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84B1 - 이동식 강재 거푸집 - Google Patents

이동식 강재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84B1
KR101202784B1 KR1020100051005A KR20100051005A KR101202784B1 KR 101202784 B1 KR101202784 B1 KR 101202784B1 KR 1020100051005 A KR1020100051005 A KR 1020100051005A KR 20100051005 A KR20100051005 A KR 20100051005A KR 101202784 B1 KR101202784 B1 KR 10120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teels
supporting
stee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530A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선산철강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산철강공업(주) filed Critical 선산철강공업(주)
Priority to KR102010005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8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62Forms for curved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의 단면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곡선형 강재들의 단위 결합물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외형 틀; 복수의 강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외형 틀을 지지하는 지지 틀; 상기 단위 결합물의 상기 곡선형 강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곡선형 강재에 설치되는 제1링크, 상기 곡선형 강재와 이웃한 다른 곡선형 강재에 설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연결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들은 각각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강재 거푸집{A Travelling Steel Form}
본 발명은 이동식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재 거푸집을 콘크리트 터널에서 탈형할 때 강재 거푸집이 균형을 잃고 콘크리트 터널에 부딪힘에 따라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대형화와 함께 도시와 도시 간의 교통량이 많아지면서 산악지대를 뚫는 터널공사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널공사는 강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소정 구간별로 진행된다. 도 1은 이러한 강재 거푸집의 종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강재 거푸집(300)은 외형 틀(310), 지지 틀(320), 실린더(330), 잭 볼트(332)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대략 7 ~ 10 m)를 가진다.
외형 틀(310)은 곡선형태의 부재들이 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발파 또는 굴착하여 형성한 터널 내부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도록 터널의 형태로 갖는다. 지지 틀(320)은 외형 틀(310)을 지지하는 구실을 하며, 강재 거푸집(300)의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린더(330)와 다수의 잭 볼트(332)는 지지 틀(320)과 외형 틀(310)을 연결하고, 외형 틀(310)을 완성 전 터널의 벽면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완성된 터널의 벽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구실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강재 거푸집(300)은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터널의 내부공사를 구간별로 수행한다.
한편, 터널의 완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300)의 이동을 위해서는, 외형 틀(310)의 터널 내부벽면으로의 설치와 탈착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강재 거푸집(300)은 외형 틀(310)을 2가지 구조형태로 연결한다(도 2의 (a) 및 (b) 참조).
이들 중 한 가지 구조형태는 이웃한 2개의 외형 틀(310)의 끝 부분에 원형의 구멍(312)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구멍(312)을 관통하는 핀(340)을 통해 이웃한 2개의 외형 틀(310)을 연결함으로써, 외형 틀(310)의 움직임을 확보한다(도 2의 (a) 참조). 이 구조형태는 외형 틀(310)이 정원(正圓) 형태의 구멍(312)에 끼워진 핀(340)을 매개로 움직이므로, 외형 틀(310)의 설치 또는 탈착 작업 시 흔들림이 적다. 그러나 이 구조형태는 외형 틀(310)의 외측에 표면 강판(350)이 덧붙여진 상태에서는 외형 틀들(310)의 움직임이 매우 제한된다. 때문에, 이 구조형태가 적용된 강재 거푸집(300)은 부재들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다른 구조형태는 이웃한 2개의 외형 틀(310)의 끝 부분에 길게 형성된 구멍(314, 편의상 장공이라고 함)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구멍(314)을 관통하는 핀(340)을 통해 이웃한 2개의 외형 틀(310)을 연결함으로써, 외형 틀(310)의 움직임을 확보한다(도 2의 (b) 참조). 이 구조형태는 외형 틀(31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핀(340)의 위치가 장공(3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구조형태보다 외형 틀(310)의 움직임이 자유롭다. 그러나 이 구조형태는 핀(340)의 위치가 임의대로 변경되므로, 외형 틀(310)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확보하기 어렵고, 또한, 외형 틀(310)의 변형이 장공(314)의 길이에 한정되므로, 외형 틀(31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의 강재 거푸집(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푸집(300)이 터널의 길이방향(도 3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들(350, 352)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강 부재들(350, 352)은 서로 다른 길이방향의 강재들(322, 324)에 각각 설치되나, 어느 한 부분에서 맞닿아 외형 틀(310)이나 또는 지지 틀(320)이 전복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실을 한다.
