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920B1 -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920B1
KR101202920B1 KR1020110122941A KR20110122941A KR101202920B1 KR 101202920 B1 KR101202920 B1 KR 101202920B1 KR 1020110122941 A KR1020110122941 A KR 1020110122941A KR 20110122941 A KR20110122941 A KR 20110122941A KR 101202920 B1 KR101202920 B1 KR 101202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surface
trolley
treatment tank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11012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scrapers, chains, grains of shot, sand or other abra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8B1/12
    • B08B1/165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대차 ;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처리조의 제1벽면과 대응하도록 상기 대차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파이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의 선단에 상기 제1벽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갖추어 상기 대차의 수평이동시 상기 제1벽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에 의해서 제1벽면의 이물을 마찰식으로 제거하는 제1제거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dhesive Foreign From Inner Wall}
본 발명은 침전조에서 벽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및 응집지, 혼화지등의 벽면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때, 이끼, 조류 등과 같은 부착성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질악화를 방지하고 주위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 상태가 양호한 지하수나 용출수는 염소를 이용한 소독만으로 급수하는 경우가 있으나, 하천이나 호수를 수원으로 하여 급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천 및 호수에 빗물 또는 각종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어 세균류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급수로써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정화처리를 해야 한다.
상기 하수처리 또는 정수처리를 하는데 있어서는 도수시설에서 압송된 원수의 동요를 안정시킨 후, 원수 중에 있는 모래 등 침전물을 침전시키고, 후속의 약품투입, 응집, 침전, 여과 등의 여러 공정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운영, 관리하는데, 통상적으로 침전조에서 흐르는 물의 흐름은 유속이 느려 흘러가는 과정에서 비중차에 의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와 같은 부유물은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며, 이러한 슬러지는 장시간 방치되면 바닥면에 쌓인 상태로 고형화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에 채워진 원수에는 부유성 조류(식물성 프랑크톤)등이 대량으로 번식하여 철구조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성 조류가 번식하게 되어 물때, 냄새, 맛을 유발하여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하수처리장 및 정수처리장의 침전조와 같은 처리조에서는 바닥면에 가라앉아 슬러지화되는 부유물(거품, 스컴)이 생성되고 벽면에는 이끼등 부착성 조류 등이 서식하여 물의 유수를 방해하고 미생물에 의해 방류수가 오염되고 부착성 조류의 번식으로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94595(2006.6.21.등록일)호에는 침전조의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를 수집하여 제거하는 슬러지 수집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96399(2011.8.30.공개일)호에는 플라이트에 의해서 이송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푸셔로 밀어내어 슬러지를 처리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침전조의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성 이물은 침전조의 바닥면에 퇴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과 다르게 별도의 제거장치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압 세척기로서 물을 벽면에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소방호수를 이용하여 청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작업으로 인하여 부착성 이물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경제적 비용부담이 크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전조의 벽면에 부착되는 조류 및 이끼와 같은 부착성 이물을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원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처리조의 벽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대차 ;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처리조의 제1벽면과 대응하도록 상기 대차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파이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의 선단에 상기 제1벽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갖추어 상기 대차의 수평이동시 상기 제1벽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에 의해서 제1벽면의 이물을 마찰식으로 제거하는 제1제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처리조의 벽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대차 ;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과 마주하는 처리조의 제2벽면 상단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도르레와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처리조의 제1벽면 하부에 설치된 한쌍의 제1,2 하부도르레에 감기는 일정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한쌍의 상부도르레에 감기어 하부로 방향전환된 와이어와 양단이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제2벽면과 마주하는 이동재의 일측면에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갖추어 한쌍의 제1하부도르레사이에 감겨진 와이어와 대차간의 간섭에 의한 대차주행시 상기 제2벽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에 의해서 제2벽면의 이물을 마찰식으로 제거하는 제2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바는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제1벽면에 접하도록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바는 단부에 상기 안내파이프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스토퍼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대는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갖는 회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대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바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고정대에 일단이 고정되는 원상복귀용 코일스프링의 타단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대는 상기 제1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롤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는 길이중간에 와이어소재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길이변형을 탄력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길이보상용 스프링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재는 일정량의 공기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공기주입공을 개폐하는 마개를 구비하는 중공관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재는 좌우양단에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통과하는 안내관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와이어의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웨이트와 안내관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안내관의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부상력을 