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085B1 -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 Google Patents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085B1
KR101203085B1 KR1020120082416A KR20120082416A KR101203085B1 KR 101203085 B1 KR101203085 B1 KR 101203085B1 KR 1020120082416 A KR1020120082416 A KR 1020120082416A KR 20120082416 A KR20120082416 A KR 20120082416A KR 101203085 B1 KR101203085 B1 KR 10120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ain body
probe
polarization
diame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훈
박삼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085B1/ko
Priority to JP2012183276A priority patent/JP5520351B2/ja
Priority to AU2012227317A priority patent/AU2012227317A1/en
Priority to CN201210442509.2A priority patent/CN10357620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7/00Survey of boreholes or wells
    • E21B47/002Survey of boreholes or wells by 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화광물을 수반한 금속광체 구간을 조사하는데 유용한 비분극 프로브(non-polarizable probe)를 구성하고 이를 시추공 내에 삽입하여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해 황화광물을 수반하고 있는 금속 광체의 분포 구간 및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분극 프로브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내경 케이스; 상기 내경 케이스에 감겨지는 납봉; 상기 내경 케이스 및 납봉을 내장하는 외경 케이스; 및 상기 외경 케이스와 내경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NON-POLARIZABLE PROBE AND SPECTRAL IDUCED POLARIZATION LOG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에 관한 것으로, 황화광물을 수반한 금속광체 구간을 조사하는데 유용한 비분극 프로브(non-polarizable probe)를 구성하고 이를 시추공 내에 삽입하여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해 황화광물을 수반하고 있는 금속 광체의 분포 구간 및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도분극탐사(Induced Polarization Method)는 지하에 전류를 흘려보내 분극 현상을 유도하고 이 유도분극 현상을 측정함으로써 지하구조를 탐사하는 방법이다.
유도분극 탐사에는 지하에 전류를 일정 시간 동안 보낸 후 전류를 끊고 전위전극 간의 과전압(Overvoltage)으로부터 충전성을 측정하는 시간영역 유도분극 탐사와, 두 개 이상의 저주파수(10 Hz 이하)를 사용하여 겉보기 비저항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주파수 효과, 금속계수 등을 측정하거나, 전류를 낮은 주파수에서 1 초 이상 흘러 보낸 뒤 전류의 위상에 대한 측정 전위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주파수영역 유도분극 탐사가 있다.
광대역 유도분극탐사(Spectral Induced Polarization Method)는 광대역 주파수에 대한 진폭 및 위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종래 유도분극탐사의 난점인 전자기 결합 효과를 제거하며, 다량의 주파수별 유도분극 자료를 해석하여 심부탐사가 가능하고, 광물입자의 크기 및 함량 파악, 광종 구별, 각종 인공 잡음제거, 막분극 구별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전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 중의 하나인 콜-콜 모델(Cole-Cole model)을 주로 사용하여 해석한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유도분극탐사는 지표에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광상조사에 있어서 광체확인 및 매장량 확보를 위하여 시추조사가 수행되고 있으며, 대부분 코어 로깅에 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관찰자의 경험과 지식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육안으로 관찰한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실내에서 박편관찰 및 성분 분석을 통하여 광체구간을 정밀하게 평가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신속하게 광체구간 및 품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황화광물을 수반한 금속광체 구간을 조사하는데 유용한 비분극 프로브를 구성하고 이를 시추공 내에 삽입하여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해 황화광물을 수반하고 있는 금속 광체의 분포 구간 및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내경 케이스; 상기 내경 케이스에 감겨지는 납봉; 상기 내경 케이스 및 납봉을 내장하는 외경 케이스; 및 상기 외경 케이스와 내경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납봉은 납으로 만들어지며, 외부면이 염화연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납봉은 내경 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한 바퀴를 감기게 되며, 상기 외경 케이스에는 다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물은 염화연 분말, 염화나트륨 및 석고를 섞고 증류수로 반죽한 후 고결시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물에서 염화연 분말, 염화나트륨 및 석고는 무게 중량비로 50 내지 58% : 30 내지 38% : 10 내지 18%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내에서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은 하나의 전류전극과 두 개의 전위전극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하부로부터 제 1 전류전극, 제 1 전위전극, 제 2 전위전극의 순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회로 기판부가 설치되며, 이 배터리와 회로 기판부의 사이에는 상기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이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회로 기판부 그리고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경 케이스 및 외경 케이스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에는 