그러나 위 구조는 보강 부재(350)의 연결부위로부터 보강 부재(352)와 접촉점까지의 거리가 상당하므로, 실질적으로 외형 틀(310)을 전도하려는 외력이 발생한 경우, 보강 부재(350)에 상당한 모멘트가 발생하여 보강 부재들(350, 352)에 의한 외형 틀(310)의 전도 저지효과가 크지 않았다.
아울러, 위 구조는 2개 이상의 부재들(350, 352)을 각각 설치 및 결합시켜야 하므로, 많은 설치작업 시간과 비용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강재 거푸집(300)의 설치 및 탈착 작업 시 외형 틀(310), 더 나아가 강재 거푸집(300)이 전도되는 것을 적은 비용으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전도방지 구조의 개발이 적실히 요청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속적인 터널 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외형 틀의 설치와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거푸집의 설치 및 탈착 시 외력에 의해 강재 거푸집이 일 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강재 거푸집에 있어서, 터널의 단면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곡선형 강재들의 단위 결합물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외형 틀; 복수의 강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외형 틀을 지지하는 지지 틀; 상기 단위 결합물의 상기 곡선형 강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곡선형 강재에 설치되는 제1링크, 상기 곡선형 강재와 이웃한 다른 곡선형 강재에 설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연결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들은 각각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틀에 설치되어, 상기 외형 틀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틀은 터널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지지용 강재들; 터널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지지용 강재들; 및 다수의 상기 제1지지용 강재와 상기 제2지지용 강재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다수의 제3지지용 강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용 강재들 또는 상기 제2지지용 강재들에는, 상기 지지 틀이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3지지용 강재들과 맞닿는 전도방지용 제1보강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틀에는, 상기 지지 틀이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상기 제1지지용 강재들 또는 서로 다른 상기 제2지지용 강재들 또는 서로 다른 상기 제3지지용 강재들을 터널의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 형태로 연결하는 제2보강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틀은 수평유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외형 틀을 구성하는 곡선형 강재들의 움직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곡선형 강재들의 움직임이 예측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형 강재들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조작하여 강재 거푸집을 비교적 용이하게 터널의 내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터널의 내벽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보강 부재를 통해 지지 틀이 터널의 길이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강재 거푸집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강재 거푸집의 제작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강재 거푸집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강재 거푸집에서 외형 틀을 이루는 곡선형 강재들 간의 연결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도방지 구조를 나타낸 강재 거푸집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곡선형 강재 간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정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형 틀과 지지 틀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곡선형 강재 간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식 강재 거푸집의 정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형 틀과 지지 틀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강재 거푸집(100)은 외형 틀(10), 지지 틀(20), 연결 부재(30), 위치조정 수단(이하에서는 유압실린더와 잭 볼트라고 함)을 포함한다.
외형 틀(10)은 발파작업 또는 굴착작업 등에 의해 형성된 터널의 단면과 대체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곡선형 강재들(12, 14, 16)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곡선형 강재들(12, 14, 16)이 터널의 단면형태를 이루는 하나의 단위 구조물을 이루며, 외형 틀(10)은 3개의 곡선형 강재들(12, 14, 16)로 이루어진 단위 구조물이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외형 틀(10)은 7개의 단위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단위 구조물의 외측으로는 외형 틀(10)과 터널 내벽 사이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도록 표면 강판이 설치된다. 여기서, 하나의 단위 구조물을 이루는 곡선형 강재들(12, 14, 16)의 수는 터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터널(예를 들어 왕복 2차선 도로를 위한 터널)은 2개의 곡선형 강재(12)로 단위 구조물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터널(예를 들어 왕복 4차선 도로를 위한 터널)은 3개 이상의 곡선형 강재(12)로 단위 구조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곡선형 강재(12, 14, 16)는 일반적인 직선형태의 강재를 곡선으로 휘어서 제작되거나 또는 수개의 직선형태의 강재를 곡선형태로 연결하여 제작된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곡선형 강재(12, 14, 16)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외형 틀(310)의 부재와 달리 트러스 구조를 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는 곡선형 강재(12, 14, 16)에 트러스 구조를 부가하면, 곡선형 강재(12, 14, 16)의 구조적 안정성은 높아질 수 있으나, 곡선형 강재(12, 14, 16)의 무게가 증가하여 곡선형 강재(12, 14, 16)의 설치 및 탈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재 거푸집(100)의 해체작업(통상적으로 하나의 터널공사에 사용된 강재 거푸집은 해체된 후 폐기되거나 또는 다른 강재 구조물의 제조에 재활용된다)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곡선형 강재(12, 14, 16)의 구조적 안정성은 외형 틀(10)과 지지 틀(20)을 연결하는 유압실린더(50)와 잭 볼트(52)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쉽게 높일 수 있다.
