전체(46)의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허브(41)를 회전 축심(P1) 주위로 연동 회전시킨다. 이들 4개의 연동축(55)은 허브(41)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비되어 있다. 이 연동축(55)에 의해, 허브(41)가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이 회전 축심(P1) 주위에서 제2 회전체(46)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연동축(55)은 4개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Four through holes 54 and four interlocking shafts 55 corresponding to them are provid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46. Each through hole 54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41. Each interlock shaft 55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54 so as to be relatively slidable in a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center P1, and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center P1 of the second rotating body 46. In connection with this, the hub 41 is interlocked and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P1. These four interlocking shafts 55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41. The interlocking shaft 55 allows the hub 41 to slide relative to the second rotating body 46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P1,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otating body 46 around the rotation axis P1. Rotate in conjunction with). In addition, the interlocking shaft 55 is not limited to four, but can be set to arbitrary numbers.

각 관통 구멍(54)에는 컬러(56)가 내부 끼움되고, 각 컬러(56)와 대응하는 연동축(55) 사이에는 허브(41) 및 제2 회전체(46)에 있어서의 각 회전 축심(P1)으 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각 관통 구멍(54)과 대응하는 연동축(55)의 제조 오차에 기인한 관통 구멍(54)에 대한 연동축(55)의 삽통 불량을 회피하기 위해 비교적으로 큰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각 컬러(56)와 대응하는 연동축(55) 사이에는 또한 각 관통 구멍(54)과 대응하는 연동축(55) 사이로부터의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동시나 구동 정지시에 있어서의 허브(41)와 연동축(55)의 접촉에 기인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O링(57)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각 O링(57)은 허브(41)에 나사 고정되는 링 형상의 누름 부재(58)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A collar 56 is fitted inside each through hole 54, and each rotary shaft center in the hub 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6 is interposed between the collar 56 and the corresponding linking shaft 55. The insertion failure of the interlock shaft 55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54 due to the manufacturing error of the interlock shaft 55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ough holes 54 formed or dispos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P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eliminated. In order to avoid, a relatively large gap is formed. The hub at the time of driving or stopping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respective colors 56 and the corresponding interlocking shaft 55 and preventing the entry of foreign matter from each of the through holes 54 and the corresponding interlocking shaft 55. An O-ring 57 is fitt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41 and the interlock shaft 55. And each O-ring 57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the ring-shaped press member 58 screwed to the hub 41.

각 기풍익(42)의 지지축부(44)에는 그 축심(P2)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축심(P2) 주위로 요동하는 요동 아암(59)이 고정 부착되고, 각 요동 아암(59)은 그 지지축부(44)와의 연결 부위로부터 떨어진 자유단부 부위에 제2 회전체(46)를 향해 돌출되는 연계 핀(60)이 장비되어, 그들 각 요동 아암(59)이나 각 연계 핀(60) 등에 의해 연계 기구(61)가 구성되어 있다. To the support shaft portion 44 of each wind blade 42, a swinging arm 59, which swings around the shaft center P2 with rotation around the shaft center P2, is fixedly attached, and each swinging arm 59 is fixed. Is equipped with a linking pin 60 projecting toward the second rotating body 46 at the free end portion away from the linking portion with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44, and the respective swinging arms 59 and the linking pins 60, respectively. The linkage mechanism 6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제2 회전체(46)의 외연부에는 대응하는 연계 핀(60)이 계입되는 7개의 홈부(62)가 그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는 상태로 형성되고, 각 홈부(62) 사이는 각 기풍익(42)의 지지축부(44)에 요동 아암(59)을 고정 부착하는 너트(63)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On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46, seven grooves 62 into which the corresponding linking pins 60 are engaged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between the grooves 62 between the respective air flows.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nut 63 which fixes the swinging arm 59 to the support shaft part 44 of the blade | wing 42, it is formed in concave shape.

즉, 허브(41)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제2 회전체(46)가 배치되고, 그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있어서의 허브(41)의 외주부와 제2 회전체(46)의 외주부와의 간극을 유효 이용하여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제2 회전체(46)에 대한 허브(41)의 변위에 의해 각 기풍익(42)을 그들의 길이 축심(P2) 주위에 자세 변경하는 연계 기구(61)가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축심(P2) 주위에서의 자세 변경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냉각 팬(22)으로서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at is, the 2nd rotation body 46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hub 41, and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hub 41 and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2nd rotation body 46 in the recessed space. Linkage to change the posture blades 42 around their longitudinal axis P2 by the displacement of the hub 41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ody 46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using The mechanism 61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reby enabling the change of the attitude | position around the axial center P2 of each wind blade 42, and being compact as the cooling fan 22 is attained.

또한, 제2 입력 풀리(36)와 제2 회전체(45) 사이에는 제2 입력 풀리(36)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나 각 구동축(54)의 제2 입력 풀리(36)측으로의 빠짐 방지 등을 행하는 스페이서(64)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Moreover, between the 2nd input pulley 36 and the 2nd rotating body 45, the positioning in the direction which follows the rotation axis center P1 of the 2nd input pulley 36, and the 2nd input pulley of each drive shaft 54. As shown in FIG. The spacer 64 which prevents the fall out to the (36) side, etc. is interposed.

엔진(19)의 전방부에는 시프트 포크(65)를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66)가 볼트 연결되고, 그 시프트 포크(65)의 하단부에는 제2 입력 풀리(36)의 중심부(38)를 바깥으로 둘러싸는 통형의 이동 부재(67)가 한 쌍의 볼트(68)를 거쳐서 그들 볼트(68)를 지지점으로 한 시프트 포크(65)에 대한 자세 변경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 연결되고, 그 이동 부재(67)에 허브(41)의 외주부에 형성한 제2 지지부(69)가 래디얼 베어링(70)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A support member 66 for boltably supporting the shift fork 65 in a direc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P1 is bolted to the front of the engine 19, and a second inpu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ift fork 65. A cylindrical moving member 67 which surrounds the central portion 38 of the pulley 36 outwards has a change in posture with respect to the shift fork 65 with the bolts 68 as a supporting point via the pair of bolts 68. Supported in the possible state, the 2nd support part 69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hub 41 to the movable member 67 is supported via the radial bearing 70. As shown in FIG.

즉, 허브(41)는 그 중심부가 지지축(47)에 컬러(48)를 거쳐서 지지되고, 그 외주부가 이동 부재(67)에 래디얼 베어링(70)을 거쳐서 지지되는 안정 상태에서 시프트 포크(65)의 요동에 수반하여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부재(67)와 함께 일체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at is, the hub 41 has a shift fork 65 in a stable state in which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47 via the collar 48,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the moving member 67 via the radial bearing 70.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integrally displaced with the moving member 67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center P1 with the oscillation of ().

또한, 제2 입력 풀리(36)의 중심부(38)를 바깥으로 둘러싸는 이동 부재(67)에 허브(41)의 외주부에 형성한 제2 지지부(69)를 래디얼 베어링(70)을 거쳐서 지 지시킴으로써 제2 입력 풀리(36)의 포갬부가 되는 중심부(38)에 대해 허브(41)의 외주부,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을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포갠 콤팩트한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69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ub 41 in the moving member 67 surrounding the central portion 38 of the second input pulley 36 is supported via the radial bearing 70.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41, the moving member 67 and the radial bearing 70 are directed along the axis of rotation P1 of the hub 41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38 which becomes the forging portion of the second input pulley 36. Can be placed in a compact state.

각 제2 지지부(69)는 허브(41)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각 제1 지지부(43)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지지부(43)보다도 허브(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이들 제2 지지부(69)로 지지되는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이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는 각 제1 지지부(43)에 지지되는 기풍익(42)을 제2 회전체(46)에 연계하는 연계 기구(61)에 대해 포개어지고, 또한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는 허브(41)에 대해 포개어지는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Each second support portion 69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radially inward of the hub 41 than the first support portion 43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s 43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ub 41. Thus, the movable member 67 and the radial bearing 70 supported by these second support portions 69 remove the air blow blades 42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s 43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b 41. It is superimposed about the linkage mechanism 61 linked with the 2 rotary bodies 46,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overlaps with the hub 41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of the hub 41. FIG.

그 결과, 제2 지지부(69)를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 제1 지지부(43)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길이나 직경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는 일 없이, 허브(41)의 각 제1 지지부(43)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각 제1 지지부(43)에 있어서의 기풍익(42)의 지지 강도나 허브(41)의 전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2nd support part 69 is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1st support part 43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b 41, the path | route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of the hub 41 is compared.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n each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s 43 of the hub 41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support of the wind blade 42 in each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s 43 is supported. The strength and the overall strength of the hub 41 can be increased.

또한, 연계 기구(61)에 대해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을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 포개지 않은 상태에서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냉각 팬(22)의 직경 방향에서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각 기풍익(42)의 기풍 유효 길이를 크게 할 수 있고, 각 기풍익(42)에 의한 높은 기풍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oving member 67 and the radial bearing 70 are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linkage mechanism 61 in the state not superim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ub 41, the hub 41 in the radial direction is compared. The length can be made small, whereby the wind effective length of each wind blade 42 can be made large without causing the enlarg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ling fan 22, and the high by each wind blade 42 is obtained. The wind performance can be secured.

또한, 허브(41)에 대해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을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 포개지 않은 상태에서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큰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로의 배치가 행하기 쉬워진다.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oving member 67 and the radial bearing 70 are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hub 41 in the state which does not overlap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of the hub 41, the hub 41 is compared. The length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of the can be reduced, and the arrangement between the engine 19 and the radiator 20,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a large space, becomes easy.

게다가, 각 제2 지지부(69)를 제1 지지부(43)보다도 허브(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허브(41)의 외주부 전체 영역에 걸쳐서 형성하는 경우에 생기는 제1 지지부(43)에 기풍익(42)을 지지시킬 때나, 기풍익(42)과 제2 회전체(46)를 연계 기구(61)로 연계할 때에 제2 지지부(69)가 방해되는 것에 기인한 부착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Moreover, the 1st support part 43 which arises when it forms in the whole outer peripheral part area of the hub 41 in the state which located each 2nd support part 69 in the radial direction inner side of the hub 41 rather than the 1st support part 43 is carried out. Deterioration in adhesion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69 when the wind blade 42 is supported by the wind turbine blade 42 or when the wind blade 42 and the second rotary body 46 are connected by the linkage mechanism 61. Can be avoided.

허브(41)의 외주부에는 그 외주부의 각 제2 지지부(69)를 래디얼 베어링(70)에 지지 고정하는 링형의 압박 부재(71)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ub 41, a ring-shaped pressing member 71 for holding and fixing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s 69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the radial bearing 70 is screwed.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포크(65)의 상단부는 푸시풀 와이어(72) 등을 거쳐서 엔진 본네트(17)의 후방벽(73)에 전후 축심(P3)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섹터 기어(74)에 연계되고, 이 섹터 기어(74)는 엔진 본네트(17)의 후방벽(73)에 배치한 감속기가 달린 정회전 및 역회전 절환 가능한 전동 모터(75)의 출력 기어(76)에 맞물려 있다. 1 to 6, the upper end of the shift fork 65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haft center P3 on the rear wall 73 of the engine bonnet 17 via a push-pull wire 72 and the like. And an output gear of an electric motor 75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with a reduction gear disposed on the rear wall 73 of the engine bonnet 17. 76).