양측으로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해당 본체에 구비된 암나사부에 결합되며, 결합 부위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본체 내부의 방수를 위한 패드가 체결되며, 본체 외부로 드러나는 케이블에 대하여는 케이블 보호구가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비분극 프로브; 시추공 내에서 상기 비분극 프로브를 케이블을 통해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윈치; 상기 윈치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전류를 송신하고 측정 전위값을 수신하여 유도분극탐사를 수행하는 계측 장치; 및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해당 지면에 전류를 흘리는 제 2 전류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화광물을 수반한 금속광체 구간을 조사하는데 유용한 비분극 프로브를 구성하고 이를 시추공 내에 삽입하여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해 황화광물을 수반하고 있는 금속 광체의 분포 구간 및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브의 전극에서 분극 현상이 발생되어 광체에서 유도된 분극 현상의 신호에 노이즈가 되는 것을 막아 황화광물을 수반한 광체에서 유도된 분극현상을 전위전극에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브의 전극 구성시 납봉을 회전시켜 내장하고 외경 PVC를 다공처리함으로써 시추공 내에서 공벽의 어느 방향에서나 유도분극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분극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분극 프로브의 전극 결합상태 요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분극 프로브의 전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를 통한 광대역 유도분극 및 전기비저항 검층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에 대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시추공 내에서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하기 위한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공 내에 삽입되는 프로브(100)와, 상기 프로브(100)를 케이블을 통해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윈치(200)와, 상기 윈치(20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전류를 송신하고 측정 전위값을 수신하여 유도분극탐사를 수행하는 계측 장치(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계측 장치(300)는 전류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측정치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송신기는 정전류 회로로 전류를 100μA~100mA까지 그리고 주파수를 10μHz~32MHz 범위까지 조절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측정치를 통해 상기 계측 장치(300)가 광대역으로 진폭과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윈치(200)는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해당 케이블에 연결된 프로브(100)를 시추공 내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 윈치(200)는 시추공의 깊이 500 m까지 광대역 유도분극 측정이 가능하도록 케이블이 감겨져 있을 수 있으며, 전동기에 의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해 상기 프로브(100)를 시추공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브(100)는 비분극 전극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측 장치(300)와 연결된다. 이 프로브(100)는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으로, 시추공 내에 삽입되어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하는 것으로 지하 500 m 이상의 깊이에서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방수처리되어 있으며, 도 2에 그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브(100)는 내부 방수가 가능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터리(12)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부(13)와, 상기 배터리(12)와 회로 기판부(13)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극(C1, P1, P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12), 회로 기판부(13) 그리고 전극(C1, P1, P2)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본체(11)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2), 회로 기판부(13) 및 전극(C1, P1, P2)을 내장할 수 있으며,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1)는 PVC(Poly Vinyl Chloride)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약 47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는 충전된 전원을 전극에 공급하며, 특히 제 1 전위전극(P1) 및 제 2 전위전극(P2)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회로 기판부(13)에 전원을 공급해 측정된 신호 전원을 증폭시킬 수 있게 한다. 이 배터리(12)를 대용량으로 구성할 경우 해당 배터리(12)의 충전 전원을 제 1 전류전극(C1)에 전류를 공급해 측정용 전류가 시추공 주위에 흐르도록 하고 제 1 전위전극(P1) 및 제 2 전위전극(P2)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회로 기판부(13)에 증폭용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프로브(100)에 별도의 전원을 인가할 필요없이 해당 배터리(12)를 통해 광대역 유도분극 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로 기판부(13)는 제 1 전위전극(P1) 및 제 2 전위전극(P2)에서 측정된 전위를 증폭시켜 상기 계측 장치(300)로 출력하는 증폭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11)의 상부에는 본체(11) 내부의 방수를 위한 패드(14)가 체결되며, 본체(11) 외부로 드러나는 케이블에 대하여는 케이블 보호구(15)가 피복되어 방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2)와 회로 기판부(13)의 사이에서 전극은 제 1 전류전극(C1), 제 1 전위전극(P1), 제 2 전위전극(P2)의 순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 2 전류전극(C2, 도시 않음)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11) 내에서 각 전극은 약 300 mm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배열에 따라, 제 1 전류전극(C1)은 프로브(100)에 내장된 채 시추공 내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고 제 2 전류전극(C2)은 지면에 설치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의 유도분극 검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 1 전류전극(C1)과 제 2 전류전극(C2)은 케이블을 통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1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주위에 전류를 흘리게 된다. 