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10B1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10B1
KR101202710B1 KR1020100031228A KR20100031228A KR101202710B1 KR 101202710 B1 KR101202710 B1 KR 101202710B1 KR 1020100031228 A KR1020100031228 A KR 1020100031228A KR 20100031228 A KR20100031228 A KR 20100031228A KR 101202710 B1 KR101202710 B1 KR 10120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pellet
compost
type compost
pe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912A (ko
Inventor
김창식
송미영
김태현
김은혜
전영복
전은재
전희재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냐테크
Priority to KR102010003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1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4Biological compos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5Capsules, e.g. core-sh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에서 염분과 기름 성분을 줄인 후 건조 압축하여 펠릿 형태의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 내의 염분을 줄이도록 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압착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지 않도록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단계; 상기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된 음식물쓰레기에서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기름성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황토의 혼합물을 건조, 압축하여 펠릿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는 음식물쓰레기를 냉동한 상태로 보관 및 이동하므로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지 않는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서 동물성 기름이 제거되어 자외선 차단, 토양의 산성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펠릿 형태로 제조되므로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쉽게 살포할 수 있으며, 황토와 마사토의 혼합 비율, 압축 및 건조조건을 조절하여 퇴비의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농한기에 미리 살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compost pellet using food wast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에서 염분과 기름 성분을 줄인 후 건조 압축하여 펠릿 형태의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별도로 수집하여 쓰레기장에 매립하거나 소각한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를 매립하면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면서 악취가 발생하고, 침출수가 발생하여 토양을 오염시킨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시 많은 용적을 차지하여 매립지의 사용연수를 줄이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매립지의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때문에 항상 시달려야만 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소각할 경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이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은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퇴비 등으로 자원화하기 위한 자원화시설이 여러 지역에서 건립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원화시설에서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여 퇴비를 만드는 대표적인 방법은 발효에 의한 음식물 처리방법이다.
이 발효처리방법은 양질의 퇴비화가 가능하고 보온처리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하기 위하여 수십일 이상 숙성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퇴비화를 위하여 톱밥이나 왕겨와 같은 수분조정제가 추가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발효를 시키기 위하여 미생물이 필요하며, 미생물의 번식을 위한 성장조건이 비교적 까다롭고 처리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가 자원화시설에서 발효되기 전에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수거하여 자원화시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할 수 있으며, 부패한 음식물쓰레기는 악취가 나고, 거름으로서 효과도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동물성 기름은 자외선을 차단하고, 땅을 산성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보관 및 이동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에서 동물성 기름이 제거되어 자외선 차단, 토양의 산성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제조방법 및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 내의 염분을 줄이도록 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압착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지 않도록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단계; 상기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된 음식물쓰레기에서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기름성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황토의 혼합물을 건조, 압축하여 펠릿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동물이나 곤충에 의한 농작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물이나 곤충이 싫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을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물이 싫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은, 예를 들어 천적의 배설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펠릿의 분해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 마사토를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펠릿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가 제공된다. 상기 펠릿을 코팅하는 단계는, 자연분해 녹말 또는 황토를 코팅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펠릿을 코팅하는 대신 캡슐에 투입하여 밀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천적향 등이 나는 물질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펠릿의 표면에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천적향 등이 나는 물질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펠릿의 발효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펠릿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또한, 세척, 분쇄 및 탈수된 음식물쓰레기, 황토, 마사토, 및 동물이나 곤충이 싫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는 음식물쓰레기를 냉동한 상태로 보관 및 이동하므로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지 않는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서 동물성 기름이 제거되어 자외선 차단, 토양의 산성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펠릿 형태로 제조되므로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쉽게 살포할 수 있다. 또한, 황토와 마사토의 혼합 비율, 압축 및 건조조건을 조절하여 퇴비의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농한기에 미리 살포할 수 있다. 또한, 우천시 쉽게 씻겨 내려가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경재배시에도 꾸준히 일정량의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천적향을 추가한 경우에는 동물이나 곤충에 의해 농작물에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착유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릿 형 퇴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릿 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릿 형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는 음식물쓰레기 내의 염분을 줄이도록 물로 세척하는 단계(S10)로 시작된다. 음식물쓰레기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분이 포함되어 있다.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은 농작물을 고사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물로 세척하여 함량을 낮출 필요가 있다.
다음, 세척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압착한다(S20). 음식물쓰레기 내의 염분함량이 1 중량%일 때, 분쇄 및 탈수를 하면, 0.5 ~ 0.8 중량%로 염분함량이 감소한다.
