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583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583B1
KR101203583B1 KR1020110002317A KR20110002317A KR101203583B1 KR 101203583 B1 KR101203583 B1 KR 101203583B1 KR 1020110002317 A KR1020110002317 A KR 1020110002317A KR 20110002317 A KR20110002317 A KR 20110002317A KR 101203583 B1 KR101203583 B1 KR 10120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ase
plate portion
fastening portion
d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866A (ko
Inventor
문정민
서정상
하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583B1/ko
Priority to US13/208,637 priority patent/US8931762B2/en
Priority to US13/208,678 priority patent/US9285130B2/en
Priority to CN201110242825.0A priority patent/CN102538114B/zh
Priority to JP2011179875A priority patent/JP5908684B2/ja
Priority to JP2011179769A priority patent/JP5869257B2/ja
Priority to CN201110242925.3A priority patent/CN102563752B/zh
Publication of KR2012008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리어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데코를 포함하고, 리어 케이스는 상부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리어 체결부가 형성되며, 프론트 케이스는 리어 체결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프론트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부 데코는 프론트 체결부가 삽입되고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데코 체결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재는 리어 체결부와 관통공을 차례로 관통한 후 프론트 체결부에 체결되어,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리어 케이스와 상부 데코와 프론트 케이스가 상호 결합되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부재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체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실내를 제습시키는 제습기와, 실내를 가습시키는 가습기와,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변화시키는 정화기 등이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기나 난방기나 제습기일 경우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 유닛을 포함하고, 정화기일 경우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며, 가습기일 경우 수분을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 유닛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리어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의 상부 또는 리어 케이스의 상부에 미관을 형성하는 상부 데코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와 상부데코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와 상부데코의 조립을 위한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부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리어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리어 체결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프론트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데코는 상기 프론트 체결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데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리어 체결부와 관통공을 차례로 관통한 후 상기 프론트 체결부에 체결된다.
본 발명은 체결부재가 리어 케이스와 상부 데코와 프론트 케이스를 함께 체결하므로, 상부 데코가 리어 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의 각각과 체결부재로 체결될 경우 보다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와 상부 데코와 프론트 케이스가 상호 결합되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재가 상부 데코에 의해 가려지고, 간결해 보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데코 체결부가 프론트 체결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리어 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와 상부 데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리어 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와 상부 데코가 결합될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에 공기 흡입구(4)와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하여 공조한 후 본체(2) 외부로 다시 토출한다.
본체(2)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의 온도, 청정도, 습도 등을 변화시키는 공조유닛(8)과, 실내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4)로 흡입하여 공조유닛을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6)를 유동시키는 송풍기(10)가 설치될 수 있다.
공조유닛(8)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2)과,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유닛(14)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12)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유닛(14)은 물이 담겨지는 트레이(16)와, 트레이(16)의 물이 공급되고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습되는 가습필터(18)와, 트레이(16)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리어 케이스(30)와, 리어 케이스(3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40)와, 프론트 케이스(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데코(50)를 포함한다.
본체(2)는 프론트 케이스(40)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패널(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2)는 프론트 케이스(40)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30)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프론트 케이스(40)와 프론트 패널(60) 사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30)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40)와 프론트 패널(60) 사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30)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리어 케이스(30)와 프론트 케이스(40)의 사이에 송풍기(10)가 설치되는 송풍기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40)에 가습유닛(14)이 설치되는 가습유닛 공간(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론트 패널(50)의 후방에 정화유닛(12)이 설치되는 정화유닛 홀더(62)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2)는 리어 케이스(30)와 프론트 케이스(40)가 장착되는 베이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체(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리어 케이스(30)는 공기조화기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고, 프론트 케이스(40)는 좌우 중 적어도 일측면에 가습 유닛(14)이 출입되는 가습 유닛 출입구(44)가 형성되며, 상부 데코(50)는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프론트 패널(6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베이스(70)는 공기조화기의 하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부 데코(50)는 상판부(51)와, 상판부(51)의 전방에서 절곡된 전판부(52)를 포함한다.
상부 데코(50)에는 공기조화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면서 프론트 케이스(40)의 상부를 보호하는 장식부재 또는 커버부재임과 아울러,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이다.
상부데코(50)는 상판부(51)가 컨트롤 패널 기능을 할 수 있고, 상판부(51)의 저면에 회로기판(도 3의 53)이 설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53)에 조작부를 구성하는 텟 스위치나 로터리 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53)에 표시부를 구성하는 엘이디(LED)나 엘시디(LCD)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데코(50)는 전판부(52)가 회로기판(53)의 전방을 가리는 높이로 형성되어 회로기판 커버로 기능할 수 있고, 전판부(52)가 프론트 케이스(4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어 프론트 케이스 커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전판부(52)에 리어케이스(30) 및 프론트케이스(40)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전판부(52)가 상부데코 마운터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정화유닛(12)과 가습유닛(14)이 본체에 설치되고, 프론트 패널(60)이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방을 덮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데코(50)의 조작에 의해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송풍기(10)가 구동된다.