제어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차는 처리조의 바닥면에 접하는 하부단이 제2벽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가 고정되는 고정판이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대차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슬러지제거부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대차와 더불어 이동되면서 벽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제1제거부 또는 제2제거부를 구비하거나, 이들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침전조와 같은 처리조의 벽면에 부착되는 조류 및 이끼와 같은 부착성 이물을 브러쉬 및 스크레퍼와 같은 마찰식 이물제거부재에 의해서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벽면을 청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2) 처리조의 내부 벽면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처리수의 오염을 예방하여 정수 및 정화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에 채용되는 제1제거부와 이동대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에 채용되는 제1제거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대의 상세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및 응집지, 혼화지등과 같은 처리조에서 벽면에 부착되는 조류, 이끼 및 물때 등과 같은 이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대차(110), 제1제거부(120) 및 제2제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110)는 상기 처리조(1)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112)을 따라 왕복이동하도록 하부에 복수개의 주행휠(113)을 갖는 이동구조물이다.
상기 대차는 미도시된 구동모터와 결합된 윈치드럼에 감겨진 와이어로프와 연결됨으로써 윈치드럼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감김 및 풀림에 의해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대차(110)의 선단 또는 후단에는 대차의 이동 중 처리조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한쪽으로 수집하여 모을 수 있도록 처리조의 바닥면에 하부단이 접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스크래퍼(116a)와, 상기 스크래퍼(116a)가 고정되는 고정판(116b)이 연결대(116c)를 매개로 하여 대차(110)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슬러지제거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116a)는 불규칙한 처리조의 바닥면에 하부단이 항상 접하여 슬러지를 긁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과 대응하는 한쌍의 제2벽면 중 일측으로 하부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제거부(120)는 상기 대차(110)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처리조(10)의 제1벽면(10a)에 부착된 이물을 상기 대차의 수평이동방향을 따라 마찰식으로 제거하도록 고정대(121), 안내파이프(122), 작동바(123) 및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21)는 제1벽면(10a)과 대응하도록 상기 대차(11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일정길이의 고정바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파이프(122)는 상기 고정대(121)에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중공파이프부재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바(123)는 상기 제1벽면(10a)측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파이프(122)의 내부공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작동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는 상기 제1벽면(10a)에 접하여 밀착되도록 상기 작동바(123)의 선단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바(123)에는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를 제1벽면(10)에 항상 접하여 탄력지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안내파이프(122)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12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121)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바(123)의 단부에는 상기 안내파이프(122)로부터 작동바(123)가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안내파이프(122)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바(123)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핀(123a)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스토퍼공(123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는 상기 작동바(123)의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124a)과, 상기 고정판(124a)에 교체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벽면(10a)에 접하여 밀착되는 브러쉬 또는 스크레퍼를 갖는 교체판(124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부재(1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가 상기 제1벽면(10a)에 항상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모터구동원에 의해서 당겨지는 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된 대차(11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에 구비되는 브러쉬 또는 스크래퍼와 제1벽면(10a)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제1벽면(10a)에 부착된 조류, 물때와 같은 부착성 이물을 긁음 제거하여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대(121)는 상기 처리조(10)의 제1벽면(10a)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의 접촉시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상기 고정대(121)의 상단에 구비된 회전축(126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작동바(123)의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124a')에 교체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벽면(10a)에 접하여 밀착되는 브러쉬 또는 스크레퍼를 갖는 교체판(124b')으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를 갖는 회전대(12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대(126)의 하부단에는 상기 고정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원상복귀용 코일스프링(128)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바(12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대(126)에는 상기 제1벽면(10a)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롤러(129)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롤러(129)는 상기 회전대에 구비되는 롤러브라켓(129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차(110)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대(121) 및 회전대(126)에 각각 구비된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124')에 의해서 제1벽면(10a)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 중 상기 제1벽면(10a)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접촉롤러(129)가 간섭되어 접촉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21)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회전대(126)는 상기 회전축(126a)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바(127)와 더불어 대차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대(126)의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124')가 돌출부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고정대(121)와 연결바(127)사이에 구비되는 원상복귀용 코일스프링(1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젖혀져 있던 회전대(126)는 수직상태로 원상복귀되어 제1벽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계속하에 수행하게 된다. .