그리고, 전동 모터(75)로부터의 동력으로 섹터 기어(74)가 전후 축심(P3) 주위에서 기기 부재 우측 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면, 그 요동으로 푸시풀 와이어(72)가 당김 조작되는 동시에 시프트 포크(65)가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어, 이동 부재(67)와 함께 허브(41)가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하고,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기기 부재 우측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고, 이 변위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자세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일제히 변경되게 된다. Then, when the sector gear 74 is swung and driven around the front and rear axis P3 by the power from the electric motor 75, the push pull wire 72 is pulled and operated by the swing and the shift fork ( 65 is swing-operat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so that the hub 41 with the moving member 67 resists the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53, and the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ody 46 is rotated. According to P1, it is displaced to the device member rightward direction, and this displacement changes the attitude |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from the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takes place, and the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takes place all at once.

또한, 전동 모터(75)로부터의 동력으로 섹터 기어(74)가 전후 축심(P3) 주위에서 기기 부재 좌측 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면, 그 요동으로 푸시풀 와이어(72)에 의한 당김 조작이 해제되는 동시에, 허브(41)가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으로 이동 부재(67)와 함께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기기 부재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고, 이 변위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자세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일제히 변경되게 된다. Further, when the sector gear 74 is swung and driven around the front and rear axis P3 by the power from the electric motor 75, the pulling operation by the push-pull wire 72 is canceled by the swing. , The hub 41 is displaced to the left side of the device member along the axis of rotation P1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ody 46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67 by the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53.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is changed from the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takes place to the posture in which a pure wind takes place simultaneously.

즉, 압축 스프링(53), 시프트 포크(65), 이동 부재(67), 푸시풀 와이어(72), 섹터 기어(74) 및 전동 모터(75) 등에 의해 그 전동 모터(75)의 작동으로 허브(41)를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 기구(77)가 구성되고, 그 조작 기구(77)에 의한 제2 회전체(46)에 대한 허브(41)의 변위량이 연계 기구(61)에 의해 허브(41)에 대한 각 기풍익(42)의 회전 조작량으로 변환됨으로써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일제히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That is, the hub is operated by the compression spring 53, the shift fork 65, the moving member 67, the push-pull wire 72, the sector gear 74, the electric motor 75 and the like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75. The operation mechanism 77 which displaces the 41 41 with respect to the 2nd rotation body 46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center P1 is comprised, and the 2nd rotation body 46 by the operation mechanism 77 is comprised, Since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hub 41 is converted into the rotation operation amount of each wind blade 42 with respect to the hub 41 by the linkage mechanism 61, the attitude of each wind blade 42 can be changed at the same time.

그리고, 각 기풍익(42)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면, 그들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외기를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엔진 본네트(17) 내로 흡입하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도15 참조. 순풍 모드에 상당)가 나타나고, 각 기풍익(42)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R)(도15 참조. 역풍 모 드에 상당)로 절환하면, 그들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엔진 본네트(17) 내의 열기를 엔진 본네트(17)에 있어서의 우측벽(23)의 각 흡기구(27)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가 나타난다.When each wind blade 42 is switch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the outside air is brought into the engine bonnet 17 from each inlet port 27 of the engine bonnet 17 with the rota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P1. When a state (F) (see Fig. 15,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wind mode) of inhaling forward wind occurs, the respective wind blades 42 are switched to a posture (R) (see Fig. 15, corresponding to the reverse wind mode) in which the counterwind occurs. And a state in which a reverse wind discharges the heat inside the engine bonnet 17 from the intake ports 27 of the right side wall 23 in the engine bonnet 17 out of the apparatus with the rota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P1. Appears.

또한, 각 기풍익(42)은 그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42A)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이 되고, 또한 그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42B)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이 되도록 자세 설정되어 있다. Each wind blade 42 has a high wind efficiency surface 42A having a high wind efficiency, and a low wind action surface 42B having a low wind efficiency. The posture is set so as to be the wind action surface in the rising posture.

전동 모터(7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 제어 장치(78)에 의해 작동 제어되고, 제어 장치(78)는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75)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섹터 기어(74)의 전후 축심(P3) 주위에서의 요동 각도를 전동 모터(75)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조작량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식 포텐셔 미터로 이루어지는 각도 센서(79)로부터의 검출치를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75)의 작동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또는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변경을 검지한다. The electric motor 75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a control device 78 including a microcomputer or the like, and the control device 78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75 based on a control program stored in advance. And detection from the angle sensor 79 consisting of a rotary potentiometer for detecting the swing angle around the front and rear shaft center P3 of the sector gear 74 as an operation amount of each wind blade 42 by the electric motor 75. On the basis of the teeth, the posture change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or the counterwind occurs in each of the wind blades 42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75 is detected.

제어 장치(78)의 제어 작동에 대해 예시하면, 제어 장치(78)는 엔진(19)의 시동과 함께 계시를 개시하고, 그 계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시간(예를 들어 3분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라디에이터(20)나 엔진(19) 등에 공급하여 그들을 냉각한다. Illustrat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78, the control device 78 starts timekeeping with the start of the engine 19, and the first time set (eg, 3 minutes) after which the timepiece is set in advance has elapsed. Until the following, the attitude |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is maintained in the position which a pure wind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the state which pure air generate | occur | produces is shown, so that the outside air blown in from each intake port 27 of the engine bonnet 17 and the radiator 20 and It supplies to the engine 19 etc. and cools them.

그 제1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제2 설정 시간(예 를 들어 5초 동안)이 경과되기까지의 동안, 그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를 유지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배출하는 열기로 우측벽(23)의 제진망(26)에 부착한 먼지 등을 기기 밖으로 불어내어 제진망(26)으로부터 제거한다. When the first set time elapses, the posture of each of the wind blades 42 is changed from the posture of the forward wind to the posture of the reverse wind, and the elapse of the second preset time (for example, 5 seconds) is elapsed. The dust adhering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of the right side wall 23 by the heat discharged from each intake port 27 of the engine bonnet 17 by indicating the stat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and the reverse wind occurs while The back is blown out of the appliance to remove it from the vibration damper 26.

그 제2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제1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후, 계시를 기초로 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절환하여 나타낸다. When the second set time elapses, the posture of each of the wind blades 42 is changed from the posture of the reverse wind to the posture of the forward wind, and the time of the respective wind blades 42 is passed until the first set time elapses. The posture is maintained in a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and a stat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is shown. Then, the stat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and the stat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occurs based on the timekeeping.

즉, 냉각 팬(22)의 흡기 작용에 의한 원동부(16)의 냉각을 행하면서, 냉각 팬(22)의 배기 작용에 의한 제진망(26)의 자동 청소를 정기적으로 행하므로, 엔진 본네트(17)에 있어서의 우측벽(23)의 제진망(26)에 먼지 등이 부착하여 막히는 것에 기인한 냉각 능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고, 아울러 원동부(16)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cleaning of the vibration damping net 26 by the exhaust action of the cooling fan 22 is performed regularly, while cooling the drive part 16 by the intake action of the cooling fan 22, an engine bonnet ( Deterioration in the cooling capacity due to the adhesion of dust and the like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of the right side wall 23 in 17) can be avoided, and the cooling of the driving unit 16 can b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performed. have.

전동 모터(75)는 섹터 기어(74)나 각도 센서(79) 등과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80)에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80)는 엔진 본네트(17)에 있어서의 후방벽(73)의 배면(81)에 섹터 기어(74)와 전동 모터(75)가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각도 센서(79)가 엔진 본네트(17)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볼트 연결되어 있다. The electric motor 75 is mounted to the base plate 80 together with the sector gear 74, the angle sensor 79, and the like, and the base plate 80 i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wall 73 in the engine bonnet 17. 81 so that the sector gear 74 and the electric motor 75 are located between the grain tank 5 and the engine bonnet 17 and the angle sensor 79 is located inside the engine bonnet 17. The bolt is connected.

즉, 전동 모터(75)는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에 곡립 탱크(5) 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동 모터(75)에 원동부(16)로부터의 열기가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동 모터(75)를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를 유동하는 외기에 온도가 낮은 곡립 탱크(5)측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아울러 전동 모터(75)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원동부(16)로부터의 열기로 전동 모터(75)가 그 허용 온도 이상으로 승온하여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되고, 한여름의 악조건 하에 있더라도 전동 모터(75)의 작동 불량에 의한 막힘으로 냉각 능력이 저하되어 엔진(19)이 오버 히트될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electric motor 75 is located between the grain tank 5 and the engine bonnet 17 in the state in which the grain tank 5 side was opened, and the driving part 16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75 by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from directly acting,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motor 75 can be exposed from the low temperature grain tank 5 side to the outside air flowing between the grain tank 5 and the engine bonnet 17.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ol the electric motor 75, and to avoid the possibility that the electric motor 75 is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llowable temperature by the heat from the driving unit 16 and does not function normally. In addition, even under the adverse conditions of midsummer,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engine 19 being overheated due to a decrease in the cooling capacity due to the blockage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electric motor 75.

또한, 각도 센서(79)를 엔진 본네트(17)의 내부에 위치시킨 것으로, 전용의 방수 구조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비용의 앙등이나 구성의 복잡화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압력 세차시 등에 방사되는 압력이 있는 물이 각도 센서(79)의 내부로 침입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lacing the angle sensor 79 inside the engine bonnet 17, the pressure radiated at the time of pressure washing or the like without incurring cost rise, complicated configuration, or the like by providing a dedicated waterproof structure. This problem can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of intrusion into the interior of the angle sensor (79).