또한 해당 제 1 전위전극(P1)과 제 2 전위전극(P2)도 프로브(100)에 내장된 채 시추공 내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동 측정이 가능하여 금속광체 구간의 파악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류전극(C1), 제 1 전위전극(P1) 및 제 2 전위전극(P2)에는 양측으로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해당 본체(11)에 구비된 암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결합 부위의 방수를 위하여 해당 전극(C1, P1, P2)의 양측 결합 부위에는 고무 재질의 오링(16)이 설치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전류전극(C1), 제 1 전위전극(P1) 및 제 2 전위전극(P2)을 포함하는 전극(C1, P1, P2)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전극(C1, P1, P2)은 비분극 전극으로서, 전극과 전해질의 경계면에서 전하의 이동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기존에는 비분극 전극이 아닌 동 파이프를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나, 동 파이프를 전극으로 사용할 경우, 전극 주변의 전해액 중의 (+)이온은 (-)전극 주위에, (-)이온은 (+)전극 주위에 모여들어 정상적인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실제 유도분극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류전극에서 일정한 시간(예컨데 약 1초) 동안 전류를 흘려 보내고, 이 전류를 끊은 후 황화광물을 수반한 광체에서 유도된 분극현상을 전위전극에서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동 파이프의 사용시 전극에서는 분극 현상이 발생되어 결국 광체에서 유도된 분극 현상의 신호에 노이즈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극(C1, P1, P2)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내경 케이스(21)와, 상기 내경 케이스(21)에 감겨지는 납봉(22)과, 상기 내경 케이스(21) 및 납봉(22)을 내장하는 외경 케이스(24)와, 상기 외경 케이스(24)와 내경 케이스(21)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물(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납봉(22)은 케이블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경 케이스(21)는 속이 빈 PVC(Poly Vinyl Chloride)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납봉(22)은 납(Pb)으로 만들어진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면은 염화연(PbCl2)으로 피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납봉(22)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염화연(PbCl2)을 피복시켜 제작되게 된다. 여기에서 납봉(22)의 제작시 상술한 전기분해 외에 다양한 코팅 방식으로 이 염화연을 납봉에 피복시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납봉(22)은 상기 내경 케이스(21)의 외면을 따라 한바퀴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납봉(22)의 권회 구조에 따라 해당 전극(C1, P1, P2)은 시추공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든 수평 방향(360°)에 대하여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납봉(22)이 감겨진 내경 케이스(21)와 외경 케이스(24)의 사이에는 충전물(23)이 채워지게 되는데, 이 충전물(23)은 염화연(PbCl2) 분말과 염화나트륨(NaCl)을 섞은 석고(CaSO42H2O)를 증류수로 반죽하여 외경 케이스(24) 내에 채워서 굳히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경 케이스(24) 내에 채워 넣는 반죽은 염화연(PbCl2) 분말과 염화나트륨(NaCl)과 석고(CaSO42H2O)를 무게 중량비로 50 내지 58% : 30 내지 38% : 10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54% : 34% : 12%로 섞은 다음 증류수를 사용하여 고결시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경 케이스(24)에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홀(25)이 관통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홀(25)의 다공 처리에 따라 해당 전극(C1, P1, P2)은 시추공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든 수평 방향(360°)에 대하여 즉 시추공 내에서 공벽의 어느 방향에서나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전체적으로 이 비분극 전극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내경 케이스(21)와 염화연으로 코팅된 납 재질의 납봉(22)과 전면에 홀(25)이 형성된 외경 케이스(24)와 그리고 충전물 재료를 준비한 후, 먼저 내경 케이스(21)의 외면에 납봉(22)을 한바퀴(360°) 감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경 케이스(24)의 씌우게 된다. 이후 염화연(PbCl2) 분말과 염화나트륨(NaCl)과 석고(CaSO42H2O)를 상술한 비율로 배합한 재료를 해당 외경 케이스(24)의 안쪽에 채우고 증류수를 조금씩 주입하면서 잘 섞어 반죽 상태로 해당 외경 케이스(24)의 내부를 꽉 채운 다음 그늘에서 약 3일간 건조시키게 된다.
[실험예]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를 사용하여 삼척시 가곡광산의 갱도 내에서 광체 특성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을 수행하였다.
가곡 광산의 지질은 기반암으로 화강편마암이 분포하고, 이 기반암 상부에 조선계 양덕통의 장산 규암층, 묘봉 슬레이트층, 대석암통의 풍촌 석회암층, 화절층, 동점 규암층이 정합으로 분포되어 있다. 가곡광산에서 광석은 주로 풍촌 석회암층과 묘봉 슬레이트 층 내에 분포하는 석회암이 접촉교대광상(Contact metasomatic deposit)으로 형성된 방연석과 섬아연석이다.