다음,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지 않도록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한다(S3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를 통해서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하는 단계부터 냉장 또는 냉동하는 단계까지 과정이 진행된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를 통해서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하는 단계부터 냉장 또는 냉동하는 단계를 다시 설명한다.
먼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구(11)를 통해서 탈수통(12)에 공급한다. 조작판넬(미도시)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냉온수 공급관(13)에 연결된 밸브(14) 및 모터(15)를 동작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면,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세척되면서 회전하는 커터(16)에 의하여 분쇄된다. 그리고 냉수 또는 온수의 공급을 중단하면 탈수통(12)의 회전에 의하여 탈수된다. 탈수되면서 일정한 크기 이하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탈수통(12)의 관통구멍(17)으로 배출되어 배출구(18)를 통하여 압착부로 공급된다. 압착부의 축(19)이 회전하면, 축에 고정된 스크루(20)에 의해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전방으로 압착되면서 이송된다. 압착시 나오는 오수는 오수배출구(21)를 통하여 압착통체(22)의 하부에 설치된 정화수단(23)으로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만이 압착통체(22)의 전방에 설치된 배출디스크(24)의 관통구멍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서랍(25)에 보관된다. 보관시, 냉각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배출서랍(25) 내부가 냉장상태를 유지하므로, 일정기간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악취의 발생이나 세균의 번식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된 음식물쓰레기에서 기름성분을 제거한다(S40). 음식물쓰레기에는 그 종류에 따라서 동물성 또는 식물성 기름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기름성분, 특히, 동물성 기름성분은 토양을 산성화하고, 햇빛을 차단하여 농작물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수질 오염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에서 기름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용출법, 압착법 및 추출법 등 일반적인 착유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착유기(100)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착유기(100)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110)과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해서 제1하우징(11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120)을 포함한다. 또한, 동물성 기름의 경우에는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존재하여 압착에 의해서 착유가 어려우므로, 제1하우징(110)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30)가 제1하우징(110)의 외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감싸고 있는 제2하우징(140)에 설치된다. 음식물쓰레기에서 제거된 기름은 제1하우징(110)의 바닥면과 옆면에 형성된 관통구멍(111)을 통과한 후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40)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착유기(100)의 하부로 이동한 후 제2하우징(140)에 형성된 배출구(141)를 통해서 제거된다. 이 단계에서 제거된 기름은 별도의 처리를 통해서 연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 기름성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에 황토, 마사토 및 천적향을 투입하여 혼합한다(S50). 음식물쓰레기의 크기가 커서 혼합이 어려운 경우에는 혼합하기 전에 먼저 분쇄기를 잘게 분쇄한 후에 혼합할 수도 있다. 이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황토에 대해서 설명한다. 황토는 석면조면암, 안산암, 화강암 등이 열수작용 및 풍화작용에 의하여 분해되어 생성된 빛깔이 누르고 거무스름한 흙으로서, 화학식이 Al2O32SiO22H2O인 Kaolin족 점토류에 속하는 광물이다.
황토는 1차 점토(primary clay)인 Kaolin류의 표층이 산화, 풍화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산화철(Fe2O3)성분이 많아 붉은 색을 띠며, 4면체와 8면체가 1:1로 형성되어 2층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해 반응성이 낮기 때문에 환경에 무해하다. 황토의 성분은 미생물학적 성분과 화학적 성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에는 생물에게 독소를 나타내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하여 생물에게 적절한 토양을 만들어 주며 가장 높은 활성을 갖는 카탈라아제, 토양산화력의 지표인 디페놀옥시다아제, 사카라아제, 및 단백질 속의 질소가 무기화할 때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프로테아제의 네 종류가 있다. 이 효소들은 각기 독소 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정화작용의 역할을 하고 있다. 화학적 성분으로는 석영, 장석, 운모, 방해석 등 다양한 광물 입자가 있으며, 그 비율은 SiO2 35~45%, Al2O3 20~35%, Fe2O3 5~15%, MgO 2~3%, Na2O 1~2% 정도로 알려져 있다.
황토는 태양에너지의 저장고라 불릴 정도로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발산하여 일명 살아있는 생명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황토의 효능으로 인해 황토 그 자체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하여 오염된 하천이나 적조현상으로 죽어가는 바다를 회복시키기도 한다.