그런데, 푸시풀 와이어(72)는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 항상 시프트 포크(65)를 거쳐서 이동 부재(67)와 함께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예압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53)으로서 압박력이 작은 것을 채용하면서도, 순풍이 일어날 때의 부하에 저항하여 각 기풍익(42)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53)으로서 압박력이 작은 것을 채용함으로써, 그 압박력에 저항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하 는 전동 모터(75)로서 소형의 것을 채용할 수 있고, 또한 그 압축 스프링(53)을 개재 장착하는 덮개 부재(51)와 스프링 받침구(52) 사이를 좁힐 수 있고, 냉각 팬(22)으로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의 한정된 좁은 공간으로의 배치를 행하기 쉬워진다. By the way, the push pull wire 72 has the hub 41 together with the movable member 67 through the shift fork 65 at all times in the state where the pure wind which changed the attitude |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into the position which a pure wind takes place arises. ) Is configured to apply a preload to press the second input pulley 36 side, whereby the pressing force is small as the compression spring 53 for pressing the hub 41 toward the second input pulley 36 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each wind blade 42 in a postur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while resisting the load when the pure wind occurs. In addition, by employing a small compression force as the compression spring 53, a small-sized electric motor 75 is used to change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from the posture of the forward wind to the posture of the reverse wind in response to the compression force. Can be employed, and the cover member 51 and the spring support port 52 through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53 is interposed can be narrowed, and the size of the cooling fan 22 can be reduced. ) And the radiator 20 are easily arranged in a limited narrow space.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풍익(42)의 자세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지도록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익(42)의 기풍 각도(θa)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익(42)의 기풍 각도(θb)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osture angle of each wind blade blade 42 is the wind angle angle? A of the wind blade blade 42 in the posture wind direction so that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reverse wind occurs becomes larger than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forward wind occurs. )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airflow angle θb of the airfoil blade 42 in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이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그 작용으로 외기를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엔진 본네트(17) 내로 취입하면서도, 먼지 등이 각 흡기구(27)의 제진망(26)에 부착하는 문제점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반대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그 작용으로 제진망(26)에 부착한 먼지 등의 제거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Thereby, in the state where the pure wind which changed the attitude |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into the position which a pure wind generate | occur | produces, while the outside air blows in into the engine bonnet 17 from each intake port 27 of the engine bonnet 17 by the effect | action , Dust, etc., can make it difficult to cause a problem of adhering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of each intake port 27. On the contrary, in the state where the reverse wind occurs by changing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Therefore, dust and the like adhering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can be effectively removed in a short time.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팬(22)에는 그 허브(41) 및 기풍익(42)을 덮는 슈라우드(7A)가 설치되어 있다. 도11의 (a)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슈라우드(7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기풍익(42)과 슈라우드(7A)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포갬량(L2)을 나타낸다. 도11의 (b)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슈라우드(7A)를 향해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기풍익(42)과 슈라우드(7A)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포갬량(L1)을 나타낸다. 도11의 (a) 및 도11의 (b)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포갬량(L1)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포갬량(L2)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진다. As shown in FIG. 3, the cooling fan 22 is provided with a shroud 7A covering the hub 41 and the wind blade 42. FIG. 11 (a) shows a stat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in which the hub 41 is displaced in a direction falling from the shroud 7A along the rotation axis P1 to change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into a postur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The amount of foaming L2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of each wind blade 42 and the shroud 7A in FIG. FIG. 11 (b) shows that in the state where the reverse wind occurs in which the hub 41 is displaced toward the shroud 7A along the rotation axis P1, the attitude of each of the wind blades 42 is chang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The foaming amount L1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of each wind blade 42 and the shroud 7A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Figs. 11 (a) and 11 (b), the foaming amount L1 in the reverse wind stat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foaming amount L2 in the state where the forward wind occurs. have. As a result,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reverse wind occurs is larger than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pure wind occurs.

[통풍 제어 수단][Ventilation control means]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각 팬(22)을 사용하여, 비작업 상태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 통풍시킴으로써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라디에이터(20)나 엔진(19) 등에 공급하여 그들을 냉각한다. 또한, 작업 상태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역풍용 설정 시간(예를 들어 5초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그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를 유지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 통풍시키고,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배출하는 열기로 우측벽(23)의 제진망(26)에 부착한 먼지 등을 기기 밖으로 불어내어 제진망(26)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역풍용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순풍용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 통풍시키고, 이후 계시를 기초로 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를 절환하여 나타낸다.In the non-working state, by using the cooling fan 2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engine bonnets 17 is ventil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by maintaining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in the position where the pure wind occurs. The outside air blown in from the inlet port 27 is supplied to the radiator 20, the engine 19 and the like to cool them. In the working state,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is changed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is generat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and the counterwind is performed until the preset counterwind setting time (for example, 5 seconds) elapses. The dust and the like attached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of the right side wall 23 are ventil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osture is maintained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each intake port 27 of the engine bonnet 17. Blow out of the appliance to remove it from the vibration damper 26. When the setting time for the reverse wind elapses,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is changed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counterwind occurs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while the respective wind blades 42 The posture is kept in a postur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and the air is ventilated in a stat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F), and then the stat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R) and a stat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F) are displayed on the basis of timekeeping.

도12에 조작 기구(77)의 전동 모터(7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동 모터(75)는 마이크로 컴퓨터 이용의 제어 장치(78)(본 발명의 통풍 제어 수단에 상당)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것이고, 제어 장치(78)에는 엔진(19)의 회전 속도(N)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S1), 예취 반송부(3) 및 탈곡 장치(4)에의 엔진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작업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온(ON), 오프(OFF)를 검출하는 작업 스위치(S2), 섹터 기어(74)의 전후 축심(P3) 주위에서의 요동 각도를 전동 모터(75)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조작량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식 포텐셔 미터로 이루어지는 각도 센서(S3)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들 센서 및 스위치류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75)가 프로그램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 75 of the operating mechanism 77. As shown in FIG. The electric motor 75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78 (corresponding to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icrocomputer, and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the rotational speed N of the engine 19. The work switch which detects ON and OFF of the work clutch (not shown) which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engine power to the rotational speed sensor S1, the harvesting | reaping conveyance part 3, and threshing apparatus 4 to S2) and the angle sensor S3 which consists of a rotary potentiometer which detects the rocking | fluctuation angle around the front-rear shaft center P3 of the sector gear 74 as an operation amount of each wind blade 42 by the electric motor 75 Each is connected, and the electric motor 75 is program-contro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se sensors and switches.

제어 장치(78)의 제어 작동은 4개의 작동 모드(M1 내지 M4)로 이루어지고, 제어 장치(78)가 행하는 각 작동 모드에 의한 제어 작동을 기초로 하여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 이르는 냉각 팬(22)에 대한 상태 천이가 발생한다. 도13에 있어서, 작동 모드(M1)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키지 않고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유지하는「순풍 유지 작동 모드」이다. 작동 모드(M2)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킴으로써 각 기풍익(42)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여,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이행시키는「역풍 출력 작동 모드」이다. 작동 모드(M3)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키지 않고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냉각 팬(22)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유지하는「역풍 유지 작동 모드」이다. 작동 모드(M4)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킴으로써 각 기풍익(42)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여, 냉각 팬(22)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이행시키는「순풍 출력 작동 모드」이다.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78 is made up of four operation modes M1 to M4, and a pure wind as shown in FIG. 13 occurs based on the control operation by each operation mode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78. A state transition occurs for the cooling fan 22 leading to the state F and the state R in which the backwind occurs. In Fig. 13, the operation mode M1 maintains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42 in the posture in which the pure air is generated without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75, thereby bringing the cooling fan 22 into the state F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It is the "wind wind keeping operation mode" to keep. The operation mode M2 switches each of the wind blades 42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by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75, thereby causing the reverse fan to flow out of the cooling fan 22 from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It is the "wind-wind output operation mode" which transfers to the state (R) which arises. The operation mode M3 maintains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42 in the posture direction without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75, and maintains the cooling fan 22 in the stat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Mode of operation ”. The operation mode M4 switches each of the wind blades 42 from the counter-winding position to the post-winding position by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75, thereby cooling the cooling fan 22 from the state R in which the counterwind occurs. It is a "wind wind output operation mode" which transfers to the state (F) which arises.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78)가 기동되면, 제어 장치(78)는 이니셜라이즈 처리로서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제로 클리어하고,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여,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3초로 설정한다. As shown in Fig. 14, when the control device 78 is activated, the control device 78 clears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f, which is reduced for each processing in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as the initializing process. T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and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f, which is reduced for each processing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changed from the postwind direction to the posture position where the forward wind occurs. The time for switching operation monitoring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for example, is set to 3 seconds.

상술한 이니셜라이즈 처리 후, 제어 장치(78)는 메인 루틴에 들어가고, 메인 루틴을 동작 주기마다 처리한다. 또, 제어 장치(78)의 동작 주기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클럭이 발생하는 클럭 신호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제어 장치의 제어 대상을 고려하면, 수 msec 정도 이하의 동작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above-mentioned initializing process, the control apparatus 78 enters a main routine, and processes a main routine every operation cycl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 period of the control apparatus 78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clock signal which the external clock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considering the control object of a control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 operation period of several msec or less.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78)의 작동 모드는 이니셜라이즈 처리에 의해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되어 있으므로, 제어 장치(78)의 기동 후 최초로 행해지는 메인 루틴의 개시시의 제어 장치(78)의 작동 모드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지만, 그 후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도16에 도시하는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에 의해 작동 모드는 변화하게 된다. 도16에 따르면, 순풍 유지 작동 모드 (M1)로부터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를 경유하여 변화한다. 반대로,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부터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를 경유하여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6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작동 모드의 변화는 정상 동작시에 발생하는 모드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작동 모드의 변화는 후술하는 이상 동작시에 발생하는 모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device 78 is set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by the initializing process, the control device at the start of the main routine first performed after the start of the control device 78 ( The operation mode of 78) is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but the subsequent processing is executed, so that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by any of the paths shown in FIG. According to Fig. 16,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operation mode M1 to the reverse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3, the change is made via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On the contrary, when changing from the reverse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3 to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it turns out that it changes via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n Fig. 16, the change in the operation mode indicated by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mode change occurring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change in the operation mode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dicates the mode change occurring during the abnormal operation described later.

메인 루틴에서는, 우선 각도 센서(S3)의 출력 신호 전압이 정상 전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각도 센서(S3)의 출력이 정상인지 이상인지 판별하고(스텝 #1),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섹터 기어(74)의 전후 축심(P3) 주위에서의 기계적인 요동 한계에 있어서의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제어 장치(78)에 학습시키는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스텝 #2),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 및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제어 작동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발생한 과거의 작동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여(스텝 #3), 회전 속도 센서(S1)의 값을 기초로 엔진(19)의 회전 속도(N)가 설정 회전 속도(n)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엔진(19)이 회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스텝 #4), 작업 스위치(S2)의 상태를 기초로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5). In the main routine,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rmal or abnormal based on whether the output signal voltage of the angle sensor S3 is within the normal voltage range (step # 1), and the nonvolatile memory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78 learns the output value of the angle sensor S3 at the mechanical swing limit around the front-rear axis center P3 of the sector gear 74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not show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completed (step # 2), and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and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st operation abnormality generated when the control operation is being executed (step # 3)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speed N of the engine 19 is the set rotational speed n based on the value of the rotational speed sensor S1.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abnormal or not, the engin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19 is in a rotation state (step # 4), and whether or not the work clutch is in the on state based on the state of the work switch S2 (step # 5).

스텝 #1 내지 스텝 #5까지의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콤바인이 비작업 상태라고 제어 장치(78)가 검출한 것이 된 다. 이 때, 각도 센서(S3)의 출력이 이상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 #1에서 아니오) 메인 루틴의 선두로 이행하고, 다른 경우에는 작업 상태라고 검출하였을 때에 처리하는 후술하는 스텝 #6 내지 스텝 #8을 처리하지 않고 스텝 #9로 이행한다. If the condition does not correspond to any of the conditions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from Step # 1 to Step # 5,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that the combine is in the non-working state.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of the angle sensor S3 is abnormal (NO in step # 1), the process shifts to the head of the main routine, and in other cases, steps # 6 to be described later which are processed when it is detected as a working st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9 without processing # 8.