시험검층 대상 시추공은 가곡 광산의 금곡갱 내에 있는 11-2호 공이며, 갱도 내에서 시추공을 이용한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을 실시하게 된다.
시추공 유도분극 검층이 이루어진 금곡갱 내의 11-2호공의 깊이는 400 m인데 330~340 m 구간에서 광화대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 부분은 슬레이트 층이 분포하고 있다. 도 5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및 전기비저항 검층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은 0.125~16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했으며, 이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검층 결과와 비교했다.
도 5에서 전기비저항 검층 결과를 보면, 광석이 분포하고 있는 구간은 방연석 등과 같은 황화광물을 수반하고 있어 주변의 슬레이트 층에 비해서 전도성이 크기 때문에 전비저항이 낮게 나타난다. 저비저항대 구간이 광화대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동일한 구간에서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의 위상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 결과, 광화대 위치에서 위상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황화광물을 수반한 금속광체 조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로브 11 : 본체
12 : 배터리 13 : 회로 기판부
14 : 방수 패드 15 : 케이블 보호구
16 : 오링 21 : 내경 케이스
22 : 납봉 23 : 충전물
24 : 외경 케이스 25 : 홀
200 : 윈치 300 : 계측 장치

Claims (12)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내경 케이스;
    상기 내경 케이스에 감겨지는 납봉;
    상기 내경 케이스 및 납봉을 내장하는 외경 케이스; 및
    상기 외경 케이스와 내경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납봉은 납으로 만들어지며, 외부면이 염화연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납봉은 내경 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한 바퀴를 감기게 되며, 상기 외경 케이스에는 다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은 염화연 분말, 염화나트륨 및 석고를 섞고 증류수로 반죽한 후 고결시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에서 염화연 분말, 염화나트륨 및 석고는 무게 중량비로 50 내지 58% : 30 내지 38% : 10 내지 18%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서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은 하나의 전류전극과 두 개의 전위전극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하부로부터 제 1 전류전극, 제 1 전위전극, 제 2 전위전극의 순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회로 기판부가 설치되며, 이 배터리와 회로 기판부의 사이에는 상기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이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회로 기판부 그리고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케이스 및 외경 케이스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극 및 전위전극에는 양측으로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해당 본체에 구비된 암나사부에 결합되며, 결합 부위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본체 내부의 방수를 위한 패드가 체결되며, 본체 외부로 드러나는 케이블에 대하여는 케이블 보호구가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극 프로브.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분극 프로브;
    시추공 내에서 상기 비분극 프로브를 케이블을 통해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윈치;
    상기 윈치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전류를 송신하고 측정 전위값을 수신하여 유도분극탐사를 수행하는 계측 장치; 및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해당 지면에 전류를 흘리는 제 2 전류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KR1020120082416A 2012-07-27 2012-07-27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KR10120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16A KR101203085B1 (ko) 2012-07-27 2012-07-27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JP2012183276A JP5520351B2 (ja) 2012-07-27 2012-08-22 非分極プローブ及びこれを含む試錐孔広帯域誘導分極検層器
AU2012227317A AU2012227317A1 (en) 2012-07-27 2012-09-26 Non-polarizable probe and spectral induced polarization log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210442509.2A CN103576207A (zh) 2012-07-27 2012-11-08 不极化探头及包括该不极化探头的频谱激发极化测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16A KR101203085B1 (ko) 2012-07-27 2012-07-27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085B1 true KR101203085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16A KR101203085B1 (ko) 2012-07-27 2012-07-27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20351B2 (ko)
KR (1) KR101203085B1 (ko)
CN (1) CN103576207A (ko)
AU (1) AU20122273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59B1 (ko) 2013-07-30 2014-08-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대역 유도분극 반응을 이용한 황화광물 함량 측정 장치
KR102518022B1 (ko) * 2021-11-08 2023-04-05 (주)지오룩스 지중 오염 탐지용 복합 센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260B1 (ko) * 2015-10-06 2016-01-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수중용 전기장 센서
CN108828678B (zh) * 2018-08-25 2020-05-29 安徽省公路工程检测中心 一种隧道施工超前地质探测系统
CN111721811A (zh) * 2019-03-20 2020-09-29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复电阻率测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343B2 (ja) 1993-01-21 2002-07-29 日本防蝕工業株式会社 細管内分極抵抗測定用プローブ
KR101084913B1 (ko) 2010-10-18 2011-11-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측정용 프로브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28200B1 (ko) * 1971-03-11 1974-03-01 Schlumberger Prospection
NL184586C (nl) * 1978-08-11 1989-09-01 Amoco Corp Niet-polariserend electrodestelsel voor geofysisch onderzoek.