송풍기(1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4)를 통해 본체(2) 내부로 흡입되고, 정화유닛(12)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가습유닛(14)을 통과하면서 가습되고, 이후 송풍기(10)를 통과하여 공기 토출구(4)로 토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리어 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와 상부 데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와 상부데코가 결합될 때의 단면도이다.
리어케이스(30)와 프론트케이스(40)와 상부데코(50)는 체결부재(80)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고, 체결부재(80)에 의한 체결을 위해 체결부를 각각 갖을 수 있으며, 이하, 리어 케이스(30)와 프론트 케이스(40)와 상부데코(50)의 체결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체결부재(80)는 리어케이스(30)의 후방에서 리어 케이스(30)에 형성된 리어 체결부(34)와, 상부데코(50)에 형성된 데코 체결부(55)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된 프론트 체결부(44)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리어케이스(30)의 후방에서 리어 케이스(30)에 형성된 리어 체결부(34)와,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된 프론트 체결부(44)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부데코(50)에 형성된 데코 체결부(55)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부재(80)는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방에서, 상부데코(50)에 형성된 데코 체결부(55)와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된 프론트 체결부(44)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리어케이스(30)에 형성된 리어 체결부(34)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방에서,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된 프론트 체결부(44)와 상부데코(50)에 형성된 데코 체결부(55)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리어케이스(30)에 형성된 리어 체결부(34)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2)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체결부재(80)가 가급적 보이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미관상 좋기 때문에, 체결부재(80)가 리어케이스(30)의 후방에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는 상부데코(50)에 형성된 데코 체결부(55)가 상부데코(50)의 전판부(52)에 형성되고, 체결부재(80)가 리어 케이스(30)의 후방에서 리어 케이스(30)에 형성된 리어 체결부(34)와, 상부데코(50)에 형성된 데코 체결부(55)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된 프론트 체결부(44)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체결부재(80)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로 이루어지고, 리어 케이스(30)에 형성된 리어 체결부(34)는 체결부재인 스크류가 관통되는 리어 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된 프론트 체결부(44)는 체결부재인 스크류가 체결되는 프론트 보스로 이루어진다.
즉, 리어 케이스(30)는 상부에 체결부재(80)가 관통되는 리어 체결부(34)가 형성되며, 프론트 케이스(40)는 리어 체결부(34)와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부재(80)가 체결되는 프론트 체결부(44)가 형성되고, 상부 데코(50)는 체결부재(80)가 관통되는 관통공(54)이 형성되고 프론트 체결부(44)가 삽입되는 데코 체결부(55)가 형성되며, 체결부재(80)는 리어 체결부(34)와 관통공(54)을 차례로 관통한 후 프론트 체결부(44)에 체결된다.
리어 체결부(34)는 리어 케이스(30)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체결부(44)는 프론트 케이스(40)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데코 체결부(55)는 상부데코(50)의 전판부(52)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데코 체결부(55)는 프론트 체결부(44)의 삽입을 위해 하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코 체결부(55)는 관통공(55)이 형성되고 전판부(52)의 배면과 이격되는 후판부(56)과, 전판부(52)의 배면과 후판부(56)의 좌측을 연결하는 좌측판부(57)와, 전판부(52)의 배면과 후판부(56)의 우측을 연결하는 우측판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데코 체결부(55)는 전판부(52)의 배면과 후판부(56)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판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체결부(44)가 프론트 케이스(40)의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편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고, 프론트케이스(4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강도 등을 고려하여 프론트 케이스(4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케이스(40)는 프론트 체결부(44)의 좌측에 좌측판부(57)를 회피하는 좌측 회피홈부(46)가 형성되고, 프론트 체결부(44)의 우측에 우측판부(58)를 회피하는 우측 회피홈부(48)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회피홈부(46)와 우측 회피홈부(48)는 프론트 체결부(44)가 데코 체결부(55)로 삽입된 위치일 때 전판부(52)에 의해 가려지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회피홈부(46)와 우측 회피홈부(48)는 데코 체결부(55) 중 좌측판부(57)와 우측판부(58)가 좌측 회피홈부(46)와 우측 회피홈부(48)로 삽입되어, 좌측판부(57)의 하단과 우측판부(58)의 하단이 좌측 회피홈부(46)의 하단과 우측 회피홈부(48)의 하단에 걸렸을 때, 프론트 체결부(44)의 홀과, 데코 체결부(55)의 관통공(54)이 전후 방향으로 일치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회피홈부(46)와 우측 회피홈부(48)는 상부 데코(50)와 프론트 케이스(40)가 체결될 때, 좌측판부(57)와 우측판부(58)가 좌측 회피홈부(46)와 우측 회피홈부(48)와 끼워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리어케이스(30)와 프론트케이스(40)와 상부데코(50)의 체결 작업시, 상부데코(50)를 프론트 케이스(4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데코(50)의 데코 체결부(55)로 프론트 케이스(40) 중 좌측 회피홈부(46)와 우측 회피홈부(48)의 사이(49) 및 프론트 체결부(44)가 삽입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삽입시, 데코 체결부(55)의 좌측판부(57)는 프론트 케이스(40)의 좌측 회피홈부(46)로 삽입되어 끼움되고, 데코 체결부(55)의 우측판부(58)는 프론트 케이스(40)의 우측 회피홈부(48)로 삽입되어 끼움된다.