또, 엔진(19)이 회전 상태가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스텝 #4에서 아니오), 제어 장치(78)는 스텝 #14에 있어서 전회의 처리에서 행해진 스텝 #4에서의 판별 처리에서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전회 처리에서의 판별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이 전회 판별 결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엔진(19)이 회전 상태로부터 비회전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별하면,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여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순풍 감시용 설정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 후(스텝 #15) 스텝 #9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엔진(19)이 AES(Auto Engine Stop) 등에 의해 강제 정지된 경우나, 작업자에 의해 엔진(19)의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그 때의 냉각 팬(22)의 작동 상태에 상관없이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19 is not in the rotation state (NO in step # 4), the control device 78 sends the storage device to the storage device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in step # 4 performed in the previous process in step # 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ngine 19 has changed from the rotational state to the non-rotational stat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information in the stored previous process,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f is set to the forward wind monitoring setting time (for example, 3 seconds) (step # 15),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 9. As a result, when the engine 19 is forcibly stopped by AES (Auto Engine Stop) or the like, or when the engine 19 is stopped by an operator, regardless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ling fan 22 at that time. The cooling fan 22 can be set to the state F in which a pure wind generate | occur | produces.

한편, 스텝 #1 스탭 #5까지의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모든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콤바인 작업 상태라고 제어 장치(78)가 검출한 것이 되고, 스텝 #6, 스텝 #7, 스텝 #8을 처리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corresponds to all the conditions in the discrimination process to step # 1 step # 5, the control apparatus 78 detects that it is a combine operation state, and step # 6, step # 7, and step # 8 are performed. Process.

스텝 #6에서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제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제로이면 스텝 #7로 진행하고, 제로가 아니면 스텝 #9로 이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후술하는 순풍 유지 처리(Z1)가 실행될 때마다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감소(decrement)되고 있는 동안에는 작 업 클러치가 온이 되어도 작동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스텝 #9로 이행하게 된다. In step # 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keeping counter Cf is zero. If zero, the flow advances to step # 7, and if not, the flow advances to step # 9. By doing this, even if the operation clutch is turned on while the operation mode is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and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f is decremented every time the forward wind holding processing Z1 described later is executed. The operation proceeds to step # 9 without changing the operation mode.

스텝 #7에서는 처리 시점에서의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면 스텝 #8로 진행하고, 이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9로 이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이미 제로라도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 이외인 경우에는, 작동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스텝 #9로 이행하게 된다. In step # 7, if the operation mode at the processing time point is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the flow proceeds to step # 8, and in other cases, the flow proceeds to step # 9. By doing in this way, if the operation | movement mode is other than the forward wind hold | operation mode M1 even if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 | maintenance counter Cf is already zero, it will transfer to step # 9 without changing an operation mode.

스텝 #8에서는 작동 모드를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 셋트하고,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값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 후, 스텝 #9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스텝 #6 및 스텝 #7의 두 개의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스텝 #8을 실행함으로써,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 변경[도16의 모드 변화(MC12)]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제로로 감소될 때까지 실행한 후의 작업 상태로의 절환의 검출에 의해서만 행해지게 된다. In step # 8,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and the postwind occurs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value of the reverse 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r is reduced for each processing in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After setting the switching operation monitoring time (for example, 3 seconds)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the switching of the furnac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9. In this way, when the conditions in the two discrimination processes of Step # 6 and Step # 7 are met, Step # 8 is executed to change to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mode change MC12 in Fig. 16). Is performed only by the detection of the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after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is executed until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f is reduced to zero.

즉, 순풍 유지 카운터(Cf)는 본 발명의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및 순풍용 설정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터로서 기능하고, 스텝 #5 내지 스텝 #8의 처리에 의해 제어 수단이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해도, 통풍 운전 처리에 의한 역풍 모드에서의 통풍이 전회 행해진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새로운 역풍 모드의 실행이 견제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counter Cf functions as a counter for counting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ting time and the forward wind setting ti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ans switches the operation state to the working state by the processing of steps # 5 to # 8. Even if it detects, execution of a new counterwind mode is restrained until the setting time for a counterwind prohibition passes after ventilation in the counterwind mode by a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was performed last time.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경우나,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경우나, 스텝 #9 이후의 처리는 동일하다. 즉 스텝 #9에 있어서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제어 작동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발생한 과거의 작동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여, 이상 있음이라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12로 이행한다. The case where the switch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is detected, or the switch from the work state to the non-work state is detected, or the processes after Step # 9 are the same. That is, in step # 9,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st operation abnormality generated when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counter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is executed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s determin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the step is determined. Go to # 12.

스텝 #9에 있어서 이상 없음이라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10으로 이행하여, 작동 모드가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이면 역풍 출력 처리(Z2)를 실행하고,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가 아니면 스텝 #11로 이행한다. 스텝 #11에 있어서는, 작동 모드가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이면 역풍 유지 처리(Z3)를 실행하고,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가 아니면 스텝 #12로 이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 9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the flow proceeds to step # 10, and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the reverse wind output processing Z2 is executed. Go to # 11. In step # 11,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counter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3, the counterwind maintenance process Z3 is executed, and if it is not the counter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3, the routine proceeds to step # 12.

스텝 #12에서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발생한 과거의 작동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여, 이상 없음이라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13으로 진행하고, 이상 있음이라 판별한 경우에는 메인 루틴의 선두로 이행한다. In step # 12,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 operation in the past that occurred when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perform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step # 1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the process moves to the head of the main routine.

스텝 #13에서는 작동 모드가 판별되어, 작동 모드가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면 순풍 출력 처리(Z4)를 실행하고,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가 아니면 이 경우에는 반드시 작동 모드는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고, 순풍 유지 처리(Z1)를 실행한다. In step # 13,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nd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the forward wind output processing (Z4) is executed. If the operation mode is not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the operation mode is always the forward wind maintenance operation. In the mode M1,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process Z1 is executed.

이와 같이 하여, 스텝 #9 이후의 처리에 의해 작동 모드마다 대응하는 처리가 나누어진다. 이들 4개의 작동 모드(M1 내지 M4)로 제어 장치(78)가 실행하는 Z1 내지 Z4의 각 처리에 대해 도17 내지 도20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In this way, the processes corresponding to step # 9 and the corresponding processes are divided for each operation mode. Each processing of Z1 to Z4 executed by the control device 78 in these four operation modes M1 to M4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s of FIGS. 17 to 20.

[순풍 유지 처리][Wind-wind keeping processing]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유지 처리(Z1)에서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양의 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1), 양의 값이면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감소하고(스텝 #2), 양의 값이 아니면, 즉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으면 아무런 처리를 행하지 않고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제로로 유지하는 동시에,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 그대로 유지한다(도16의 MC11).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순풍 유지 카운터(Cf)가 제로가 된 후에도 본 발명의 순풍 모드에서의 통풍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즉 통풍 제어 수단이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여, 통풍 운전 처리로부터 순풍 운전 처리로 절환하여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의 경과 후에도 순풍 모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순풍 유지 카운터(Cf)가 제로로 유지되므로, 다음에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경우에는 도14의 스텝 #5 내지 스텝 #7의 처리에 의해 본 발명의 역풍 모드가 실행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17, in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process Z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counter Cf is a positive value (step # 1), and if it is a positive value,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counter Cf is determined. (Step # 2), if it is not a positive value, i.e., reduced to zero, no processing is performed and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f is kept at zero, and the operating mode is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ng mode ( M1) as it is (MC11 in Fig. 16). In this way, when the ventilation in the forward wind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es even after the forward wind maintenance counter Cf becomes zero, that is,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detects the switching from the working state to the non-working state, If the forward wind mode continues even after the set time for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after the reverse wind mode is switched to the forward wind operation processing, the forward wind maintenance counter (Cf) is kept at zero. Then, the switch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is performed. Is detected, the reverse wind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by the processing of steps # 5 to # 7 of FIG.

[역풍 출력 처리][Wind-wind output processing]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풍 출력 처리(Z2)에서는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기초로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즉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완료되어 냉각 팬(22)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절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1),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2로 진행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으 면 스텝 #5로 진행한다. 스텝 #2에 있어서는,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값이 양이면 스텝 #3을 경유하여 스텝 #4로 진행하고, 양이 아니면 스텝 #6을 경유하여 스텝 #7로 진행한다. As shown in Fig. 18, in the counterwind output processing Z2, the current operation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by the electric motor 75 is set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angle sensor S3. Whether the position has been reached, that is, the posture switching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f each wind blade 42 takes place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s completed, and the cooling fan 22 generates a reverse wind from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R). If it has not reached the target posi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2, and if the target position is reac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5. In step # 2, if the value of the counter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r is positiv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4 via step # 3, and if no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7 via step # 6.

스텝 #5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를 현재의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부터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 변경(도16의 MC23)하기 위해 작동 모드를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 셋트하고, 본 발명의 역풍용 설정 시간 및 기동용 설정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터로서 기능하는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을 소정의 설정 시간(예를 들어 5초)으로 셋트한다. In step # 5, it is considered that the posture switching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f each of the wind blades 42 occurs to the posture in which the counterwind occurs is completed normally, and thus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from the current counter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to the counter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 To change to M3) (MC23 in Fig. 16),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reverse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3, and the reverse wind holding counter (Cr) functions as a counter to time the reverse wind setting time and the starting setting time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set to a predetermined setting time (for example, 5 seconds).

스텝 #6에서는,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으로서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초기치로서 도14의 스텝 #8에 있어서 셋트된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고,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제어 작동 중에 어떠한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기억 장치에 역풍 출력 이상 기록을 저장하여 작동 모드를 현재의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부터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변경(도16의 MC24)하기 위해, 스텝 #7에서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여,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다. In step # 6, the set time set in step # 8 of Fig. 14 as the initial value of the counter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r as the switching operation monitoring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from the posture of the forward wind to the posture of the counterwind. Since it is considered that any abnormality has occurr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the reverse wind output abnormality record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so that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from the current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In order to change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MC24 in Fig. 16),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n step # 7, and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f) is set to the reverse wind. It is set to the switching motion monitoring time (for example, 3 seconds)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from the posture to the postur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스텝 #3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 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는 현재의 작동 모드인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를 유지(도16의 MC22)하고, 전동 모터(75)를 역회전 구동 조작하여 스텝 #4에서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값을 감소시킨다. In step # 3, since it is thought that the posture switching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f each wind blade 42 takes place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has not yet been completed, the operation mode selects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which is the current operation mode. 16 (MC22 in FIG. 16), the electric motor 75 is operated in reverse rotation to decrease the value of the counter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r in step # 4.

