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544B1 -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544B1
KR101203544B1 KR1020050021914A KR20050021914A KR101203544B1 KR 101203544 B1 KR101203544 B1 KR 101203544B1 KR 1020050021914 A KR1020050021914 A KR 1020050021914A KR 20050021914 A KR20050021914 A KR 20050021914A KR 101203544 B1 KR101203544 B1 KR 10120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lash memory
pow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187A (ko
Inventor
김흥열
최인섭
김종섭
최갑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54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종료의 원인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부팅 시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체크하는 메모리체크부와, 입출력 신호 및 내부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한 종료 후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시 부팅되면,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를 조절하여 일정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하여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체크하고 에러(error)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시 비정상적인 종료에 의한 에러(error)가 재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비정상적인 종료의 반복에 의한 플래쉬 메모리의 손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플래쉬 메모리,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check flash memory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팅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료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10a: 전원 제어부
10b: 입출력 제어부 20: 판단부
30: 메모리 체크부 40: 플래쉬 메모리
50: 입력부 60: 표시부
70: 통신모듈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한 종료 후 부팅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체크하는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이 인가되면 정해진 부팅 시퀀스(sequence)에 의해 부팅이 완료되고, 또한 종료 신호가 인가되면 부팅 때와 마찬가지로 정해진 종료 시퀀스(sequence)에 의해 작업 중인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할당된 플래쉬 메모리의 작업을 완료한 후 종료 기능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인 종료 시퀀스(sequence)에 의해 종료되지 않고 내부 또는 외부적인 원인에 의해 배터리가 분리된다거나, 리셋(Reset) 등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내부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작업 중이던 프로그램에 할당된 플래쉬 메모리의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채 종료됨으로써, 상기 플래쉬 메모리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가베지(garbage)로 취급됨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의 기억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해 종료된 경우, 상기 플래쉬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수행되는 일련의 절차(garbage collection)를 건너뛰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을 조금씩 떨어뜨리게 되는데, 이런 현상이 여러 번 반복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정상 종료 후 재 부팅시 비정상 종료가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부팅시간을 갖고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체크하여 에러(error)를 수정하도록 하는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 종료의 원인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부팅 시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체크하는 메모리체크부와, 입출력 신호 및 내부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부팅되는 제1단계와, 상기 부팅하기 전 전원 종료의 원인이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한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에 따라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플래쉬 메모리 체크 후 부팅 완료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50)와,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60)와,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지 않은 채 유지되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와, 전원 종료의 원인이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한 종료인가를 판단하는 판단부(20)와, 판단 결과에 따라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를 체크하는 메모리 체크부(30)와, 입출력 신호 및 내부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단부(20)는 부팅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에러 또는 장치(device) 간의 통신 및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분리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및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또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에러를 확인하여, 전원 종료의 원인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중에 배터리가 분리되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20)는 배터리 분리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에러가 수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20)는 전원 종료의 원인이 배터리 분리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일반적인 부팅 시퀀스(sequence)가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종료 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에러 또는 장치(device) 간의 통신 및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하여 전원 종료의 원인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 분리에 의한 비정상적인 종료가 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10)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에러가 수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20)는 전원 종료의 원인이 종료 버튼의 동작에 의한 정상적인 종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일반적인 종료 시퀀스(sequence)가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판단부(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 스위치 홀드 (PS_HOLD, Power Switch Hold)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10a)와, 상기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가 체크되는 동안 상기 입력부(50)로부터의 외부 입력이 제한되도록 하는 입출력 제어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제어부(10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분리에 의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팅 시 상기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를 하이(High)로 설정하여 일정시간 동안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원 제어부(10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커패시터(capacitor)를 동작시켜 내부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위해 부팅 시간이 일정시간 동안 연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제어부(10a)는 부팅 시 상기 판단부(20)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분리에 의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커패시터(capacitor, 200mF)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부팅 완료되기 전, 일정시간(예를들어, 3 내지 4초) 동안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위해 내부전원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10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종료 시, 상기 판단부(20)를 통해 배터리 분리에 의한 비정상적인 종료가 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종료되기 전 상기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 호를 하이(High)로 설정하여, 일정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 체크부(30)를 통한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위해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부(10b)는 상기 전원 제어부(10a) 및 메모리 체크부(30)의 동작에 의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로부터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입력부(5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른 명령이 입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 제어부(10b)는 상기 메모리 체크부(30)에 의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40)의 에러(error) 수정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60)를 통해 에러(error) 발생 부분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 체크부(30)는 상기 판단부(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분리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10a)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부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상기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가베지(garbage) 메모리를 수집하여 에러(error)를 체크하고, 수정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 체크부(30)는 수집된 상기 가베지(garbage) 메모리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 가능한 메모리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체크부(30)는 상기 가베지(garbage) 메모리의 에러(error)를 수정하고 사용 가능한 메모리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 체크부(30)는 수집된 상기 가베지(garbage) 메모리의 수정이 불가능할 경우, 에러(error)가 발생된 부분을 확인하여 상기 입출력 제어부(10b)로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 체크부(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종료 시, 상기 판단부(20)에 의해 배터리 분리에 의해 재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10a)에 의해 내부 전원이 일정시간 인가되는 동안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상기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40)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팅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료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종료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이 인가되어(S1), 부팅되면(S2), 전원 종료의 원인이 배터리 분리에 의한 종료인지를 판단한다(S3).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분리에 의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팅 시퀀스(sequence)가 수행되는 동안(S4),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를 하이(High)로 설정하여(S5), 일정시간 동안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위한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S6).