황토 내 포함되어 있는 광물들은 그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하 때문에 음이온 및 양이온을 흡착할 수 있고, 특유의 다공성 구조, 함유된 점토광물의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Cu, Pb, Cr, Zn 등의 중금속, 및 부유 물질 흡착 등의 수질 정화 작용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토는 음식물쓰레기를 펠릿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결합제 역할을 한다. 또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역할 및 중금속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마사토는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긴 흙으로서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아서 밭작물이나 조경수식재, 야생화, 분재, 화분 등에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사토는 황토와 혼합되어 펠릿의 분해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마사토의 함량이 증가하면 펠릿의 분해속도가 증가하며, 반대로 마사토의 함량이 감소하면 펠릿의 분해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마사토의 함량을 조절하여, 퇴비가 필요한 시점에서 펠릿이 분해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천적향이 나는 물질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동물이나 곤충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멧돼지, 고라니 등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호랑이의 배설물과 같이 멧돼지, 고라니 등이 두려워하는 천적의 냄새가 나는 물질을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바퀴벌레나 개미를 퇴치하기 위해서는 은행잎이나 박하의 향을 이용할 수 있다.
집안의 화분 등에 사용되는 퇴비의 경우에는 천적향이 나는 물질을 투입하는 대신에 방향제를 혼합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이취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 음식물쓰레기와 황토 등의 혼합물을 건조, 압축하여 펠릿을 만든다(S60). 건조 방법은 수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회전하는 드럼에 음식물쓰레기와 황토, 마사토, 천적향이 나는 물질을 투입한 후 열풍 건조기를 통해서 수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한다. 드럼의 내부에는 그 외면에 혼합날개를 가진 회전축이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수분의 함량이 적절히 조절된 건조된 혼합물을 펠릿성형기에 투입하여, 압축이송시킨 후 절단하여 펠릿을 만든다. 펠릿성형기는 건조된 혼합물을 압축 이송시키는 케이스와 이송 스크루와 이송 스크루를 통해서 케이스의 출구로 배출되는 혼합물을 절단하여 펠릿 형태로 만드는 커터를 포함한다.
다음, 펠릿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한다(S70).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의 공정은 냉동이나 냉장 상태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음식물쓰레기의 발효가 어느 정도 진행된다. 따라서 펠릿의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을 하면 음식물쓰레기의 발효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펠릿 형 퇴비의 발효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펠릿 형 퇴비의 표면을 코팅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펠릿 형 퇴비를 완성한다(S80). 펠릿 형 퇴비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1), 황토 및 마사토(3), 천적의 배설물(2)이 고르게 혼합되어 있다. 표면을 코팅하면, 퇴비의 이취(異臭)를 방지할 수 있으며, 펠릿 형 퇴비를 다루기 용이하다. 또한, 코팅층이 분해될 때까지 퇴비가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농한기에 미리 펠릿 형 퇴비를 살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면 코팅층(4)으로는 자연분해 녹말 또는 황토를 사용한다. 가정용 화분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팅층으로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염색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펠릿 형 퇴비를 진공 포장한다(S90).
본 실시예에서는 펠릿 형 퇴비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나면 분해되는 캡슐(5)에 펠릿 형 퇴비를 투입하여 밀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천적향이 나는 물질을 혼합물에 투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적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펠릿 형 퇴비의 표면에 구멍(6)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천적향이 나는 물질(2)을 투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펠릿 형 퇴비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펠릿 형 퇴비는 자외선 살균, 마사토 첨가량, 건조 정도, 표면 코팅 여부 등에 의해서, 토양에 살포된 후 분해되어 영양분을 공급하기까지의 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농한기에 미리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퇴비는 농부가 일일이 농지를 돌아다니며 살포하여야 했으나, 펠릿 형 퇴비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살포장치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토양에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퇴비의 형태가 원기둥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조방법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퇴비를 제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음식물쓰레기 2: 천적의 배설물
3: 황토 및 마사토 4: 표면 코팅층
5: 캡슐
1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0: 착유기

Claims (15)

  1.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패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 내의 염분을 줄이도록 물로 세척하는 단계;
    부패하지 않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탈수 및 압착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지 않도록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단계;
    상기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된 음식물쓰레기에서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기름성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황토의 혼합물을 건조, 압축하여 펠릿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된 음식물쓰레기에서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용출법, 압착법 및 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동물이나 곤충에 의한 농작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물이나 곤충이 싫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을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싫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은,
    상기 동물의 천적의 배설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이취(異臭)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 방향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의 분해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황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 마사토를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황토의 혼합물을 건조, 압축하여 펠릿을 만드는 단계 이후에,
    상기 펠릿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을 코팅하는 단계는,
    자연분해 녹말 또는 황토를 코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을 코팅하는 단계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염색된 코팅재료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황토의 혼합물을 압축, 건조하여 펠릿을 만드는 단계 이후에,
    상기 펠릿을 캡슐에 투입하여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황토의 혼합물을 압축, 건조하여 펠릿을 만드는 단계 이후에,
    상기 펠릿의 표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동물이나 곤충에 의한 농작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멍에 상기 동물이나 곤충이 싫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을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황토의 혼합물을 압축, 건조하여 펠릿을 만드는 단계 이후에,
    상기 펠릿의 발효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상기 펠릿을 자외선 살균한 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의 제조방법.