[역풍 유지 처리][Rewind Wind Treatment]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풍 유지 처리(Z3)에서는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이 양의 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1), 양의 값이면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을 감소시키고(스텝 #2), 작동 모드는 현재의 작동 모드인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를 유지(도16의 MC33)한다.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이 양의 값이 아니면, 즉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으면, 작동 모드를 현재의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부터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변경(도16의 MC34)하기 위해 스텝 #3에서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고,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역풍 유지 카운터(Cr)가 제로가 된 경우, 즉 본 발명의 통풍 제어 수단이 역풍 모드를 역풍용 설정 시간 동안 실행한 경우에는 작동 모드가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변경되므로, 통풍 수단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다. 스텝 #3의 처리는 도18에 도시하는 역풍 출력 처리(Z2)에 있어서의 스텝 #7과 동일한 처리이다. As shown in Fig. 19, in the counterwind maintaining process Z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the counterwind maintaining counter Cr is a positive value (step # 1), and if it is a positive value, the value of the counterwind maintaining counter Cr is determined. (Step # 2), the operation mode maintains the current operation mode, the reverse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3 (MC33 in Fig. 16). If the value of the counterwind maintenance counter Cr is not a positive value, that is, reduced to zero,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from the current counter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3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MC34 in Fig. 16). In step # 3, set the operation mode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and set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f) which decreases for each processing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It sets to the switching motion monitoring time (for example, 3 secon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to this posture. By doing in this way, when the counterwind maintenance counter Cr becomes zero, that is, when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counterwind mode for the counterwind setting time,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The ventilation means is switched from the position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The process of step # 3 is the same process as step # 7 in the reverse wind output process Z2 shown in FIG.

[순풍 출력 처리][Wind wind output processing]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출력 처리(Z4)에서는 스텝 #1에 있어서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된 경우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때의 목표 위치로서의 값을 다른 값이 되도록 분기하는 처리를 행한다. As shown in Fig. 20, in the forward wind output processing Z4,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completed in step # 1, and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completed, the completion is completed. If it is not, the value as the target position at the time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sent operation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by the electric motor 75 has reached the target position is diverged so as to be a different value. The process is performed.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텝 #2로 진행하고,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기초로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정규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즉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완료되어 냉각 팬(22)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절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3으로 진행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으면 스텝 #8로 진행한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6으로 진행하고,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기초로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았을 때용의 목표 위치(이하 임시 목표 위치라 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즉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완료되어 냉각 팬(22)이 일단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절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임시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3으로 진행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으면 스텝 #8로 진행한다.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completed, it progresses to step # 2 and the present of each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by the electric motor 75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angle sensor S3. Whether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the normal target position, that is, the posture switching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f each of the wind vanes 42 of the cooling fan 22 is completed is completed, and the cooling fan 22 generates the forward wind (F).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3 if it has not reached the target position, and proceeds to step # 8 if the target position has been reached.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it progresses to step # 6 and each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by the electric motor 75 is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angle sensor S3. Whether the current operating position of has reached the target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emporary target position) for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that is, the net wind of each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After the posture switching to the posture close to the posture is completed and the cooling fan 22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has been switched to the stat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F), if the temporary target position has not been reached,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 3. If the position is reached, proceed to step # 8.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된 경우 및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중 어떠한 경우라도, 스텝 #3에 있어서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이 양이면 스텝 #4를 경유하여 스텝 #5로 진행하고, 양이 아니면 스텝 #7을 경유하여 스텝 #8로 진행한다. In either case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completed or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if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f is positive in Step # 3, step # 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5 via, and if not positiv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8 via step # 7.

스텝 #7에서는,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으로서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초기치로서 도14의 메인 루틴의 이니셜라이즈 처리 또는 도19의 스텝 #3에 있어서 셋트된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고,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 중에 어떠한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기억 장치에 순풍 출력 이상 기록을 저장하여 스텝 #8로 진행한다. In step # 7, initializing processing of the main routine of Fig. 14 or Fig. 19 is used as an initial value of the counter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f as a time for switching operation monitoring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from a counterwind posture to a postwind posture. Since the set time set in step # 3 of the above has been exceeded and any operation abnormality has occurr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the forward wind output abnormality record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the step # 8 Proceed to

스텝 #8에서는, 스텝 #7로부터 진행해 온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 중에 어떠한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를 현재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부터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경하기 위해(도16의 MC41b),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셋트한다. 또한, 스텝 #6으로부터 이행해 온 경우에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혹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를 현재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부터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경하기 위해(도16의 MC41a)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셋트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순풍용 설정 시간 및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터로서 기능하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소정의 설정 시간(예를 들어 3분)으로 셋트한다. In step # 8, if it has been proceeded from step # 7, it is considered that any operation abnormality has occurr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so that the operation mode is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from the current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n order to change to the mode M1 (MC41b in Fig. 16),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orward wind keeping operation mode M1. In addition, when it shifts from step # 6, since the posture switching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f each wind blade 42 generate | occur | produces, or the posture close | similar to the postur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is completed normally,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current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In order to change from the mode M4 to the forward wind keeping operation mode M1 (MC41a in FIG. 16),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orward wind keeping operation mode M1. In any case,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f which functions as a counter for counting the forward wind setting time and the counterwind prohibition setting ti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a predetermined setting time (for example, 3 minutes).

스텝 #4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혹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는 현재의 작동 모드인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를 유지하고(도16의 MC44), 전동 모터(75)를 정회전 구동 조작하여 스텝 #5에서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감소시킨다. In step # 4, it is considered that the posture switching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or the posture close to the posture in which the wind turbine blade 42 is completed has not yet been completed, so that the operation mode is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which is the current operation mode. ) (MC44 in Fig. 16), and the electric motor 75 is subjected to forward rotation operation to decrease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output monitoring counter Cwf in step # 5.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은 통상은 제조시에 공장에서 행해지는 것이므로, 기동 직후의 제어 장치(78)가 도14의 스텝 #2 및 순풍 출력 처리(Z4)에서의 스텝 #1에서의 판별 처리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조정 완료되었다고 판별하지만, 예를 들어 제어 장치(78)가 고장에 의해 상기 기억 장치와 함께 새로운 것으로 변환된 경우 등에는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콤바인이 사용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 장치(78)가 기동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그 후의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 사이에서의 자세 절환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어, 냉각 팬(22)의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 및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가 정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Since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usually performed at the factory at the time of manufacture, the control device 78 immediately after starting is discriminated in step # 1 of FIG. 14 and step # 1 in the pure wind output processing Z4. In most cases, the process determines that the adjustment is completed, but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device 78 is converted to a new one together with the storage device due to a failure, the combine is performed while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This can happen. When the control device 78 is started in a state where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in some cases, a posture in which pure wind of each wind blade 42 of the subsequent cooling fan 22 occurs, and a reverse wind occurs. The posture switching between postures cannot be performed correctly, and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of the cooling fan 22 occurs and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may not appear correctly.

그래서,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는 절환하지 않고,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 확실하게 유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이상, 각도 센서(S3)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으므로, 이미 설명 한 순풍 출력 처리(Z4)(도20)의 스텝 #6에 있어서 각 기풍익(42)의 목표 위치를 미조정시용의 목표치로 설정함으로써, 미조정시에 있어서 상정되는 검출 오차를 고려한 본래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무난한 자세로 각 기풍익(42)이 보유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Therefore,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the control apparatus 78 does not switch each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to the posture which a reverse wind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a posture which a pure wind produces Control is performed to keep the posture securely in a close position. Unless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completed, the attitude of each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based on the output of the angle sensor S3. In step # 6 of the output processing Z4 (Fig. 20), the target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is set to the target value for fine adjustment, whereby the original pure wind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error assumed during fine adjustment. Each wind blade 42 is held in a safe posture close to.

도14의 스텝 #2에서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 #9로 이행한다. 제어 장치(78)의 기동시에 이니셜라이즈 처리에서 작동 모드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되므로, 기동 후 최초로 스텝 #9로 이행하였을 때의 작동 모드는 이니셜라이즈 처리로 셋트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다. 이미 설명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이 완료되면,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화한다(도16의 MC41a 또는 MC41b).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서의 제어 작동 중,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14 및 도15의 메인 루틴에서는 선두로부터 스텝 #9로 이행하게 되므로, 메인 루틴의 스텝 #8 혹은 스텝 #5에 나타내는 작동 모드의 변경을 수반하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 데다가, 순풍 유지 처리(Z1)에서도 작동 모드의 변경을 수반하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장치(78)는 그 후 제어 작동을 계속해도,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를 유지하게 된다(도16의 MC11). 즉,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기동 직후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을 경유하고, 그 후에는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서만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냉각 팬(22)은 그 각 기풍익(42) 의 자세가 무난한 자세에 의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게 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 2 of FIG. 14 that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has not been comple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 9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at the initializing process at the time of startup of the control device 78, the operation mode when the first shift to step # 9 after the start is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ng mode set to the initializing process. (M4). When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the operation mode changes to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MC41a or MC41b in Fig. 16). If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the main routine of Figs. The process involving the change of the operation mode shown in step # 8 or step # 5 is not executed, and the process involving the change of the operation mode is not executed even in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process Z1. Accordingly, the control device 78 maintains the operation mode in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even after continuing the control operation (MC11 in Fig. 16). That is,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the control device 78 passes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mmediately after the start, and thereafter, the forward 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1. Will only work). By doing in this way, when the initial adjustment of the angle sensor S3 is not completed, the cooling fan 22 ventilates in the state F in which the pure wind by the attitude | position with which the attitude |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is moderate occurs. Will be done.

이상 설명한 제어 장치(78)의 제어 작동에 따르면, 각도 센서(S3)나 전동 모터(75)의 작동 이상이 검출되지 않고, 또한 엔진(19)의 회전 속도(N)가 설정 회전 속도(n) 이상이면, 작업 클러치의 온 오프 상태를 기초로 하여 이하와 같이 냉각 팬(22)의 작동이 제어된다.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78 described above,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angle sensor S3 or the electric motor 75 is not detected, and the rotation speed N of the engine 19 is set to the rotation speed n. If abnormal,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fan 22 is controlled as follows based on the on-off state of the work clutch.

우선,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제어 장치(78)는 비작업 상태를 연속해서 검출하여, 도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계속해서 실행하고, 통풍 수단인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 통풍시켜 본 발명의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를 연속해서 검출하는 경우에는, 도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반복하여 실행하고, 통풍 수단인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교대로 통풍시켜 본 발명의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First, if the work clutch is kept in the off state, the control device 78 continuously detects the non-working state, and performs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as shown in Fig. 21A. Subsequently, the cooling fan 22 which is a ventilation means is ventilated in the state F in which a pure wind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the forward wind operation process of this invention is performed. When the control device 78 continuously detects the working state, as shown in Fig. 21B, the forward wind maintaining operation mode M1,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and the reverse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3 are shown.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repeatedly executed, and the cooling fan 22, which is a ventilation means, is alternately ventilated in a state in which a forward wind occurs (F) and a stat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R).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is performed.