이때, 상기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가 하이(High)로 설정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커패시터 동작에 의해 전압이 발생되어, 일정 동안(3 내지 4초 정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부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내부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플래쉬 메모리를 체크하여(S7),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플래쉬 메모리의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에러를 체크한다(S8).
이때, 상기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플래쉬 메모리의 에러(error)를 수정하고, 부팅 완료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사용 가능하도록 전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팅 시퀀스(sequence)를 완료한다(S9).
또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분리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부팅 시퀀스(sequence)에 따라 부팅이 완료되도록 한다(S1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전원이 인가되어 플래쉬 메모리가 체크되는 동안은 외부 입력에 의한 다른 명령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종료 신호가 인가되면(S11), 상기 종료 신호가 배터리 분리에 의한 비정상적인 종료인지를 판별한다(S12).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 분리에 의한 종료인 경우 상기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를 강제적으로 하이(High)로 설정하여(S13), 종료되기 전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위해 일정시간 동안 내부전원을 인가한다(S14).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부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진행중인 작업을 완료한 후(S15), 상기 전원이 종료되도록 한다(S16).
또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 분리에 의한 비정상적인 종료가 아닌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종료 시퀀스(sequence)에 따라 종료되도록 한다(S17).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한 종료 후 재부팅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부 전원이 일정시간 동안 인가되도록 하여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플래쉬 메모리가 체크되고, 가베지(garbage)의 에러(error)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한 종료 후 이동통신 단말기 가 다시 부팅되면,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를 조절하여 일정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하여 에러(error)를 체크하고 수정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시 비정상적인 종료에 의한 에러(error)가 재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비정상적인 종료의 반복에 의한 플래쉬 메모리의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전원 종료의 원인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부팅 시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통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체크하는 메모리체크부와;
    입출력 신호 및 내부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체크부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가베지(garbage) 메모리를 수집하여 에러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부팅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배터리 분리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체크부는 상기 수집된 가베지(garbage) 메모리를 사용 가능한 메모리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에 따라 부팅 시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전원 제어부 및 메모리 체크부에 의해 상기 플래쉬 메모리를 체크하는 동안 외부 입력을 제한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배터리 분리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전원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전원 스위치 홀드(PS_HOLD) 신호를 하이(High)로 설정하여, 가베지 수집(garbage collection)을 위해 일정시간 동안 내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021914A 2005-03-16 2005-03-16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20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914A KR101203544B1 (ko) 2005-03-16 2005-03-16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914A KR101203544B1 (ko) 2005-03-16 2005-03-16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187A KR20060100187A (ko) 2006-09-20
KR101203544B1 true KR101203544B1 (ko) 2012-11-21

Family

ID=3763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914A KR101203544B1 (ko) 2005-03-16 2005-03-16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5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187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4886B2 (en) Executing soft reset for intelligent terminal in abnormal instruction state and hard reset for intelligent terminal in dead halt state
CN108304282B (zh) 一种双bios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EP2254051B1 (en) Computer system with damaged bios data recovering function and recovering method thereof
US20110093741A1 (en) Method for recovering bios and computer system thereof
EP1630669A1 (en) Forcibly downloading program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RU2602378C9 (ru) Стойка с множеством модулей управления стойкой и способ обновления встроенного программ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спользуемого для стойки
US20210382789A1 (en) Method for protecting system from being powered off during upgrade and terminal device
US20090013164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using power button to switch from one BIOS to another
KR2006011956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제어 장치와 방법
CN108345464A (zh) 一种安卓系统的启动方法及安卓车机
US20020184561A1 (en) Microcomputer with debug supporting function
KR100703164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526908B (zh) 固件更新装置和方法
TWI548253B (zh) 雙模手機之命令交互糾錯系統及方法
KR101203544B1 (ko) 플래쉬 메모리 체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US9529581B2 (en) Circuit and method for writing program codes of basic input/output system
KR102410515B1 (ko) 제어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3013868B2 (ja) コードレス電話におけるメモリ揮発防止システム
US106425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saves log error logs
CN112785957A (zh) 驱动电路、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180164B1 (ko) 전원 상태에 따라 리셋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50125649A1 (en)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CN116761196B (zh) 一种蓝牙模组工作异常的恢复方法及装置
CN112506572B (zh) 一种ops系统还原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H1028317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