이러한 접촉롤러(129)는 상기 회전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제거부(130)는 상부도르레(131a,131b)와, 제1,2하부도르레(132a,132b,133a,133b), 와이어(134), 이동부재(135) 및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136)를 포함하여 상기 대차(110)의 주행방향과 직교하여 마주하는 처리조(10)의 제2벽면(10b)에 부착된 이물을 마찰식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도르레(131a,131b)는 상기 처리조(10)의 제1벽면(10a)과 제2벽면(10b)이 만나는 상부모서리부에서 제2벽면 상단에 근접하도록 좌우한쌍으로 고정설치되는 와이어방향 전환부재이며, 상기 제1,2하부도르(132a,132b,133a,133b)는 상기 대차(110)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처리조(10)의 양측 제1벽면(10a) 하부에 처리조의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좌우한쌍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와이어방향 전환부재이다.
상기 와이어(134)는 상기 상부도르레(131a,131b) 및 제1,2하부도르레(132a,132b,133a,133b)에 감기어 대차(110)와의 간섭시 도르레에 의해서 방향전환되는 일정길이의 견인부재이다.
이러한 와이어(134)는 상기 대차(110)와 대응하는 길이중간에 와이어소재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길이변형을 탄력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길이보상용 스프링부재(134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보상용 스프링부재(134a)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우한쌍의 제1하부도르레(132a,132b)사이에 걸쳐지는 와이어(134)는 상기 이동대차(110)의 상부면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접촉부재(119)와 간섭되고, 이러한 와이어접촉부재(119)는 와이어(134)와의 마찰시 표면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면에 하부단이 고정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롤축(119a)에 아이들가능하게 조립되고, 외부면 중앙에 와이어(134)가 배치되는 홈을 형성한 롤부재(119b)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135)는 좌우한쌍의 제1,2하부도르레(132a,132b,133a,133b)에 감기면서 좌우한쌍의 상부도르레(131a,131b)에 감기어 처리조의 바닥면으로 향하도록 하부로 방향전환된 와이어(134)의 양단과 좌우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부재(135)는 부력을 갖도록 일정량의 공기가 채워지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중공관으로 구비되고, 몸체에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공기주입공을 개폐하는 마개(135a)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135)는 처리조(10)의 벽면 상부 모서리에 구비되는 돌출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제2벽면(10b)의 최대높이까지 상승되도록 대략 ㄷ자형으로 절곡된 중공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자형 중공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121)의 상단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대(126)도 상기 이동부재와 마찬가지로 부력을 갖도록 일정량의 공기가 채워지는 중공관으로 구비되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한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135)의 좌우양단에는 서로 마주하는 와이어(134)의 양단부가 통과하도록 수직한 안내관(135b)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안내관(135b)을 통과하는 와이어(134)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이동부재(135)의 부력보다 큰 무게를 갖도록 웨이트(135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135c)와 안내관(135b)사이에는 처리조내에 채워진 물의 동결에 의하여 이동부재가 더 이상 올라 갈수 없을 때 여유공간을 확보하도록 코일형 탄성부재(135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134)에는 상기 웨이트(135c)의 무게에 의하여 안내관(135b)을 통한 와이어(134)의 하강시 상기 안내관(135b)의 상단과 간섭되어 이동부재(135)를 하강시키고, 상기 와이어(134)의 상승시 부력을 갖는 이동부재(135)의 양단에 구비된 안내관(135b)의 상단과 간섭되어 이동부재(135)의 상승을 제어하도록 스토퍼(13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136)는 상기 제2벽면(10b)과 마주하는 이동부재(136)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34)와 대차(110)간의 간섭에 의한 제2벽면측으로의 대차주행 및 복귀시 상기 제2벽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면서 벽면에 부착된 이물을 마찰식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136)는 상기 이동부재(135)의 일측면에 교체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2벽면(10b)에 밀착되는 브러쉬 또는 스크레퍼를 갖는 교체판(136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차(110)가 도 5(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한쌍의 제1하부도르레(132a,132b)에 감겨진 와이어(134)와 이격되어 있던 상태에서 상기 제2벽면(10b)측으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대차(110)의 상부면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와이어접촉부재(119)가 와이어(134)와 접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134)는 대차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134)의 단부에 연결된 웨이트(135c),코일형 탄성부재(135d)와 하부단이 접하는 안내관을 좌우양단에 구비하는 이동부재(135)는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136)와 더불어 상승되고, 