US4583046A (en) * 1983-06-20 1986-04-15 Shell Oil Company Apparatus for focused electrode induced polarization logging
JP2520042B2 (ja) * 1990-09-21 1996-07-31 日本鋼管株式会社 地中レ―ダトモグラフィ装置
FR2684453B1 (fr) * 1991-11-28 1994-03-11 Schlumberger Services Petroliers Procede et dispositif de diagraphie a electrodes annulaires et azimutales.
JP2896874B2 (ja) * 1995-08-30 1999-05-31 株式会社モチダ 電気検層方法及び電気検層用コンダクタパイプの施工方法
JP3453230B2 (ja) * 1995-10-26 2003-10-06 シュラムバーガー オーバーシーズ ソシエダ アノニマ 井戸穴内の泥の固有抵抗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6850168B2 (en) * 2000-11-13 2005-02-01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WD shear velocity measurement
US6822579B2 (en) * 2001-05-09 2004-11-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Steerable transceiver unit for downhole data acquistion in a formation
JP3876318B2 (ja) * 2003-05-23 2007-01-3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貫入プローブ
JP2005003657A (ja) * 2003-06-10 2005-01-06 Chiken Tansa Gijutsu Kenkyusho:Kk 多チャンネル多周波数電気検層法
JP4332643B2 (ja) * 2005-04-05 2009-09-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非分極性電極の岩盤或いは地盤への設置方法と、それを用いた電気探査方法若しくは電磁探査方法
JP4538608B2 (ja) * 2005-11-07 2010-09-0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スペクトル強制分極探査装置
JP5016550B2 (ja) * 2007-05-09 2012-09-05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地盤調査装置
JP2011133301A (ja) * 2009-12-24 2011-07-07 Taisei Kiso Sekkei Kk 地中埋設基礎構造物の底面深度の調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343B2 (ja) 1993-01-21 2002-07-29 日本防蝕工業株式会社 細管内分極抵抗測定用プローブ
KR101084913B1 (ko) 2010-10-18 2011-11-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측정용 프로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59B1 (ko) 2013-07-30 2014-08-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대역 유도분극 반응을 이용한 황화광물 함량 측정 장치
KR102518022B1 (ko) * 2021-11-08 2023-04-05 (주)지오룩스 지중 오염 탐지용 복합 센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27317A1 (en) 2014-02-13
CN103576207A (zh) 2014-02-12
JP2014025907A (ja) 2014-02-06
JP5520351B2 (ja)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1822C (en) Borehole electric field survey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of subsurface features
KR101203085B1 (ko) 비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검층기
JP4332643B2 (ja) 非分極性電極の岩盤或いは地盤への設置方法と、それを用いた電気探査方法若しくは電磁探査方法
EA012880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анных о геофизических свойствах коллектора
WO2021073421A1 (zh) 一种隐伏资源预测方法及岩石电磁学测井系统
KR101269517B1 (ko) 실시간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
Acworth Investigation of dryland salinity using the electrical image method
US1819923A (en) Electrical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nature of the geological formations traversed by drill holes
Aning et al. Electrical resistivity as a geophysical mapping tool; a case study of the new art department, Knust-Ghana
CN109387875A (zh) 一种滑坡水文地质监测地球物理方法及装置
Nimmer Direct current and self-potential monitoring of an evolving plume in partially saturated fractured rock
Syed et al. Use of vertical electrical sounding (VES) method as an alternative to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KR101084913B1 (ko) 시추공 광대역 유도분극 측정용 프로브
Arora et al. Electrical structure of an unsaturated zone related to hard rock aquifer
AU2015202841A1 (en) Non-polarizable probe and spectral induced polarization log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36386B1 (ko)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지중 자원 모니터링 방법
KR20140013817A (ko) 유도분극 탐사를 위한 비분극 전극
Riddle et al. ERT and Seismic Tomography in Identifying Subsurface Cavities
KR20160031323A (ko)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한 지하매설물 탐지 방법
Kang et al. Laboratory experiments for hazardous ground prediction ahead of a TBM tunnel face based on resistivity and induced polarization
Caputo et al. Field measurement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rocks
Pacanowski et al. Practical aspects of field work carried out by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KR101189072B1 (ko) 수중 부유물 및 지반 측정용 프로브, 이를 이용한 수중 부유물 및 지반 측정장치
RU2507545C1 (ru) Аппаратур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аротажа
Soares Combining ERT, TDEM, and FDEM in shallow geophysical invest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