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414A -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 Google Patents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414A
KR20050083414A KR1020040011927A KR20040011927A KR20050083414A KR 20050083414 A KR20050083414 A KR 20050083414A KR 1020040011927 A KR1020040011927 A KR 1020040011927A KR 20040011927 A KR20040011927 A KR 20040011927A KR 20050083414 A KR20050083414 A KR 20050083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panel
type air
duct typ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414A/ko
Publication of KR2005008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 하면 패널과 측면 패널로 구성된 입방체의 캐비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측면 패널과 상면 패널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캐비닛의 부품 수를 줄여 제품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Cabinet structure of duct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기의 양측면 패널과 상면 패널이 일체화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도 4는 종래 덕트형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캐비닛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본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흡입덕트(10)와 연결되는 흡입구(2)가 형성되고, 타면에 토출덕트(20)와 연결되는 토출구(3)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기 본체(1)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턱트(10)를 통해 흡입하고,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토출덕트(20)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한다.
상기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본체(1)는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토출구(3)가 형성된 캐비닛(4)과, 상기 흡입구(2)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4)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킨 다음 상기 토출구(3)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기(5)와, 상기 캐비닛(4)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와, 상기 캐비닛(4)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고,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을 덮는 상면 패널(10)과, 상기 캐비닛(4)의 전후좌우 면을 구성하는 측면 패널(12)(14)(16)과, 캐비닛(4)의 하측을 이루는 하면 패널(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패널(12)(14)(16)은 좌측면을 이루는 좌측면 패널(12)과, 우측면에 형성되어 컨트롤 박스(9)가 설치되는 우측면 패널(14)과, 배면으로 공기흡입구(2)가 형성된 후면 패널(미도시)과, 전면에 공기 토출구(3)가 형성된 전면 패널(1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면 패널에는 상기 전면 패널(16)과 후면 패널 사이 하측에 배치되어 실내기본체(1)의 부품들이 배치된다.
상기 상면 패널(10)에는 상기 측면 패널(12)(14)(116)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패널(12)(14)(16)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1플랜지부(10a)가 하측면의 전후, 좌우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플랜지부(10a)의 각각의 면에는 복수개의 제 1 볼트 체결홀(10b)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패널(12)(14)(16)에는 상기 상면 패널(10) 및 하면 패널과 체결되도록 일측 끝단부가 각 패널면에서 연장된 제 2 플랜지부(12a)(14a)(16a)가 각각 복수개씩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플랜지부(12a)(14a)(16a)의 각각의 면에는 복수개의 제 2 볼트 체결홀(12b)(14b)(16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캐비닛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면 패널(10)을 상기 측면 패널(12)(14)(16)의 상측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상면 패널(10)의 제 1 플랜지부(10a)를 상기 측면 패널(12)(14)(16)의 제 2 볼트 체결홀(12b)(14b)(16b)의 외측으로 끼운다.
이때, 상기 상면 패널의 제 1 볼트 체결홀(10b)과 상기 제 2 볼트 체결홀(12b)(14b)(16b)이 일치되게 위치시킨 후, 볼트(15)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면 패널(10)과 측면 패널(12)(14)(16)이 고정된다.
이후, 상기한 방식과 같이 측면 패널(12)(14)(16)과 하면 패널이 체결되어 캐비닛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구동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은 상면 패널과 측면 패널이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 부품수가 많아 조립작업성이 떨어지고 조립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면 패널과 측면 패널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제품 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 패널과 측면 패널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볼트체결 홀 및 볼트를 삭제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는 상, 하면 패널과 측면 패널로 구성된 입방체의 캐비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측면 패널과 상면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공조실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유도하는 흡입덕트(50)와, 상기 흡입덕트(50)에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킨 뒤 상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본체(100)와,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피공조실로 유도하는 토출덕트(60)로 구성된다.
상기 피공조실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이고, 상기 흡입덕트(50)와 상기 토출덕트(60)는 상기 피공조실의 상면인 천장마감재(70)와 연통된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캐비닛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실내기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20)와, 실내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송풍팬(130)과, 상기 실내기 본체(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컨트롤박스(140)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면과 좌, 우측면을 덮는 캐비닛 본체(112)와, 상기 캐비닛(110)의 전, 후면을 형성하는 전, 후면 패널(116)(117)과, 캐비닛(110)의 하측에 배치된 하면 패널(118)로 구성된다.
상기 전, 후면 패널(116)(117)에는 각각 공기 흡입구(미도시)와 공기 토출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본체(112)와 상기 하면 패널(118)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116a)(11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면 패널(118)에는 일측에 상기 캐비닛 본체(112)와 상기 전, 후면 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 본체(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을 덮는 상면 패널(113)과, 좌측부의 개방된 면에 형성된 좌측면 패널(114)과, 우측부의 개방면에 형성되고 일측에 컨트롤 박스(140)가 장착된 우측면 패널(1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 본체(112)는 하면과 전, 후면이 개구된 '??' 형상의 패널로써, 상면 패널(113)이 90도로 절곡된 후,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 우측면 패널(114)(115)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본체(112)에는 전, 후면 패널(116)(117)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 후면 패널(116)(117)의 체결부(116a)(117a)와 대응되는 위치에 플랜지부(113a)(114a)(115a)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13a)(114a)(115a)는 전, 후면 패널(116)(117)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 패널(113)과, 좌, 우측면패널(114)(115)에 각각 형성된 연장부로써, 각 플랜지부(113a)(114a)(115a)에는 내측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홀(113b)(114b)(115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캐비닛 본체(112)에 형성된 플랜지부(113a)(114a)(115a)와 상기 전, 후면 패널(116)(117)의 체결부(116a)(117a)가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캐비닛 본체(112)의 볼트 체결홀(113b)(114b)(115b)과 상기 체결부(116a)(117a)를 볼트(119)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 본체(112)는 상기 전, 후면 패널(116)(117)의 사이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후, 상기 조립체와 하면 패널(118)을 상기와 같이 볼트 체결하여 조립함으로써, 캐비닛(1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비닛(110)의 상면 패널(113)과 좌,우측면 패널(113)(114)이 캐비닛 본체(112)로 일체화 됨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는 캐비닛의 상면 패널과 측면 패널이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캐비닛의 부품수를 줄일수 있기 때문에 제품 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조립부품 및 볼트의 일부가 삭제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캐비닛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종래 덕트형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캐비닛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흡입덕트 60 : 토출덕트
70 : 천장마감재 100 : 실내기본체
110 : 캐비닛 112 : 캐비닛 본체
113 : 상면 패널 114 : 좌측면 패널
115 : 우측면 패널 113a,114a,115a:플랜지부
116 : 전면패널 117 : 후면패널
116a,117a: 체결부 118 : 하면패널
119 : 볼트 120 : 열교환기
130 : 송풍팬 140 : 컨트롤 박스