그리고, 온 상태였던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면, 제어 장치(78)가 도14의 스텝 #5에 있어서 전회 처리에서는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라 판별하였지만, 상기 처리에 있어서는 작업 스위치(S2)의 오프를 검출하여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라 판별한다. 즉, 제어 장치(78)가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다. Then, when the work clutch that was in the on state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the control device 78 determines that the work clutch is in the ON state in the previous process in step # 5 of Fig. 14, but in the process, the work switch S2 Off is detected to determine that the work clutch is off. That is,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switching from the working state to the non-working state.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한다. When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the switching from the working state to the non-working state, when th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ounter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at the time when the switching is detected, the counter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After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counter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3 and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completed, or when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counter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3 is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switching is detected, the counterwind maintenance is performed. When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performed after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operation mode M3 and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completed, or when the switching is detected,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After the control operation by M4 is completed,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is performed.

이와 같이 하여,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그 검출시에 통풍 운전 처리에 의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즉, 본 발명의 역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는 형태로(즉, 본 발명의 순풍 모드를 실행하는 형태로)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그 검출시에 통풍 운전 처리에 의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즉, 본 발명의 순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대로 본 발명의 순풍 모드를 실행하는 형태로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Thus, when the control apparatus 78 detects switching from a working state to a non-working state, when the control apparatus 78 is performing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in which the backwind by a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rises at the time of detection (that is, this present In the case of executing the reverse wind mode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 22B, after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s completed, the air is ventil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In the case of performing ventilation in the state F in which the pure wind by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occurs at the time of detection (i.e., executing the pure wind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2A. The forward wind driv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orm of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오프 상태였던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제어 장치(78)가 도14의 스텝 #5에 있어서 전회 처리에서는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라 판별하였지 만, 상기 처리에 있어서는 작업 스위치(S2)의 온을 검출하여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라 판별한다. 즉, 제어 장치(78)가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다. Then, when the work clutch that was in the off state is switched to the on state, the control device 78 determines that the work clutch is in the off state in the previous process in step # 5 of FIG. 14, but in the process, the work switch S2. The on clutch is detected to determine that the work clutch is in the on state. In other words,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ing state to the working state.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작업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이미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한다. When the switching mode is detected, the operation mode is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and when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1 is already reduced to zero,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counterwind output operating mode M2 is stopped. Do it.

또한,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작업 모드가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인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작업 모드가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인 경우에는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작업 모드가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인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작업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아직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제로가 될 때까지 계속 행하여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제로가 된 후에,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한다. At the time when the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is detected, when the work mode is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the reverse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3, and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are applied. After the control operation is completed, or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reverse 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3), after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reverse 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3) and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completed, or the operation mode is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after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on mode (M4) is completed, or the operation mode is the forward wind maintenance operation mode (M1), and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maintenance counter (C1) is still zero. If it is not reduced until then,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is continued until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1 becomes zero, and after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1 becomes zero, Backwind output operating mode (M2)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이와 같이 하여, 기본적인 경우로서,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진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 후에 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제어 장치(78)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실행 중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이미 제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즉, 제어 장치(78)가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후에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기동용 설정 시간(Tini)[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풍용 설정 시간(Tr)과 동일한 시간] 동안 행한 후에,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하여, 이후 역풍용 설정 시간(Tr) 동안 행해지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과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이 교대로 반복하여 행해진다. In this manner, as a basic case, after the switching to the non-working state is performed, the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is performed after sufficient time has elapsed, whereby the control device 78 performs the control operation by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If it is being executed and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1 is already zero (i.e., when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it is performed after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where the backwind occurs) When the ventilation time in the state where the forward wind occurs (F) exceeds the set time Tres for the counterwind prohibition],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As shown in the figure, after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R) is performed for the start setting time Tini (the same time as the reverse wind setting time Tr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ate F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Barrel Is performed during the forward wind setting time Tf, and then the air flow in the reverse wind state R performed during the reverse wind setting time Tr and the forward wind occurring during the forward wind setting time Tf occur (F). The ventilation at is alternately repeated.

즉,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Tini) 동안 실행한 후에, 순풍 모드를 실행하는 형태에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That is, when the control apparatus 78 detects switching to a working state, when the elapsed time after performing the reverse wind mode last time exceeds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ting time Tres, the control unit 78 starts the reverse wind mode. After executing during (Tini),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orm of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한편, 예외적인 경우로서,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진 직후에 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제어 장치(78)가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이거나,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이거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거나,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아직 제로로까지 감소되지 않은 경우에는[즉, 제어 장치(78)가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도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팬(22)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의 이행 중 혹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중인 경우나, 도24의 (a) 및 도24의 (b)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후에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직후에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를 유지하여, 그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한 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기동용 설정 시간(Tini)[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풍용 설정 시간(Tr)과 동일한 시간] 동안 행한 후에,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하여, 이후 역풍용 설정 시간(Tr) 동안 행해지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과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교대로 반복하여 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an exceptional case, the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switching to the non-working state is made, so that the control device 78 is in the reverse wind output operation mode M2 or in the reverse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3, If in the forward wind output operating mode M4 or in the forward wind holding operation mode M1 and the value of the forward wind holding counter C1 has not yet been reduced to zero (i.e., the control unit 78 switches to the working state). When it is detected, as shown in FIG. 24C, the cooling fan 22 is in the middle of the transition to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or in the air in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or FIG. As shown in (a) and FIG. 24 (b), the ventilation time in the state where the forward wind occurs after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where the reverse wind occurs (R) exceeds the set time Tres for the counterwind prohibition. Otherwise, the control device 78 can work from a non-working state. When the switching to the state is detected,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s maintained, and the ventilation time in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is set for prohibition of the reverse wind. After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until the time Tres is exceeded,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s set to startup time Tini (in this embodiment, the set time for the reverse wind) [The same time as (Tr)], then the air in the state where the forward wind occurs (F) is performed for the forward wind setting time (Tf), and then the reverse wind occurs during the reverse wind setting time (Tr) (R). The ventilation in the air and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F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during the set time Tf for the forward wind occur alternately.

즉,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넘을 때까지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Tini)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순풍 모드를 먼저 실행하는 형태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That is, when the control apparatus 78 detects switching to a working state, and when the elapsed time after performing the reverse wind mode last time does not exceed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ting time Tres, after the last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After the forward wind mode is executed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preset wind suppression time Tres, after the reverse wind mode is executed for the start setting time Tini, the forward wind mode is executed first by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performed.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작업 상태로 절환된 후의 순풍 모드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 이상 행해진 경우에 최초로 행해지는 역풍 모드에서의 통풍의 작동 시간인 기동용 설정 시간(Tini)은 통풍 운전 처리에 있 어서의 역풍 모드에서의 통풍 시간인 역풍용 설정 시간(Tr)과 동일한 시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setting time for start-up which is an operation time of the ventilation in the reverse wind mod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ventilation time in the forward wind mode after switching to a non-work state is performed more than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Tini) is configured to be equal to the set time Tr for the reverse wind, which is the ventilation time in the reverse wind mode in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다른 실시 형태] [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을 작업차(예취 작업차)의 일예인 자탈형 콤바인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다른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ased on the self-talling combine which is an example of a work vehicle (cutting work vehic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 adopt the following other embodiment.

[1] 도24의 (a), 도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풍익(42)을 그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42A)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역풍용 작용면)이 되고, 또한 그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42B)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순풍용 작용면)이 되도록 자세 설정해도 좋다. 이 자세 설정에 따르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지므로, 이 구성을 상기 실시 형태의 도7의 (a), 도7의 (b)에 도시하는 구성 대신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As shown in Figs. 24A and 24B, each of the wind blades 42 has a wind action in which a high wind action surface 42A having a high wind efficiency is in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The attitude | position may be set so that it may become a surface (working surface for reverse wind), and the low wind working surface 42B with low airflow efficiency becomes an airflow working surface (working surface for pure wind) in the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occurs. According to this attitude setting, since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reverse wind occurs becomes larger than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pure wind occurs, this configuration is replaced with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7A and 7B of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dopt to.

[2] 상기 실시 형태의 푸시풀 와이어(72) 대신에, 조작 기구(77)에는 풀 와이어(172)를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포크(65)와 함께 풀 와이어(72)에 있어서의 외측 와이어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66)와 시프트 포크(65) 사이에 시프트 포크(65)를 거쳐서 이동 부재(67)와 함께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82)을 개재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51)와 스프링 받침구(52) 사이에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53)을 개재 장착할 뿐만 아 니라, 시프트 포크(65)와 지지 부재(66) 사이에도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82)을 개재 장착하면,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의 한정된 좁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면서, 풀 와이어(172)에 의한 당김 조작을 해제하였을 때에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을 따라 기기 부재 좌측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데 필요한 조작력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 스프링(53, 82)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변경 조작을 보다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2] Instead of the push-pull wire 72 of the above embodiment, a pull wire 172 may be employed for the operation mechanism 77.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6, the shift fork 65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66 and the shift fork 65 supporting one end of the outer wire in the pull wire 72 together with the shift fork 65. The compression spring 82 which presses the hub 41 toward the second input pulley 36 side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67 may be interposed. In this way, the compression fork (53) for pressing the hub (41) toward the second input pulley (36) between the lid member (51) and the spring support (52) is interposed, and the shift fork ( If a compression spring 82 for pressing the hub 41 toward the second input pulley 36 is also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66 and the support member 66, the limited narrow between the engine 19 and the radiator 20 is provided. While releasing the pulling operation by the pull wire 172 while being disposed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obtain the operating force required to displace the hub 41 along the rotation axis P1 to the left side of the device member. do. Therefore, the posture change operation from the posture in which the backwind of each of the wind blade 42 occurs by the compression springs 53 and 82 to the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reliably.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78)가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전회 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전회 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으로서의 순풍용 설정 시간(Tf)을 초과할 때까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한 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는 형태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제어 장치(78)가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전회 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를 도27의 (a) 및 도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혹은 도2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시의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한 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먼저 행하는 형태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3]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ing state to the working state, the elapsed time after the last time the ventilation in the reverse wind state R occurs is the set time for the counterwind prohibition. When not exceeding (Tres), the control device 78 determines that the elapsed time after the previous ventilation is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unterwind occurs (R) determines the forward wind set time Tf as the counter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The venti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ventil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after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F where the pure wind occurs until it exceeds the limit. Instead, when the control device 78 detects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ing state to the working state, the elapsed time after the last time the ventilation in the reverse wind occurs in the state R causes the set time Tres for the counterwind prohibition to be set. If not exceeding, the control device 78 is shown in Fig. 27 (c) or from the time when the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is detected as shown in Figs. 27A and 27B.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at the time of detection is completed, after the ventilation is performed in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during the set time Tf for forward wind, the stat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R).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ventilation in the air is performed first.