이러한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136)의 도면상 상부로의 상승에 의해서 상기 제2벽면(10b)에 부착된 이물을 마찰식으로 긁거나 문질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대차에 의하여 와이어가 상승되는 속도는 상기 이동부재의 부력에 의한 이동부재의 상승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10)가 제2벽면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135)와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136)는 대차의 이동속도와 대략 동일한 상승속도로 제2벽면의 상단 근방까지 상승되면서 상기 제2벽면(10b)에 부착된 이물을 마찰식으로 긁거나 문질러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10)가 제2벽면(10b)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134)는 그 하부단에 연결된 웨이트(135c)의 무게에 의해서 직하부로 하강되고, 부력에 의해서 수면에 떠 있던 이동부재(135)는 하강되는 와이어(134)에 일체로 구비된 스토퍼(137)와 상기 이동부재의 양단에 구비된 안내관의 상단과의 간섭에 의해서 웨이트와 더불어 직하부로 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재(135)에 구비된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136)도 웨이트의 자중방향으로 하강복귀됨과 동시에 제2벽면(10b)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제2벽면(10b)을 다시 한번 마찰식으로 긁거나 문질러 부착성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대차 112 : 레일
120 : 제1제거부 121 : 고정대
122 : 안내파이프 123 : 작동바
124 :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 125 : 스프링부재
126 : 회전대 127 : 연결바
130 : 제2제거부 131a,131b : 상부도르레
132a,132b : 제1하부도르레 133a,133b : 제2하부도르레
134 : 와이어 135 : 이동부재
136 :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 137 :스토퍼

Claims (12)

  1. 원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처리조의 벽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대차 ;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처리조의 제1벽면과 대응하도록 상기 대차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파이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의 선단에 상기 제1벽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갖추어 상기 대차의 수평이동시 상기 제1벽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에 의해서 제1벽면의 이물을 마찰식으로 제거하는 제1제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갖는 회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대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바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고정대에 일단이 고정되는 원상복귀용 코일스프링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2. 원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처리조의 벽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대차 ;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과 마주하는 처리조의 제2벽면 상단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도르레와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처리조의 제1벽면 하부에 설치된 한쌍의 제1,2 하부도르레에 감기는 일정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한쌍의 상부도르레에 감기어 하부로 방향전환된 와이어와 양단이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제2벽면과 마주하는 이동재의 일측면에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갖추어 한쌍의 제1하부도르레사이에 감겨진 와이어와 대차간의 간섭에 의한 대차주행시 상기 제2벽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제2마찰식 이물제거부재에 의해서 제2벽면의 이물을 마찰식으로 제거하는 제2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는 상기 제1마찰식 이물제거부재를 제1벽면에 접하도록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는 단부에 상기 안내파이프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스토퍼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는 상기 제1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길이중간에 와이어소재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길이변형을 탄력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길이보상용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정량의 공기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공기주입공을 개폐하는 마개를 구비하는 중공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좌우양단에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통과하는 안내관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와이어의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와 안내관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안내관의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부상력을 제어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접하는 하부단이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과 대응하는 한쌍의 제2벽면중 어느 일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가 고정되는 고정판이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대차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슬러지제거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KR1020110122941A 2011-11-23 2011-11-23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KR10120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941A KR101202920B1 (ko) 2011-11-23 2011-11-23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941A KR101202920B1 (ko) 2011-11-23 2011-11-23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920B1 true KR101202920B1 (ko) 2012-11-19