지지 틀(20)은 복수의 지지용 강재들(22, 24, 26)로 이루어지며, 외형 틀(10)이 터널의 단면형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구실을 한다. 지지용 강재들(22, 24, 26)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물 형태를 이룬다. 제1지지용 강재들(22)은 터널의 단면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지지용 강재들(24)은 터널의 단면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제3지지용 강재들(26)은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도 6 참조). 여기서 제1지지용 강재들(22)과 제2지지용 강재들(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제3지지용 강재들(26)은 터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지지용 강재들(22, 24, 26)의 수와 배치간격은 강재 거푸집(100)의 길이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지지 틀(20)에는 강재 거푸집(100)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바퀴(80)가 더 설치되며, 강재 거푸집(100)을 이동시키는 유압식 구동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외형 틀(10)과 지지 틀(2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형태와 같다.
연결 부재(30)는 3개의 링크들(32, 34, 36)로 이루어지며, 이웃한 곡선형 강재들(12)을 연결한다. 여기서, 링크들(32, 34, 36)은 곡선형 강재들(12)이 터널의 단면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대체로 직각상태(단차지게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32)는 강재(12, 16)의 일 측(112)에 설치되고, 제2링크(34)는 강재(14)의 양끝(114)에 설치하되 강재의 안쪽 면에 볼트(B)로 결합된 보조지지대(114')를 사용하였으며, 제3링크(36)는 강재(14)의 양끝 부분에서 제1링크(32)와 제2링크(34)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하였다. 각각의 링크들(32, 34, 36)은 다른 링크들과의 연결을 위한 구멍(핀홀)(정원(正圓) 형태이다)을 가지며, 이들 구멍(핀홀)을 관통하는 핀(40,40')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링크들(32, 34, 36)은 핀(40,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외형 틀(10)의 바깥쪽에 표면 강판(102)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곡선형 강재들(12, 14, 16)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핀(40,40')이 핀에 맞는 정원 형태의 구멍(핀홀)에 설치되므로, 핀(40,40')을 매개로 곡선형 강재들(12, 14, 16)의 위치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50)와 잭 볼트(52)는 지지 틀(20)에 설치되며, 외형 틀(1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위치를 고정하는 구실을 한다. 즉, 유압실린더(50)와 잭 볼트(52)는 곡선형 강재들(12, 14, 16)과 지지용 강재들(22, 24, 26)을 연결되며, 강재 틀(20)에 대한 외형 틀(10) 또는 각각의 곡선형 강재(12, 14, 16)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외형 틀(10)을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터널의 내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완성된 콘크리트 터널 내벽으로부터 외형 틀(10)을 탈착시키는 구실을 한다. 유압실린더(50)와 잭 볼트(52)의 양끝은 외형 틀(1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 곡선형 강재들(12, 14, 16)과 지지용 강재들(22, 24, 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100)의 사용형태를 설명하겠다.
터널을 위한 발파작업이 끝나면,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100)을 미완성 터널 내부로 강재 거푸집(100)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강재 거푸집(100)은 외형 틀(10)이 미완성 터널의 내벽과 충돌하지 않도록, 유압실린더(50)를 수축시킴과 더불어 잭 볼트(52)를 단축시켜 외형 틀(10)을 지지 틀(20) 쪽으로 집결시킨다. 이후, 강재 거푸집(100)의 위치가 확정되면, 유압실린더(50)를 이완시킴과 더불어 잭 볼트(52)를 연장시켜 외형 틀(10)과 미완성 터널의 내벽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킨다.