Claims (2)

  1. 상, 하면 패널과 측면 패널로 구성된 입방체의 캐비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측면 패널과 상면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은 상기 상면 패널에서 90도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KR1020040011927A 2004-02-23 2004-02-2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KR20050083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27A KR20050083414A (ko) 2004-02-23 2004-02-2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27A KR20050083414A (ko) 2004-02-23 2004-02-2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414A true KR20050083414A (ko) 2005-08-26

Family

ID=3726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927A KR20050083414A (ko) 2004-02-23 2004-02-2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4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6530A (zh) * 2011-05-18 2011-12-28 李永正 对插式伸缩缝调节器构件及其构成的伸缩缝调节器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6530A (zh) * 2011-05-18 2011-12-28 李永正 对插式伸缩缝调节器构件及其构成的伸缩缝调节器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KR101640411B1 (ko) 공기조화기
US2007011352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10059686A1 (en) Ventilator
EP1632726B1 (en) Ceiling suspended type air conditioner
US20070130980A1 (en) Air Conditioner
EP2955458B1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0376789B1 (ko) 에어콘용 프론트 패널의 흡입구
KR20050083414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일체화 구조
EP1710514B1 (en) Ceiling-hanged air conditioner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KR100730649B1 (ko) 국부 공조 시스템
KR20200122942A (ko) 모듈형 실내기
KR101203583B1 (ko) 공기조화기
KR100345085B1 (ko) 에어콘의 흡입구 프론트 패널
KR20050039975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캐비닛의 고정구조
CN100491844C (zh) 具有固定片的一体型空调机
JP2616308B2 (ja) 空気調和ユニット
KR20030043043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누출 방지구조
JP3495539B2 (ja) 空気調和機
KR20030044453A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캐비닛 구조
JP3182249B2 (ja) 空気調和機
KR100393588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그릴
KR1999001948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89122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