Family

ID=4756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941A KR101202920B1 (ko) 2011-11-23 2011-11-23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92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8B1 (ko) 2013-09-27 2014-09-05 신용수 재활용 물품 압축기의 내부 잔여물 제거 장치
CN105836423A (zh) * 2016-05-05 2016-08-10 安徽盛运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输送机送料口清扫装置
KR101797977B1 (ko) * 2015-09-04 2017-11-15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 장치
CN110449425A (zh) * 2019-09-18 2019-11-15 浙江海洋大学 一种柔性清理式青苔清理设备
CN110734100A (zh) * 2018-07-18 2020-01-31 光大水务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除苔装置
KR102318292B1 (ko) * 2021-05-14 2021-10-2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슬러지 파쇄기능이 구비된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CN114249211A (zh) * 2022-02-28 2022-03-29 河南经济贸易技师学院 一种垂直运输建筑施工升降机
CN116572574A (zh) * 2023-05-22 2023-08-11 江苏晟通固废环保处置有限公司 一种固体废弃物挤压回收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93Y1 (ko) * 2000-12-12 2001-05-15 이준택 침전지용 이끼제거장치
KR101015809B1 (ko) * 2010-08-24 2011-02-2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수중 대차형 슬러지 스크레이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93Y1 (ko) * 2000-12-12 2001-05-15 이준택 침전지용 이끼제거장치
KR101015809B1 (ko) * 2010-08-24 2011-02-2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수중 대차형 슬러지 스크레이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8B1 (ko) 2013-09-27 2014-09-05 신용수 재활용 물품 압축기의 내부 잔여물 제거 장치
KR101797977B1 (ko) * 2015-09-04 2017-11-15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 장치
CN105836423A (zh) * 2016-05-05 2016-08-10 安徽盛运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输送机送料口清扫装置
CN110734100A (zh) * 2018-07-18 2020-01-31 光大水务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除苔装置
CN110734100B (zh) * 2018-07-18 2024-05-03 光大水务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除苔装置
CN110449425A (zh) * 2019-09-18 2019-11-15 浙江海洋大学 一种柔性清理式青苔清理设备
KR102318292B1 (ko) * 2021-05-14 2021-10-2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슬러지 파쇄기능이 구비된 수중대차형 슬러지수집기
CN114249211A (zh) * 2022-02-28 2022-03-29 河南经济贸易技师学院 一种垂直运输建筑施工升降机
CN116572574A (zh) * 2023-05-22 2023-08-11 江苏晟通固废环保处置有限公司 一种固体废弃物挤压回收处理装置
CN116572574B (zh) * 2023-05-22 2023-11-10 江苏晟通固废环保处置有限公司 一种固体废弃物挤压回收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920B1 (ko) 벽면 부착성 이물 제거장치
KR10096993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1773023B1 (ko) 스컴 제거장치
KR101935110B1 (ko)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KR102078452B1 (ko)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CA2034862C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20130016489A (ko) 가이드바퀴가 설치된 수 처리장치
KR20100023207A (ko) 부력식 스컴 제거장치
KR101182753B1 (ko)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KR101025328B1 (ko) 원통형 슬러지 수집장치
KR101011489B1 (ko) 침전조의 슬러지 제거 장치
KR20100109534A (ko) 수처리장치
JP2008260005A5 (ko)
JP5668190B2 (ja) 沈降滞留物除去装置
JP2008229466A (ja) 毛髪類を含む下水の生物処理方法
JP6405291B2 (ja) 掻き寄せ台車および沈殿物掻き寄せ機
CN203724825U (zh) 刮泥板支架的连接结构
JP4766415B2 (ja) 吸泥開口部が移動する揚泥装置。
KR101227333B1 (ko) 부상수문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JP2020093245A (ja) 沈降滞留物除去装置
EP0563754A1 (de) Reinigungsvorrichtung
US4080291A (en) Cleaning device for sedimentation tank
KR100806543B1 (ko)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CN219885777U (zh) 一种污染土壤淋洗废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