[4] 상기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78)는 예시한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므로,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과 순풍용 설정 시간(Tf)이 모두 동일한 시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시한 제어 흐름에 한정되지 않고,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과 순풍용 설정 시간(Tf)이 각각 개별의 계시를 할 수 있는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도록 제어 장치(78)를 구성해도 좋다. [4] Since the control device 78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perates by the illustrated control flow, the control device 78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and the forward wind set time Tf become the same time. The control device 78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a control flow capable of individually time-counting not only the illustrated control flow but also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and the forward wind set time Tf. .

[5] 상기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78)는 예시한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므로, 기동용 설정 시간(Tini)과 역풍용 설정 시간(Tr)이 모두 동일한 시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시한 제어 흐름에 한정되지 않고, 기동용 설정 시간(Tini)과 역풍용 설정 시간(Tr)이 각각 개별의 계시를 할 수 있는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도록 제어 장치(78)를 구성해도 좋다. [5] Since the control device 78 of the above embodiment operates by the control flow illustrated, the control device 78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the start setting time Tini and the counterwind setting time Tr are the same time. The control device 78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t time Tini for startup and the set time Tr for backwind are operated by a control flow capable of individually timed not only the illustrated control flow.

[6] 상기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의 절환 검출시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도24의 (c) 및 도27의 (c)]에는 그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완료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 또는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작업 상태로의 절환 검출시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중단하여,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 또는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6] When the control device 78 of the above embodiment is ventilating in a state R in which a backwind occurs when switching to a working state is detected (Figs. 24 (c) and 27 (c)). Is configured to perform ventilation in the state F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during the set time Tres for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or the set time Tf for the forward wind after completing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 Instead of this, when the ventilation is performed in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when the switching to the working state is detected, the ventilation in the state R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s stopped, and the set time for the counterwind prohibition (Tres) is prevented. Alternatively, the air may be ventilated in the state F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during the set time Tf for the pure wind.

[7] 또한, 모두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ll,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 adopt the following other embodiment.

우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작업차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탈형 콤바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취 곡간의 전간을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는「보통형 콤바인」또는「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라 칭하는 타입의 콤바인, 혹은 인삼 수확기나 무 수확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트랙터라도 좋다. First, the work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self-deleting combin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is of a type referred to as a "normal combine" or "an interstitial combine" in which threshing processing is carried out by inserting the whole interval between harvested grains. It may be a combine, a ginseng harvester or a radish harvester. Moreover, a tractor may be sufficient.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팬(22)의 허브(41)와 기풍익(42)이 일체적으로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였지만, 이 대신에 기풍익(42)이 허브(41)에 대해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ub 41 and the wind blade 42 of the cooling fan 22 are integrally displace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P1, but instead, the wind blade 42 is the hub 41. It may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center P1 with respect t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풍 구조(순풍 모드와 역풍 모드로 통풍 방향을 변경하는 통풍 수단)의 구성은 이하와 같은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air flow structure (ventilation means which changes a ventilation direction to a forward wind mode and a reverse wind mode) by this invention can also be as follows.

예를 들어, 제2 입력 풀리(36)로서 분할 풀리를 채용하는 동시에, 그 가동 풀리가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변위 조작할 때에, 그 허브(41)와 일체 변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라디에이터(7)를 향해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엔진(19)측의 고정 풀리로부터 가동 풀리가 이격됨으로써 제2 입력 풀리(36)의 유효 직경이 작아져 냉각 팬(22)의 회전 수가 상승하도록 설정된다. 반대로, 허브(41)를 회전 축심(P1)을 따라 라디에이터(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엔진(19)측의 고정 풀리에 가동 풀리가 접근함으로써 제2 입력 풀리(36)의 유효 직경이 커져 냉각 팬(22)의 회전수가 저하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진다. For example, the split pulley is adopted as the second input pulley 36 and the movable pulley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displaced with the hub 41 when the hub pulley 41 is displaced along the rotation axis P1. You may also In this configuration, the engine 41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hub 41 is displaced toward the radiator 7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xis P1 and the attitude of each of the wind blades 42 is changed to the attitud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When the movable pulley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ulley on the) side,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second input pulley 36 is reduced to set the rotation speed of the cooling fan 22 to increase. On the contrary, in the state in which the pure wind which made the displacement of the hub 41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adiator 7 along the rotation axis P1 and changed the attitude | position of each wind blade 42 into the position which a pure wind occurs, the engine 19 When the movable pulley approaches the fixed pulley on the side of),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second input pulley 36 is increas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cooling fan 22 is lower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reverse wind occurs is larger than the wind speed in the state where the pure wind occur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풍 구조는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CPU나 하드디스크 등에 외기를 공급하여 냉각하는 냉각 장치나, 운전 캐빈 내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장치 등에 적용해도 좋다. The air fl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cooling device for supplying and cooling outside air to a CPU or a hard disk disposed in a casing, or a ventilation device for replacing air in an operating cabin.

또한, 기풍익(42)의 자세 변경을 전동 실린더 혹은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 등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수동 조작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In addition, the posture change of the wind blade 42 may be performed by an electric cylinder, a hydraulic cylinder, a hydraulic motor, etc., and may be comprised by manual operation.

또한, 전동 모터(75)의 작동으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그들 회전 축심(P1) 주위의 회전 구동[냉각 팬(22)의 회전 구동]에 관계없이 기풍하지 않는 비기풍 자세로 유지하는 비기풍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작업차 등에 있어서는 엔진(19)의 시동시에 그 비기풍 상태를 나타내면, 엔진(1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냉각 팬(22)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면서도, 기풍에 의한 부하로 엔진(19)의 시동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스타터 모터에 의한 엔진(19)의 시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75 keeps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in the non-air wind posture which does not blow,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drive (rotational drive of the cooling fan 22) around the rotary shaft center P1. You may comprise so that it may become possible to show the non-air wind stat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in a work vehicle or the like, if the non-airflow state is exhibit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19, the cooling fan 22 is driven to rotate with power from the engine 19, The increase in the starting load of the engine 19 under load can be avoided, and the engine 19 can be smoothly started by the starter motor.

또한, 제2 입력 풀리(3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기로서는, 발전기(31)나 유압 펌프 등이라도 좋다. Moreover, as an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2nd input pulley 36, the generator 31, a hydraulic pump, etc. may be sufficient.

또한, 전동 모터(75)의 작동으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임의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나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는 풍량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작업차 등에 있어서는 엔진(19)의 부하에 따라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변경하여 기풍에 의한 부하를 조절하면, 각 기풍익(42)의 기풍에 의한 냉각 상태나 제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업 주행시 등에 있어서의 과부하에 기인한 뜻밖의 엔진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75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volume adjustment that maintains the posture of each of the wind blades 42 in a posture in which arbitrary forward wind occurs or in a posture in which reverse wind occur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a work vehicle or the like, if the posture of each wind blade 42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of the engine 19 and the load caused by the wind is adjusted, the cooling state or the vibration damping caused by the wind of each wind blade 42 is controll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unexpected engine stoppage due to overload during work running or the like can be avoided.

또한, 제2 입력 풀리(36)에 제1 회전체(39)와 제2 회전체(46)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을 일체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In addition, one or both of the first rotating body 39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6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second input pulley 36.

또한, 지지축(47)에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을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제2 회전체(46)를 회전 축심(P1)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동시에, 지지축(47)과 허브(41)와 제2 회전체(46)가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허브(41)와 제2 회전체(46) 사이에 제2 회전체(46)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53)을 개재 장착하여,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에 의한 이동 부재(67)의 이동 조작, 또는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한 이동 부재(67)의 이동 조작으로 그 이동 부재(67)와 함께 제2 회전체(46)가 허브(41)에 대해 변위함으로써, 각 기풍익(42)의 자세가 일제히 변경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Moreover,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hub 41 to the support shaft 47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is impossible, and the relativ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rotary body 46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is possible. The support shaft 47, the hub 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6 are integrally rotated, and a second rotating body (between the hub 4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6) is supported. Mounting of the moving member 67 by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53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P1 by mounting a compression spring 53 for pressing the 46 toward the second input pulley 36 side. Each air flow is caused by the second rotating body 46 being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hub 41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67 by the moving operation 67 or the moving operation of the moving member 67 that resists the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53. You may comprise so that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blade | wing 42 may be changed simultaneously.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허브(41)에 대해 각 기풍익(42)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구조의 냉각 팬(22)을 이용하는 것 외에, 블레이드 자세가 고정된 냉각 팬의 구동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절환하여 순풍 모드와 역풍 모드를 나타내도록 구성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in addition to using the cooling fan 22 of the structure which reverses the direction of each wind blade 42 with respect to the hub 41 which is rotationally driven in a fixed direction like the sai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e rotation direction is switch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show the forward wind mode and the reverse wind mode.

또한, 순풍 모드를 초래하는 엔진 냉각 전용 냉각 팬과, 역풍 모드를 초래하는 제진 전용 냉각 팬을 구비하고, 이들을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 다.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oling fan dedicated to engine cooling resulting in the forward wind mode and a vibration damping dedicated cooling fan resulting in the reverse wind mode, and to use them separately.

또한, 엔진에 대해 라디에이터를 임의의 부위에 배치하여, 전동 모터로 구동되는 냉각 팬으로 라디에이터를 냉각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순풍 모드와 역풍 모드로 통풍 방향을 변경하는 통풍 수단으로서, 전동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 제어하여 냉각 팬의 회전 방향을 절환할 수 있다. Moreover, a radiator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arbitrary parts with respect to an engine, and a radiator may be cooled by the cooling fan driven by an electric motor. In this case, as the ventilation means for changing the ventilation direction in the forward wind mode and the reverse wind mod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oling fan can be switched by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또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순풍 모드)에 있어서는, 엔진 또는 라디에이터 중 한쪽에만 바람이 향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원동부(16)는 수냉식 엔진(19) 대신에, 라디에이터가 없는 공냉식 엔진을 탑재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위치와 라디에이터의 위치를 바꾸어, 제진망으로부터 냉각 팬, 라디에이터, 엔진의 순서로 배치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순풍 모드)에 있어서는 냉각 팬으로부터 발생한 바람이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후에 엔진 외벽에도 닿도록, 또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역풍 모드)에 있어서는 냉각 팬으로부터의 바람이 직접 제진망에 닿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단락에서 서술한 구성의 배치는, 예를 들어 전술한 한국 공개 특허 제2004-57980의 도11 내지 도13과 같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state where pure wind occurs (the pure wind mode),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the wind is directed only to one of the engine or the radiator. Instead of the water-cooled engine 19, the prime mover 16 may mount an air-cooled engine without a radiator.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ooling fan and the position of the radiator in the said embodiment are changed, and it arrange | positions in order of a cooling fan, a radiator, and an engine from a vibration damping network, and the wind which a wind generate | occur | produced from a cooling fan in the state which a pure wind occurs (pure wind mode) After passing through a radiator,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it may contact the outer wall of an engine and also the wind from a cooling fan may directly contact a damping net in the state which a reverse wind occurs (backwind mode). The arrangement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is paragraph can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 to 13 of the above-mentioned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04-57980.