  13. 세척, 분쇄 및 탈수된 음식물쓰레기, 황토, 마사토, 및 동물이나 곤충이 싫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형 퇴비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형 퇴비를 수용하여 밀봉하는 캡슐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KR1020100031228A 2010-04-06 2010-04-06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20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28A KR101202710B1 (ko) 2010-04-06 2010-04-06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28A KR101202710B1 (ko) 2010-04-06 2010-04-06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12A KR20110111912A (ko) 2011-10-12
KR101202710B1 true KR101202710B1 (ko) 2012-12-18

Family

ID=4502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228A KR101202710B1 (ko) 2010-04-06 2010-04-06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90A (ko) 2017-11-08 2019-05-16 신지왕 농업용 압축 거름덮개
KR20220104882A (ko) 2021-01-19 2022-07-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분 퇴비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77B1 (ko) * 2012-06-26 2015-02-23 대한민국 퇴비 펠릿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426Y1 (ko) * 2003-03-25 2003-06-27 이우성 향기를 지닌 펠렛형 유기질비료.
KR100433010B1 (ko) * 2002-01-26 2004-05-27 주식회사 토비이앤지 정제형 펠릿비료의 제조시스템
KR100669920B1 (ko) * 2005-05-06 2007-01-16 김상훈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질 퇴비,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10B1 (ko) * 2002-01-26 2004-05-27 주식회사 토비이앤지 정제형 펠릿비료의 제조시스템
KR200318426Y1 (ko) * 2003-03-25 2003-06-27 이우성 향기를 지닌 펠렛형 유기질비료.
KR100669920B1 (ko) * 2005-05-06 2007-01-16 김상훈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질 퇴비,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90A (ko) 2017-11-08 2019-05-16 신지왕 농업용 압축 거름덮개
KR20220104882A (ko) 2021-01-19 2022-07-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분 퇴비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12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8603B (zh) 一种高速堆肥法及装置
US20100120128A1 (en) Eco-engineering for systematic carbon mitigation
CN101948337B (zh) 易腐有机垃圾降解菌剂载体
CN112250482B (zh) 绿色垃圾堆肥一体化装置及其堆肥工艺
KR102153020B1 (ko)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10179372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방법
CN213977465U (zh) 一种绿色垃圾堆肥一体化装置
KR101202710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펠릿 형 퇴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5211A (ko) 살처분 동물 사체의 재처리 방법
KR101229434B1 (ko)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 방법
WO2009096628A1 (en) Producing method of lawn special fertilizer made from alkali calcium
CN104450661B (zh) 降解食物源有机垃圾的固体菌剂
WO2021006751A1 (en) A method for utilization and/or reclamation of degraded, desert and semi-arid areas as well as a multi-component composition for use in the method and a process for obtaining the composition using wastes
KR101939626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KR20130023001A (ko)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친환경 식물에 영양분, 산소를 공급하는 숨쉬는 대롱형 막대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KR102244733B1 (ko) 팥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TW201429922A (zh) 有機固體廢棄物的高速製肥生產方法及高速製肥生產設備
KR101200538B1 (ko) 피톤치드 제조 장치
KR200189104Y1 (ko) 축산분뇨의 유기질 비료화 시스템
KR20010085010A (ko) 퇴비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213416699U (zh) 一种园林绿化垃圾处理装置
CN213295207U (zh) 一种利用秸秆与畜禽粪污生产有机肥的系统
JP2002153849A (ja) 生ゴミ処理器付の流し台と大型ゴミへの応用
Gnagwar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waste food composting machine
KR20110133919A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