외형 틀(10)과 미완성 터널의 내벽 사이의 거리(정확하게는 표면 강판과 터널의 내벽 사이의 거리)가 설계 값과 일치되면,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미완성 터널의 내부 벽면을 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터널의 내벽이 완성되면, 유압실린더(50)와 잭 볼트(52)를 수축시켜 터널의 (완성된) 내벽으로부터 외형 틀(10)을 탈착시키고, 강재 거푸집(100)을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킨다. 통상적으로 강재 거푸집(100)의 길이는 5 ~ 9 m이므로, 이러한 공정은 터널의 길이가 300m 인 경우 40 ~ 60번 정도 반복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외형 틀(10)의 설치와 탈착 작업이 수없이 반복되므로, 외형 틀(10)의 정확한 설치와 안전한 탈착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100)은 터널공사를 위한 외형 틀(10)의 설치 및 탈착 작업 시, 유압실린더(50)를 통한 곡선형 강재들(12, 14, 16)의 위치변경 및 고정이 링크구조의 연결 부재(30)에 의해 매우 용이하므로, 강재 거푸집(100)에 의한 터널의 시공속도와 불량시공률을 낮출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강재 거푸집의 전도를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한 제1보강 부재(60)를 더 구비한 점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 부재(60)를 더 구비한다. 제1보강 부재(60)는 다수의 제3지지용 강재(26)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보강 부재(60)는 제1지지용 강재(22) 또는 제2지지용 강재(24)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강재 거푸집(100)의 전도가 시작될 때 제1지지용 강재(22) 또는 제2지지용 강재(24)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이 설치되는 제1보강 부재(60)는 제3지지용 강재(26)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지지용 강재들(22, 24)과도 접촉하므로, 강재 거푸집(100)의 이동 시 또는 강재 거푸집(100)을 통한 터널공사 시, 강재 거푸집(100)의 터널의 길이 방향(도 6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제3실시형태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강재 거푸집의 전도를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한 제2보강 부재(62)를 더 구비한 점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형태들과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강 부재(62)를 더 포함한다. 제2보강 부재(62)는 이웃한 지지용 강재들(22, 24, 26)에 지면에 대해 대체로 사선형태로 설치되어, 강재 거푸집(100)의 (터널) 길이방향으로의 전도방지 및 강재 거푸집(100)의 길이방향으로의 안정성을 높이는 구실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보강 부재(62)는 제3지지용 강재들(26a, 26b)에 유압실린더와 함께 x자 형태로 설치되어, 강재 거푸집(100)에 전달되는 길이방향으로의 충격을 완충시켜준다.
(제4실시형태)
제4실시형태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강재 거푸집의 수평유지를 위한 수평유지 수단(70)을 더 구비한 점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형태들과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강재 거푸집(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유지 수단(70)을 더 포함한다. 수평유지 수단(70)은 서로 다른 지지용 강재들(22, 24, 26)에 x자 형태로 설치되며, 강재 거푸집(100)에 편심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하중을 반대편으로 전달하는 구실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강재 거푸집(100)이 편심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이동식) 강재 거푸집
10 외형 틀 12, 14, 16 곡선형 강재
20 지지 틀 22, 24, 26 지지용 강재
30 연결 부재 32, 34, 36 링크
40 핀
50 위치조정 수단 또는 유압실린더
60, 62 보강 부재
70 수평유지 수단 80 바퀴

Claims (5)

  1. 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강재 거푸집에 있어서,
    터널의 단면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곡선형 강재들의 단위 결합물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외형 틀; 복수의 강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외형 틀을 지지하는 지지 틀; 상기 단위 결합물의 상기 곡선형 강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곡선형 강재에 설치되는 제1링크(32), 상기 곡선형 강재와 이웃한 다른 곡선형 강재에 설치되는 제2링크(34),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연결하는 제3링크(36)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들은 각각 핀(40,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핀홀은 핀에 맞는 정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32)와 제2링크(34) 중 어느 하나는 강재의 안쪽면에 추가로 설치된 보조지지대(114')에 설치됨으로써 제1링크(32)와 제2링크(34)가 제3링크(36)에 의해 단차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틀은 터널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지지용 강재들;
    터널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지지용 강재들; 및
    다수의 상기 제1지지용 강재와 상기 제2지지용 강재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다수의 제3지지용 강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용 강재들 또는 상기 제2지지용 강재들에는, 상기 지지 틀이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3지지용 강재들과 맞닿는 전도방지용 제1보강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틀에는, 상기 지지 틀이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상기 제1지지용 강재들 또는 서로 다른 상기 제2지지용 강재들 또는 서로 다른 상기 제3지지용 강재들을 터널의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 형태로 연결하는 제2보강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틀은 수평유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재 거푸집.