또한, 상기 시프트 포크는 모터 등으로 조작하는 동력 기계 조작식인 것 대신에, 이 시프트 포크를 수동력으로 조작하는 수동 조작식인 것이라도 좋다. The shift fork may be a manual operation type that operates the shift fork by a manual force instead of a power machine operation type that is operated by a motor or the like.

마지막으로, 도면의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허 청구의 범위에는 도면 중의 대응 부호를 기입하고 있지만, 이 기입은 본원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를 도시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Finally,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ference of the drawings, corresponding claims in the drawings are written in the claims, but this writing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장비하는 것에 기인한 전체 구조의 대형화나 조립 부착성의 저하를 회피하여, 그 기구의 구성에 기인한 조작시에 있어서의 이음의 발생이나 기구의 열화도 방지하고, 또한 콤팩트하고 조작성이 우수한 엔진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enlargement of the overall structur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assembly adhes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wind state switching mechanism, and also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or deterioration of the mechanism during opera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mechanism. In addition, a compact and excellent engine cooling device can be provided.

Claims (17)

팬(22)의 회전에 의해 엔진(19)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41)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4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An engine cooling apparatus of a work vehicle configured to allow cooling of the engine 19 by the rotation of the fan 22, wherein the fan is provided with a hub 41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P1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In having the wind blade 42,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77)가 설치되고,An operation mechanism 77 is provided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into a posture in which a pure wind occurs and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상기 기풍익을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순풍 모드를 순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과, 이 기풍익을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역풍 모드를 역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을 반복하는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통풍 제어 수단이 마련되고, Ventilation control which performs a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which repeats performing a forward wind setting time for which the said wind blade is a posture which a said forward wind takes place, and performing a reverse wind setting time which makes this wind vane a posture which a said reverse wind takes place, set time for a reverse wind. Means are in place, 이 통풍 제어 수단이 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비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순풍 모드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고,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performs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when detecting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 vehicle, and performs the forward wind driving process of continuously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when detecting the non-working state,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a)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Tini)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또한(a) When the elapsed time after the last wind-winding mode is executed the previous time when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ing state to the work-state is detected exceeds the set time (Tres) for backwind prohibition, the counterwind mode is started. After executing for a preset time Tini,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and further (b)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b) When the elapsed time does not exceed the counter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when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is detected, (b1)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거나, 또는,(b1) after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and then executing the reverse wind mode for a set time for start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Processing, or (b2)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역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형태로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b2)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counterwind mode after the forward wind mode is executed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preset counter-winding time Tres. The engine cooling apparatus of the work veh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팬(22)의 회전에 의해 엔진(19)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41)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4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An engine cooling apparatus of a work vehicle configured to allow cooling of the engine 19 by the rotation of the fan 22, wherein the fan is provided with a hub 41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P1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In having the wind blade 42,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77)가 설치되고, 이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기풍익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냉각하는 일방향의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기풍익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외기 흡기구에 설치된 제진망(26)을 향하는 바람이 발생하고,An operation mechanism 77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s into a posture in which a forward wind occurs and a posture in which a reverse wind occurs is provided, and when the wind vane is switched to a posture in which the forward wind occurs, one direction of cooling the engine. Wind is generated, and when the wind vane is switched to a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wind toward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26 installed in the outside air intake is generated,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기풍익으로부터 상기 제진망까지의 간격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간격보다도 좁게 설정되고,The interval from the wind blade to the vibration damping network when the wind is chang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reverse wind occurs is set smaller than the interval when the post wind is change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상기 기풍익을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순풍 모드를 순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과, 이 기풍익을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역풍 모드를 역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을 반복하는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통풍 제어 수단이 마련되고, Ventilation control which performs a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which repeats performing a forward wind setting time for which the said wind blade is a posture which a said forward wind takes place, and performing a reverse wind setting time which makes this wind vane a posture which a said reverse wind takes place, set time for a reverse wind. Means are in place, 이 통풍 제어 수단이 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비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순풍 모드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고,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performs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when detecting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 vehicle, and performs the forward wind driving process of continuously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when detecting the non-working state,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a)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Tini)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또한(a) When the elapsed time after the last wind-winding mode is executed the previous time when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ing state to the work-state is detected exceeds the set time (Tres) for backwind prohibition, the counterwind mode is started. After executing for a preset time Tini,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and further (b)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b) When the elapsed time does not exceed the counter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when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is detected, (b1)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거나, 또는,(b1) after executing the forward wind mode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reverse wind prohibition set time Tres, and then executing the reverse wind mode for a set time for start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Processing, or (b2)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역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형태로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b2)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counterwind mode after the forward wind mode is executed until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preset counter-winding time Tres. The engine cooling apparatus of the work veh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중심부에 이 허브와 상기 회전 축심 주위에 일체 회전하는 회전체(46)와, 상기 허브 및 회전체를 상기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47)이 설치되고, The rotating body 46 which rotates integrally about this hub and the said rotating shaft center in the center of the said hub, and the said hub and the rotating body can be relatively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said rotating shaft center P1. Supporting shaft 47 is installed, 상기 회전체와 기풍익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77)에 의해 상기 허브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기풍익을 그 길이 축심(P2) 주위에 자세 변경하는 연계 기구(61)가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An interlocking mechanism 61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wind blad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wind blade around its longitudinal center P2 when the hub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rotating body by the operating mechanism 77. The engine cooling apparatus of the work veh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The engin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disposed in a recessed space of the hu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가 시프트 포크(65)와, 이 시프트 포크에 의해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부재(67)를 구비하고, The said operat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shift fork 65, and the moving member 67 supported so that displacement by the said shift fork to the said rotation axis center direction is possible, 상기 허브의 외주부가 이 이동 부재에 상기 회전 축심(P1) 주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ub is supported by the movable member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P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회전 축심(P1) 방향의 상대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이 회전 축심 주위에 상기 허브를 상기 회전체에 연동 회전시키기 위한 연동축(55)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직경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The interlocking shaft (55)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terlocking shaft (55) permits a relative sliding movement of the hub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P1)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body, and simultaneously rotates the hub to the rotational body about the rotational axis. )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diameter from the support shaft, the engine cooling apparatus of the work vehic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θa)가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θb)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The airflow angle θa of the airfoil blade in the posture where the counterwind occurs is set larger than the airflow angle θb of the airfoil blade in the posture where the forward wind occurs. An engine cooling device for a work vehic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는 상기 허브 및 기풍익을 덮는 슈라우드(7A)가 설치되고, The fan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an is provided with a shroud 7A covering the hub and the wind blade.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L1)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L2)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The amount of foaming L1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wind blades and the shroud in the posture of the reverse wind is the amount of foaming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wind blades and the shroud in the posture of the forward wind. It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larger than (L2), The engine cooling apparatus of the working veh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풍익에는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42A)과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42B)이 설치되고, 상기 고기풍 작용면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고, 상기 저기풍 작용면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3. The wind blad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ind blades are provided with a high wind action surface 42A and a low wind action surface 42B having a low wind efficiency. An engine cooling device for a work vehicle, which is set on a working surface in a rising posture, and the low wind working surface is set on a working surface in a posture in which the pure wind occu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통풍 운전 처리로서 상기 역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The forward win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reverse wind mode is executed as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when the switching from the working state to the non-work state is detected, the forward wind is complet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s completed. And said ventilation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proces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업 상태로부터 상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역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로부터 먼저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15. The ventilatio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when the reverse wind mode is executed when the switching from the non-work state to the work state is detected, the ventilation driv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from the forward wind mode after the execution of the reverse wind mode is completed. And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a work vehic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상태로서, 상기 엔진(19)이 설정 회전 속도 이상의 회전 상태이고, 또한 상기 엔진(19)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인 것을 검출하도록 상기 통풍 제어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The engin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s the working state, the engine 19 is in a rotational state at a set rotation speed or higher, and a working clutch for intermittent power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19 is turned on. And the ventilation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a work vehic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41)의 외주부에, 이 허브의 주위 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복수의 제1 지지부(43)가 정렬 형성되고, 상기 각 제1 지지부(43)에 상기 기풍익(42)의 지지축부(4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A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portions 43 are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41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s 43 are formed. The support shaft portion 44 of the wind blade 42 is rotatably supported by 43,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1 지지부(43)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77)의 이동 부재(67)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6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The second support part 69 which supports the moving member 67 of the said operation mechanism 77 is formed between each said 1st support part 43 in the said hub, The engine cooling of the working veh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69)를 상기 제1 지지부(43)보다도 상기 허브(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17. The engine cooling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69) is provid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hub (41) than the first support portion (43).
KR1020050066344A 2004-07-22 2005-07-21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KR1012041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4782A JP4187700B2 (en) 2004-07-22 2004-07-22 Winding structure
JPJP-P-2004-00214782 2004-07-22
JP2004302897A JP2006112387A (en) 2004-10-18 2004-10-18 Wind-causing structure
JPJP-P-2004-00302897 2004-10-18
JP2004312426A JP4382630B2 (en) 2004-10-27 2004-10-27 Harvester engine cooling system
JPJP-P-2004-00312426 200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42A KR20060046542A (en) 2006-05-17
KR101204117B1 true KR101204117B1 (en) 2012-11-23

Family

ID=3714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344A KR101204117B1 (en) 2004-07-22 2005-07-21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11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156A (en) 1975-10-27 1977-04-28 Kubota Ltd Dust remover for cooler of engine
JPS5366548U (en) 1976-11-05 1978-06-05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156A (en) 1975-10-27 1977-04-28 Kubota Ltd Dust remover for cooler of engine
JPS5366548U (en) 1976-11-05 1978-06-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42A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035B1 (en) Grille control mechanism for vehicle
KR100674054B1 (en) Engine cooling device and harvester having engine cooling device
KR101310698B1 (en) Driving section structure of working vehicle
JP5422283B2 (en) Mobile farm machine
CN106545400B (en) Engine cool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KR101204117B1 (en) 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JP2018202939A (en) Engine section of work vehicle
JP4219306B2 (en) Winding structure
JP4278596B2 (en) Control device for engine cooling
JP4187699B2 (en) Winding structure
JP4226042B2 (en) Harvester with engine cooling device
JP4187700B2 (en) Winding structure
JP4382630B2 (en) Harvester engine cooling system
JP5212845B2 (en) Working part structure of work vehicle
JP6008257B2 (en) Working part structure of work vehicle
JP2008024198A (en) Working vehicle
JP2018071405A (en) Working vehicle
KR20220001465U (en) Side vent system and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the side vent system
JP2006262753A (en) Engine cooler for harvester
JP2006123598A (en) Wind generation structure
JPH1136862A (en) Engine cool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JP6224640B2 (en) Cooling device for unit swing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336102B2 (en) Engine cooling system
JP4141323B2 (en) Engine cooling system
JPH0633765A (en) Engine cooling structure for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