데코 체결부(55)의 관통공(54)과 프론트 체결부(44)의 홀은 전후 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40)와 상부 데코(50)는 데코 체결부(55)가 프론트 케이스(40)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가조립된다.
이후, 작업자는 프론트 케이스(40)와 상부 데코(50)의 조립체를 리어 케이스(30)의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리어 케이스(30)의 후방에서 체결부재(40)를 리어 체결부(34)의 홀로 삽입시킨다. 체결부재(40)의 삽입시, 체결부재(40)는 리어 체결부(34)의 홀을 먼저 관통한 후 데코 체결부(55)의 관통공(54)를 관통하고, 이후 프론트 체결부(44)의 홀에 삽입되면서 프론트 체결부(44)의 홀에 체결된다.
상부 데코(50)는 상기와 같은 체결시, 데코 체결부(55)가 리어 체결부(34)와 프론트 체결부(44)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80)에 의해 리어 케이스(30) 및 프론트 케이스(40)와 결합되고, 리어 케이스(30)와 프론트 케이스(40)와 상부 데코(50)는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된다.
2: 본체 4: 공기 흡입구
6: 공기 토출구 10: 송풍기
12: 정화유닛 14: 가습유닛
30: 리어 케이스 34: 리어 체결부
40: 프론트 케이스 44: 프론트 체결부
46: 좌측 피난홈부 48: 우측 피난홈부
50: 상부 데코 51: 상판부
52: 전판부 54: 관통공
55: 데코 체결부

Claims (7)

  1.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데코;
    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부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리어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리어 체결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프론트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데코는 상기 프론트 체결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데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리어 체결부와 관통공을 차례로 관통한 후 상기 프론트 체결부에 체결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데코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방에서 절곡된 전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 체결부는 상기 전판부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체결부는 하면이 개방된 박스체인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체결부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판부의 배면과 이격되는 후판부과,
    상기 전판부의 배면과 상기 후판부의 좌측을 연결하는 좌측판부와,
    상기 전판부의 배면과 상기 후판부의 우측을 연결하는 우측판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체결부는 상기 전판부의 배면과 상기 후판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 체결부의 좌측에 상기 좌측판부를 회피하는 좌측 회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체결부의 우측에 상기 우측판부를 회피하는 우측 회피홈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회피홈부와 우측 회피홈부는 상기 프론트 체결부가 상기 데코 체결부로 삽입된 위치일 때 상기 전판부에 의해 가려지는 높이로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110002317A 2010-12-23 2011-01-10 공기조화기 KR10120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17A KR101203583B1 (ko) 2011-01-10 2011-01-10 공기조화기
US13/208,637 US8931762B2 (en) 2010-12-23 2011-08-12 Air conditioner
US13/208,678 US9285130B2 (en) 2010-12-23 2011-08-12 Air conditioner
CN201110242825.0A CN102538114B (zh) 2010-12-23 2011-08-19 空调
JP2011179875A JP5908684B2 (ja) 2010-12-23 2011-08-19 空気調和機
JP2011179769A JP5869257B2 (ja) 2010-12-23 2011-08-19 空気調和機
CN201110242925.3A CN102563752B (zh) 2010-12-23 2011-08-19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17A KR101203583B1 (ko) 2011-01-10 2011-01-1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866A KR20120080866A (ko) 2012-07-18
KR101203583B1 true KR101203583B1 (ko) 2012-11-21

Family

ID=4671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317A KR101203583B1 (ko) 2010-12-23 2011-01-1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558495U (zh) * 2019-01-30 2019-10-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出风框部件、空调室内机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866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197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03583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7594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38403A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KR102646982B1 (ko) 실내기의 본체와 연결덕트의 조립 구조
CN106288014B (zh) 桌面空调的壳体组件及桌面空调
KR20100051957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010472B1 (ko) 환기장치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66292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4715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431750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4544419B2 (ja) 空気調和機
CN220506917U (zh) 壁挂式空调器及应用其的空调
CN216620031U (zh) 空调器
CN106642447B (zh) 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JP2006234253A (ja) 通風路構造
CN217685722U (zh) 雷达模块、面板组件和空调器
CN212252880U (zh) 竖式壁挂空调室内机
CN215909231U (zh) 新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20050083414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KR20080027810A (ko) 공기조화기
CN106369677B (zh) 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