KR1020100051005A 2010-05-31 2010-05-31 이동식 강재 거푸집 KR10120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005A KR101202784B1 (ko) 2010-05-31 2010-05-31 이동식 강재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005A KR101202784B1 (ko) 2010-05-31 2010-05-31 이동식 강재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530A KR20110131530A (ko) 2011-12-07
KR101202784B1 true KR101202784B1 (ko) 2012-11-19

Family

ID=4549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005A KR101202784B1 (ko) 2010-05-31 2010-05-31 이동식 강재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65B1 (ko) * 2013-07-29 2014-10-07 강영기 콘크리트 타설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자주식 콘크리트 타설기
KR20210054303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서진기계 경사구간 시공이 가능한 터널용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278B (zh) * 2013-02-27 2015-05-20 中交隧道工程局有限公司 一种连续作业翻模对接式隧道衬砌模板台车
CN104631351A (zh) * 2014-12-30 2015-05-20 贵州科润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桥涵支模机
CN108952769B (zh) * 2018-08-31 2020-02-07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隧道二次衬砌模板台车维修方法
CN111550270B (zh) * 2020-05-20 2021-07-09 中铁隧道集团一处有限公司 超大型自行式隧道多功能作业平台及隧道钢筋防水板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076Y1 (ko) * 2002-04-08 2002-07-26 장영식 상부 거푸집 위치조정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터널거푸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076Y1 (ko) * 2002-04-08 2002-07-26 장영식 상부 거푸집 위치조정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터널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65B1 (ko) * 2013-07-29 2014-10-07 강영기 콘크리트 타설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자주식 콘크리트 타설기
KR20210054303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서진기계 경사구간 시공이 가능한 터널용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530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784B1 (ko) 이동식 강재 거푸집
CN108978471B (zh) 一种增大斜拉桥异形索塔刚度的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N102660925B (zh) 一种变幅宽曲线桥移动模架
CN212670353U (zh) 涵洞拱圈施工设备
JP2002088718A (ja) コンクリート箱げた橋の内型枠装置およびその移動方法
CN112663501B (zh) 一种上跨既有线钢箱梁结构及施工方法
WO2015184476A1 (en) Precast concrete falsework bubbledeck element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7571392A (zh) 一种用于横张法预应力预制小箱梁施工的制梁台座
CN104533460A (zh) 换撑式模板台车和地下通道混凝土浇筑的施工方法
JP6146980B2 (ja) トンネルの拡幅部構築方法と、トンネル拡幅部の構造
KR100838409B1 (ko) 데크형 복공판
CN106012851A (zh) 钢箱梁与混凝土墩柱同步施工方法
CN114197325A (zh) 墩身施工安全防护平台
JP2011202406A (ja) 橋梁移動作業装置の組立て方法及び解体方法
JP4329535B2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JP2004011196A (ja) コンクリートアーチ橋のアーチリブ架設方法
CN204386135U (zh) 移动式挂篮
KR20110131531A (ko) 위치교정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KR100990239B1 (ko) 터널의 중앙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CN203668857U (zh) 用于ss级护栏模板连接、加固的可行走操作平台架
CN111074893A (zh) 一种河堤堤坝混凝土垫层的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632202B1 (ko) 자주식 엠.에스.에스 공법
CN206736742U (zh) 柱间系梁与墩柱整体成型模板支架
KR200360622Y1 (ko) 자주식 엠.에스.에스
CN105887922A (zh) 一种桁架支撑装置及利用其进行内衬墙施工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